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75Y1 - 하향식 피난구 - Google Patents

하향식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75Y1
KR200450475Y1 KR2020100006721U KR20100006721U KR200450475Y1 KR 200450475 Y1 KR200450475 Y1 KR 200450475Y1 KR 2020100006721 U KR2020100006721 U KR 2020100006721U KR 20100006721 U KR20100006721 U KR 20100006721U KR 200450475 Y1 KR200450475 Y1 KR 200450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ratchet gear
ladder
cover
evacu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제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2020100006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과 같은 비상시 주거하고 있는 주거층에서 아랫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상부 도어를 개방하면 링크로 연결된 하부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상기 상부 도어와 동시에 작동하는 사다리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부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도어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 방향으로 사다리 부재가 펼쳐져 신속하게 아랫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고,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며 상호 링크로 연결되어 연동 개폐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함체와, 상부 일측이 상기 함체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고, 하부 덮개 개방시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는 절첩식 사다리와, 상기 함체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절첩식 사다리의 하단부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구비되는 라체트 기어와, 상기 라체트 기어의 일측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및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향식 피난구{Topdown type of Refuge Tool}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과 같은 비상시 주거하고 있는 주거층에서 아랫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상부 도어를 개방하면 링크로 연결된 하부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상기 상부 도어와 동시에 작동하는 사다리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부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도어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 방향으로 사다리 부재가 펼쳐져 신속하게 아랫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는 비상계단이 있다.
그러나, 상기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많은 사람이 일시에 비상계단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2차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베란다 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비상탈출 장치들이 있다.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0241329호 "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가 있는데, 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위층 베란다 난간에서 아래층 베란다 난간을 사다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다리가 상시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하고, 관리가 소홀할 경우 녹이 슬어 연결부위가 약해지며, 사다리가 베란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대피할 때 건물의 외부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725267호 "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 가 있는데, 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베란다에 관통 설치하여 위층 베란다에 노출된 상부 커버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 커버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사다리가 펼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베란다에 관통 설치된 종래 기술은 시공시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흡차음제를 모두 제거한 후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없어 거주자들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사다리는 일단이 타단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보관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된 일단이 내부에서 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끼어 위급시 사다리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부를 향할수록 사다리의 폭이 좁아져 사용 중 추락의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되, 상부 덮개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덮개가 개방되며 동시에 내부의 사다리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흡수하는 방음수단을 구비하여 일상 생활시 발생하는 소음이 위층 또는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고,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며 상호 링크로 연결되어 연동 개폐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함체와, 상부 일측이 상기 함체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 수용공간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고, 하부 덮개 개방시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는 절첩식 사다리와, 상기 함체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절첩식 사다리의 하단부에 연결된 고정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구비되는 라체트 기어와, 상기 라체트 기어의 일측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라체트 기어에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 및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음수단은,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속구에 끼움 결합되는 흡차음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차음판은 판 상의 알루미늄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란다의 바닥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덮개의 외면에는 흡차음페인트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레버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덮개에 연결되어, 하부 덮개 개방시 상기 레버가 라체트 기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레버를 당기는 당김와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당김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선단이 상기 당김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고, 표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하부걸림홈과 상부걸림홈이 구비된 조절판과, 일단이 하부 덮개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판이 후단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부 덮개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덮개와 함체 내부에 수용된 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하여 화재나 지진과 같이 비상시에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하부 덮개 및 상부 덮개에 방음수단을 구비하여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 또는 위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간의 다툼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외면에 각각 흡음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베란다 바닥 및 베란다 천정에 도포된 타일 및 페인트와 동일한 타일 및 색상으로 도포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 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는 레버 및 라체트 기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 는 장력조절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1)는, 함체(10)와, 사다리(20)와, 회전드럼(30)과, 라체트 기어(40)와, 레버(50)와, 방음수단(70) 및 당김와이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당김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0)는,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고, 각각 힌지축(15)에 의해 회동되며 상호 링크(16)로 연결되어 연동 개폐되는 상부 덮개(13)와 하부 덮개(14) 및 절첩식 사다리(20)가 수납되는 내부의 수용공간(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덮개(13)는, 상기 함체(10)의 상부에서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난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3)가 외면(131)과 내측면(132)에 각각 구비되며, 함체(10)와 고정되는 걸림쇠(134)와, 야간 및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부 덮개(1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도료가 도포 된 발광층(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면(131)에는 베란다 바닥의 타일 또는 도포된 페인트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 시트지(136) 또는 도장층(1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장층(137)은, 흡차음페인트를 사용하여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흡차음페인트는, 특허등록 제 10-840891호(2008.06.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도가 낮고, 내부가 벌집 모양의 기공으로 이루어져 단열, 보온, 방음의 특성이 형성되는 페인트 조성물이다.
상기 하부 덮개(14)는, 상기 함체(10)의 하부에서 힌지축(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측면(142)에는 후술하는 방음수단(70)이 끼움 결합되는 결속구(143)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덮개(14)의 외면(141)에도 상술한 상부 덮개(13)에 도포 되는 흡차음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결속구(143)는 하부 덮개(14)에 다수개 구비된 'ㄴ' 자 형의 브라켓으로 결합 된 후술하는 흡차음판(71)이 하부 덮개(14)의 동작 중 또는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 덮개(14)의 외면(141)과 상부 덮개(13)의 외면은 각각 베란다의 천정과 베란다의 바닥에 노출되는 부위로서, 일상생활에서 금속재질의 하부 덮개(14)와 상부 덮개(13)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흡차음페인트를 통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링크(16)는, 상부 덮개(13)의 내측면(131)에 힌지(1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링크(161)와,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힌지(1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 링크(162)와, 일단은 상부 링크(161)와 힌지(164)에 의해 결합하고, 타단은 하부 링크(162)와 힌지(164)에 의해 결합하는 슬라이드 커버(163)로 이루어지며, 대칭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16)는 상부 덮개(13)가 개폐될 때 하부 덮개(14)가 연동 되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덮개(13)가 개방되면서 상부 링크(161)가 동시에 상부로 회전하게 되며, 슬라이드 커버(163)와 하부 링크(162)가 각각 힌지(164)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부 링크(162)가 하부 덮개(14)를 밀어내면서 하부 덮개(14)가 개방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은 후술하는 당김와이어(60)를 위한 롤러(17)이다.
상기 사다리(20)는, 상부 일측(21)이 상기 함체(10)의 수용공간 내벽(12)에 고정되어 상기 함체(10)의 수용공간(11)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고, 하부 덮개(14)가 개방될 때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펼쳐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분체가 다른 분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30)은, 상기 함체(10)의 내벽(12)에 설치되며, 상기 절첩식 사다리(20)의 하단부(22)에 연결된 고정와이어(21)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라체트 기어(40)와 결합 되어 라체트 기어(40)가 해제되면 동시에 회전드럼(30)이 회전하면서 고정와이어(21)를 권출하여 사다리(20)가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30)은 배출된 사다리(20)를 상부로 끌어올려 절첩 후 수납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도면 중 미도시 됨)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회전드럼(30)에는 상기 사다리(20)가 펼쳐질 때 펼쳐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도면 중 미도시 됨)를 더 구비하여, 아래층 베란다에 위치하는 타인이 펼쳐지는 사다리(20)에 의해 상해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체트 기어(40)는, 상기 회전드럼(30)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드럼(3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톱니(41)가 형성되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회전드럼(30)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방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50)는, 상기 라체트 기어(40)의 일측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라체트 기어(40)에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회전드럼(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라체트 기어(40)의 톱니(41)와 맞물리는 걸림부(51)와, 회동 동작시 중심축이 되며 함체(10)의 내벽(12)에서 돌출 형성된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공(53)과 상부에서 가압하여 걸림부(51)를 회전시키기 위한 누름판(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당김와이어(60)의 결합시 당김와이어(60)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고정공(55)이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51)가 라체트 기어(40)의 톱니(41)와 맞물리는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비틀림스프링(56)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50)와 상기 라체트 기어(40)의 동작 상태를 도 4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다리(20)가 절첩되어 함체(10)의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50)의 걸림부(51)가 비틀림스프링(56)에 의해 라체트 기어(40)의 톱니(41)와 맞물려 라체트 기어(40)의 회동을 제한하고, 이로 인해 라체트 기어(40)가 결합 된 회동 드럼(30)의 회전이 제한되어 사다리(20)를 함체의 수용공간(1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하부 덮개(14)가 하부로 개방되어 사다리(20)가 펼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레버(50)의 누름판(54)을 가압하여 레버(50)를 상부로 회전시켜 라체트 기어(40)가 회동되게 하고, 이로 인해 회전드럼(30)이 회전하면서 고정와이어(21)를 권출하며 사다리(20)는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50)가 하부 덮개(14)의 개방시 동시에 상부로 회전하도록 당김와이어(60)가 구비되는데, 상기 당김와이어(60)는 상기 와이어고정공(55)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덮개(14)에 타단이 고정되어 하부 덮개(14)가 하부를 향해 개방될 때 당김와이어(60)가 레버(50)를 당기어 걸림부(51)가 라체트 기어(40)의 톱니(41)에서 해제되도록 하여 사다리(20)가 하방을 향해 펼쳐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당김와이어(60)는, 일단이 상기 레버(50)의 와이어고정공(55)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덮개(14)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장력조절수단(80)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조절수단(8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하부 덮개(14) 개방시 레버(50)를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장력조절수단(80)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방음수단(70)은,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형성된 결속구(143)에 끼움 결합되는 흡차음판(7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차음판(71)은 판 상의 알루미늄(AL)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차음판(71)은 판 상의 알루미늄 발포체 이외에도, 타공된 칼라분체도장 또는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과 목재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차음판(71)은 위층의 베란다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사된 소음이 흡차음판(71)을 통해 반사되거나 흡수되어 층간 소음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부 덮개(13)의 내측면(132)에 구비되어 위층에서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은, 상기 하부 덮개(14) 내측면(142)에 구비되고, 상기 당김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덮개(14) 내측면(142)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81)와, 선단이 상기 당김와이어(60)의 단부에 연결되고, 표면에는 상기 걸림돌기(81)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하부걸림홈(822) 및 상부걸림홈(821)이 구비된 조절판(82)과, 일단이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판(82)의 후단에 결합 되는 탄성스프링(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은, 상기 당김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하여 하부 덮개(14)가 개방과 동시에 사다리(20)가 펼쳐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함체(1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 구성품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레버(50)가 하부 덮개(14)의 개방과 동시에 라체트 기어(40)와 맞물림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당김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의 동작 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고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81)가 조절판(82)의 상부걸림홈(821)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는 당김와이어(60)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하부 덮개(14)가 개방됨과 동시에 당김와이어(60)가 레버(50)를 상부로 회전시켜 라체트 기어(40)를 해제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사다리(20)가 하부 덮개(14)의 개방과 동시에 하방을 향하여 펼쳐지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81)가 조절판(82)의 하부걸림홈(822)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는 당김와이어(60)가 느슨해진 상태로 변경되어 하부 덮개(14)가 개방되어도 레버(50)가 라체트 기어(40)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사다리(20)가 펼쳐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81)가 하부걸림홈(822)에 결합 된 상태에서 사다리(20)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레버(50)에 형성된 누름판(54)를 가압하여 레버(50)를 회전시켜 사다리(20)를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함체(1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 구성품을 점검할 때 또는 기타 필요에 의해 사다리(20)가 배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때 유용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83)은 상기 조절판(82)의 후단에 결합되어 조절판(82)을 후방으로 당기는 상태가 되어 이로 인해 조절판(82)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걸림홈(821)과 하부걸림홈(822)을 연결하는 안내홈(823)이 형성되어 조절판(82)을 이동하기 유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 덮개(13)와 하부 덮개(14)가 각각 힌지축(15)에 의해 함체(10)에 결합되고, 함체(10) 내부 수용공간(11)에 사다리(20)가 접혀진 상태로 대기하며, 사다리(20)와 고정와이어(21)를 통해 연결된 라체트 기어(40)는 레버(50)의 걸림부(51)와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비상시 피난자가 상부 덮개(13)의 외면(131)에 구비된 손잡이(133)를 파지한 후 상부 덮개(13)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부 덮개(13)와 링크(16)에 의해 연결된 하부 덮개(14)가 링크(16)가 펼쳐지면서 밀어내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하부 덮개(14)에 결합 된 당김와이어(60)가 하부 덮개(14)의 개방에 의해 당겨지고, 당김와이어(60)의 일단이 결합 된 레버(50)가 회전축(52)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면서 라체트 기어(40)가 해제되고, 해제된 라체트 기어(40)가 결합된 회전 드럼(30)이 회전하면서 고정와이어(21)를 권출하며, 이로 인해 사다리(20)가 하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사다리(20)의 펼쳐지는 속도가 너무 빨라 아래층 베란다에 위치한 타인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체트 기어(40)의 회전속도를 미리 조절하여 사다리(20)의 펼쳐지는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레버(50) 또는 당김와이어(60)의 오작동으로 인해 사다리(20)가 펼쳐지지 않을 때는 레버(50)의 누름판(54)를 피난자가 직접 밟아주어 레버(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부 덮개(13)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덮개(14)와 함체(10) 내부에 수용된 사다리(20)가 펼쳐지도록 하여 화재나 지진과 같이 비상시에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하부 덮개(14) 및 상부 덮개(13)에 방음수단(70)을 구비하여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 또는 위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간의 다툼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부 덮개(13)와 하부 덮개(14)의 외면에 각각 흡음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베란다 바닥 및 베란다 천정에 도포된 타일 및 페인트와 동일한 타일 및 색상으로 도포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하향식 피난구
10 : 함체 11 : 수용공간 12 : 내벽
13 : 상부 덮개 14 : 하부 덮개 15 : 힌지축
16 : 링크
131 : 외면 132 : 내측면 133 : 손잡이
134 : 걸림쇠 143 : 결속구
161 : 상부링크 162 : 하부링크 163 : 슬라이드 커버
164 : 힌지
20 : 사다리 21 : 상부 22 : 하단부
30 : 회전드럼 31 : 고정와이어
40 : 라체트 기어 41 : 톱니
50 : 레버 51 : 걸림부 52 : 회전축
53 : 회전축공 54 : 누름판 55 : 와이어고정공
56 : 비틀림스프링
60 : 당김와이어
70 : 방음수단 71 : 흡차음판
80 : 장력조절수단 81 : 걸림돌기 82 : 조절판
83 : 탄성스프링
821 : 상부걸림홈 822 : 하부걸림홈 823 : 안내홈

Claims (6)

  1.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고, 각각 힌지축(15)에 의해 회동되며 상호 링크(16)로 연결되어 연동 개폐되는 상부 덮개(13) 및 하부 덮개(14)를 포함하는 함체(10)와;
    상부 일측이 상기 함체(10)의 내벽(12)에 고정되어, 상기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고, 하부 덮개(14) 개방시 하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는 절첩식 사다리(20)와;
    상기 함체(10)의 내벽(12)에 설치되며, 상기 절첩식 사다리(20)의 하단부에 연결된 고정와이어(21)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30)과;
    상기 회전드럼(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라체트 기어(40)와;
    상기 라체트 기어(40)의 일측에서 회동됨에 따라 상기 라체트 기어(40)에 맞물리거나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회전드럼(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레버(50); 및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수단(70)을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수단(60)은,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배치되며 하부 덮개(14)에 형성된 결속구(143)에 끼움 결합 되는 흡차음판(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차음판(61)은 판 상의 알루미늄(AL)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4. 제 1 항에 있어서,
    베란다의 바닥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덮개(13)의 외면(131)에는 흡차음페인트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레버(5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덮개(14)에 연결되어, 하부 덮개(14) 개방시 상기 레버(50)가 라체트 기어(4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레버(50)를 당기는 당김와이어(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와이어(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는 장력조절수단(8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은,
    상기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81)와;
    선단이 상기 당김와이어(60)의 단부에 연결되고, 표면에는 상기 걸림돌기(81)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걸림 고정되도록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하부걸림홈(822)과 상부걸림홈(821)이 구비된 조절판(82)과;
    일단이 하부 덮개(14)의 내측면(14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판(82)이 후단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KR2020100006721U 2010-06-25 2010-06-25 하향식 피난구 KR200450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21U KR200450475Y1 (ko) 2010-06-25 2010-06-25 하향식 피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21U KR200450475Y1 (ko) 2010-06-25 2010-06-25 하향식 피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475Y1 true KR200450475Y1 (ko) 2010-10-06

Family

ID=4447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21U KR200450475Y1 (ko) 2010-06-25 2010-06-25 하향식 피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75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00B1 (ko) * 2011-03-17 2011-06-09 신재학 비상 탈출 장치
KR101125160B1 (ko) * 2011-04-13 2012-03-20 임금심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KR101333117B1 (ko) * 2012-04-17 2013-11-26 (주) 신진도아스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
KR101545524B1 (ko) *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681032B1 (ko)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CN109515332A (zh) * 2018-11-13 2019-03-26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折叠式扶梯
KR102253040B1 (ko) * 2020-11-19 2021-05-14 나판주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KR102404866B1 (ko) * 2021-09-14 2022-06-02 배효성 하향식 피난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7543B1 (ko) * 2022-03-02 2022-11-1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377A (ko) * 2005-10-05 2007-04-10 김도환 투수용 배수블럭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20090003823U (ko) * 2007-10-19 2009-04-23 이영학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20100051317A (ko) * 2008-11-07 2010-05-17 오정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377A (ko) * 2005-10-05 2007-04-10 김도환 투수용 배수블럭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20090003823U (ko) * 2007-10-19 2009-04-23 이영학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20100051317A (ko) * 2008-11-07 2010-05-17 오정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00B1 (ko) * 2011-03-17 2011-06-09 신재학 비상 탈출 장치
KR101125160B1 (ko) * 2011-04-13 2012-03-20 임금심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KR101333117B1 (ko) * 2012-04-17 2013-11-26 (주) 신진도아스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
KR101545524B1 (ko) *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681032B1 (ko)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CN109515332A (zh) * 2018-11-13 2019-03-26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折叠式扶梯
KR102253040B1 (ko) * 2020-11-19 2021-05-14 나판주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KR102404866B1 (ko) * 2021-09-14 2022-06-02 배효성 하향식 피난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7543B1 (ko) * 2022-03-02 2022-11-1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475Y1 (ko) 하향식 피난구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RU2342175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US20080060874A1 (en) Automatic ladder for attic access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US20130001969A1 (en) Hand operated reaching device for accessing elevated doors
KR101153908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130047815A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13097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333117B1 (ko) 피난 사다리 설치구조
KR200349394Y1 (ko)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US20060277848A1 (en) Telescoping stairway for accessing attic storage space
KR10117879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473698B1 (ko) 피난 사다리
RU2200813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кладывающаяся лестница "надежда" булгакова
KR20110082691A (ko) 비상용 사다리
JP3790732B2 (ja) 避難梯子装置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