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609B1 -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 Google Patents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609B1
KR101200609B1 KR1020110044993A KR20110044993A KR101200609B1 KR 101200609 B1 KR101200609 B1 KR 101200609B1 KR 1020110044993 A KR1020110044993 A KR 1020110044993A KR 20110044993 A KR20110044993 A KR 20110044993A KR 101200609 B1 KR101200609 B1 KR 1012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vibrator
fixed
coil
horizontal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최교석
오훈희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장착되어 무음으로 착신을 알리는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자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떨어져서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2개의 마그네트가 마주보도록 소정 길이의 웨이트 측면에 4개의 마그네트가 각각 설치된 진동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horizontally}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장착되어 무음으로 착신을 알리는 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자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진동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기기에서 필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착신 기능이다. 착신 기능은 멜로디나 벨과 같은 발성기를 이용하거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 중 진동기는 멜로디나 벨이 외부로 전달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자 하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진동기는 단순히 멜로디를 대신한 착신기능을 넘어 가상의 터치 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휴대폰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기는 크게 회전형 진동기와 리니어 진동기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형 진동기는, 기존의 휴대폰에 주로 적용되던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력은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한 정류 작용을 거쳐 회전부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정류자를 사용한 브러쉬타입(brush type) 구조는 회전시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Segment)와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를 유발하고, 브러쉬와 정류자를 마모시킴으로써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형 진동기는 진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전부의 체적을 크게 하거나, 회전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구조상 박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고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진동기에 전압 인가 시에 회전 관성을 이용하므로 목표진동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휴대용 통신기기 등에 적합한 진동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선형 진동자는 코일과 자석의 공진 주파수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진동자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이므로, 기계적인 마찰, 마모가 없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응답 시간이 빨라 햅틱 피드백 구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리니어 진동기는 진동자의 진동방향에 따라서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와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는, 이동통신기기 등과 같은 제품에 설치되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상면에 결합한 스프링(13), 그리고 상기 스프링(13)의 하단부측에 결합되는 진동자(20)로 이루어진다.
진동자(20)는 상면이 스프링(13)의 하단부측에 결합된 요크(21), 요크(21)의 내부에 결합된 마그네트(23), 요크(21)의 외면에 결합된 웨이트(2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11)의 하면에는 권선된 코일(30)이 고정되고, 이 코일(30)의 상부측은 요크(21)와 마그네트(23)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코일(30)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0)과 마그네트(23)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마그네트(23)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진동자(20)를 상하로 진동시킨다. 그러면, 진동자(20)의 진동이 스프링(13)을 통하여 하우징(11)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식형 리니어 진동기는 진동자(20)가 하우징(11)의 두께방향으로 진동하므로, 하우징(11)의 두께를 박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최근 휴대용 통신기기는 두께가 얇아지는 슬림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통신기기에 설치되는 진동기도 슬림화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는 두께를 슬림화시키면 진동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선형진동기의 특성상 진동량은 진동자의 이동거리에 비례하는데,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는 휴대폰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진동자의 이동거리가 급격히 짧아지고 이에 따라 진동량도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0-0116335호에서는 진동자가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배치된 코일(140)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와 작용하여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160), 상기 진동자(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동자(160)는 웨이트(161), 마그네트(164) 및 요크(167)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는 하나의 고정부가 하우징(110)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사각 틀 형상의 진동자(160)가 상기 고정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진동자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코일의 권선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 진동자(160)에 의해서 코일(140)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는 제품의 용접 불량이 빈번히 발생하고, 제품의 낙하 충격 등 외부 충격에 의해 탄성 부재가 변형되거나 케이스의 용접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자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다수 개의 고정부(코일)를 설치함으로써 진동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하부 케이스와 스프링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비자성 소재의 요크를 사용하여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코일로 방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떨어져서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2개의 마그네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길이의 웨이트 측면에 4개의 마그네트가 각각 설치된 진동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에 따르면 진동자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므로 진동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동자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2개의 코일을 설치함으로써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자가 코일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가 아니므로 코일의 권선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케이스와 스프링 부재의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져서 진동자가 코일을 훼손하는 것이 방지되고, 비자성 소재의 요크를 사용하여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코일로 방사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진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여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에 적용되는 스프링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에 적용되는 완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형 리니어 진동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는,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 중앙에서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131)을 포함하는 2개의 고정부(130:130a,130b)와, 고정부(130)의 전?후방에 일정 간격 떨어져서 마그네트(173)가 위치하도록 웨이트(171) 양 측면에 4개의 마그네트(173)가 설치된 진동자(170)와, 하부 케이스(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웨이트(171)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두 개의 스프링 부재(150150a,150b)와, 하부 케이스(110)의 상면에 결합하여 고정부(130)와 진동자(170)를 보호하는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10)는 2개의 고정부(130)와 하나의 진동자(170)를 수용하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통신기 등과 같은 제품에 장착되며,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하여 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를 구성한다.
하부 케이스(110)는 비자성의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이루어지며, 소정 크기의 바닥(111)과 바닥(111)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측판(114)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전후 측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전후 측면에는 스프링 부재(150) 등을 고정하기 위한 절곡 판(116)이 더 구비된다. 절곡 판(116)은 측판(114)의 선단을 케이스의 안쪽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절곡 판(116)에는 후술하는 완충 부재(190)와 상부 케이스(120)도 결합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코일(131)을 포함하는 고정부(130), 마그네트(173)을 포함하는 진동자(170), 회로기판(180) 및 스프링 부재(150)가 모두 설치된다.
코일(131)은 강자성체 혹은 순철 재질로 이루어진 코어(133)에 감긴 상태로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고정된다. 즉, 두 개의 고정부(130)는 2개의 코어(133)와 2개의 코일(131)을 포함한다.
마그네트(173)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웨이트(171) 양 측면에 고정되고, 마그네트(173)의 외 측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175)가 설치된다. 즉, 진동자(170)는 4개의 마그네트(173)와 4개의 요크(175) 그리고 하나의 웨이트(171)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는 고정부(13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회로기판(180)이 장착된다. 회로기판(180)은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코일(131)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턴부(182)를 상면에 구비한다.
고정부(130)의 코일(131)은 그 리드선을 회로기판(180)의 패턴부(182)와 솔더링(soldering) 연결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는 회로기판(180)의 일부가 하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부(118)가 형성된다. 이때 회로기판(180)은 상호 분리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그 중 하나의 회로기판(180)의 상면에는 코일(131)의 (+) 리드선 및 상기 제품의 (+)전원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회로기판(180)의 상면에는 코일(131)의 (-)리드선 및 상기 제품 측의 (-)전원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80)은 하부 케이스(11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회로기판(180)과 하부 케이스(11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 부재(150)는 하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전후 측면에 형성된 절곡 판(116)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절곡 판(116)에는 스프링 부재(150)에 형성된 결합 홀(157)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결합 편(117)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의 절곡 판(116)에는 후술하는 완충 부재(190)에 형성된 결합 돌부(199)가 삽입되는 결합 홈부(119)가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부(119)은 일 측이 개방되어 상기 결합 돌부(199)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부와 전후 측면을 폐쇄하도록 비자성의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소정 크기의 상판(121)과 상판(121)의 전후 양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전후 측판(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 측판(124)에는 상기 절곡 판(116)에 형성된 결합 편(117)과 결합 홈부(119)에 대응하도록 결합 홀(127)과 결합 홈부(129)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를 조립하면 상기 결합 편(117)이 상기 결합 홀(127)을 관통하게 된다.
스프링 부재(1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판 스프링으로서, 하부 케이스(110)의 절곡 판(116)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51)과, 상기 프레임(151) 내부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다리부로 이루어진 제1 탄성 편(153)과, 상기 제1 탄성 편(153)의 내부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웨이트(171)에 고정되는 제2 다리부로 이루어진 제2 탄성 편(15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1)에는 상기 절곡 판(116)에 형성된 결합 편(117)과 결합 홈부(119)에 대응하도록 결합 홀(157)과 결합 홈부(159)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스프링 부재(150) 사이에 설치되는 웨이트(171)의 길이가 스프링 부재(150) 사이의 간격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부재(150)의 제1 탄성 편(153)과 제2 탄성 편(155)은 하부 케이스(110)의 안쪽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웨이트(17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부재(150)의 제1 탄성 편(153)과 제2 탄성 편(155)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코일(131)은 외부로부터의 전원 인가시 일정 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원통형 코어(133)에 권취 된다. 코어(133)은 강자성체 혹은 순철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 면에 코일(131)이 감긴다. 그리고 코어(133)의 양단에는 소정 높이의 플랜지(1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5)의 형태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이나 삼각형 또는 다각형의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각형의 플랜지(135)는 하부 케이스(111)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135)에는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코어(133)를 고정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접착제나 용접 등으로 고정수단을 통해서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고정된다.
진동자(170)의 웨이트(171)는 하부 케이스(11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사각형 형태의 금속 바로서, 진동자(170)에 일정한 질량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웨이트(171)는 전후 양단의 양 측면에 마그네트(173)과 요크(175)로 이루어진 자계부(172)가 설치된다.
마그네트(173)의 외 측에 결합하는 요크(175)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마그네트(173)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코일(131) 쪽으로 방사되도록 마그네트(173)을 감싼다. 예를 들어, 요크(175)는 마그네트(173)의 상?하면과 외 측면을 감싸는 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요크(175)는 웨이트(171)의 측면에 고정되어 마그네트(173)을 감싸는데, 웨이트(171)의 측면에는 요크(175)의 개방된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176)이 상하로 설치되어 요크(175)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막대 형상의 웨이트(171)에 4개의 자계부(172)가 설치된 진동자(170)는 전체적으로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진동자(170)는 2개의 스프링 부재(15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진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2개의 스프링 부재(150)는 하부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웨이트(171)의 양단을 지지한다.
고정부(130)는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 가운데의 양측에 설치되어 웨이트(171)에 양단에 설치된 두 개의 마그네트(173)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코어(133)에 감겨 있는 코일(131)의 전후로 두 개의 마그네트(173)가 배치된다. 이때, 두 개의 마그네트(173)는 진동자(170)의 왕복운동이 원활하도록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마그네트(173)은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작은 마그네트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코일(131)에 교번 전류가 흐르게 되면, 마그네트(17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고정부(130)와 진동자(170)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교번으로 발생하여 진동자(170)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코일(131)의 전후에 2개의 마그네트(173)가 구비되므로 더욱 강한 진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는 스프링 부재(150)와 진동자(170) 사이에 발포제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190)가 더 설치된다. 완충 부재(190)는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자(170)의 진폭이 일정 이상으로 커질 경우 진동자(170)가 완충 부재(190)에 닿도록 구성된다.
완충 부재(19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배합하여 발포한 발포제이거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패드부(191)와 패드부(191)의 외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 돌부(19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자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두께 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휴대용 통신기기에 장착되므로 휴대용 통신기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기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자(170)의 운동변위를 길게 형성시켜서 운동변위 확보가 가능하므로 진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를 조립하는 과정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회로기판(180)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코일(131)이 감진 두 개의 코어(133)가 설치된다.
코일(131)은 리드선을 회로기판(180)의 패턴부(182)와 솔더링(soldering)함으로써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80)은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코일(131)로 전달하고, 상기 코일(131)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웨이트(171)에는 4개의 마그네트(173)과 요크(175)를 부착하여 H자 형태의 진동자(170)를 구성한다.
마그네트(173)과 요크(175)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고정한 후 최종적으로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낙하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웨이트(171)의 전후 측면에 스프링 부재(150)를 부착한다. 이때, 스프링 부재(150)의 제2 탄성 편(155)을 웨이트(171)의 전후 측면에 용접하여 스프링 부재(150)를 고정된다.
이어, 웨이트(171)가 고정된 두 개의 스프링 부재(150)를 하부 케이스(110)의 전후 측면에 고정한다. 스프링 부재(150)는 프레임(151)에 형성된 고정 홀(157)에 절곡 판(116)의 결합 편(117)을 관통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절곡판(116)의 내측 면에 완충 부재(190)를 설치한다. 완충 부재(190)는 고정 돌부(199)를 절곡 판(116)에 형성된 결합 홈부(119) 및 스프링 부재(150)의 결합 홈부(157)에 끼워 넣어서 고정된다.
끝으로 상부 케이스(120)를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전후 측면(124)에 형성된 관통 홀(125)에 절곡 판(116)에 형성된 고정 편(117)을 관통시키는 동시에 전후 측면(124)에 형성된 결합 홈부(129)에 완충 부재(190)의 결합 돌부(199)를 관통시켜 결합한다. 아울러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는 마그네트(173)의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된 접속단자에 제품의 (+) 및 (-)전원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고정부(130)의 코일(131)에 교번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17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131)에서 발생한 전기력의 방향에 의해서 진동자(170)가 왕복운동하고 진동자(170)의 진동이 하부 케이스(110)를 통해 제품으로 전달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100)는, 코일(131)을 포함하는 고정부(130)가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111)에 고정되므로 외부전원을 코일에 공급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4개의 마그네트와 2개의 코일(131)이 구비되어 강력한 진동력을 얻을 수 있고, 코일(131)이 진동자(170)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코일의 권선수를 높일 수 있으며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 및 낙하시 코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만들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 예는 이하에서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110: 하부 케이스
111: 바닥 116: 절곡 판
117: 절곡 편 119, 129, 159: 결합 홈부
129: 결합 구멍 120: 상부 케이스
127, 157: 결합 홀 130: 고정부
131: 코일 133: 코어
135: 플랜지 150: 스프링 부재
151: 프레임 153: 제1 탄성 편
155: 제2 탄성 편 170: 진동자
171: 웨이트 173: 마그네트
175: 요크 180: 회로기판
190: 완충 부재 199: 결합 돌부

Claims (5)

  1.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떨어져서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2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2개의 마그네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웨이트 측면에 4개의 마그네트가 각각 설치된 진동자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코일은 하부 케이스의 바닥에 고정된 중공의 코어에 권취되어 고정되고, 상기 웨이트에 고정된 마그네트는 요크에 의해서 하?하면과 외 측면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강자성체 혹은 순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코일을 권취하는 중공부의 양단에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
    상기 스프링 부재는 일정 두께의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다리부로 이루어진 제1 탄성 편과, 상기 제1 탄성 편의 내부에서 타 측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그 단 부가 상기 웨이트의 단 부에 고정되는 제2 탄성 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KR1020110044993A 2011-05-13 2011-05-13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KR10120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993A KR101200609B1 (ko) 2011-05-13 2011-05-13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993A KR101200609B1 (ko) 2011-05-13 2011-05-13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609B1 true KR101200609B1 (ko) 2012-11-12

Family

ID=4756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993A KR101200609B1 (ko) 2011-05-13 2011-05-13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6730A (ja) * 2016-09-14 2018-03-2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6730A (ja) * 2016-09-14 2018-03-2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2018046728A (ja) * 2016-09-14 2018-03-2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074B1 (ja) ハプティックアクチュエータ
KR101101506B1 (ko) 수평 진동자
CN101902115B (zh) 线性振动器
KR101092588B1 (ko) 진동모터
KR10125591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0967033B1 (ko) 수평 진동자
CN109309892B (zh) 电磁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KR100992264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084800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10048104A (ko) 선형 진동자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CN103098357A (zh) 振动发生器及其制造方法
KR101141726B1 (ko) 선형진동기용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선형진동기
KR101157396B1 (ko) 선형 진동 장치
KR20110028960A (ko) 선형 진동자
KR101095565B1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101200609B1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KR20120033038A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101151396B1 (ko) 통신단말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KR101022899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JP2010029744A (ja) 振動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20120018405A (ko) 수평 선형 진동기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