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551A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551A
KR20150084551A KR1020140004678A KR20140004678A KR20150084551A KR 20150084551 A KR20150084551 A KR 20150084551A KR 1020140004678 A KR1020140004678 A KR 1020140004678A KR 20140004678 A KR20140004678 A KR 20140004678A KR 20150084551 A KR20150084551 A KR 2015008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emperature
indoor
compress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340B1 (ko
Inventor
손길수
박정욱
구치욱
이태호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340B1/ko
Priority to CN201510016228.4A priority patent/CN104776552B/zh
Publication of KR2015008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가 마련된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실외기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입출구 측 온도 및 실내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실외 온도, 실내 온도, 실내 열교환기 입출구 온도 및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밸브 막힘이나 밸브 잠김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지 않는 경우와, 누설로 인한 시스템 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기기 내 고장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 내 냉매 막힘과 냉매 누설 발생 시, 기기의 영구 결함으로 이어지기 전에 불량의 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 내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기기 내 압력 및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압축기가 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Air conditioner and fault diagnosis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매의 막힘 및 누설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토출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는 기기이다.
이를 테면, 공기조화기는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며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최근 인버터 압축기와 제어기를 적용한 공기 조화기가 보편화되면서 공기 조화기의 성능은 향상되고 있지만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유형과 종류가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조화기가 손상되기 전에 고장 요인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고장 진단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여기서 고장 요인의 예로, 밸브에 의한 냉매 막힘과 냉매 누설 등이 있으며, 냉매 막힘이나 누설이 발생된 경우 냉동 사이클 상에서 냉매가 순환되지 않아 압축기가 손상되는 등 시스템 내 심각한 불량을 초래 할 수 있다.
일 측면은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냉매 막힘과 냉매 누설을 구분지어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가 마련된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에 마련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실내기에 마련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실외기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와, 실내기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와,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실내기의 온도 검출부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와, 실내 열교환기의 입추 측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냉매 온도 검출부와,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측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냉매 온도 검출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를 비교하여 냉매의 정상 순환 및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정상 순환, 막힘 불량, 누설 불량을 구분지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압축기에 인가되는 검출된 전류를 확인하여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최대 값과 최소 값에 기초하여 냉매의 누설과 막힘 불량을 구분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은, 압축기가 마련된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실외기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입출구 측 온도 및 실내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실외 온도, 실내 온도, 실내 열교환기 입출구 온도 및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한다.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은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은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미만이면 정상적인 냉매 순환으로 진단하고,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이상이면 냉매 불량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은 정상적인 냉매 순환으로 지단되면 운전을 수행하고, 냉매 불량으로 순환으로 지단되면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하는 것은, 압축기 구동 중 검출된 전류를 확인하여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최대 값에서 최소 값을 차감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누설 불량으로 진단하고, 차감한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막힘 불량으로 진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밸브 막힘이나 밸브 잠김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지 않는 경우와, 누설로 인한 시스템 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기기 내 고장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 내 냉매 막힘과 냉매 누설 발생 시, 기기의 영구 결함으로 이어지기 전에 불량의 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 내 이상 조건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기기 내 압력 및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압축기가 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량에 해당하는 에러표시를 명확히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불량 조치 시 고장 원인 및 고장 조치에 대한 가이드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해당 에러가 확인될 경우 막힘 불량인지 누설 불량인지를 추가로 확인해야 하는 과정을 줄 일 수 있고 판단자의 주관에 따라 오판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막힘을 냉매 누설로 오진단할 경우 냉매를 보충하게 되어 과충전 조건이 형성되어 기동 불량이 발생하는 등 2차 불량이 추가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 누설을 냉매 막힘으로 오진단할 경우 냉매 추가 등 단순 조치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를 기기 결함으로 오인하여 불필요한 부품 교환 및 세트 교환으로 이어지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와 같은 부품 추가없이 냉매 누설 및 냉매 막힘을 진단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 예시도이다.
도 1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싱글형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싱글형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기기로, 싱글형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20), 팽창밸브(130), 실외팬(140) 및 실외 온도 검출부(150)를 포함하고, 실내기(200)는 실내 열교환기(210), 실내팬(220) 및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 240, 250)를 포함하며,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이 연결되어 있다.
냉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에 기초하여 각 부하의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로 토출한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냉매관을 통해 압축기(11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냉매의 열 방출을 통해 압축기(110)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때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 변화된다.
팽창밸브(130)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 열교환기(2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밸브(130)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 작용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킨 후 실내 열교환기(210)에 전달한다.
즉 팽창밸브(13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에서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한다. 여기서 팽창밸브는 모세관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팬(140)은 실외 열교환기(12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킨다.
실외 온도 검출부(150)는 실외기 주변의 실외 온도를 검출한다.
실내기(200)의 실내 열교환기(21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팽창밸브(1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흡수를 통해 실내 공기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상 변화된다.
실내팬(220)은 실내 열교환기(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강제 송풍한다.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관 중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에 연결된 냉매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 검출부와,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관 중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에 연결된 냉매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 검출부와,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동 사이클에서 냉매의 흐름은 냉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과 반대이고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 열교환기(21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 및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기기로, 싱글형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20), 팽창밸브(130), 실외팬(140) 및 실외 온도 검출부(150)를 포함하고, 실내기(200)는 실내 열교환기(210), 실내팬(220) 및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 240, 250)를 포함하며,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이 연결되어 있다.
실외기(100)는 운전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사방 밸브(160)를 더 포함하며, 어큐뮬레이터(170) 및 오일 분리기(1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각 부하의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로 토출한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냉매관을 통해 압축기(11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냉매의 열 방출을 통해 압축기(110)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때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상 변화된다.
팽창밸브(130)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 열교환기(2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밸브(130)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 작용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킨 후 실내 열교환기(210)에 전달한다.
즉 팽창밸브(13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에서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한다. 여기서 팽창밸브는 모세관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팬(140)은 실외 열교환기(12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킨다.
실외기는 압축기(11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냉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방밸브(170)는 냉방 운전 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하고 실내기(200)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5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 열교환기(21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170)는 압축기(110)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압축기(110)로 이동하는 냉매 중 기화되지 않은 액냉매를 분리하여 액냉매가 압축기(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110)의 손상을 방지한다.
오일 분리기(Oil Separator: 180)는 압축기(110)의 토출 냉매의 증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110)로 되돌려 준다.
실내기(200)의 실내 열교환기(21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팽창밸브(1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흡수를 통해 실내 공기와의 열 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저온저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로 상 변화된다.
실내팬(220)은 실내 열교환기(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강제 송풍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전 시 사방밸브(170)의 유로를 전환시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210)로 안내하고 실내기(200)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7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실내 열교환기(21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복수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 및 복수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운전이 모두 가능한 기기로,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0)와 복수의 실내기(200a, 200b)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공급된 냉매를 제1분배관을 통해 분배하여 제1 실내기(200a)와 제2실내기(200b)에 각각 공급하는 제1팽창밸브(130: 131) 및 제2팽창밸브(130: 132)와,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실외 열교환기(120) 주변의 공기를 강제 송풍함으로써 열교환을 보조하는 실외 팬(140)과,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검출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팽창밸브(130: 131, 132)는 제1실내기(200a) 및 제2실내기(200b)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개도 조절이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이다.
즉 제1팽창밸브(130: 131)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제1실내기(200a)의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고 제1실내기(200a)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 2팽창밸브(130: 132)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제2실내기(200b)의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고 제2실내기(200b)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한다.
실외기(100)는 제1실내기(200a)와 제2실내기(200b)에서 각각 공급된 냉매를 모아 압축기(110)에 공급하는 제2분배관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분배관 및 제2분배관 대신 밸브를 가진 분배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방밸브(16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난방 운전 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제1실내기(200a) 및 제2실내기(200b)로 안내하고 실외 열교환기(120)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5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1실내 열교환기 및 제2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사방밸브(170)는 냉방 운전 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10)로 안내하고 제1실내기(200a) 및 제2실내기(200b)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5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1실내기(200a) 및 제2실내기(200b)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실내기(200a, 200b)에서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 중 기화되지 않은 액냉매를 분리하여 액냉매가 압축기(110)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110)의 손상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170)와, 압축기(110)의 토출 냉매의 증기 중에 혼입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110)로 되돌려 줌으로써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어 전열 효과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기(110) 내에 윤활유 부족이 생기게 되어 윤활작용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 분리기(Oil Separator: 180)를 더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0)의 냉매관과 제1, 2실내기(200a, 200b)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연결밸브(v1, v2, v3, v4)를 더 포함한다.
제1실내기(200a)와 제2실내기(200b)는 서로 동일한 기기로, 제1, 2 실내기(200a, 200b)는 실내 열교환기(210), 실내팬(220) 및 복수의 온도 검출부(230, 240, 250)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제1, 2 실내기(200a, 200b)는 도 2의 실내기(20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난방 운전 시 사방밸브(170)의 유로를 전환시켜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상태의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210)로 안내하고 실내기(200a, 200b)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어큐뮬레이터(170)로 안내한다. 이때 실외 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1, 2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210)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구동 모듈(300)과, 고장 진단을 위한 정보로 이용되는 각종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즉 검출부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에 마련된 온도 검출부(400: 150, 120, 240, 250)와, 압축기(110)의 모터에 인가되는 3상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200) 또는 원격 조정기(미도시)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운전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를 더 포함한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고,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상세 제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구동 모듈(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40), 온도 검출부(400), 전류 검출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모듈(300)은 실외기에 마련되고 온도 검출부 및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값에 기초하여 냉동 사이클 내의 냉매 순환 불량을 진단한다.
아울러, 고장 진단을 위한 구동 모듈은 실내기 내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장 진단을 위한 구동 모듈은 제어부(310), 구동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원격조정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실외기 및 실내기의 각종 부하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난방 및 냉방 운전이 모드 가능한 경우 운전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운전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 모드에 대응하여 사방 밸브(150)의 유로의 개방을 조정한다.
즉 제어부(310)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면 사방 밸브(160)의 유로 개방을 조정하고, 압축기(110), 팽창밸브(130: 131, 132), 실외 팬(140) 및 실내팬(220)을 제어하여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이 냉방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난방 운전이 입력되면 사방밸브(160)의 유로를 전환 제어하고, 압축기(110), 팽창밸브(130: 131, 132), 실외 팬(140) 및 실내팬(220)을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이 난방되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을 위한 명령, 시운전 명령 및 냉방 운전 명령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온도 검출부(400: 150, 230, 240, 2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을 위한 명령, 시운전 명령 및 냉방 운전 명령 중 어느 하나의 명령이 입력되면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주파수와 미리 저장된 기준 주파수를 비교하고, 확인된 운전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이상이면 냉매의 순환이 비정상적이라고 1차 진단한 후 냉매 불량 진단을 위한 동작을 제어하고, 확인된 운전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미만이면 정상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냉매 불량 진단 시, 압축기 구동 중 검출된 실외 온도, 실내 온도, 실내 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 및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냉매의 막힘 및 누설을 구분지어 2차적으로 진단한다.
즉 제어부(310)는 실내 온도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온도를 차감한 값이 제1기준값 이하이고, 실내 온도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를 차감한 값이 제2기준값 이하이고, 실외 온도의 일정 비율에 일정값을 합산한 값이 제3기준값 이하인 상태에서, 압축기 구동 중에 검출된 전류 중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차감한 값이 제4기준값 이하이면 냉매 누설 불량으로 진단하고,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차감한 값이 제4기준값을 초과하면 냉매 막힘 불량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냉매 누설 불량 또는 냉매 막힘 불량으로 진단 시 압축기의 구동을 오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실내 온도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온도를 차감한 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실내 온도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를 차감한 값이 제2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실외 온도의 일정 비율에 일정값을 합산한 값이 제3기준값을 초과하면 냉매 순환이 정상이라고 진단한다.
구동부(320)는 제어부(310)의 명령에 기초하여 압축기 내 모터(111)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에 대해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330)는 기준 주파수, 제1기준값, 제2기준값, 제3기준값 및 제4기준값을 저장하고, 일정 비율 및 일정값을 저장하며, 고장 진단을 위한 압축기의 구동 시간인 일정 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 주파수는 냉매 순환 불량에 따른 고장을 1차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주파수이다.
이와 같은 기준값은, 공기조화기의 기능 및 모델별로 실험에 의해 획득된 최적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0)는 고장 진단을 위한 명령, 시운전 명령 및 냉방 운전 명령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341)와, 고장 진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342)를 포함한다.
입력부(341)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오프, 운전 모드, 실내의 목표 온도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342)는 정상 운전, 냉매 막힘 불량, 냉매 누설 불량을 각각 표시한다.
아울러 냉매 막힘 불량 표시와 냉매 누설 불량 표시는 서로 다른 표시 정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상의 LED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LED를 갖거나, 또는 점소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표시부(342)는 운전 모드, 목표 온도, 현재 실내 온도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검출부(400)는 실외기 주변에 마련되어 실외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 검출부(150)와, 실내기 주변에 마련되어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250)와,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측 냉매관에 마련되어 실내 열교환기로 입력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냉매 온도 검출부(230)와,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측 냉매관에 마련되어 실내 열교환기에서 출력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냉매 온도 검출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측은 냉방 운전 시 냉매가 입력되는 부분이고,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측은 냉방 운전 시 냉매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전류 검출부(500)는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한다. 여기서 전류는 모터의 3상 전류이다.
즉 3상 전류는 공기 조화기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와는 구분되는 전류로, IPM 즉 인버터부를 통해 압축기를 기동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류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압축기의 모터(11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동부(320)는 전원부(321), 정류부(322), 평활부(323), 인버터부(324)를 포함한다.
전원부(321)는 양의 전압 단과 음의 전압 단을 포함한다.
정류부(322)는 전원부(321)의 양 단에 연결되고 되고 전원부(321)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한다. 이러한 정류부(322)는 복수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평활부(323)는 정류부(322)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인버터부(324)는 제어부(310)에 연결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구동시켜 교류 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인버터부(324)는 제어부(310)에서 출력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의 주파수 및 전압을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주파수 및 전압에 따라 모터(111)의 회전 속도 및 회전 토크가 변화하게 된다.
인버터부(324)는 평활부(323)의 일 단에 컬렉터 단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하이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하이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의 이미터 단에 컬렉터 단이 각각 연결되고 로우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는 IGBT, MOSFET 및 NPN형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스위칭 소자이다.
여기서 하이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와, 로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은 제어부부(310)에 연결되어 제어부(310)로부터 온 오프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아울러 인버터부(324)의 로우 사이드 스위칭 소자에는 전류 검출부(500)인 저항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전류 검출부(500)는 각 상 전류를 검출하는 저항을 포함하고 저항에서 검출된 전류를 제어부(310)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모터(111)의 목표 전류와 검출 전류의 차이, 목표 속도 및 목표 토크(torque)에 기초하여 모터 3상의 전압 지령을 발생시킨다.
제어부(310)는 모터(111)에 인가되는 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출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검출 전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검출 전류에 기초하여 목표 전류를 조정한다.
즉 제어부(310)는 온 제어되는 로우 사이드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저항 소자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선택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순서도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원격조정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고장 진단 명령이 입력되면 실외기 및 실내기의 각종 부하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고장 진단 명령 입력 이외에도, 공기 조화기 설치 시의 시운전 명령이나 운전 명령 시에 고장 진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싱글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고장 진단을 위한 운전 수행 시 운전 모드 및 실내의 목표 온도, 팽창 밸브의 개도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고정 진단을 위한 운전 수행 시 실내기 별 운전 모드, 실내의 목표 온도, 사방 밸브의 유로, 팽창 밸브의 개도 등 역시 미리 설정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에 마련된 실내 온도 검출부(250)를 구동시켜 실내 온도(Tr)를 검출(601)한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를 구동(602)시키고, 팽창 밸브를 일정 개도로 개방시킨다. 아울러 공기 조화기는 사방 밸브가 마련된 경우, 냉방 모드에 기초하여 사방 밸브의 유로 개방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의 구동 시작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603)하고 카운트된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판단(604)한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를 비교한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미만이면 냉매가 정상적으로 순환된다고 진단하고 정상 운전을 수행한다.
즉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미만이면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기기 내 결함을 유발할 가능성이 작은 운전 조건이므로 본 고장 판단을 하지 않고 정상 운전을 수행(606)한다.
반면 공기 조화기는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이상이면 막힘과 누설 불량 조건이 만족될 경우 기기 내 결함이 발생 할 가능성이 큰 운전 조건이므로 냉매 불량을 진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607)하고, 냉매 불량으로 최종 진단되면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608)시킨다.
여기서 냉매 불량을 진단하기 위한 동작(607)을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서 냉매 불량을 진단하기 위한 동작(607)을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냉매 불량을 2차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제1 냉매 온도 검출부(230)를 이용하여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온도(Tei)를 검출하고 제2 냉매 온도 검출부(240)를 이용하여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Teo)를 검출하며 실외 온도 검출부(150)를 이용하여 실외 온도(Tout)를 검출하며, 전류 검출부(500)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3상 전류를 검출(601)한다.
여기서 모터에 인가되는 3상 전류를 검출하는 것은, 압축기의 구동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설정 시간 동안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냉매 막힘 및 누설 불량을 진단하기 위해 복수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조건값을 산출(612)하고 산출된 조건값을 이용하여 복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613 내지 617)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 조화기는 실내 온도(Tr)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온도(Tei)를 차감한 제1조건 값(A)을 산출하고, 실내 온도(Tr)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Teo)를 차감한 제2조건값(B)을 산출하며, 실외 온도(Tout)의 일정 비율(10%)에 일정값(α)을 합산한 제3조건값(C)을 산출하고, 압축기 구동 중에 검출된 전류 중 최대값(Ci_max)에서 최소값(Ci_min)을 차감한 제4조건값(D)을 산출(612)한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제1조건 값(A)이 제1기준값(Ar) 이하인지 판단하고, 제1조건 값(A)이 제1기준값(Ar)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냉매 순환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정상 운전을 수행(614)하며 제1조건 값(A)이 제1기준값(Ar)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2조건 값(B)이 제2기준값(Br) 이하인지 판단(615)한다.
즉 냉매 순환 불량이면 냉동 사이클 내 냉매의 순환 량이 적어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가 실내 온도까지 포화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 기동 전후의 실내 열교환기의 입구 온도 차가 크지 않고, 또한 압축기 기동 전후의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의 차가 크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실내온도 및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냉매의 순환 불량을 먼저 판단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제2조건 값(B)이 제2기준값(Br)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냉매 순환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정상 운전을 수행(614)하며 제2조건 값(B)이 제2기준값(Br)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3조건값(C)이 제3기준값(Cr) 이하인지 판단(616)한다.
공기 조화기는 제3조건값(C)이 제3기준값(Cr)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냉매 순환이 정상이라고 판단하여 정상 운전을 수행(614)하며 제3조건값(C)이 제3기준값(Cr)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4조건값(D)이 제4기준값(Dr) 이하인지 판단(617)한다.
즉 밸브 막힘이나 밸브 잠김에 의한 냉매 막힘과 누설로 인한 냉매 순환 불량 조건에서는 모터 부하가 감소하여 운전 전류가 낮아진다. 이 때문에 냉매의 정상 순환 조건일 때의 전류값 이하의 수준을 나타내는지 체크가 필요하다.
정상적인 냉매 순환의 경우 압축기의 기동 주파수가 커질수록 그 값에 비례하여 전류값도 커지게 되지만, 비정상적인 냉매 순환의 경우 압축기에 걸리는 토크에 따라 전류값이 달라지게 된다.
즉, 냉매 막힘과 누설의 경우 압축기에 걸리는 토크값이 서로 달라지게 되고 토크값에 따라 전류값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냉매의 막힘과 누설을 구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냉매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기 기동 시 초기 단계에서 순간적으로 전류값이 상승하면서 피크값을 가지게 되고, 압축기에 지속적으로 냉매 유입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토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전류값이 하강하는 패턴을 가지고 된다.
이에 따라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의 최대 값과 최소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커지게 된다.
그에 반해, 냉매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기의 초기 기동 순간부터 압축기에 걸리는 토크가 적어 일정한 전류값만 나타내게 되어 전류의 최대 값과 최소값의 차가 기준값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 기동 시 설정 시간 동안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의 최대 값과 최소값을 비교함으로써 냉매의 막힘과 누설을 구분지어 진단할 수 있다.
다음 공기 조화기는 제4조건값(D)이 제4기준값(Dr) 이하라고 판단되면 냉매 누설 불량으로 진단(618)하고, 표시부(342)에 냉매 누설 불량을 표시(619)한다.
반면, 공기 조화기는 제4조건값(D)이 제4기준값(Dr)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냉매 막힘 불량으로 진단(620)하고, 표시부(342)에 냉매 막힘 불량을 표시(621)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 기동 시 실외 온도, 실내 온도, 실내 열교환기 입출구를 이용하여 냉매의 막힘, 누설 발생을 1차적으로 진단하고, 압축기의 3상 전류를 이용하여 냉매의 막힘과 누설을 구분지어 2차적으로 진단한 후 진단 결과를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표시부를 통해 구분지어 표시함으로써 고장 원인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인지시켜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표시를 알려 주어 빠른 시간 내에 A/S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 누설 불량 또는 냉매 막힘 불량으로 진단 시 압축기를 오프 구동하여 압축기의 소손 및 기계적인 결함을 사전 방지할 수 있다.
100: 실외기 110: 압축기
120: 실외 열교환기 130: 팽창밸브
140: 실외팬 150: 실외 온도 검출부
160: 사방밸브 170: 어큐뮬레이터
180: 오일 분리기 200: 실내기
210: 실내 열교환기 220: 실내팬
230: 제1냉매 온도 검출부 240: 제2 냉매 온도 검출부
250: 실내 온도 검출부

Claims (10)

  1. 압축기가 마련된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에 마련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실내기에 마련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실외기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와, 상기 실내기의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온도와, 상기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의 온도 검출부는,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 검출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입추 측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냉매 온도 검출부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 측에 마련되어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냉매 온도 검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운전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를 비교하여 냉매의 정상 순환 및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정상 순환, 막힘 불량, 누설 불량을 구분지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압축기에 인가되는 검출된 전류를 확인하여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 값과 최소 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과 막힘 불량을 구분하는 공기 조화기.
  6. 압축기가 마련된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통해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기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 상기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입출구 측 온도 및 실내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실외 온도, 상기 실내 온도, 상기 실내 열교환기 입출구 온도 및 상기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하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미만이면 정상적인 냉매 순환으로 진단하고,
    상기 확인된 운전 주파수가 기준 주파수 이상이면 냉매 불량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적인 냉매 순환으로 지단되면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냉매 불량으로 순환으로 지단되면 상기 압축기를 오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누설 및 막힘 불량을 구분지어 진단하는 것은,
    상기 압축기 구동 중 검출된 전류를 확인하여 최대 값과 최소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최대 값에서 최소 값을 차감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누설 불량으로 진단하고,
    상기 차감한 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막힘 불량으로 진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고장 진단 방법.
KR1020140004678A 2014-01-14 2014-01-14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KR10231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78A KR102317340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CN201510016228.4A CN104776552B (zh) 2014-01-14 2015-01-13 空调及其故障诊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78A KR102317340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51A true KR20150084551A (ko) 2015-07-22
KR102317340B1 KR102317340B1 (ko) 2021-10-26

Family

ID=5361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678A KR102317340B1 (ko) 2014-01-14 2014-01-14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7340B1 (ko)
CN (1) CN104776552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3201A (zh) * 2016-06-13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故障检测方法和装置
CN107356444A (zh) * 2017-06-14 2017-1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变频空调器的测试方法及测试系统
WO2018143710A1 (ko) * 2017-02-03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458443A (zh) * 2018-03-20 2018-08-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09520082A (zh) * 2018-11-08 2019-03-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43729A (zh) * 2019-12-31 2020-04-21 上海世茂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封闭设备间的空调控制方法及空调控制装置
CN111664556A (zh) * 2020-05-07 2020-09-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热泵空调器的油温加热带控制方法、装置和热泵空调器
CN111765592A (zh) * 2020-06-30 2020-10-13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自检方法、计算机存储介质和车辆
KR20200138978A (ko) * 2019-06-03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실외기 제어방법
WO2021029500A1 (ko) * 2019-08-14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158494A (zh) * 2021-05-21 2021-07-23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热交换器虚实融合故障诊断方法及系统
KR102315586B1 (ko) * 2020-08-05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4322265A (zh) * 2017-08-31 2022-04-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能效计算方法
CN114413408A (zh) * 2020-10-28 2022-04-29 广东美的精密模具科技有限公司 空调器及其故障识别方法、识别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4992776A (zh) * 2022-07-13 2022-09-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的冷媒泄漏检测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295A (zh) * 2015-10-16 2015-12-16 杭州沈氏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05299841B (zh) * 2015-11-12 2018-04-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室外换热器的换热阀体的故障检测方法
CN105605739B (zh) * 2016-01-12 2018-09-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冷媒泄漏的监测方法和装置
CN105588285A (zh) * 2016-01-21 2016-05-18 青岛工学院 一种基于自诊断管路堵塞方法的空调器
CN105674507B (zh) * 2016-03-07 2018-08-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冷媒检测方法及装置
CN105953483B (zh) * 2016-04-25 2018-11-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室内机节流元件的失效检测方法
CN106091246B (zh) * 2016-06-14 2018-09-25 顺德职业技术学院 空调器远程控制运行故障判断方法
JP6269756B1 (ja) * 2016-09-02 2018-01-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6841906B (zh) * 2017-01-12 2019-09-1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冷热泵机组的压缩机接线识别方法及装置
CN207050172U (zh) * 2017-07-05 2018-02-27 瑞斯康微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空调制冷剂检测装置
CN107957122B (zh) * 2017-11-22 2020-08-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异常判断方法及装置
CN108131795B (zh) * 2017-12-19 2020-04-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03528A1 (ja) * 2018-06-29 2020-01-0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調管理システム、空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57369B (zh) * 2018-09-10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冷媒回收控制方法
CN109028459A (zh) * 2018-09-11 2018-12-1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以及空调器
CN110895023B (zh) * 2018-09-12 2021-02-26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冷媒泄漏检测方法及空调器
CN109357359A (zh) * 2018-11-06 2019-02-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故障预诊断的方法、装置和空调器
CN110486918A (zh) * 2019-08-27 2019-11-2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检测组件、控制方法及空调器
CN110542196B (zh) * 2019-09-16 2021-05-1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检测组件、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CN112611070B (zh) * 2020-12-28 2022-11-2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器制冷剂循环异常确定方法及空调器
CN115789859A (zh) * 2022-12-07 2023-03-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故障诊断方法、终端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068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냉매부족 검출방법
JP2007278584A (ja) * 2006-04-06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制御方法
KR20080047490A (ko) * 2006-11-25 200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464A (ko) * 2000-08-30 2002-03-07 구자홍 원격 고장 진단형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00524B2 (en) * 2004-05-06 2007-04-03 Carrier Corporation Sensor fault diagnostics and prognostics using component model and time scale orthogonal expansions
CN101576441B (zh) * 2009-06-03 2010-09-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空调故障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2123162A (zh) * 2010-12-21 2011-07-13 海尔集团公司 一种物联网洗衣机自动分类反馈故障信息的方法
CN202769873U (zh) * 2012-07-04 2013-03-06 海尔集团公司 一种用于空调的冷媒不足的判断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068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냉매부족 검출방법
JP2007278584A (ja) * 2006-04-06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制御方法
KR20080047490A (ko) * 2006-11-25 200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3201A (zh) * 2016-06-13 2016-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故障检测方法和装置
US10866005B2 (en) 2017-02-03 2020-12-15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with first and second abnormality diagnosis
WO2018143710A1 (ko) * 2017-02-03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356444A (zh) * 2017-06-14 2017-1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变频空调器的测试方法及测试系统
CN114322265A (zh) * 2017-08-31 2022-04-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能效计算方法
CN108458443B (zh) * 2018-03-20 2020-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08458443A (zh) * 2018-03-20 2018-08-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09520082A (zh) * 2018-11-08 2019-03-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38978A (ko) * 2019-06-03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실외기 제어방법
WO2021029500A1 (ko) * 2019-08-14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EP4001789A4 (en) * 2019-08-14 2022-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43729A (zh) * 2019-12-31 2020-04-21 上海世茂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封闭设备间的空调控制方法及空调控制装置
CN111043729B (zh) * 2019-12-31 2021-03-30 上海世茂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封闭设备间的空调控制方法及空调控制装置
CN111664556A (zh) * 2020-05-07 2020-09-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热泵空调器的油温加热带控制方法、装置和热泵空调器
CN111765592A (zh) * 2020-06-30 2020-10-13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自检方法、计算机存储介质和车辆
KR102315586B1 (ko) * 2020-08-05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4413408A (zh) * 2020-10-28 2022-04-29 广东美的精密模具科技有限公司 空调器及其故障识别方法、识别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3158494A (zh) * 2021-05-21 2021-07-23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热交换器虚实融合故障诊断方法及系统
CN113158494B (zh) * 2021-05-21 2023-05-09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热交换器虚实融合故障诊断方法及系统
CN114992776A (zh) * 2022-07-13 2022-09-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的冷媒泄漏检测方法、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76552A (zh) 2015-07-15
CN104776552B (zh) 2019-06-11
KR102317340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34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고장 진단 방법
CN107084494B (zh) 电子膨胀阀的故障检测方法、检测装置和多联式空调系统
US20100174412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EP1931022B1 (en) Refrigerating apparatus and an inverter device used therein
KR950014469B1 (ko) 공기조화기
US20140123685A1 (e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19179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51369A1 (en) Malfunction detection for fan or pump refrigerant system
KR101929854B1 (ko) 멀티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방법
EP1706683A2 (en) Loss of refrigerant charge and expansion valve malfunction detection
CN110388719B (zh) 中央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和装置
KR20100056204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매 누설 진단방법
CN112787565B (zh) 用于包括制冷剂泄漏缓解的hvac系统的冗余功率供给
CN109631384A (zh) 一种热泵系统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KR101629666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GB2564367A (en) Air-conditioning device
CN110542196A (zh) 用于空调器的检测组件、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JP2008039388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20140141127A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진단 제어 방법
JPH0719642A (ja) 冷媒加熱式空気調和機
JP2015161457A (ja) 空気調和機
JP2020165315A (ja) 空調機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空調機、空調機の制御方法および空調機の制御プログラム
JP4105413B2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06772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20050114111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의 밸브 고장검출장치 및 그고장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