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555A - 진동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진동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555A
KR20150085555A KR1020140005123A KR20140005123A KR20150085555A KR 20150085555 A KR20150085555 A KR 20150085555A KR 1020140005123 A KR1020140005123 A KR 1020140005123A KR 20140005123 A KR20140005123 A KR 20140005123A KR 20150085555 A KR20150085555 A KR 2015008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elastic members
right elastic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161B1 (ko
Inventor
정덕강
문경희
Original Assignee
형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성산업(주) filed Critical 형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0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1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 대향 위치에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한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좌·우측 탄성부재를 통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부위가 없어서 마모의 발생이 없고 힘의 굴절이 없으므로 굴절로 인한 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 액추에이터{Vibration actuator}
본 발명은 진동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의 자기력과 자석이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의 진동 모터는 게임기나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햅틱 기능이 강화되고 제어성 향상이 필요하여, 진동 모터의 진동량, 소모 전력, 사용자의 감성 품질을 좌우하는 진동 방향 등 진동 모터의 다양한 성능 항목에 대한 민감도 높은 설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진동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진동 모터는 코일(15)이 솔더링되는 기판(10)과, 기판(10)에 고정되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20)과, 일면은 스프링(20)에 고정되고 타면에는 마그네트(40)가 장착되며 측면에 진동자(50)가 장착되는 요크(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진동 모터는 코일(15) 및 마그네트(4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진동자(50)가 일 방향,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하 방향(진동 모터의 두께 방향)으로 진동되는 특성이 있다.
즉, 상기 스프링(20)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스프링(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진동자(50)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진동 모터는 경박 단소화에 따라 적은 소비전력으로 큰 진동량을 얻는 것이 중요한데, 진동자를 높이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 구조에서는 스프링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거나 일정한 조립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소정의 진동량을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소형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햅틱 피드백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진동발생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솔레노이드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는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의 수 및 전류 세기에 비례하여 자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는 자력의 세기를 증대하여 진동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부피가 커지거나 전력소모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진동력을 증대시키면서 저전력을 소모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진동발생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569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295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좌·우측 탄성부재를 통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동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설치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는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 대향 위치에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한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영구자석은 동일 극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영구자석은 솔레노이드의 자기 반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지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측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고정구는 솔레노이드 및 좌·우측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자기 반력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진동 액추에이터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 대양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되,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좌·우측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 각각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에 구비된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교류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좌·우측 탄성부재를 통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부위가 없어서 마모의 발생이 없고 힘의 굴절이 없으므로 굴절로 인한 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설치 또는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진동 액추에이터(100)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와,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력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와,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140) 등으로 구성된다.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2)와 외부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부(112)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솔레노이드(120)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1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외부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치(114)를 접지 또는 단락시켜 솔레노이드(120)에 전원부(112)의 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전원 스위치(114)의 접지에 따라 상기 전원부(112)가 솔레노이드(120)에 자기장 변화에 따라 정방향 전류 또는 역방향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1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20)는 도선을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형성되고 전기를 자기장으로 변환하여 자기 반력을 일으킨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진동 액추에이터(10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120)에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0)에 철심을 삽입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120)에 연철 막대 등으로 형성되는 철심을 삽입하면, 상기 철심은 약한 자기장의 작용으로 강한 자석이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20)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철심은 자석이 되며, 상기 자석은 솔레노이드가 만드는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자화되므로 철심의 자기장과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이 합쳐져 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는 솔레노이드(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면에는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영구자석(132a, 132b)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는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한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원공급부(110)를 통해 정방향 전류가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되면, 상기 좌측 탄성부재(130a)는 당기는 힘을 받고 우측 탄성부재(130b)는 밀리는 힘을 받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전원공급부(110)를 통해 역방향 전류가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되면, 상기 좌측 탄성부재(130a)는 밀리는 힘을 받고 우측 탄성부재(130b)는 당기는 힘을 받아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는 수평방향으로 신속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는 탄성과 복원력 등이 우수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132a, 132b)은 동일 극성을 가지고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영구자석(132a, 132b)은 S극 영구자석이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내면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132a, 132b)은 솔레노이드(120)에 전달되는 자기 반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120)와 대향하는 수평선상에 배치되면서 솔레노이드(120)의 지름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일 측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14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와 같이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140)는 솔레노이드(12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하부 끝단을 고정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시에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기준점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140)는 양측 끝단에 고정되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와 함께 솔레노이드(120)도 공지된 고정 또는 지지 기구 등을 고정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고정구(140)와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0)는 도시된 도 4(a) 및 4(b)와 같은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4(a)의 고정구(140)는 내부에 수용공간(14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42)에는 전원공급부(110)가 수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고정구(140)의 내부에 전원공급부(110)가 수납될 수 있는 수용공간(142)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전원공급부(11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4(b)의 고정구(140)는 솔레노이드(120)와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에 발생하는 자기 반력을 솔레노이드(120)와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조절 없이 간격조절부재(15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고정구(140)의 양측에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와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150)를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140)의 수평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152)이 구비된 가이드 홈(151)이 소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150)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공(154)이 구비된 가이드 돌기(153)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결합공(152, 154)에는 고정핀(155)이 장착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고정구(140)와 간격조절부재(150)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간격조절 후 상기 고정구(140)와 간격조절부재(150)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끼움 결합공(152, 154)에 고정핀(155)을 삽입하여 고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부재(150)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의 작동을 고려하여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공지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 액추에이터(100)는 도시된 도 5와 같이 영구자석(210)과, 상기 영구자석(210)의 양측 대향 위치에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가 구비된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와, 상기 영구자석(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240)와,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의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에 전원을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와, 상기 전원공급부(25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2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210)은 고정구(240)에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영구자석(210)은 강한 자화상태를 오래 보존하는 공지된 자석으로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자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구자석(210)의 양측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는 내면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가 구비된다.
즉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는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 각각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는 수평방향으로 신속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는 탄성과 복원력 등이 우수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영구자석(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의 일 측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24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와 같이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240)는 영구자석(210)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의 하부 끝단을 고정하고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의 작동시에는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의 기준점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240)와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220a, 220b)에 구비된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 및 전원공급부(250)와 연결되는 제어부(260)는 전원공급부(25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좌·우측 솔레노이드(230a, 230b)로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2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탄성과 복원력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고정구(14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0)의 상부 중앙에 도선을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형성되고 전기를 자기장으로 변환하여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120)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솔레노이드(120)에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2)와 외부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부(1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솔레노이드(120)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14)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부(1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0)의 양측으로 탄성과 복원력 등이 우수한 판 스프링으로 제작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20)와 대응되는 동일선상에는 S극 영구자석(132a, 132b)이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를 수직방향으로 고정장착하면 진동 액추에이터(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 액추에이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외부 스위치의 신호가 전원공급부(110)에 공급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전원 스위치(114)는 접지되고 전원부(112)의 전원은 배선을 따라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12)를 통해 정방향 전류가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되면,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를 구성하는 좌측 탄성부재(130a)는 당기는 힘을 받고 우측 탄성부재(130b)는 밀리는 힘을 받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시된 도 6(a)참조)
즉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전원부(112)를 통해 정방향 전류가 공급받으면 왼쪽과 오른쪽에 N극과 S극이 형성됨으로, S극 영구자석(132a)이 장착되는 좌측 탄성부재(130a)를 당기게 되고, S극 영구자석(132b)이 장착되는 우측 탄성부재(130a)를 밀게 되어,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전원부(112)를 통해 역방향 전류가 솔레노이드(120)에 공급되면,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를 구성하는 우측 탄성부재(130a)는 밀리는 힘을 받고 우측 탄성부재(130b)는 당기는 힘을 받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시된 도 6(b)참조)
즉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전원부(112)를 통해 정방향 전류가 공급받으면 왼쪽과 오른쪽에 S극과 N극이 형성됨으로, S극 영구자석(132a)이 장착되는 좌측 탄성부재(130a)를 밀게 되고, S극 영구자석(132b)이 장착되는 우측 탄성부재(130a)를 당기게 되어,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130a, 130b)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진동 액추에이터는 중앙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좌·우측 탄성부재를 통해 마찰 없이 솔레노이드 자기 반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힘의 손실 없이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를 진동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진동 액추에이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진동 액추에이터, 110 : 전원공급부,
112 : 전원부, 114 : 전원 스위치,
120 : 솔레노이드, 130a, 130b : 좌·우측 탄성부재,
132a, 132b : 영구자석, 140 : 고정구,
142 : 수용공간, 150 : 간격조절부재.

Claims (6)

  1.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양측 대향 위치에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한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영구자석은 동일 극성으로 형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영구자석은 솔레노이드의 자기 반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지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솔레노이드 및 좌·우측 탄성부재에 발생하는 자기 반력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가 장착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6.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의 양측 대향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 반력을 일으키되,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좌·우측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 각각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좌·우측 탄성부재;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의 하부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구;
    상기 좌·우측 탄성부재에 구비된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좌·우측 솔레노이드로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교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동 액추에이터.
KR1020140005123A 2014-01-15 2014-01-15 진동 액추에이터 KR10157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23A KR101578161B1 (ko) 2014-01-15 2014-01-15 진동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23A KR101578161B1 (ko) 2014-01-15 2014-01-15 진동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55A true KR20150085555A (ko) 2015-07-24
KR101578161B1 KR101578161B1 (ko) 2015-12-17

Family

ID=5387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23A KR101578161B1 (ko) 2014-01-15 2014-01-15 진동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703A (zh) * 2020-12-30 2021-04-27 张虎 一种防止连接部振动脱落的导航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703A (zh) * 2020-12-30 2021-04-27 张虎 一种防止连接部振动脱落的导航仪
CN112706703B (zh) * 2020-12-30 2022-09-09 高迅导航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止连接部振动脱落的导航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161B1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010B2 (en) Haptic actuator
US11569723B2 (en) Vibration motor with guide rail and rolling members and stopping magnet
KR20170109561A (ko) 개인 청결 관리 도구
KR20100103959A (ko) 리니어 진동 모터
JP2020022346A (ja) リニア振動モータ
CN107171526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JP2012039824A (ja) 振動発電機
KR20100108963A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779290B1 (ko) 선형 진동자
JP2008048597A (ja) 線形振動子
CN105406679A (zh) 一种线性振动马达
JP2013055714A (ja) 振動発電機
KR101578161B1 (ko) 진동 액추에이터
EP3547511A1 (en) Electric power generating element, and smart key
JP5796484B2 (ja) 振動発電機
JP2005537898A (ja) 振動運動を生成するための駆動機構を備えた小型電気器具
JP5722145B2 (ja) 慣性駆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674967B1 (ko) 진동 액추에이터
JP5500659B2 (ja) 振動装置、ベル鳴動装置および共振装置
US11658554B2 (en) Vibrating with stop magnets, mandrel and guiding member
CN204967592U (zh) 线性振动马达
JP5742860B2 (ja) 振動発電機
KR101200609B1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JP7451897B2 (ja) 振動発生装置
JP2013055715A (ja) 振動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