KR20150086596A - 피난 장치 - Google Patents

피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596A
KR20150086596A KR1020140006446A KR20140006446A KR20150086596A KR 20150086596 A KR20150086596 A KR 20150086596A KR 1020140006446 A KR1020140006446 A KR 1020140006446A KR 20140006446 A KR20140006446 A KR 20140006446A KR 20150086596 A KR20150086596 A KR 2015008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ing
lid
space
evacuation
upp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524B1 (ko
Inventor
황상윤
Original Assignee
(주)디딤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딤디앤씨 filed Critical (주)디딤디앤씨
Priority to KR102014000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대피공간에 은닉된 상태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주거 활동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비상시에 피난자의 행위에 의하여 피난구가 열리면서 피난 부재가 자동으로 전개되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문(14)이 설치된 방호벽(12)으로 둘러싸인 대피공간이 설치된 공동 주택의 위층 발코니의 대피공간 내부 바닥(10)의 피난구(100)에 설치되어 아래층 발코니의 대피공간으로 피난하도록 인도하는 피난 장치로서, 상기 피난구(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뚜껑(110), 상기 피난구(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뚜껑(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뚜껑(120), 및 상기 상부 뚜껑(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110)과 상기 하부 뚜껑(120) 사이에 접혀 있는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상기 상부 뚜껑(110)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 뚜껑(120)이 완전히 열리면서 아래 방향으로 길게 펼쳐지는 피난 부재(200)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대피공간을 주거용 공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시에 은닉되어 있던 피난 부재가 펼쳐지면서 피난 사다리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 수 있는 직통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난 장치{Esca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 주택의 대피공간에 은닉된 상태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주거 활동에 방해를 주지 않다가 비상시에 피난자의 행위에 의하여 피난구가 열리면서 피난 부재가 자동으로 전개되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의 보급 증가와 고층화가 병행됨에 따라 화재, 범죄, 지진 등의 응급 상황 발생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여 귀중한 생명을 지켜야할 필요가 있다.
건축법 시행령 제46조에 따른 방화구획 설치 규정에 의거하여 4층 이상의 각 세대는 화재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2제곱미터 이상의 대피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시 소방 작업이 실시되기까지 대피하여 구조대의 도착까지 기다리는 것에 주안점을 둔 규정으로서, 도로 상황, 소방 설비의 한계 및, 예로서 21층 이상의 고층의 경우와 같은, 소방 환경 등으로 인한 소방 시간 지체를 고려할 때 소중한 인명을 지켜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대피공간은 수동적인 피난 장소로서 보다 적극적인 피난 장치의 확보가 필요하고,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04771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만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각 층의 베란다에 개폐문(9)이 있는 방호벽(7)이 설치되고 방호벽(7)의 내부의 천정과 바닥에 피난구(2)가 설치되고 피난구(2)에는 뚜껑(3)이 설치되고 각 층 베란다의 피난구(2) 사이에는 사다리(6)가 마련되어 있어, 화재 등이 발생시 피난자가 개폐문(9)으로 방호벽(7) 내부로 들어와서 바닥에 있는 뚜껑(3)을 열어 사다리(6)를 이용하여 아래층 베란다의 방호벽(7) 내부로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02150호에는 사다리(20)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절첩식 의자(27)가 완충수단(29)에 연결되어 사다리(20)를 따라 서서히 미끄러지도록 하여 노약자도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상이 아닌 평상시에도 방호벽 내부에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로 존재하여 공간 활용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또한 피난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피난구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무단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04771호 (1994.11.22 공개) 등록특허 제10-0702150호 (2007.04.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대피공간을 주거용 공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시에 은닉되어 있던 피난 부재가 펼쳐지면서 피난 사다리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 수 있는 직통 대피로를 제공하기 위한 피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난 장치는 개폐문(14)이 설치된 방호벽(12)으로 둘러싸인 대피공간이 설치된 공동 주택의 위층 발코니의 대피공간 내부 바닥(10)의 피난구(100)에 설치되어 아래층 발코니의 대피공간으로 피난하도록 인도하는 피난 장치로서, 상기 피난구(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뚜껑(110); 상기 피난구(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뚜껑(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뚜껑(120); 및 상기 상부 뚜껑(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110)과 상기 하부 뚜껑(120) 사이에 접혀 있는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상기 상부 뚜껑(110)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 뚜껑(120)이 완전히 열리면서 아래 방향으로 길게 펼쳐지는 피난 부재(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난구(100)의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여 빛 또는 음향을 발하는 경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관리실, 경비실 또는 아래층 세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문(14)에는 자동 잠금 장치(15)가 설치되고, 위층의 상기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면 아래층의 상기 자동 잠금 장치(15)가 자동으로 잠기어 피난자가 아래층 세대의 승낙 없이는 아래층 대피공간을 통하여 아래층 세대로 진입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 부재(200)는 다수의 강성 프레임(202)이 연성 와이어(204)에 연결된 사다리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뚜껑(110)은 여닫이문의 형태로 상기 바닥(10)의 상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부 뚜껑(120)은 미닫이문의 형태로 상기 바닥(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상부 뚜껑(110) 및 상기 하부 뚜껑(120)은 견인 와이어(300)에 의하여 연결되 상기 피난구(100)의 내측벽에 상기 견인 와이어(300)를 인도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뚜껑(110)이 열리면 상기 견인 와이어(300)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부 뚜껑(120)이 상기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난 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대피공간을 주거용 공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시에 은닉되어 있던 피난 부재가 펼쳐지면서 피난 사다리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피난할 수 있는 직통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경보 장치 및 무단 침입 방지 장치가 구비될 수 있어 세대간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도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가 설치된 대피공간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의 상부 뚜껑이 열리는 모습을 두 단계로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의 동작 전 접힌 모습과 동작 후 전개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의 견인 와이어의 체결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는 공동 주택의 발코니에 방호벽(12)으로 둘러싸인 대피공간의 내부 바닥(10)에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난 장치는 공동 주택의 상층과 하층을 관통하는 피난구(100)에 설치되어 위층 발코니의 대피공간을 통하여 아래층 발코니의 대피공간으로 피난하도록 인도하는 피난 장치로서, 상부 뚜껑(110), 하부 뚜껑(120) 및 피난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뚜껑(110)은 피난구(100)의 상단에 설치되고, 비상시 피난자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난자의 신속한 개폐 동작을 돕기 위하여 손잡이(112)가 설치될 수 있고, 손잡이(112)는 평상시 바닥(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배치하고, 피난자의 손가락 부분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홈을 형성하여 손잡이(112)를 젖힐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부 뚜껑(110)의 개폐는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뚜껑(120)은 피난구(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부 뚜껑(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된다. 하부 뚜껑(120)은 상부 뚜껑(110)의 개폐에 종속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거꾸로 아래층 거주자가 위층으로 무단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뚜껑(120)의 경우도 상부 뚜껑(110)의 경우와 같이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여닫이문으로 구성하는 경우 아래층 대피공간에 거주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고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닫이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굳이 여닫이문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경우 여닫이문의 개폐에 완충장치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부 뚜껑(110)의 개폐에 따른 하부 뚜껑(120)의 종속적 동작은 자동식 및/또는 수동식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부 뚜껑(110)의 열림 신호를 감지하면 하부 뚜껑(120)은 실린더 또는 모터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수동식의 경우 피난자의 상부 뚜껑(110)의 열림 동작에 따라, 예로서 도 3의 견인 와이어(300)를 통하여 상부 뚜껑(110)과 체결된 하부 뚜껑(120)이 따라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피난 장치가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고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극히 드물게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면 비교적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자동식 구성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피난 부재(200)는 상부 뚜껑(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 사이에 접혀 있는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상부 뚜껑(110)의 열림 동작에 따라 하부 뚜껑(120)이 완전히 열리면서 아래 방향으로 길게 펼쳐진다.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이 모두 열리면 피난자는 이를 통하여 아래층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아래층 대피공간의 높이 때문에 그대로 떨어지면 사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 이러한 위험은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서는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 사이에 피난 부재(200)를 보관해 두었다가 하부 뚜껑(120)이 열리면 자동으로 아래로 전개되어 펼쳐져 피난자가 피난 부재(200)를 잡아 내려갈 수 있도록 하였다. 피난 부재(200)의 재료비의 절감 및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 사이의 공간적 제약에 의하여, 완전히 펼쳐진 피난 부재(200)는 아래층 대피공간의 바닥에 반드시 닿도록 길게 할 필요는 없고 피난자가 불편 없이 바닥으로 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걸려져 있는 것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피난 장치는 피난구(100)의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여 빛 또는 음향을 발하는 경보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피난자가 상부 뚜껑(110)을 여는 동시에 피난 상황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피난 경보 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피난 상황이 발생한 층의 외부에 위치하는 관련자들, 예를 들면, 이웃 층의 거주자나 관리실의 관리인, 더 나아가 소방 당국은 즉시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관리실, 경비실 또는 아래층 세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피난 장치는 방호벽(12)에 설치된 개폐문(14)에 자동 잠금 장치(15)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층의 상기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면 아래층의 상기 자동 잠금 장치(15)가 자동으로 잠기어 피난자가 아래층 세대의 승낙 없이는 아래층 대피공간을 통하여 아래층 세대의 생활 공간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화염 등이 아래층 대피 공간으로까지 침투할 위험이 있는 경우로서 아래층 세대의 생활 공간으로 진입하지 못할 때에 피난자는 계속하여 더 아래층의 대피 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 부재(200)는 다수의 강성 프레임(202)이 연성 와이어(204)에 연결된 사다리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평상시에는 강성 프레임(202)이 접혀진 상태로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 사이에 보관되어 있다가, 비상시 피난자가 뚜껑을 열었을 때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강성 프레임(202)은 일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체중의 피난자도 모두 쉽게 피난할 수 있으면서도 최소한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인 ㄷ-자 형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도 2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의 동작 전 접힌 모습과 동작 후 전개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피난 장치의 견인 와이어의 체결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에서 견인 와이어는 연결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실제와 다르게 늘려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의 연동 구조가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견인 와이어(3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뚜껑(110)은 여닫이문의 형태로 경첩(114)에 의하여 상기 바닥(10)의 상부에 힌지 결합하고, 하부 뚜껑(120)은 미닫이문의 형태로 상기 바닥(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뚜껑(120)이 미닫이문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를 인도하기 위하여 양측에 인도용 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뚜껑(110) 및 하부 뚜껑(120)은 견인 와이어(300)에 의하여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연결되고, 상기 피난구(100)의 내측벽에 상기 견인 와이어(300)를 인도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뚜껑(110)이 열리면 상기 견인 와이어(300)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부 뚜껑(120)이 상기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견인 와이어(300)가 상부 뚜껑(110)과 하부 뚜껑(120)의 일 측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뚜껑의 모양이나 형태,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뚜껑의 가운데 영역에 설치하거나 양 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는 다소 강한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는 견인 와이어(3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도르래를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고, 그 배치는 피난구(100)의 내측벽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하나(302)는 견인 와이어(300)의 상부 뚜껑(110)의 고정 부재(301)에 연결된 측을 걸치도록 상부 뚜껑(110)의 아래 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304)는 견인 와이어(300)의 하부 뚜껑(120)의 고정 부재(303)에 연결된 측을 걸치도록 하부 뚜껑(120)의 위 측에 위치한다. 또한 하부 뚜껑(120)의 위 측에 위치하는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4)를 수용하기 위하여 피난구(100)의 측벽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 부근에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수의 가이드 고리(306)를 형성하여 견인 와이어(300)의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대피공간의 바닥 12: 방호벽
14: 개폐문 15: 자동 잠금 장치
100: 피난구 110: 상부 뚜껑
120: 하부 뚜껑 125: 하부 수용 공간
112: 손잡이 114: 경첩
200: 피난 부재 202: 강성 프레임
204: 연성 와이어 300: 견인 와이어
301, 303: 고정 부재 302, 304: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

Claims (8)

  1. 개폐문(14)이 설치된 방호벽(12)으로 둘러싸인 대피공간이 설치된 공동 주택의 위층 발코니의 대피공간 내부 바닥(10)의 피난구(100)에 설치되어 아래층 발코니의 대피공간으로 피난하도록 인도하는 피난 장치로서,
    상기 피난구(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뚜껑(110);
    상기 피난구(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뚜껑(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하부 뚜껑(120); 및
    상기 상부 뚜껑(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뚜껑(110)과 상기 하부 뚜껑(120) 사이에 접혀 있는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상기 상부 뚜껑(110)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하부 뚜껑(120)이 완전히 열리면서 아래 방향으로 길게 펼쳐지는 피난 부재(200);
    를 포함하는 피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구(100)의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여 빛 또는 음향을 발하는 경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관리실, 경비실 또는 아래층 세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14)에는 자동 잠금 장치(15)가 설치되고, 위층의 상기 상부 뚜껑(110)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동작 센서의 감지 상태를 수신하면 아래층의 상기 자동 잠금 장치(15)가 자동으로 잠기어 피난자가 아래층 세대의 승낙 없이는 아래층 대피공간을 통하여 아래층 세대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부재(200)는 다수의 강성 프레임(202)이 연성 와이어(204)에 연결된 사다리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110)은 여닫이문의 형태로 상기 바닥(10)의 상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부 뚜껑(120)은 미닫이문의 형태로 상기 바닥(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110) 및 상기 하부 뚜껑(120)은 견인 와이어(300)에 의하여 연결되 상기 피난구(100)의 내측벽에 상기 견인 와이어(300)를 인도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 인도부재(302, 304)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 뚜껑(110)이 열리면 상기 견인 와이어(300)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부 뚜껑(120)이 상기 하부 수용 공간(125)으로 삽입되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 장치.
KR1020140006446A 2014-01-20 2014-01-20 피난 장치 KR10154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46A KR101545524B1 (ko) 2014-01-20 2014-01-20 피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46A KR101545524B1 (ko) 2014-01-20 2014-01-20 피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596A true KR20150086596A (ko) 2015-07-29
KR101545524B1 KR101545524B1 (ko) 2015-08-19

Family

ID=5387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446A KR101545524B1 (ko) 2014-01-20 2014-01-20 피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823A (zh) * 2020-12-29 2021-04-27 山东华宇工学院 基于单片机的镶嵌于阳台地面的楼层火灾电动逃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032B1 (ko)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2639113B1 (ko) * 2021-11-04 2024-02-22 (주)멘토티앤씨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2446910B1 (ko) 2022-02-09 2022-09-23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접이식 피난계단
KR102543710B1 (ko) 2022-09-16 2023-06-14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접이식 피난계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585B1 (ko) * 2009-07-06 2012-08-13 조윤성 층간 비상탈출장치
KR200450475Y1 (ko) * 2010-06-25 2010-10-06 (주)반초기업 하향식 피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823A (zh) * 2020-12-29 2021-04-27 山东华宇工学院 基于单片机的镶嵌于阳台地面的楼层火灾电动逃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524B1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624599B1 (ko)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773455B1 (ko)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101111292B1 (ko)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100695685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JP2005027955A (ja) 無人開口避難装置
KR100772972B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1085009B1 (ko) 하향식 피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