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967B1 - 진동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진동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967B1
KR101674967B1 KR1020140162666A KR20140162666A KR101674967B1 KR 101674967 B1 KR101674967 B1 KR 101674967B1 KR 1020140162666 A KR1020140162666 A KR 1020140162666A KR 20140162666 A KR20140162666 A KR 20140162666A KR 101674967 B1 KR101674967 B1 KR 101674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rmature
coil
fac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409A (ko
Inventor
이주형
조용순
이진욱
이원영
강일남
박상국
Original Assignee
(주)옵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티스 filed Critical (주)옵티스
Priority to KR102014016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9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 전력이 인가되는 코일 및 상기 자석에 대면되는 제1 부위와 상기 코일에 감기는 제2 부위를 갖는 전기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액추에이터{VIBRATION ACTUATOR}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기능이다. 이러한 착신기능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형은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성 기능과 기기를 떨게 하는 진동 기능이 있다.
이 중 특히 진동 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자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모터는 형태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가진 코인 타입(coin type)과 긴 형태의 바 타입(bar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진동모터들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불평형 질량의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전력은 대부분이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조로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정류자를 사용한 브러쉬타입(brush type)구조는 모터 회전시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Segment)와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Spark)를 유발하고, 상기 브러쉬와 정류자를 마모시킴으로써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8430호에는 진동모터가 개시되고 있으나 위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8430호
본 발명은 진동 강도와 내구성이 개선된 진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 전력이 인가되는 코일 및 상기 자석에 대면되는 제1 부위와 상기 코일에 감기는 제2 부위를 갖는 전기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 및 전력이 인가되면 전자석이 되는 전기자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전기자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자는 상기 자석을 타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 일측에 코일이 감기고 타측에 상기 자석이 대면되는 복수의 전기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자의 타측에는 하나의 중량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일측이 코일에 감기고, 타측이 자석에 대면되는 전기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 등 고정물에 전기자의 일측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에 대면되는 전기자의 타측은 코일에 인가된 전력과 자석에 의해 강하게 진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직선 형태의 전기자가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코일 또는 복수의 전기자가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소형으로 강한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소형으로 구성하는 조건과 강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진동 액추에이터 장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진동 액추에이터는 자석(110), 코일(130) 및 전기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110)은 자기장이 생성되는 요소로, 영구 자석(110)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110)의 자력을 개선하기 위해 자석(110)에는 요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70)가 마련되는 경우 요크(140)는 케이스(170)와 자석(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70)에 자석(110)을 직접 붙이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요크(140)를 케이스에 붙이고, 요크(140)에 자석(110)을 붙이면 자석(110)을 케이스(17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코일(130)은 자석(110)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위 자석(110)에서 일측에 N극이 배치되고, 타측에 S극이 배치될 경우 코일(130)은 N극과 S극의 사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30)에는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 전력은 교류 전력일 수 있다.
전기자(150)는 환형으로 감긴 코일(130)의 중심축을 통과할 수 있다. 일예로, 코일(130)은 전기자(150)에 감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자(15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코일(130)과 전기자(150)는 전자석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자석은 코일(130)에 인가된 전력에 따라 극성이 뒤바뀔 수 있다.
일예로, 코일(130)에 '+' 전력이 인가되면, 전기자(150)의 일단은 N극을 띌 수 있다. 만약 코일(130)에 '-' 전력이 인가되면, 전기자(150)의 일단은 S극을 띌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코일(130)에 제공되는 전력은 교류인 것이 좋다. 직류 전력이라 하더라도 특정 주기에 따라 해당 전력값이 변동되는 것으로 위 조건을 만족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극성이 변화하는 전기자(150)의 일단을 위에서 살펴본 자석(110)에 대면시키면, 전기자(150)의 일단은 해당 자석(110)에 대한 인력과 척력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150)의 일단에 대면한 자석(110)이 N극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기자(150)의 일단이 N극이 되면, 척력에 의해 전기자(150)의 일단은 자석(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전기자(150)의 일단이 S극이 되면, 인력에 의해 전기자(150)의 일단은 자석(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코일(130)에 교류 전력이 인가되면, 전기자(150)의 일단의 극성은 N극과 S극으로 교대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150)의 일단은 자석(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자석(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자(150)의 일단은 자석(110)을 향해 진동할 수 있다.
진동 액추에이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전력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기 위해 코일(130)은 전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은 PCB, FPCB, 와이어 또는 커넥터 등에 의할 수 있다. 전력부와 신뢰성 있게 연결되기 위해 코일(130)은 고정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코일(130)이 고정되면 코일(130)에 감긴 전기자(150) 역시 고정되므로, 전기자(150)가 자석(110)을 향해 진동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기자(150)는 자석(110)에 대면되는 제1 부위(151)와 코일(130)에 감기는 제2 부위(152)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에는 자석(110), 코일(130) 및 전기자(150)가 수용되는 케이스(1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자석(110), 코일(130) 및 제2 부위(152)는 케이스(17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위(151)는 자석(110), 코일(130) 및 케이스(170)로부터 이격된 위치, 다시 말해 허공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자(150)는 코일(130)에 전력이 인가되면, 제1 부위(151)가 흔들리는 자유단이 되고 제2 부위(152)가 고정된 외팔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에는 제2 부위(152)를 케이스(170)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지지부(180)는 제2 부위(152) 또는 코일(130)이 수납되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상단의 지지부(180)와 하단의 지지부(180)가 연합하여 코일(130)이 감긴 제2 부위(152)가 수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전기자(150)는 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자석(110)에 대면하는 면의 폭이 자석(110)에 비대면하는 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자(15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제2 부위(152)가 자석(110)을 향해 신뢰성 있게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자(150)에서 자석(110)에 대면하는 제1 부위(151)에는 중량체(190)가 마련될 수 있다. 중량체(190)는 제1 부위(151)를 둘러싸도록 제1 부위(15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부위(151)가 신뢰성 있게 진동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부위(151)와 제2 부위(15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부위(153)는 플렉시블하거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진동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자(150)에서 제3 부위(153)는 굴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살펴보면, 제3 부위(153)는 제2 부위(152)를 기점으로 하여 아래에서 위로로 연장되다가 좌에서 우로 굴곡되고, 다시 위에서 아래로 굴곡될 수 있다. 이렇게 제3 부위(153)가 굴곡되면 제1 부위(151)의 진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위(153)가 굴곡되면 제한된 케이스(170)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전기자(150)가 전체적으로 '1' 형태로 형성된 도 4의 구성과 비교하면, 동일한 케이스(170)의 내부 공간에서 제2 부위(152)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170)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전기자(150)에 보다 많은 코일(130)을 감을 수 있다. 그 결과 전기자(150)의 자력을 최대한 세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제3 부위(153)는 전기자(150)에서 P1으로부터 P2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P1은 제1 부위(151)에서 자석(110)에 대면하는 구간이 종료되는 지점이고, P2는 제2 부위(152)에서 코일(130)에 감긴 구간이 개시되는 지점일 수 있다.
진동 강도를 증가시키는 다른 방안으로 제1 부위(151)의 단부는 자석(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제1 부위(151)의 위에 자석(110)이 배치되고 있다. 이때, 제1 부위(151)의 단부는 자석(110)을 향해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석(110)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자(150)의 자력을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진동 강도를 증가시키는 또다른 방안으로 진동 액추에이터에는 복수의 자석(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자석(110)은 서로 대면하는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기자(150)에서 제1 부위(151)는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30)에 인가된 전력에 의해 제1 부위(151)는 N극 또는 S극 중 한 극성을 띄므로,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112)의 극성을 서로 다르게 배치하면 제1 부위(151)의 진동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복수의 자석(110)이 마련되는 경우, 제1 부위(151)의 단부는 복수의 자석(110) 모두를 향해 연장될 수 없다. 일예로, 도 1에서 제1 부위(151)의 단부는 상부에 위치한 제1 자석(111)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진동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제2 자석(112)을 향해서도 제1 부위(151)의 단부가 연장되면 좋다. 그러나, 이미 제1 부위(151)의 단부는 제1 자석(111)을 향해 위로 연장된 상태이므로, 제2 자석(112)을 행해 아래로 연장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1 부위(151)를 대신하여 제2 자석(112)을 향해 연장되는 수단으로 진동 액추에이터에는 보조자(16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자(160)는 전기자(150)에 연결되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적어도 전기자(150)에서 제1 부위(151)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전기자(150)에 연결된 보조자(160)의 단부는 제1 부위(151)와 동일한 극성을 띌 수 있다. 이러한 보조자(160)의 단부를 제2 자석(112)을 행해 아래로 연장시키면, 제1 부위(151)의 단부가 제2 자석(112)을 향해 연장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위(151)의 진동 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예로, 자석(110)을 1개만 배치하는 형태, 전기자(150)가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형태, 복수의 코일(130) 또는 전기자(150)가 마련되는 형태 등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자석(110)이 2개 마련된 도 1과 달리 제1 부위(151)의 상측에 한 개의 자석(110)이 마련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전기자(150)에서 제1 부위(151)의 단부는 상측의 자석(110)을 향해서만 연장되면 되므로, 보조자(160)가 필요없다. 이러한 구성은 자석(110)의 두께가 너무 커서 케이스(170) 내부의 양측에 각각 자석(110)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4는 직선 형태의 전기자(150)가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는 일반적인 외팔보의 형상과 같이 전기자(150)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서 코일(130)이 감기는 제2 구간을 길게하기 힘들 수 있으나, 제1 부위(151)가 자석(110)을 향해 진동하는 운동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3 부위(153)를 굴곡시킬 수도 있는데, 일예로, 제3 부위(153)는 도 4와 같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웨이브 형태는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 등 다양할 수 있다. 제3 부위(153)를 웨이브 형태로 형성하면 전기자(150)는 도 4와 같이 전기자(15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 자석(110)뿐만 아니라, 도 5와 같이 전기자(150)의 연장 방향 상에 배치된 자석(110)을 향해서도 진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제1 부위(151)와 제3 부위(153)가 가로로 연장되고 있다. 외팔보 형상에 따라 해당 전기자(150)는 상하로 진동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자석(110)은 전기자(15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공간 활용성 등 다양한 문제로 제1 부위(151)와 제3 부위(153)가 연장되는 경로 상에 자석(1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부위(151)는 좌우로 진동하게 되는데, 가로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에서 이러한 진동은 어렵다.
그러나, 제3 부위(153)를 웨이브 형태로 형성하면, 제1 부위(151)는 별다른 무리없이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코일(130) 또는 복수의 전기자(150)가 마련된 진동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진동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진동 액추에이터는 일측(제2 부위)에 코일(130)이 감기고 타측(제1 부위)에 자석(110)이 대면되는 복수의 전기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기자(150)에서 자석(110)에 대면되는 타측은 모두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복수의 전기자(150)의 타측, 즉, 제1 부위(151)에는 하나의 중량체(190)가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중량체(190)는 복수의 전기자(150)의 공통된 힘을 받아 움직이므로, 강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도 6에는 케이스(170)의 내부 공간에 전기자 ①과 전기자 ②가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전기자 ①과 전기자 ②의 제2 부위(152)에는 서로 다른 코일(130)이 감겨 있다.
전기자 ①과 전기자 ②의 제1 부위(151)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자 ①의 단부는 상측의 제1 자석(11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자 ②의 단부는 하측의 제2 자석(11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전기자(150)의 재질 등에 따라 제3 부위(153)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 부위(151)의 단부의 자력이 자석(110)의 자력에 도움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부위(151)는 자석(110)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자(150)는 전체적으로 일부 구간이 개구된 원주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자석(110)은 위 원주 형태에서 개구된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3 부위(153)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위(151)의 단부를 자석(110)을 향해 인접시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자석(110)을 향해 진동하는 제1 부위(151) 또는 중량체(190)는 진동 과정에서 자석(110)과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충돌에 의해 자석(110), 전기자(150), 중량체(190)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110)에서 제1 부위(151)에 대면하는 면에는 댐퍼(12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120)는 스펀지, 고무 등과 같이 재질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해당 댐퍼(120)는 충돌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전기자(150)를 밀어내므로, 진동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진동 과정에서 전기자(150) 또는 중량체(190)는 일부러 자석(110)에 충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110) 및 전력이 인가되면 전자석이 되는 전기자(150)가 마련될 때, 자석(110)과 전기자(150)의 자력에 의해 전기자(150)는 자석(110)을 타격할 수 있다. 만약, 전기자(150)에 설치되는 중량체(190)가 마련된다면, 중량체(190)는 전기자(150)를 대신하여 자석(110)을 타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에서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112)의 간격이 L일 때, 전기자(150)의 제1 부위(151)의 진동폭 또는 중량체(190)의 진동폭이 L보다 크면 제1 부위(151) 또는 중량체(190)는 자석(110)을 타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150)의 일측(제1 부위)은 자석(110)을 타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기자(150)의 타측(제2 부위)은 코일(130)에 감기거나, 코일(130)의 중심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은 자석(110)을 타격할 수 있는 크기로 위 코일(130)에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위(151) 또는 중량체(190)에 의해 자석(110)이 직접 물리적으로 타격받으면 진동 강도가 세질 것은 자명하다. 다만, 해당 타격에 의해 전기자(150), 중량체(190), 자석(110) 등이 훼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위에서 살펴본 댐퍼(120)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의 댐퍼(120)는 자석(110)에서 전기자(150) 또는 중량체(190)에 의해 타격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댐퍼(120)는 전기자(150) 또는 중량체(190)에서 자석(110)을 타격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댐퍼(120)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댐퍼(120)는 목재, 천과 같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충격 흡수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자(150) 또는 중량체(190)가 자석(110)을 타격하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자석 111...제1 자석
112...제2 자석 120...댐퍼
130...코일 140...요크
150...전기자 151...제1 부위
152...제2 부위 153...제3 부위
160...보조자 170...케이스
180...지지부 190...중량체

Claims (15)

  1. 자기장이 생성되는 자석;
    교류 전력이 인가되는 코일;
    상기 자석에 대면되는 제1 부위와 상기 코일에 감기는 제2 부위를 갖는 전기자;
    상기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전기자가 수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전기자는 상기 제1 부위가 자유단이고 상기 제2 부위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전기자 및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자석, 상기 코일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자석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위의 극성은 상기 교류 전력에 의해 N극과 S극이 교대로 변화되며,
    상기 제1 부위의 극성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자석 간에 인력과 척력이 교대로 생성되고,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자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척력에 의해 상기 자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하며,
    상기 제1 부위의 단부는 상기 제1 부위에 대면되는 상기 자석의 일면에 수직하게 상기 자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에는 중량체가 마련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서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 사이의 제3 부위는 굴곡된 진동 액추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위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서로 대면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위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자석의 극성과 상기 제1 부위에 대면되는 상기 제2 자석의 극성은 서로 다른 진동 액추에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연결되는 보조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위의 단부는 상기 제1 자석을 향해 상기 제1 자석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보조자의 단부는 상기 제2 자석을 향해 상기 제2 자석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에서 상기 제1 부위에 대면하는 면에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위 또는 상기 제1 부위에 설치된 중량체가 상기 자석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만큼 진동하도록 상기 교류 전력의 크기가 결정되는 진동 액추에이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162666A 2014-11-20 2014-11-20 진동 액추에이터 KR101674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666A KR101674967B1 (ko) 2014-11-20 2014-11-20 진동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666A KR101674967B1 (ko) 2014-11-20 2014-11-20 진동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09A KR20160060409A (ko) 2016-05-30
KR101674967B1 true KR101674967B1 (ko) 2016-11-29

Family

ID=5712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666A KR101674967B1 (ko) 2014-11-20 2014-11-20 진동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9014B (zh) * 2017-01-13 2022-01-14 三美电机株式会社 振动促动器、可佩戴式终端以及来电通知功能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326A (ja) * 1999-01-26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アクチュエ―タ
JP2004202424A (ja) 2002-12-26 2004-07-2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326A (ja) * 1999-01-26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アクチュエ―タ
JP2004202424A (ja) 2002-12-26 2004-07-2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09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576B1 (ko) 마그넷 케이싱을 구비한 선형 진동모터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09284B1 (ko) 리니어 진동모터의 스프링부재
KR100992264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US20140265650A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JP2019201486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20054685A (ko) 선형 진동기
CN105703593A (zh) 线性振动马达
CN111082630A (zh) 一种振动装置
KR20120033038A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101793072B1 (ko) 수평 진동 디바이스
KR101674967B1 (ko) 진동 액추에이터
WO2018157515A1 (zh) 用于线性振动马达的壳体以及线性振动马达
KR20120018405A (ko) 수평 선형 진동기
JP2017212793A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160028134A (ko) 컨틸레버형 진동발생기
JP2014050204A (ja) 振動発電機
JP6982486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JP2004202424A (ja)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KR20120051504A (ko) 선형 진동기
US11658554B2 (en) Vibrating with stop magnets, mandrel and guiding member
WO2018008280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090015773A (ko) 진동 발생장치
KR20130001431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200609B1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