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661A - 약제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661A
KR20150083661A KR1020140003475A KR20140003475A KR20150083661A KR 20150083661 A KR20150083661 A KR 20150083661A KR 1020140003475 A KR1020140003475 A KR 1020140003475A KR 20140003475 A KR20140003475 A KR 20140003475A KR 20150083661 A KR20150083661 A KR 2015008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edicine
hopper
packaging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202B1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4000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2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는 고정 프레임과, 제1,2 포장모듈,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은 약제들을 종류별로 각각 수용한 약제카트리지들을 상측 공간에 수납한다. 제1 포장모듈은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제2 포장모듈은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제1 포장모듈과 나란히 배치되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분배 유닛은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1회 복용 분량 단위로 제1 포장모듈과 제2 포장모듈로 분배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장치{Medicine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처방에 따라 약제를 자동으로 조제해서 포장할 수 있는 약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약조제자의 수작업에 의한 약제 포장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약제 포장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약제 포장장치는 상부에 다수의 약제카트리지들이 다단으로 배열된다. 약제카트리지들에는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제가 종류별로 수납된다.
약조제자가 컴퓨터에 처방에 따른 조제 명령을 입력하면, 조제 명령에 따라 선택된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약제들이 배출된다. 이때, 약제는 1회 복용분량 단위로 호퍼에 집결될 수 있다. 이후, 약제 포장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포장모듈은 호퍼로부터 약제를 1회 복용 분량씩 공급받아 포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의 포장모듈은 고장나면, 수리 또는 교체 시간 동안 약제 포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조제를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포장모듈에 의해 약제가 포장되는 동안, 뒤이어 포장되는 약제는 호퍼 내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조제 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5117호(2004.04.01,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조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조제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약제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는 고정 프레임과, 제1,2 포장모듈, 및 분배 유닛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은 약제들을 종류별로 각각 수용한 약제카트리지들을 상측 공간에 수납한다. 제1 포장모듈은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제2 포장모듈은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제1 포장모듈과 나란히 배치되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분배 유닛은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1회 복용 분량 단위로 제1 포장모듈과 제2 포장모듈로 분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포장모듈 중 어느 한쪽의 포장모듈이 고장나서 수리 또는 교체하는 동안 다른 쪽의 포장모듈을 동작시켜 약제를 포장할 수 있으므로, 쉬지 않고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포장모듈 중 어느 한쪽에 약제를 공급해서 포장하는 동안 다른 쪽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약제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조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포장모듈을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1,2 포장모듈에 대해 포장지를 동시에 교체한 후 다음 교체할 때까지의 교체 주기가 2배로 증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1 포장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밀봉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제1 포장모듈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분배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포장모듈의 인출입시 제1 수 커넥터와 제1 암 커넥터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포장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1 포장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밀봉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제1 포장모듈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분배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약제 포장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과, 제1 포장모듈(120)과, 제2 포장모듈(130), 및 분배 유닛(140)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10)은 상측 공간에 약제카트리지(101)들을 수납한다. 예컨대, 약제카트리지(101)들은 고정 프레임(110)의 상측 공간에 복수 단으로 수납될 수 있다. 약제카트리지(101)들은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제들을 종류별로 각각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약제카트리지(101)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카트리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에는 약제들이 수용된다. 카트리지 베이스에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는 처방 신호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의 토출구를 개방시키도록 개폐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약제 포장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포장모듈(120)은 고정 프레임(110)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어 약제카트리지(10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제2 포장모듈(130)은 고정 프레임(110)의 하측 공간에 제1 포장모듈(120)과 나란히 배치되어 약제카트리지(10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한다. 제1 포장모듈(120)과 제2 포장모듈(130)은 약제 포장장치(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모듈(120)은 포장 호퍼(121)와, 한 쌍의 포장지 공급기구(122)들과, 밀봉기구(123), 및 배출기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 호퍼(121)는 분배 유닛(140)에 의해 분배된 약제를 공급받는다. 포장 호퍼(121)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에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약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 호퍼(121)는 포장대(116)에 지지될 수 있다. 포장대(116)는 포장지 공급기구(122)들과 밀봉기구(123) 및 배출기구(124)를 지지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122)들은 포장 호퍼(121)의 하측으로 포장지(P)를 각각 공급해서 포장 호퍼(121)의 하측에서 포장지(P)들이 모아지게 한다. 각각의 포장지 공급기구(122)는 포장지(P)가 권취된 포장지 공급 롤(122a)과, 포장 호퍼(121)의 하측으로 포장지(P)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포장지 가이드 롤(12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 롤(122a)은 포장지(P)의 인출 장력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장지 공급 롤(122a)에는 엔코더(encoder) 등과 같은 회전수 검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지 공급 롤(122a)에는 브레이크 모터 등과 같은 장력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모터는 엔코더에 의해 검출되는 포장지 공급 롤(122a)의 회전수에 따라 포장지 공급 롤(122a)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조절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포장지 공급 롤(122a)로부터 인출되는 포장지(P)의 인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122)의 가이드 롤(122b)들은 포장지(P)들이 밀봉기구(123)의 입구 쪽에서 V자 형태로 모아져 하강하도록 포장지(P)들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122)들에 의해 포장지(P)가 포장 호퍼(121)의 하측으로 각각 공급되기 전에, 포장지(P)는 프린터(126)의 인쇄 헤드(126a)에 의해 인쇄 리본(R)과 열 접촉되어 외면에 복용시간과 복용법 등의 각종 서지사항이 인쇄될 수 있다. 프린터(126)는 인쇄 리본(R)을 공급하는 리본 공급 롤(126b)과 인쇄 리본을 회수하는 리본 회수 롤(126c)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헤드(126a)는 인쇄 가이드 롤(126d)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인쇄 헤드(126a)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선형 왕복하거나 피벗 동작하면서 인쇄 가이드 롤(126d)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122)들 쪽에 프린터(126)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프린터는 컬러 인쇄를 적용하여 포장지(P)에 조제 약제의 유통기한을 표시하면 추후 약제 유통기한 관리 및 폐기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물론, 포장지 공급기구(122)들 중 어느 한쪽에 프린터(126)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밀봉기구(123)는 포장 호퍼(121)로부터 포장지 공급기구(122)들에 의해 공급된 포장지(P)들 사이로 1회 복용분량 단위로 투입된 약제를 1포씩 약포 형태로 밀봉한다. 밀봉기구(123)는 입구가 포장 호퍼(121)의 배출구에 대응되게 포장 호퍼(121)의 하측에 배치된다. 밀봉기구(123)는 한 쌍의 히팅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롤러들은 포장지들을 끼운 상태에서 히팅롤러 구동부에 의해 회전한다.
각각의 히팅롤러는 제1,2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롤러들의 제1 밀봉부들은 연속적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포장지(P)들에 열을 가해 포장지(P)들의 양쪽 가장자리를 밀봉할 수 있다. 히팅롤러들의 제2 밀봉부들은 설정된 1회 복용 분량에 해당하는 1포 단위로 간헐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포장지(P)들에 열을 가해 포들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히팅롤러들의 제1 밀봉부들은 포장지(P)들에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밀봉기구(123)로부터 배출되는 약포(B)는 커터(미도시)에 의해 1일 분량 또는 수일 분량 등으로 절단될 수 있다.
배출기구(124)는 밀봉기구(123)로부터 약포(10)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기구(124)는 배출 롤러(124a)들과 컨베이어(124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의 측면에 약포 배출구(111)가 형성된 경우, 배출 롤러(124a)들은 밀봉기구(123)로부터 배출되는 약포(B)를 방향 전환시켜 약포 배출구(111)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배출 롤러(124a)들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배출 롤러(124a)들은 회전축 둘레에 스펀지 재질 등으로 감싸져 약포(B)를 완충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124b)는 배출 롤러(124a)들에 의해 방향 전환된 약포(B)를 상면에 얹어서 약포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기구(124)는 컨베이어(124b)를 포함하지 않고, 약포(B)를 상면에 얹어서 약포 배출구(122)로 안내하는 가이드 판과 가이드 판의 상면에 얹어진 약포(B)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포장모듈(130)은 제1 포장모듈(1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포장모듈(120)(130)은 고정 프레임(110)의 하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각각 인출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2 포장모듈(120)(130)은 약제 포장장치(100)의 전방으로 선형 이동되어 인출된 후 분리될 수 있다. 제1,2 포장모듈(120)(130)의 각 포장대(116)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117)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117)는 포장대(1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에는 슬라이더(117)를 전후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11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2)은 전단을 통해 슬라이더(117)가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포장모듈(120)(130)은 전방으로 선형 이동되어 인출된 후 분리될 수 있다.
분배 유닛(140)은 약제카트리지(10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1회 복용 분량 단위로 제1 포장모듈(120)과 제2 포장모듈(130)로 분배한다. 분배 유닛(140)은 분배 호퍼(141) 및 셔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분배 호퍼(141)는 회전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수직 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할 수 있다. 분배 호퍼(141)는 하측에 약제 배출부(142)를 구비한다. 약제 배출부(142)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분배 호퍼(141)의 하측에 경사져 연결될 수 있다. 약제 배출부(142)는 상부 개구를 통해 약제를 공급받아 하부 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분배 호퍼(141)는 회전함에 따라 약제 배출부(142)가 제1,2 포장모듈(120)(130)로 약제를 각각 분배하는 제1,2 분배 위치 및 약제를 회수하는 회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회수 위치는 제1,2 분배 위치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회수 위치에는 회수 호퍼(150)가 위치되며 회수 호퍼(150)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는 회수함(151)에 저장될 수 있다.
셔터(143)는 약제 배출부(142)를 개폐한다. 분배 호퍼(141) 내에 1회 복용 분량의 약제가 저장되면, 셔터(143)는 분배 호퍼(141)의 약제 배출부(142)를 개방시켜 분배 호퍼(141) 내에 저장된 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셔터(143)는 분배 호퍼(141)의 약제 배출부(142)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셔터 부재와, 셔터 부재를 이동시키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부재가 수평으로 선형 이동하면서 약제 배출부(14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경우, 셔터 구동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부재가 피벗 동작하면서 약제 배출부(14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경우, 셔터 구동부는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유닛(140)에 의하면, 분배 호퍼(141)로 1회 복용 분량씩 공급되는 약제는 약제 배출부(142)가 제1,2 분배 위치로 이동한 후 개방됨에 따라 제1,2 포장모듈(120)(130)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분배 호퍼(140)로 공급된 약제에 조제 오류가 있을 경우, 약제 배출부(142)가 회수 위치로 이동한 후 개방됨에 따라 회수 호퍼(150)를 통해 약제를 회수 처리할 수 있다.
분배 호퍼(140)의 상측에는 약제 포집 부재(102)가 설치될 수 있다. 약제 포집 부재(102)는 약제카트리지(101)들로부터 낙하하는 약제들을 포집해서 분배 호퍼(140)로 이송 안내한다. 약제 포집 부재(102)는 상부 개구를 통해 약제카트리지(10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내부 공간으로 공급받아서 하부 개구를 통해 분배 호퍼(141)로 배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 유닛(140)의 하측에는 분배 유닛(140)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수를 카운팅하는 계수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계수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는 계수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분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개수가 설정 개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계수센서는 광학식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약제 포장장치(100)에 의하면, 제1,2 포장모듈(120)(130) 중 어느 한쪽의 포장모듈이 고장나서 수리하는 동안 다른 쪽의 포장모듈을 동작시켜 약제를 포장할 수 있다. 게다가, 제1,2 포장모듈(120)(130)은 전방으로 각각 인출되어 분리 가능하게 된 경우, 제1,2 포장모듈(120)(130) 중 어느 한쪽의 포장모듈이 고장나는 경우, 정상적인 포장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안에도 고장난 포장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포장장치(100)는 쉬지 않고 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약제 포장장치(100)에 의하면, 제1,2 포장모듈(120)(130) 중 어느 한쪽에 약제를 공급해서 포장하는 동안 다른 쪽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약제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제 정보를 나눠서 아침에 복용할 약제는 제1 포장모듈(120)에 의해 포장하고 저녁에 복용할 약제는 제2 포장모듈(130)에 의해 포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약제 포장장치(100)에 의하면, 하나의 포장모듈을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1,2 포장모듈(120)(130)에 대해 포장지(P)를 동시에 교체한 후 다음 교체할 때까지의 교체 주기가 2배로 증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약제 포장장치(100)는 분배 유닛(140) 내에 1회 복용분량으로 저장된 약제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기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기기(160)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전기기(160)는 분배 호퍼(141) 내에 저장된 약제의 형태와 색상을 촬영해서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전기기(16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분배 호퍼(141) 내의 약제가 정상적으로 조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분배 호퍼(141) 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나, 정제와 같은 약제에 크랙이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제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셔터(143)에 의해 분배 호퍼(141)의 약제 배출부(142)를 개방시켜 분배 호퍼(141) 내의 약제를 제1 포장모듈(120) 또는 제2 포장모듈(13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만일, 제어부는 조제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약제 배출부(142)를 회수 호퍼(150)로 이동시켜 조제오류 상태의 약제를 회수 처리할 수 있다.
제1,2 포장모듈(120)(130)은 배출기구(124)에 의해 배출되는 약포(B)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기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기기(170)는 약포(B) 내의 약제의 형태와 색상 등을 촬영해서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전기기(17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기초로 약포(B) 내의 약제가 정상적으로 조제되어 있는지 여부나, 약포(B) 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나, 정제와 같은 약제에 크랙이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전기기(170)는 약포(B) 외면에 복용시간과 복용법 등의 각종 서지사항이 인쇄된 부분을 촬영해서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전기기(17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보와 비교해서, 인쇄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비전기기는 약포 외면에 인쇄된 바코드를 촬영해서 제어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비전기기(170)에 의해 촬영된 바코드에 의해 약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바코드가 인식되지 않거나 하면, 바코드의 인쇄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포장모듈(120)과 고정 프레임(110) 중 어느 한쪽에는 제1 수 커넥터(181)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제1 암 커넥터(186)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포장모듈(120)에 제1 수 커넥터(181)가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110)에 제1 암 커넥터(18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 커넥터(181)는 제1 포장모듈(120)에 마련된 서브 제어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제어기판은 제1 포장모듈(120)에 마련된 포장지 공급기구(122), 밀봉기구(123), 배출기구(124), 프린터(126)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암 커넥터(186)는 약제 포장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메인 제어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약제 포장장치(100)의 본체는 제1,2 포장모듈(120)(130)을 제외한 파트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모듈(120)이 고정 프레임(110)의 하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 수 커넥터(181)는 제1 암 커넥터(186)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 커넥터(181)와 제1 암 커넥터(186)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제어기판과 서브 제어기판 간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모듈(120)이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1 수 커넥터(181)는 제1 암 커넥터(186)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 커넥터(181)와 제1 암 커넥터(186)는 제1 포장모듈(120)의 인출입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포장모듈(120)의 교체시 약제 포장장치(100)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포장모듈(130)과 고정 프레임(120) 중 어느 한쪽에는 제2 수 커넥터(182)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제2 암 커넥터(187)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 커넥터(182)는 제1 수 커넥터(181)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제2 암 커넥터(187)는 제1 암 커넥터(186)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 커넥터(182)와 제2 암 커넥터(187)는 제2 포장모듈(130)의 인출입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포장모듈(130)의 교체시 약제 포장장치(100)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모듈(220)은 포장 호퍼(121)의 하측으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기구(222)와, 포장지 공급기구(222)로부터 포장지(P)를 공급받아 포장 호퍼(121)의 하측에서 상부가 개구되게 포장지(P)의 폭을 반으로 접는 절곡부재(225)와, 포장 호퍼(121)로부터 절곡부재(225)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지(P) 내에 1회 복용분량 단위로 투입된 약제를 1포씩 약포 형태로 밀봉하는 밀봉기구(223), 및 밀봉기구(223)로부터 약포(B)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222)는 전술한 예의 포장지 공급기구(12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절곡부재(225)는 역삼각형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봉기구(223)는 히팅롤러의 제1 밀봉부들이 연속적으로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포장지(P)에 열을 가해 포장지(P)의 상부 개구를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히팅롤러들의 제2 밀봉부들은 설정된 1회 복용 분량에 해당하는 1포 단위로 간헐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포장지(P)에 열을 가해 포들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배출기구(224)는 배출 롤러(224a)들과 컨베이어(224b)를 포함하여 약포(B)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포장지 공급기구(222)에 의해 포장지(P)가 포장 호퍼(121)의 하측으로 각각 공급되기 전에, 포장지(P)는 프린터(226)에 의해 외면에 복용시간과 복용법 등의 각종 서지사항이 인쇄될 수 있다. 프린터(226)는 전술한 예의 프린터(126)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포장모듈은 제1 포장모듈(22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고정 프레임 120,220..제1 포장모듈
130..제2 포장모듈 140..분배 유닛
141..분배 호퍼 150..회수 호퍼

Claims (9)

  1. 약제들을 종류별로 각각 수용한 약제카트리지들을 상측 공간에 수납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제1 포장모듈;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상기 제1 포장모듈과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공급받아 포장하는 제2 포장모듈; 및
    상기 약제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1회 복용 분량 단위로 상기 제1 포장모듈과 상기 제2 포장모듈로 분배하는 분배 유닛;
    을 포함하는 약제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포장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각각 인출되어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모듈과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는 제1 수 커넥터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제1 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포장모듈의 인출입시 상기 제1 수 커넥터와 제1 암 커넥터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 포장모듈과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는 제2 수 커넥터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제2 암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포장모듈의 인출입시 상기 제2 수 커넥터와 제2 암 커넥터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포장모듈의 각각은,
    상기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약제를 공급받는 포장 호퍼와,
    상기 포장 호퍼의 하측으로 포장지를 각각 공급해서 상기 포장 호퍼의 하측에서 포장지들이 모아지게 하는 한 쌍의 포장지 공급기구들과,
    상기 포장 호퍼로부터 상기 포장지 공급기구들에 의해 공급된 포장지들 사이로 1회 복용분량 단위로 투입된 약제를 1포씩 약포 형태로 밀봉하는 밀봉기구, 및
    상기 밀봉기구로부터 약포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포장모듈의 각각은,
    상기 분배 유닛에 의해 분배된 약제를 공급받는 포장 호퍼와,
    상기 포장 호퍼의 하측으로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기구와,
    상기 포장지 공급기구로부터 포장지를 공급받아 상기 포장 호퍼의 하측에서 상부가 개구되게 포장지의 폭을 반으로 접는 절곡부재와,
    상기 포장 호퍼로부터 상기 절곡부재에 의해 반으로 접힌 포장지 내에 1회 복용분량 단위로 투입된 약제를 1포씩 약포 형태로 밀봉하는 밀봉기구, 및
    상기 밀봉기구로부터 약포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포장모듈은,
    상기 배출기구에 의해 배출되는 약포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회전함에 따라 약제 배출부가 상기 제1,2 포장모듈로 약제를 각각 분배하는 제1,2 분배 위치 및 약제를 회수하는 회수 위치로 이동하는 분배 호퍼, 및
    상기 약제 배출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 내에 1회 복용분량으로 저장된 약제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의 수를 카운팅하는 계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장치.
KR1020140003475A 2014-01-10 2014-01-10 약제 포장장치 KR10157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75A KR101576202B1 (ko) 2014-01-10 2014-01-10 약제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75A KR101576202B1 (ko) 2014-01-10 2014-01-10 약제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661A true KR20150083661A (ko) 2015-07-20
KR101576202B1 KR101576202B1 (ko) 2015-12-09

Family

ID=5387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475A KR101576202B1 (ko) 2014-01-10 2014-01-10 약제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2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7964A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松尾製作所 除包システム
KR20180106085A (ko) * 2017-03-17 2018-10-01 (주)크레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102377057B1 (ko) * 2021-04-16 2022-03-21 이수환 홈케어용 영양제 조제기
WO202321473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750B1 (ko) * 2018-08-14 2019-03-04 이선준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KR102357494B1 (ko) * 2019-12-12 2022-02-04 김미정 약제 배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7964A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松尾製作所 除包システム
KR20180106085A (ko) * 2017-03-17 2018-10-01 (주)크레템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102377057B1 (ko) * 2021-04-16 2022-03-21 이수환 홈케어용 영양제 조제기
WO202321473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202B1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202B1 (ko) 약제 포장장치
JP6258038B2 (ja)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KR102140447B1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JP6263535B2 (ja) 1用量の固形薬品ポーションを貯蔵及び吐出するための貯蔵及び用量分割ステーション
EP2067699B2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medicine packaging method
US7395944B2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CN107499544B (zh) 药物包装设备
KR101522006B1 (ko) 겔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장치
JP6097397B2 (ja) 移動式収集コンテナ及び用量分割ステーションを備える、1用量の固形薬品ポーション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KR20180025856A (ko)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CN117897339A (zh) 用于将离散药剂包装在袋中的方法和包装装置
WO2000035754A1 (fr) Procede et systeme de dosage electronique de medicaments traditionnels chinois a base de plantes
KR101544185B1 (ko) 약제 포장장치의 약포 배출모듈
KR101971089B1 (ko) 봉지약 공급장치
KR101877248B1 (ko) 약제 자동 포장기
CN211810434U (zh) 一种药剂包装装置的药包输出机构
KR102346557B1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2346558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의 커버 부착기
KR200383062Y1 (ko) 단자식 조제용 약 포장기
JP7413743B2 (ja) 薬剤一包化パック搬送装置
KR101566974B1 (ko) 약제 포장장치
JP2004203432A (ja) 薬剤供給装置
CN115087419A (zh) 药剂识别装置以及药剂识别方法
CN103619709A (zh) 药剂包装装置
KR20180117587A (ko) 약제 포장 불량 감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