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940A - 탭 척 - Google Patents

탭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940A
KR20150083940A KR1020140003237A KR20140003237A KR20150083940A KR 20150083940 A KR20150083940 A KR 20150083940A KR 1020140003237 A KR1020140003237 A KR 1020140003237A KR 20140003237 A KR20140003237 A KR 20140003237A KR 20150083940 A KR20150083940 A KR 2015008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ap
shock
connecting member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085B1 (ko
Inventor
피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메디
Priority to KR102014000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8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 means for adjustment
    • B23G5/14Tapping-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6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 B23B31/0261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for center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6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holding the threa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절삭 작업 중 공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탭 척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은,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탭 척{CHUCK FOR TAP}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탭 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 공정에 의해 형성된 홀의 내면에 나사 산을 형성하는 탭핑 공정의 가공 안정성과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탭 척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드릴링 머신은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드릴과 같은 절삭 공구를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면서 수직 운동을 하여 구멍을 뚫거나, 홈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공작 기계이다.
드릴링 머신을 사용하여 가장 많이 하는 중요한 작업은 드릴로 구멍을 뚫는 드릴링, 드릴로 뚫은 구멍을 리머로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리밍, 드릴로 뚫은 구멍을 넓히는 보링, 구멍의 안쪽에 암나사를 깎는 탭핑, 볼트나 나사를 박을 경우 머리 부분이 표면 속에 묻히거나 올바른 자리를 갖게 하기 위해 더 깊이 절삭해 내려가는 스폿페이싱(spot facing),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 카운터보링(counter boring) 등이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가공을 위한 공구를 드릴링 머신에 고정하기 위해 공구 척이 사용되는데,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4145호에 개시된 탭 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탭 척(10)은 콜릿 수용부(30), 콜릿 수용부(30)의 내측에 체결되어 탭 공구(T)를 고정하는 콜릿(50), 콜릿(50)을 가압하여 탭 공구(T)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70)로 구성된다.
이는, 탭 공구(T)가 회전시 흔들려서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나, 탭 공구(T)가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탭 공구(T)는 절삭 공정 중 절삭 대상이 모재에 의해 수시로 변화하는 충격을 받게 되는데, 종래 탭 척(10)은 이러한 충격의 흡수를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탭 공구(T)의 망실 및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되고 있다.
여기서, 탭 공구(T)의 파손 및 제품의 가장 큰 불량 원인이 되는 탭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은 1) 탭 가공을 위해서는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지 못하고,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탭 공구(T)의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offset) 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2) 탭 공구(T)의 길이 방향과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 지는 경우, 3) 탭 공구(T)의 회전속도(스핀들 속도)와 진행속도(Z축 이송속도)간의 동기제어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이다.
특히 3)의 경우는 탭 가공공정 중에서 탭 공구(T)가 홀에 진입하여 탭 가공을 완료하는 시점(감속구간)과 탭 가공을 완료한 후 홀에서 탭 공구(T)를 이탈시키기 위해 탭 공구(T)가 역회전을 시작하는 시점(가속구간)에서 주로 발생하는 문제로서 이 문제의 발생 여부는 탭 공구(T)의 회전속도와 진행속도를 동기 제어하는 제어기의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즉, 고가인 고성능의 제어기인 경우는 동기제어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저성능의 제어기일 경우에는 동기제어 속도를 높일 수가 없는데 이것은 전체적으로 탭 가공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개시는 탭 공정 중 탭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 수단이 구비되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탭 공정 중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 사이의 가공 오차(예: 오프셋, 경사)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탭 공구(T)의 회전속도(스핀들 속도)와 진행속도(Z축 이송속도)간의 비동기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 수단이 구비되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은,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되,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각각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공구의 반경방향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1 충격 완화부;와,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2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되어, 상기 충격 완화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고리모양의 판 스프링을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각각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의하면, 탭 척과 드릴 홀의 중심축이 어긋나 있거나, 탭 척에 대해 드릴 홀이 비스듬하게 되어 있어도 탭 척의 반경방향으로의 중심축 이동 메카니즘에 의해 탭과 드릴 홀 중심축을 일치시켜줌으로써 탭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탭 가공 충격 완화부에 의해 탭 가공이 최저점에 도달하기 완료되기 직전과 드릴홀로부터 탭의 이탈을 위해 탭이 역회전을 시작하는 시점과 같이 탭의 회전과 진행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회전속도와 진행속도 간의 비동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흡수되어 완화되므로, 공구의 파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구 수명을 연장시키고 가공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4145호에 개시된 탭 척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2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탭 척의 일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탭 척의 다른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4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100)는 공구(T),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충격 완화부(130)를 포함한다.
공구(T)는 탭(Tap)으로 구비된다. 이 외에, 드릴 공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공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바디(110)는 공구(T)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면은 평평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공구(T)는 제1 바디(110)의 하부에 결합 된다. 공구(T)의 착탈을 위해 제1 바디(110)에는 콜릿이 구비될 수 있다. 콜릿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배경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 바디(110)의 상면과 평행한 하면을 가지는 제2 바디(120)가 구비된다.
한편,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충격 완화부(130)에 의해 결합 된다.
충격 완화부(130)는 제1 바디(110)의 상면과 제2 바디(12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충격 완화부(13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서 제1 바디(110)의 상면과 제2 바디(120)의 하면에 결합 된다. 이에 의해 충격 완화부(130)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가능하게 된다.
충격 완화부(130)는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고리형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충격 완화부(130)는 제1 바디(110)의 상부와 제2 바디(120)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는 설정된 굽힘 강도를 가지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제1 바디(110)의 상부와 제2 바디(120)의 하부에 결합 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충격 완화부(130)의 굽힘 탄성 강도가 너무 큰 경우 탄성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본 개시에 따른 목적 달성에 어려움이 발생 되며, 굽힘 탄성 강도가 너무 작은 경우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너무 쉽게 변형이 발생 되어 가공오차 및 가공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최적의 탄성 강도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충격 완화부(130)와 제1 바디(110)의 결합은 둘 사이에 설정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또한 충격 완화부(130)와 제2 바디(120)의 결합도 둘 사이에 설정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은 충격 완화부(130)의 변형을 위한 공간으로서, 실험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설정된 간격은 제1 바디(110)와 충격 완화부(130) 사이, 제2 바디(120)와 충격 완화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와 같이, 충격 완화부(130)와 제1 바디(1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바디(120)의 하면에는 그 결합방향, 즉 탭 공구(T)의 길이방향으로 홈(120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격 완화부(130)와 제2 바디(12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1 바디(110)의 상면에도 같은 방식의 홈(11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설정된 간격을 줄이더라도 제2 바디(120)의 하면에 형성된 홈(120a)과 제1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홈(110a)에 의해 충격 완화부(130)의 탄성변형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로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탭 척(100)에 의한 공작과정, 특히 탭 가공에서의 공구(T)의 회전속도(Vθ)와 공구(T)의 길이방향 이송속도(Vz) 사이의 관계를 보인 선도이다.
기본적으로 탭의 피치를 p라고 하였을 때, 이송속도(Vz)는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과 일치하여야 한다. 이들이 서로 다른 경우, 공구에 외력이 가해지며 이는 공구의 진동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구(T)와 가공 대상인 모재의 접촉 순간부터 일정시간(Ta) 동안 공구(T)와 모재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공구(T)의 회전속도(Vθ)가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속도(Vz)를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과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제어동작이 요구된다.
본 예에 따른 탭 척의 메카니즘은 이러한 이송속도(Vz)와,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의 오차를 보상시켜줌으로서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거하여 공구(T)의 파손을 방지하고 탭 가공속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탭 가공이 완료되어 감에 따라 일정시간(Td) 동안 공구(T)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소하게 되며, 공구(T)의 회전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공구(T)의 이송속도도 공구(T)의 회전속도와 피치의 곱에 대응되도록 감소 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이 역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구(T)의 파손 및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며, 충격 완화부(130)는 이 경우 공구(T)에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공구(T)를 파손시키는 외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기존의 탭 척인 경우 공구(T)의 회전속도와 이송속도의 정확한 동기제어를 위해 일정 범위 내에서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본 개시의 탭 척을 적용할 경우에는 정확한 동기제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탭 가공속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2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2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연결부재(240)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재(2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재(240)는 제2 바디(220)와 충격 완화부(230) 사이에 개재된다.
충격 완화부(230)는 연결부재(240)의 하부와 제1 바디(210)의 상부에 양측이 각각 결합 된다.
또한, 연결부재(240)는 제2 바디(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220)의 하부에서 돌출된 축이 연결부재(240)에 형성된 홀에 결합 된다.
이에 의하면, 연결부재(240) 또는 제1 바디(21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제2 바디(220)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도 2의 (b)와 같은 원리로, 충격 완화부(230)와 제1 바디(210)의 간격 및 충격 완화부(230)와 연결부재(240)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제1 바디(210)와 연결부재(240)에 각각 충격 완화부(230)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탭 척의 일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탭 척의 다른 작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3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연결부재(340)가 더 구비되는 점, 충격 완화부(330)가 제1 충격 완화부(331) 및 제2 충격 완화부(332)로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40)와 제1 충격 완화부(331) 및 제2 충격 완화부(33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바디(320)와 제1 바디(310) 사이에는 제2 충격 완화부(332), 연결부재(340), 제1 충격 완화부(331)가 순차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충격 완화부(332)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제2 바디(320)의 하부 및 연결부재(34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1 충격 완화부(331)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연결부재(340)의 하부 및 제1 바디(3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에 의해, 가공과정에서 발생 되는 공구(T)에 대한 다양한 크기의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의 (b)와 같은 원리로, 제2 바디(320)의 하부 및 연결부재(340)에는 제2 충격 완화부(332)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해 홈(미도시)이 형성되며, 또한 연결부재(340)와 제1 바디(310)의 상부에는 제1 충격 완화부(331)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해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a)는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지 못하고,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탭 공구(T)의 반경 방향으로 d 만큼 오프셋(offset) 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b)와 같이 홀 가공 오차 또는 위치결정 오차에 의해 발생된 오프셋(offset)에 대해 탭 공구(T)가 모따기면(C)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가 변형되어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a)는 탭 공구(T)의 길이 방향과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못하고 θ만큼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b)와 같이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의 변형에 의해,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탭 공구(T)가 자연스럽게 θ만큼 경사지게 구비된다.
다만, 여기서 설명되는 오프셋 d와 경사 θ는 홀 가공 오차 또는 위치결정 오차 수준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은 탭 공구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 사이의 이러한 가공오차 수준의 것에 의해 탭 공구(T)가 파손 되거나 가공 불량이 발생 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4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4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차폐부재(450) 및 탄성 지지부재(453)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폐부재(450) 및 탄성 지지부재(45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450)는 제1 충격 완화부(431), 연결부재(440), 제2 충격 완화부(432)를 차폐하도록 구비된다.
차폐부재(450)는 제2 바디(420)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제1 바디(410)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된다.
차폐부재(450)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재(450)는, 제1 충격 완화부(431), 연결부재(440) 및 제2 충격 완화부(432)의 결합에 의한 복잡한 구조로 인한 외관 손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450)와 제1 바디(410)의 측면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45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탄성 지지부재(453)는 제1 충격 완화부(431)와 제2 충격 완화부(432)에 의한 충격 흡수를 보완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의 예와 같이 탭 공구(T)가 제1 충격 완화부(431)와 제2 충격 완화부(43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오프셋(offset) 또는 경사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됨을 밝혀둔다.

Claims (8)

  1.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탭 척.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되,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각각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공구의 반경방향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1 충격 완화부;와,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2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되어, 상기 충격 완화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고리모양의 판 스프링을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각각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KR1020140003237A 2014-01-10 2014-01-10 탭 척 KR10156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ko) 2014-01-10 2014-01-10 탭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ko) 2014-01-10 2014-01-10 탭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40A true KR20150083940A (ko) 2015-07-21
KR101569085B1 KR101569085B1 (ko) 2015-11-13

Family

ID=5387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ko) 2014-01-10 2014-01-10 탭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22A1 (ko) * 2021-10-25 2023-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량화 및 제진 가능한 공구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공작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37B1 (ko) 2022-01-24 2024-01-15 (주)서강정밀 센터 정위치 잡기용 탭 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22A1 (ko) * 2021-10-25 2023-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량화 및 제진 가능한 공구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공작 기계
KR20230059852A (ko) * 2021-10-25 2023-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량화 및 제진 가능한 공구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공작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085B1 (ko)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6977A1 (en) Machine Tool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KR101569085B1 (ko) 탭 척
CN102271846A (zh) 包括可调的板元件的加工工具
EP1977854A1 (en) Combined machining lathe
KR20160072390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척
JP2010064228A (ja) レスト装置を備える工作機械およびレスト装置を用いる加工方法
JP2009262307A (ja) ボーリング工具
CN110860708B (zh) 一种可调式抗震镗削刀具
JP2008290167A (ja) 切削加工装置
JP3113605B2 (ja) 回転工具固定装置及びネジ山形成方法
CN208374287U (zh) 非标准球轴承油孔模具
CN208162648U (zh) 一种高精度加工车床
KR101963780B1 (ko) 정밀 편심 부싱 보링 툴
JP4426407B2 (ja) 切削加工装置
CN103317164A (zh) 一种数控机床用非加工平面钻孔倒角器
US2547522A (en) Floating toolholder
KR102390169B1 (ko) 순차적인 절삭팁을 가진 쐐기 형태의 블레이드가 부착된 밀링커터
US9427810B2 (en) Tool holder
KR20090066474A (ko) 자동공구교환장치 암의 그립퍼 클램핑 장치
JP4621569B2 (ja) 旋盤における主軸交叉内周の加工方法
KR101733974B1 (ko) 선반용 다이스와 탭 가공용 안전토크 툴
JP4534687B2 (ja) 工具クランプ機構、工作機械
KR100394673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구조
WO2011135958A1 (ja) 工具のびびり防止装置
JP5251063B2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