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740A - 이동체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체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740A
KR20150084740A KR1020150095269A KR20150095269A KR20150084740A KR 20150084740 A KR20150084740 A KR 20150084740A KR 1020150095269 A KR1020150095269 A KR 1020150095269A KR 20150095269 A KR20150095269 A KR 20150095269A KR 20150084740 A KR20150084740 A KR 2015008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moving
user
predict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이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기 filed Critical 이성기
Priority to KR102015009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740A/ko
Publication of KR2015008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1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 G08G1/09682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where the segments of the route are transmitted to the vehicle at different locations and ti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체 추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에 대응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다다르는 모든 가능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로 추천 방식과 동일한 경로 추천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사용자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실제로 이동할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와 교통 상황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체 추적 방법{Method for Tracing Moving Obje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에 대응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다다르는 모든 가능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로 추천 방식과 동일한 경로 추천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사용자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실제로 이동할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와 교통 상황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며,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이동체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설정된 경우에 지리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구비된 차량용 장치가 보급되면서, 상기 GPS를 통해 주기적으로 실측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경로를 결합하여 상기 차량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네비게이션 서비스는 운전자 본인이 자신이 이동할 경로를 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로 변경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경로를 벗어나더라도 자동으로 경로 재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상기 운전자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것은 난해하며, 설령 산출되더라도 상기 운전자가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할 확률은 미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에 대응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다다르는 모든 가능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로 추천 방식과 동일한 경로 추천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사용자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실제로 이동할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예측된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와 교통 상황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 추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추적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에 대응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다다르는 모든 가능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로 추천 방식과 동일한 경로 추천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사용자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실제로 이동할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예측된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와 교통 상황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대기 거점에 대한 신호대기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추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의 이동체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체를 식별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체 정보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이동체 위치 확인부와 각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확인하고 기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 중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경로 추천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하고, 상기 이동체가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위치 또는 상기 고정 경로 상에서 사용자 위치와 가장 근접한 사용자 거점을 확인한 후 상기 고정 경로 상의 이동체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또는 거점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과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점 별 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이동 시간 예측부 및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체가 미리 지정된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고정 경로 판단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점 별 부동 시간은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신호대기 거점의 신호대기 시간과, 승하차 거점의 승하차대기 시간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의 예측 정보 제공부는 지리정보 맵 상에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 및 예상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추적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의 이동체 추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체를 식별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각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확인하고 기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 중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경로 추천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하고, 상기 이동체가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위치 또는 상기 고정 경로 상에서 사용자 위치와 가장 근접한 사용자 거점을 확인한 후 상기 고정 경로 상의 이동체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또는 거점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과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점 별 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 추적 방법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체가 미리 지정된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 중인 이동체의 종류와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이동체 추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이동체 추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근접하는 경로를 통과하는 이동체가 현재 시간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또는 사용자 위치와 근접 경로 상의 거점)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상 시간(또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45)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근접하는 경로를 통과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15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서버 상에 구현되며, 하나 이상의 서버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45) 상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컴퓨터,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의 유선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45)이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GPS모듈과 상기 산출된 사용자 위치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이동체를 식별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상기 이동체는 도로 또는 철로 상의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 차량(예컨대, 버스, 지하철, 학원차량, 통학버스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도로 상의 자유 경로를 이동하는 차량(예컨대, 자가용차량, 화물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단말(150)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며 이동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GPS모듈과 상기 산출된 이동체 위치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이동체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장치, 상기 이동체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체를 식별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체 정보 수신부(105)와, 상기 사용자 단말(145)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145)에 구비된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상기 이동체를 식별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이동체 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140)에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가 연결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이동체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체가 시내버스이고 상기 시내버스에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대응하는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노선번호와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추적장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노선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체가 학원차량이고 상기 학원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경우,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원정보 및 학원차량번호와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학원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이동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원정보와 학원차량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저장매체(140)에 이동체 단말 정보가 연결되어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이동체 단말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로 이동하는 자가용차량이고 상기 자가용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자가용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저장된 고정 경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체가 시내버스이고 상기 시내버스에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대응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자가 탑승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버스노선번호와 상기 시내버스에 탑승한 자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45)이 무선단말로서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145)은 상기 GPS모듈에 의해 측위된 상기 단말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145)이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단말이기는 하지만 GPS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45)에서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무선 주파수 수신 시각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무선 주파수 송출 시각 간 시간 차이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의 고정된 위치를 근거로 산출된 단말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 위치를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단말(145)이 유선단말이거나 또는 위치 식별이 난해한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150)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와,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이동하는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이동 경로 예측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체가 미리 지정된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지 판단하는 고정 경로 판단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140)에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는 상기 저장매체(14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수신된 이동체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GPS모듈과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경우, 상기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는 상기 확인(또는 수신)된 이동체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이동체 단말(150)로 상기 GPS모듈을 통해 측위된 이동체 단말(150) 위치에 대응하는 이동체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체 단말(150)은 상기 GPS모듈을 통해 이동체 단말(150) 위치를 측위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측위된 이동체 단말(150) 위치 중 최종 위치를 확인하여 결정된 이동체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는 상기 이동체 단말(150)로부터 상기 이동체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 GPS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는 상기 이동체 단말(15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무선 주파수 수신 시각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무선 주파수 송출 시각 간 시간 차이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의 고정된 위치를 근거로 산출된 이동체 단말(150)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동체 단말(150) 위치를 상기 이동체 위치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위치와 이동체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상기 이동체 정보 수신부(105)에 의해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 또는 이동체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 경로 판단부(120)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 또는 이동체 단말 정보와 연결된 고정 경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고정 경로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저장매체(140)에 상기 고정 경로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고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저장매체(140)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정 경로 상에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고정 경로 상에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고정 경로 중 상기 사용자 위치와 가장 근접한 경로 상의 위치를 상기 이동체와 사용자가 조우하기 위한 사용자 거점으로 결정한다.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거점이 확인되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고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이동체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또는 사용자 거점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이동체가 이동할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150)을 통해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이 설정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은 상기 이동체 단말(15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체 단말(150)과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수신된 이동체의 이동 경로 중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이동체가 이동할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체 단말(150)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이동체 단말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 중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확인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시중에 유통 중인 각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확인할 수 없다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경로 산출 규칙, 또는 복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 중 상기 이동체가 이전에 이동한 실제 이동 경로와 가장 유사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으로 결정한다.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이 확인되면,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할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가 예측되더라도, 상기 이동체가 상기 예측된 예상 이동 경로로 이동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상기 이동체 위치 확인부(115)는 상기 이동체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갱신하고.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는 상기 갱신된 이동체 위치를 근거로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과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점 별 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이동 시간 예측부(130)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가 예측(또는 갱신)되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주변의 교통 상황 정보와,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N(N≥1)개의 거점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N개의 거점은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신호대기 거점(예컨대, 교차로 중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직진 또는 좌회전하는 교차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예컨대, 버스, 학원차량, 지하철 등)가 예상 이동 경로를 이동하면서 특정 위치에 탑승자를 승하차시키는 경우에 상기 탑승자가 승하차하는 예상 이동 경로 상의 승하차 거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교통 상황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매칭되는 교통 상황 구간 별 평균 주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교통 상황 구간 별 평균 주행 속도를 이동 거리로 나눈 시간을 합산하여 교통 상황 기준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한다. 만약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N개의 거점을 확인할 수 없거나, 또는 각 거점 별 부동 시간을 결정할 수 없다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교통 상황 기준 예상 이동 시간을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N개의 거점이 확인되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N개의 거점 별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지 않고 대기해야 하는 N개의 거점 별 부동 시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거점 별 부동 시간은 거점 종류 별 평균 부동 시간에 각 거점이 지니는 거점 특성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신호대기 거점 중 ‘+'자형 교차로의 평균 부동 시간은 3분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교차로의 차로 수가 상기 평균 부동 시간에 대응하는 ‘+'자형 교차로의 차로 수보다 많은지 적은지를 근거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신호대기 거점에 대한 각 거점 별 부동 시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평균 부동 시간(또는 차로 수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적용된 부동 시간)에 상기 교통 상황 정보로부터 식별되는 교차로의 고통 량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신호대기 거점에 대한 각 거점 별 부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N개의 거점에 대한 각 거점 별 부동 시간이 결정되면,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N개의 거점 별 부동 시간을 합산한 총 부동 시간을 예측한다.
만약 상기 교통 상황 기준 예상 이동 시간이 예측된 경우,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교통 상황 기준 예상 이동 시간에 상기 예측된 총 부동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통 상황 기준 예상 이동 시간이 예측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이동체의 예상 이동 시간에 교통 상황이 불필요한 경우(예컨대, 상기 이동체가 교통상황과 무관한 버스전용차로를 이동하는 시내버스 또는 철로를 이동하는 지하철인 경우),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의 평균 이동 시간을 예측한 후, 상기 예측된 평균 이동 시간에 상기 예측된 총 부동 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이 예측되면, 상기 예측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예측된 예상 이동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전송한다. 또는 상기 예측 정보 제공부(135)는 현재 시간에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을 부가하여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도착 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예측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와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리정보 맵 상에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표시함은 물론,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 및 예상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시간 예측부(130)는 상기 이동 경로 예측부(125)에 의해 상기 예상 이동 경로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갱신된 예상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 정보와 거점 별 부동 시간을 근거로 상기 예상 이동 시간을 갱신하고, 상기 예측 정보 제공부(135)는 상기 갱신된 예상 이동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이동체 추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용자 단말(145)에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할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예상 이동 경로에 대한 예상 이동 시간(도는 예상 도착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동체 추적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필요한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고(200),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205),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다(215). 상기 이동체가 고정 경로를 이동하는지 자유 경로를 이동하는지, 또는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이동체 단말 정보 중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 상의 저장매체(140)에 어떠한 정보가 등록 또는 미등록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45)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결정된다.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145)을 통해 단말 위치를 측위하거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215),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220),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부터 수신된 이동체 식별 정보를 통해 확인된 이동체 단말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150)의 위치를 측위하고(225), 상기 측위된 이동체 단말(150) 위치에 대응하는 이동체 위치를 확인한다(230).
상기 사용자 위치와 이동체 위치가 모두 확인되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지리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고정 경로 또는 자유 경로에 따라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235). 만약 상기 이동체가 고정 경로를 이동한다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체의 고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위치 또는 상기 고정 경로 중 사용자 위치와 가장 근접한 사용자 거점을 확인한 후 상기 고정 경로 상의 이동체의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 또는 거점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체가 자유 경로를 이동한다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을 상기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통해 상기 이동체의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예상 이동 경로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상 이동 경로가 예측되면,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의 교통 상황과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점 별 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고(240),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상기 예측된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제공하며(245), 상기 사용자 단말(145)은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한다(250). 상기 이동체 추적 시스템(100)이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한 후 이에 따른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45)로 제공되는 과정은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100 : 이동체 추적 시스템 105 : 이동체 정보 수신부
110 : 사용자 위치 확인부 115 : 이동체 위치 확인부
120 : 고정 경로 판단부 125 : 이동 경로 예측부
130 : 이동 시간 예측부 135 : 예측 정보 제공부
145 : 사용자 단말 150 : 이동체 단말

Claims (2)

  1. 사용자 단말과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에 대응하는 이동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 단말을 통해 이동체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이동 경로 산출 규칙과 동일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위치에서 사용자 위치까지 다다르는 모든 가능한 이동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체의 네비게이션에 구비된 이동 경로 산출 규칙의 로 추천 방식과 동일한 경로 추천 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체가 사용자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실제로 이동할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제3 단계;
    상기 예측된 이동체의 예상 이동 경로와 교통 상황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이동체 식별 정보와 예상 이동 시간(또는 예상 도착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체 추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대기 거점에 대한 신호대기 시간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다르는 예상 이동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추적 방법.

KR1020150095269A 2015-07-03 2015-07-03 이동체 추적 방법 KR20150084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69A KR20150084740A (ko) 2015-07-03 2015-07-03 이동체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69A KR20150084740A (ko) 2015-07-03 2015-07-03 이동체 추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540A Division KR20130010725A (ko) 2011-07-19 2011-07-19 이동체 추적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110A Division KR20170064524A (ko) 2017-05-31 2017-05-31 이동체 추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740A true KR20150084740A (ko) 2015-07-22

Family

ID=5387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269A KR20150084740A (ko) 2015-07-03 2015-07-03 이동체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7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0191B2 (en) 2017-02-13 2020-03-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ultiple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0191B2 (en) 2017-02-13 2020-03-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ultiple obj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181B2 (en) Location-based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US8972166B2 (en) Proactive mitigation of navigational uncertainty
JP402887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出発、到着判別方法
KR20150021857A (ko) 교통 신호등 정보를 활용한 차량용 항로 결정 방법
JP5367831B2 (ja) 交通情報提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47742B1 (ko) 대중교통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6781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107657340A (zh) 公交车出行的方法及装置
KR20140080012A (ko) 버스 정차순서를 반영한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62776B1 (ko)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28619B2 (en) Vehicle dispatch service boarding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vehicle dispatch service boarding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KR100717843B1 (ko)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JP5121515B2 (ja) 携帯端末、案内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424745B2 (ja) 路線バス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端末装置
CN114095896A (zh) 用于向个人移动车辆提供交通信息的方法和装置
JP20140666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20170064524A (ko) 이동체 추적 방법
KR20150084740A (ko) 이동체 추적 방법
KR20150052915A (ko) 서로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로 안내 시스템 간의 만남 장소 안내 방법
KR101241610B1 (ko) 최적의 중간탑승 위치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0547A (ko)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
JP2005251054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292596A (ja) 測位装置による移動状況の検出装置
KR100627755B1 (ko) 대중교통수단의 최적 환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22364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