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910B1 - 접이식 피난계단 - Google Patents

접이식 피난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910B1
KR102446910B1 KR1020220016623A KR20220016623A KR102446910B1 KR 102446910 B1 KR102446910 B1 KR 102446910B1 KR 1020220016623 A KR1020220016623 A KR 1020220016623A KR 20220016623 A KR20220016623 A KR 20220016623A KR 102446910 B1 KR102446910 B1 KR 10244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ir
frame
frames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Priority to KR102022001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andcart (AREA)
  • Air Bag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발명은 접이식 피난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비상대피구역에 설치되어, 건물에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각 현재위치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일단이 건물 내부의 비상대피구역에서 기저면에 형성된 이동통로에 결합되고, 절첩 가능하여 펴졌을 경우, 대피자가 발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계단부 및 상기 이동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피난계단{FOLDING EVACUATION STAIRS}
본 발명은 접이식 피난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비상대피구역에 설치되어, 건물에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각 현재위치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접이식 피난계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주거 문화에서 많은 고층 건물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대피하기 곤란하여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재난시 피난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기존의 비상탈출수단으로는 와이어로프에 의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는 완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완강기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대단히 어렵고 위험하며, 탈출속도가 느려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화재가 발생되면 불길과 유독가스는 위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화재발생지역보다 아래쪽으로 대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는 발코니나 별도 비상대피구역을 마련하여 발코니나 비상대피구역에 피난용 사다리장치가 설치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의 피난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피난용 사다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대피자는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하고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설치된 피난용 사다리장치 앞에 잡다한 물건들을 쌓아놓아 실제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행하였을 때는 전혀 사용이 안 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대형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피난경로를 제공하는 피난용 사다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상당하였다.
또한, 피난용 사다리의 발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발판과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 줄사다리의 쳐짐, 흔들림으로 인한 어린이 및 노약자에 탈출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피난경로로 이동하는 사람이 2차적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524호(발명의 명칭 : 피난 장치, 등록일자 : 2015. 08. 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비상대피구역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각 현재위치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사다리 구조가 아닌 계단 구조로 작동되어 상황에 따라서 위,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접이식 피난계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되어 위급상황 발생 시,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한 접이식 피난계단에 있어서, 일단이 건물의 비상대피구역(A)에서 기저면에 형성된 이동통로에 결합되고, 절첩 가능하여 펴졌을 경우, 대피자가 발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계단부(10) 및 상기 이동통로(B)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로(B)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부(10)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연속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과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첩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되는 발판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 및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각 수직프레임(111)의 사이마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첩되고, 상기 발판부(12)와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되는 보조프레임(1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4)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단부(10)의 일측에는 상기 계단부(10)의 절첩 상태에서 펴지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여 계단부(10)의 펼처짐을 유도하는 펼침유도부(4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비상대피구역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용이한 작동으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각 현재위치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 시, 절첩되어 비상대피구역의 공간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의 확대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발판부(1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보조프레임(14)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계단부(10)의 절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이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이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가 절첩된 상태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a)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a)의 확대된 하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a)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a)가 절첩된 상태의 확대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b)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b)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b)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b)가 절첨된 상태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의 확대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발판부(1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보조프레임(14)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서 계단부(10)의 절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이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이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가 절첩된 상태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a)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a)의 확대된 하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a)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a)가 절첩된 상태의 확대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b)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반부(10b)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에 펼침유도부(40b)가 구비되는 경우의 계단부(10b)가 절첨된 상태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구비되는 비상대피구역(A) 또는 비상대피시설에 설치되어, 건물에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각 현재위치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 및 상황에 따라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부(10), 덮개부(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대피구역(A)의 일측 벽면에 측면일부가 결합되거나 벽면측으로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타측면이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개방되어 계단부(10)가 형성되며 대피자들이 대피계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용되지 않을 때에는 일측면이 벽면에 결합되는 타측면 측으로 이동되며 절첩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대피구역의 공간을 피난구역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계단부(10)는 대피자들이 발로 디뎌 오르락 내리락 할 수 있도록 계단의 구조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계단부(10)는 일측과 타측이 상호 마주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계단부(10)는 오므라들었다 펴쳤다를 반복 가능하게 절첩될 수 있다. 이때, 계단부(10)는 메인프레임(11), 발판부(12) 및 보조프레임(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프레임(11)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연속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은 일 예로,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1)은 기저면과 수직을 이루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11)과 기저면과 수평을 이루는 다수의 수평프레임(112)의 상호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2)와 수직프레임(111)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1)의 길이는 수평프레임(112)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직프레임(111)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단차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 수직프레임(111) 사이마다 수평프레임(112)가 결합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2)는 수직프레임(111)에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되, 수평프레임(112)의 일단은 수직프레임(111)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1)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11)과 수평프레임(112)가 일정높이의 단차를 두고 다단계로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은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발판부(1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판부(12)는 메인프레임(11)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12)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배치 되며, 양단이 각각의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12)는 발로 디딜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판부(12)는 사각형의 플레이트(Plat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판부(12)는 메인프레임(11)의 단차진 형상과 대응되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단차지게 다수개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발판부(12)는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양단이 마주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판부(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힌지부(15)를 통해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발판부(12)는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의 일측 및 타측과 결합되어, 한 쌍의 발판부(12) 각 타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힌지부(15)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발판부(12)는 각 타단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에 상호 대응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12)의 타단은 수직프레임(111) 사이에서 수평프레임(112)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판부(12)의 타단의 양측으로는 돌출부(121)이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12)의 상부에서 각 수직프레임(111)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홈(113)이 형성됨으로써, 발판부(12)의 돌출부(121)이 수직프레임(111)의 홈(113)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발판부(12)는 일단이 힌지부(15)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에 상호 대응되도록 수직프레임(111)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을 절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판부(12)도 함께 절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프레임(11)의 상부로는 난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난간(13)은 메인프레임(1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으며, 다수의 수직프레임(111)을 연결할 수 있다. 난간(13)은 다수의 수직프레임(111)의 각 타단이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에서 각 수직프레임(111)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난간(13)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가 발판부(12)를 디딜 때 난간(13)에 의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프레임(14)은 메인프레임(11)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은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각각의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은 바(Bar) 형태의 프레임이 다수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프레임(14)은 일 예로, 사각형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보조프레임(14)은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양단이 마주하도록 절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프레임(14)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힌지부(15)를 통해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프레임(14)은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어, 한 쌍의 보조프레임(14) 각 타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힌지부(15)의 힌지축을 기준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조프레임(14)은 각 타단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에 상호 대응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은 발판부(12)와 일정 간경 이격되고, 발판부(12)와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메인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메인프레임(11)에서 수직프레임(111)의 후면에는 보조프레임(14)의 타단이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14)의 타단을 지지하는 브라킷(16)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킷(16)은 한 쌍으로 보조프레임(14)의 타단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킷(16) 내부로는 핀이나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17)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프레임(14)의 타단이 한 쌍의 브라킷(16)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7)의 단부가 브라킷(16)의 관통공(161)을 관통하여 보조프레임(14)에 결합되면,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1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다수개의 발판부(12)와 보조프레임(14)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의 사이 이격거리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오므라들거나 펴졌다를 반복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발판부(12)와 보조프레임(14)을 통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상호 연결되며, 발판부(12)와 보조프레임(14) 각각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절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보조프레임(14)이 발판부(12)와 대응되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결합되어 발판부(12)와 함께 절첩이 이루어짐으로써,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절첩된 상태에서 펴지는 경우, 출렁거림이나 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프레임(14)은 메인프레임(11)의 길이에 따라 대응되도록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계단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비상대피구역(A)으로 대피하는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층 건물의 내부에 비상내피구역(A)이 구비되는 경우, 비상대피구역(A)의 기저면에 대피자가 통과할 수 있는 이동통로(B)가 형성되며, 그 이동통로(B)에 계단부(1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동통로(B)는 비상대피구역(A)의 기저면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동통로(B)는 대피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 크기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통로(B)의 상부에는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통로(B)의 하부에는 계단부(10)에서 상단에 위치한 발판부(12)와 이동통로(B)와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조발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중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과 근접한 메인프레임(11)에서 난간(13)의 상부에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 포스트(18)가 구비되고, 고정 포스트(18)가 이동통로(B)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7)를 통해 고정됨에 따라 계단부(10)의 일단이 이동통로(B)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단부(10)의 타측은 마주하는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중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과 근접한 메인프레임(11)에서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과 마주하는 수직프레임(111)에 고정 포스트(18)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포스트(18)는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7)를 통해 고정됨에 따라 계단부(10)의 타측이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단부(10)는 덮개부(20)가 이동통로(B)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동작에 따라 절첩될 수 있다. 계단부(10)의 일단과 일측은 각각 이동통로(B) 및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30)를 통해 계단부(10)의 타측이 덮개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0)는 일단이 덮개부(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계단부(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30)의 타단은 비상대피구역(A)의 벽면에 고정되지 않은 메인프레임(11)에서의 난간(13)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20)와 계단부(10)의 타측이 와이어(3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10)가 절첩된 상태에서 덮개부(20)가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30)가 당겨짐으로써 계단부(10)가 자동으로 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피난계단은 건물 내부에서 각층의 비상대피구역(A)마다 설치되어 여러 층에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대피자가 덮개부(20)를 상측방향으로 들어 올려 절첩된 용이하게 계단부(10)을 펼침으로써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을 피해 위급상황이 발생된 층에서 아래층으로 계단부(10)을 타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평상 시, 이동통로(B)가 덮개부(20)를 통해 개폐된 상태에서는 비상대피구역(A)의 일측 벽면을 향하도록 절첩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고층 건물 및 기타 복합건물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 비상대피구역(A)이 구비되고, 계단부(10)가 비상대피구역(A)의 난간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절첩된 상태에서 펼처질 수 있도록 계단부(10)에는 펼침유도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펼침유도부(40)는 계단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계단부(10)가 자동으로 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펼침유도부(40)는 이동축(41), 고정브라킷(42), 가이드브라킷(43) 및 탄성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41)은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축(4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축(41)은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상호 절첩되는 방향과 대응되게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의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동축(41)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되는 고정브라킷(4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브라킷(42)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11) 일측 난간(1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브라킷(42)은 난간(13)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브라킷(42)은 일측이 수직하게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킷(42)이 일측으로 이동축(41)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킷(43)은 고정브라킷(42)과 대향되는 메인프레임(11)의 일측 난간(13)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킷(43)은 난간(13)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킷(43)은 일측이 수직하게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킷(43)은 고정브라킷(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동축(41)의 타단이 내측으로 관동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브라킷(43)은 이동축(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이동축(41)의 일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부가 고정브라킷(42)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고정브라킷(42)과 가이드브라킷(43)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일 예로,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브라킷(43)이 고정브라킷(42)을 향하도록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상호 절첩되는 경우, 가이드브라킷(43)이 이동축(41)을 향하도록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4)와 접촉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44)가 압축될 수 있다. 이후, 한 쌍의 메인프레인(11)이 상호 절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44)의 탄성복원력이 가이드브라킷(43)에 제공됨에 따라 한 쌍의 메일프레임(11)이 적은 힘으로도 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부(10)가 절첩된 상태에서 펼처지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으로 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유도부(40a)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11a)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펼침유도부(40a)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11a)에 결합되되, 일단이 나머지 하나의 메인프레임(11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펼침유도부(40a)는 탄성부재(44a), 샤프트(45) 및 하우징(4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펼침유도부(40a)의 샤프트(45)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45)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하우징(46)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45)는 타단이 하우징(46)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46)의 내부에 탄성부재(44a)의 일측 결합되며 타측이 샤프트(45)의 타단과 접촉함에 따라 샤프트(45)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펼침유도부(40a)가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11)에 다수개 결합되되, 하우징(46)이 수평프레임(112a)에 결합되고, 한 쌍의 메인프레임(11a)이 상호 절첩되는 경우, 대향되는 나머지 하나의 메인프레임(11a)에서 수평프레임(112a)과 샤프트(45)과 접촉되면, 샤프트(45)가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4a)가 압축될 수 있다. 이후, 한쌍의 메인프레임(11a)이 상호 절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44a)의 탄성복원력이 메인프레임(11a)으로 제공됨에 따라 한 쌍의 메인프레임(11a)이 적은 힘으로도 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부(10a)가 절첩된 상태에서 펼처지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으로 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유도부(40b)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b) 사이에 결합되어 각각의 메인프레임(11b)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펼침유도부(40b)는 이동축(41b), 고정브라킷(42b), 가이드브라킷(43b), 탄성부재(44b) 및 연결부재(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펼침유도부(40b)의 이동축(41b)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프레임(11)에서 수직프레임(111b)에 상호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브라킷(42b)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동축(41b)을 사이에 두고 수직프레임(111b)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가이드브라킷(43b)은 내측으로 이동축(41b)이 관통되도록 이동축(41b)과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킷(43b)은 이동축(41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4b)는 이동축(41b)의 단부에서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일측이 고정브라킷(42b)에 결합되며, 이동축(41b)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브라킷(43b)과 접촉되는 경우, 그 가이드브라킷(43b)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축(41b), 고정브라킷(42b), 가이드브라킷(43b) 및 탄성부재(44b)가 한 세트로 각각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재(47)의 일측은 가이드브라킷(43b)에 결합되고, 타측은 대향하는 가이드브라킷(43b)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7)는 일정 길이를 같은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지며, 상호 교차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상호 절첩되는 경우, 가이드브라킷(43b)이 이동축(41b)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4b)와 첩촉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44b)가 압축될 수 있다. 이후,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상호 절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44b)의 탄성복원력이 가이드브라킷(43b)에 제공됨에 따라 연결부재(47)의 일측이 이동되기 때문에 한 쌍의 메인프레임(11)이 적은 힘으로도 펴질 수 있다.
10 : 계단부
11 : 메인프레임
111 : 수직프레임
112 : 수평프레임
113 : 홈
12 : 발판부
121 : 돌출부
13 : 난간
14 : 보조프레임
15 : 힌지부
16 : 브라킷
161 : 관통공
17 : 연결부재
18 : 고정 포스트
20 : 덮개부
30 : 와이어
40 : 펼침유도부
A : 비상대피구역
B : 이동통로

Claims (7)

  1. 건물의 비상대피구역(A)에 설치되어 위급상황 발생 시,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한 접이식 피난계단에 있어서,
    일단이 건물의 비상대피구역(A)에서 기저면에 형성된 이동통로(B)에 결합되고, 절첩 가능하여 펴졌을 경우, 대피자가 발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연속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1)과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첩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되는 발판부(12)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메인프레임(1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난간부(13)로 구성되는 계단부(10);와
    상기 이동통로(B)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로(B)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 및
    상기 계단부(10)의 일측에는 상기 계단부(10)의 절첩 상태에서 펴지는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여 계단부(10)의 펼처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쌍의 메인프레임(11)의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메인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프레임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되되, 일단이 나머지 메인프레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와(45)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샤프트(45)의 일단이 돌출되고, 타탄이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우징(46)과 하우징(46)의 내부에 탄성부재(44a)의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샤프트(45)의 타단과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4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펼침유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피난계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 및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각 수직프레임(111)의 사이마다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피난계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피난계단.
  5. 제 3항에 있어서,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첩되고, 상기 발판부(12)와 수직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1) 사이에 단차를 두고 연속되게 다수개 결합되는 보조프레임(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피난계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4)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이 힌지부(15)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직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피난계단.
  7. 삭제
KR1020220016623A 2022-02-09 2022-02-09 접이식 피난계단 KR10244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23A KR102446910B1 (ko) 2022-02-09 2022-02-09 접이식 피난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23A KR102446910B1 (ko) 2022-02-09 2022-02-09 접이식 피난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910B1 true KR102446910B1 (ko) 2022-09-23

Family

ID=8344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23A KR102446910B1 (ko) 2022-02-09 2022-02-09 접이식 피난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999U (ja) * 1983-01-10 1984-07-18 城田鉄工株式会社 避難階段装置
KR101545524B1 (ko)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706609B1 (ko) *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999U (ja) * 1983-01-10 1984-07-18 城田鉄工株式会社 避難階段装置
KR101545524B1 (ko)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706609B1 (ko) *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AU2016425976B2 (en)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US11828070B2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446910B1 (ko) 접이식 피난계단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543710B1 (ko) 접이식 피난계단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180002520A (ko) 화재 피난 장치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KR20240022264A (ko) 비상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2481459B1 (ko) 피난용 사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