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856A -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856A
KR20180025856A KR1020177035346A KR20177035346A KR20180025856A KR 20180025856 A KR20180025856 A KR 20180025856A KR 1020177035346 A KR1020177035346 A KR 1020177035346A KR 20177035346 A KR20177035346 A KR 20177035346A KR 20180025856 A KR20180025856 A KR 2018002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outlet
inlet
medicament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기쿠치
데루아키 사토
야마바야시 다카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02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 B65B39/005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transverse to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5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single articles, e.g.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Abstract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부 본체와,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약제를, 약제를 포장하는 포재로 인도하는 약제 통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통로부는, 약제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와, 약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본 발명은,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 또는, 약제를 통과시키는 약제 통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 공급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제 분포기에 구비된 것이 있다. 이 약제 공급 장치에는, 약제를 통과시키는 약제 통로부(약제 통로 장치)가 구비된다.
약제 통로부에 있어서, 원하지 않은 간극이 있으면, 이 간극을 통하여 약제 통로부로부터 약제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약제가 누출되면, 예를 들면, 처방대로의 분포를 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약제 통로부가 복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질 경우, 원하지 않은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복수의 구성 부품간의 거리는 엄밀하게 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복수의 부품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은, 수고를 요한다.
일본공개특허 평 7-10102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약제 통로부의 복수의 구성 부품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 또는 약제 통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에 관한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부 본체와,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약제를, 약제를 포장하는 포재에 인도하는 약제 통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통로부는,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약제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이면서, 또한, 상기 포재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약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의 일례에 관한 약제 통로 장치는, 약제를 통과시키는 약제 통로 장치로서, 약제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약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하 가동 범위의 도중에, 상기 출구부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접속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로부터 현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상기 출구부는, 상기 연통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포재 상방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에 외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되고, 상기 출구부에 내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연통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연통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입구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부와 상기 출구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출구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연통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약제 통로부(약제 통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약제 통로부를 나타낸 전후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의 약제 통로부 중에서 하부를 나타낸,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통로 장치를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는, 약제(M)를 포장하는 포재인 포장용 시트(3)와 커버 시트(4)를 사용하여 약제(M)를 자동적으로 포장함으로써, 약제 포장체(P)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약제 포장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용 시트 유지부(11), 포장용 시트 공급부(12), 오목부 형성부(13), 약제 공급부 본체(14), 약제 통로부(15), 커버 시트 유지부(16), 커버 시트 공급부(17), 커버 시트 접착부(18), 절단부(19), 인쇄부(20)를 구비한다. 각 부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포장용 시트 유지부(11)는 평탄한 포장용 시트(3)를 유지한다. 포장용 시트(3)는, 수지 시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시트(3)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의 수지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포장용 시트(3)는 장척(長尺) 밴드형이며, 권취된 롤형체(3a)의 상태에서, 포장용 시트 유지부(11)에 인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포장용 시트(3)의 폭 방향 치수는, 오목부(31)가 1개 형성될 수 있는 치수이다. 평탄한 포장용 시트(3)는 장척 밴드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탄한 포장용 시트(3)를 (단척(短尺)인)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하고, 포장용 시트 유지부(11)에 복수의 포장용 시트(3)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시트(3)는 투명하다. 이에 따라, 포장 후의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31)에 수납된 약제(M)를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하기 쉽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한 포장용 시트(3)가 사용되지만, 포장용 시트(3)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포장용 시트(3)는, 예를 들면, 반투명해도 되고, 혹은, 불투명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탄한 포장용 시트(3)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약제 포장 장치(1)는, 롤형으로 권취된 상태의 포장용 시트(3)를 포장용 시트 유지부(11)에서 유지하거나,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의 포장용 시트(3)를 포장용 시트 유지부(11)에 다수 중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약제 포장 장치(1)는, 포장용 시트 유지부(11)에 있어서, 다수의 약제 포장체(P)를 형성할 수 있는 분량의 포장용 시트(3)를 한꺼번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수납 오목부를 가지는 트레이를 1장씩 손으로 일일이 세팅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약제 포장 장치의 조작자는 번잡한 작업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에는, 후술하는 오목부 형성부(13)에 의한 오목부(31)의 형성에 지장이 없는 요철이나 모양이 형성된 형태가 포함된다.
포장용 시트 공급부(12)는, 상기 포장용 시트 유지부(11)로부터 포장용 시트(3)를 꺼내어 길이 방향으로 공급한다. 포장용 시트(3)의 공급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121…121)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면서 행해진다. 후술하는 절단부(19)의 직상류에 설치되는 이송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포장용 시트(3)가 잡아 당겨진다. 이에 따라, 포장용 시트 유지부(11)로부터 포장용 시트(3)가 꺼내진다. 상기 포장용 시트(3)의 공급은, 후술하는 성형형(成形型)(133)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오목부(31)를 형성할 때는 정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은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이 포장용 시트 공급부(12)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급된 포장용 시트(3)를 형성한 후에 약제(M)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용 시트(3)의 꺼내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하여 당기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롤러나 암이나 고무판 등의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특히, 포장용 시트(3)를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포장용 시트(3)를 1장마다 포장용 시트 유지부(11)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포장용 시트 공급부(12)가 구성된다.
오목부 형성부(13)는, 상기 포장용 시트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기 포장용 시트(3)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오목부(31…31)를 형성한다. 오목부 형성부(13)는, 열판(131), 받이부(132), 성형형(133)을 구비한다.
열판(131)과 받이부(132)는, 반송되는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하여 대향하고 있으며, 각각이 대향하는 면은 평면이 되어 있다.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열판(131)은 하방에 위치하고, 받이부(132)는 상방에 위치한다. 포장용 시트(3)에 대한 열판(131) 및 받이부(132)의 배치는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열판(131)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받이부(132)는 수지로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제이다. 그리고, 받이부(132)는, 히터가 내장된, 또 하나의 열판이라도 된다. 열판(131)과 받이부(132)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離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열판(131) 및 받이부(1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전동 모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열판(131) 및 받이부(132)의 구동원은, 열판(131) 및 받이부(132)를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열판(131) 및 받이부(132)의 구동원은,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라도 되고, 혹은 유압 실린더라도 된다. 히터에 통전되어 열판(131)이 뜨거워진 상태에서, 열판(131)과 받이부(132)가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하도록 접근함으로써, 포장용 시트(3)가 연화된다.
열판(131) 및 받이부(132)는, 길이 방향으로 2포분(오목부(31)가 2개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성형형(133)으로 1포분(오목부(31)가 1개분)마다 오목부(31)가 성형되도록, 포장용 시트(3)는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이 간헐적인 이동에 따라, 포장용 시트(3)는 2회 가열된 후 성형형(133)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른바 1회째의 가열은 「예비 가열」이며 2회째의 가열은 「본 가열」이 되므로, 오목부(31)의 형성을 위해, 포장용 시트(3)를 충분히 연화할 수 있다. 열판(131) 및 받이부(132)는, 반드시 길이 방향으로 2포분(오목부(31)가 2개분)의 치수로 형성되는 필요는 없다. 1회의 가열에 의해 포장용 시트(3)가 충분히 연화되면, 열판(131) 및 받이부(132)를, 길이 방향으로 1포분(오목부(31)가 1개분)의 치수로 형성해도 된다. 2회의 가열에 의해서도 포장용 시트(3)가 충분히 연화되지 않는다면, 열판(131) 및 받이부(132)를, 길이 방향으로 3포분(오목부(31)가 3개분) 이상의 치수로 형성해도 된다.
성형형(133)은 열판(131) 및 받이부(132)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한다. 성형형(133)은 반송되는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자형(雌型)(133a), 동(同) 상방에 위치하는 웅형(雄型)(133b) 및 가압판(133c)을 구비한다. 자형(133a) 및 웅형(133b)은 원하는 직경 및 치수를 가지는 오목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오목부(31)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형성되는 오목부(31)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향할수록 직경 치수가 축소하는 형상이다. 자형(133a)에서의 오목형의 성형면에는 복수의 흡인공(吸引孔)(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자형(133a), 웅형(133b), 가압판(133c)은,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형(133a), 웅형(133b), 가압판(133c)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전동 모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형(133a), 웅형(133b), 가압판(133c)의 구동원은, 자형(133a), 웅형(133b), 가압판(133c)을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자형(133a), 웅형(133b), 가압판(133c)의 구동원은,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라도 되고, 혹은 유압 실린더라도 된다.
자형(133a)에 대하여, 웅형(133b)과 가압판(133c)이, 열판(131)에 의해 연화된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하도록 접근한다. 자형(133a)과 가압판(133c)에 의해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한 상태인 채로, 상기 복수의 흡인공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포장용 시트(3)에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31)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자형(133a)에 대하여 웅형(133b)을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오목부(31)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웅형(133b)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자형(133a)의 상기 복수의 흡인공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오목부(31)를 형성할 수 있다면, 웅형(133b)을 생략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성형형(133)는 1조 형성되어 있고, 한꺼번에(자형(133a)와 웅형(133b)과의 상하 이동(1) 사이클) 1개의 오목부(3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포장용 시트(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는, 포장용 시트(3)의 폭 방향(도 1의 표리(表裏) 방향)으로 복수 조의 성형형(133)을 병렬시킴으로써, 한꺼번에 복수의 오목부(31…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약제 공급부 본체(14)는, 약제(M)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고, 상기 약제(M)를, 처방 데이터에 따라(예를 들면, 1회의 복용 분마다) 약제 통로부(15)에 공급한다.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는 약제(M)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141)를 가지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저류부(141)로부터 선택적으로 약제(M)를 공급할 수 있다. 이 저류부(141)는, 정제용으로서는, 수납 카세트나, 복수의 오목부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분배 그릇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저류부(141)는, 산제용(散劑用)으로서는, 종단면 V자형의 오목부를 구비한 그릇부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처방 데이터에 따라 산제를 긁어오도록 구성된 산제 분배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약제 공급부 본체(14)는 이들 예시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 저류부(141)는, 예를 들면, 약제(M)를 종류마다 저류하는 복수의 종류별 저류부, 또는, 약제(M)를 1회의 복용 분마다 저류하는 복수의 복용분별 저류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약제 공급부 본체(14)에서, 약제(M)를 공급하기 위하여 적합한 상태에서, 약제(M)를 종류별로 또는 복용분별로 저류할 수 있다. 종류별 저류부에 의해 약제(M)를 종류마다 저류한 경우에는, 약제(M)의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용분별 저류부에 의해 약제(M)를 복용분마다 저류한 경우에는, 저류한 상태인 채로 약제 통로부(15)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부 본체(14)는, 각종 제형의 약제를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산제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체의 약제만을 취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나 겔상(狀)의 약제를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제 통로 장치로서의 약제 통로부(15)는, 약제를 통과시키고, 상기 오목부 형성부(13)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31)에 약제(M)를 투입한다. 이 약제 통로부(15)는,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약제 공급 장치(1X)를 구성한다(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통로부(15)는, 도 1에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도 2에 상세한 형상을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벌어지는 형상의 호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 약제 통로부(1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버 시트 유지부(16)는 평탄한 커버 시트(4)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시트(4)로서는 수지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커버 시트(4)는 밴드형이며, 권취된 롤형체(4a)의 상태에서, 커버 시트 유지부(16)에 인출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커버 시트(4)는, 포장용 시트(3)에 형성되는 오목부(31)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시트(4)의 폭은, 포장용 시트(3)의 폭과 동일하다. 그리고, 커버 시트(4)로서, 종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종이에는, 수지가 코딩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 시트 공급부(17)는, 상기 오목부(31)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 시트(4)를, 상기 오목부(31…31)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31)에 약제(M)가 투입된 상태의 상기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공급한다. 커버 시트 공급부(17)는, 커버 시트(4)를 포장용 시트(3)의 상면에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시트 공급부(17)는,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커버 시트(4)를 상방으로부터 공급한다. 커버 시트 공급부(17)는,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커버 시트(4)를, 측방으로부터 공급해도 되고, 혹은, 하방으로부터 공급해도 된다. 커버 시트 공급부(17)는, 상기 커버 시트 유지부(16)로부터 커버 시트(4)를 꺼내어서 길이 방향으로 공급한다. 커버 시트(4)의 공급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171…171)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면서 행해진다. 후술하는 절단부(19)의 직상류에 설치되는 이송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커버 시트(4)가 잡아 당겨진다. 이에 따라, 커버 시트 유지부(16)로부터 커버 시트(4)가 꺼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장용 시트(3) 및 커버 시트(4)는, 공통의 이송 수단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 상기 공급은, 후술하는 커버 시트 접착부(18)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커버 시트(4)를 접착할 때는 정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은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이 간헐적인 커버 시트(4)의 공급은, 포장용 시트(3)의 공급과 동기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 시트(4)를 꺼내는 것을 행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커버 시트(4)를 협지하여 잡아 당기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롤러나 암이나 고무판 등의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커버 시트 접착부(18)는, 상기 커버 시트 공급부(17)에 의해 공급된 상기 커버 시트(4)를, 상기 커버 시트(4)에 의해 상기 오목부(31)의 개구를 덮는 것에 의해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용 시트(3)에 접착한다. 커버 시트 접착부(18)는, 열판(181), 받이부(182)를 구비한다. 열판(181)과 받이부(182)는, 반송되는 커버 시트(4) 및, 포장용 시트(3)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협지하여 대향하고 있고, 각각의 대향하는 면은 평면이 되어 있다. 커버 시트(4)에 대하여, 열판(181)은 상방에 위치하고, 받이부(182)는 하방에 위치한다. 열판(181)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받이부(182)는 수지로 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제이다. 그리고, 받이부(182)는, 히터가 내장된, 또 하나의 열판이라도 된다. 열판(181)과 받이부(182)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커버 시트(4) 및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열판(181) 및 받이부(18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전동 모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열판(181) 및 받이부(182)의 구동원은, 열판(181) 및 받이부(182)를 커버 시트(4) 및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접근·이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된다. 열판(181) 및 받이부(182)의 구동원은,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라도 되고, 혹은 유압 실린더라도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받이부(182)에는, 이 받이부(182)와 오목부(31)가 간섭하지 않도록, 오목부(31)가 끼워넣어지는 오목 개소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이부(182)의 중앙에는, 오목 개소로서 원형의 구멍이 관통하고 있고, 받이부(182)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오목부(31)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열판(181)이 뜨거워진 상태에서 열판(181)과 받이부(182)가 커버 시트(4) 및 포장용 시트(3)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포장용 시트(3)에 대하여 커버 시트(4)가 접착(히트 실링)되어 약제 포장체(P)가 형성된다. 이 접착에 의해, 오목부(31)에 투입된 약제(M)가 오목부(31)로부터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커버 시트(4)로서 종이가 사용된 경우에는, 커버 시트착부(18)는 커버 시트(4)와 포장용 시트(3)의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착을 행할 수 있다.
절단부(19)는, 상기 커버 시트(4)가 접착된 상기 포장용 시트(3)를, 양쪽 시트(3, 4)를 함께, 1회 또는 복수 회의 복용분마다 절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절단부(19)는, 포장용 시트(3)를 개재하여 상방과 하방에 위치하고, 날끝(cutting edge)이 중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된 절단 날(191, 191)을 구비한다. 이로써, 환자가 복용하기 쉬운 단위로 약제 포장체(P)가 분리된다. 따라서, 1회 또는 복수 회의 복용 단위로 모여진 약제 포장체(P)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절단 날(191)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포장용 시트(3) 및 커버 시트(4)에 절취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환자의 사정에 따라 약제 포장체(P)를 적절하게 절단 가능하게 되므로, 복용이나 약제 포장체(P)의 보관 시에 환자의 사용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절취선 이외에, 환자에 의한 약제 포장체(P)의 절단을 보조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강성을 작게 하거나, 판 두께를 얇게 한 취약부(脆弱部)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부(20)는, 상기 처방 데이터에 따른 정보를, 상기 커버 시트(4)에 인쇄한다. 이 인쇄부(20)에 의해, 인쇄를 일련의 공정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건네 줄 수 있는 상태까지의 약제 포장체(P)의 형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인쇄 내용으로서는, 환자 성명, 복용에 대한 날짜, 요일, 복용 타이밍(식후, 식전, 식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장용 시트(3)에 접착하기 전의 커버 시트(4)에 인쇄를 행한다. 이에 따라, 인쇄부(20)는 포장용 시트(3)의 반송 라인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용 시트(3)에 접착한 후의 커버 시트(4)에 인쇄를 행할 수도 있다. 인쇄 방식으로서는, 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열전사하는 방식을 예시할 수 있지만, 잉크 제트식 등,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약제 통로부(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약제 통로부(15)는 상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입구부(151), 연통부(153), 출구부(152)를 구비한다. 입구부(151), 연통부(153),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의 사이에 개폐판(1542)이 개재하도록 개폐 기구(154)가 위치하고 있다.
입구부(151)는, 약제 포장 장치(1)의 구조재의 일부(도 3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약제 공급부 본체(1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부(151)는,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부분이다. 입구부(15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약제(M)가 낙하되는 약제 통로(151a)가,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양단에 2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약제 통로(151a)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상이다. 약제 통로(151a)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나 원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입구부(151)에서의 약제 통로(151a)의 형성 수 및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1열만, 또는, 3열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약제 통로(151a)를 시트 반송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입구부(151)에서의 하부 중에서 전후(도 3에서의 좌우)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長孔)(1511, 1511)이 형성되어 있다.
출구부(152)는, 입구부(151)의 하방, 또한, 복수의 오목부(31…31)가 형성된 포장용 시트(3)의 상방에 배치되고,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가 하방으로 나오는 부분이다. 출구부(15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약제(M)가 낙하하는 약제 통로(152a)가 형성되어 있다. 약제 통로(152a)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상이며, 하방을 향할수록 좁아지고 있다. 약제 통로(152a)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나 원형상이라도 된다. 약제 통로(152a)의 횡단면 형상은, 반드시 하방을 향할수록 좁아질 필요는 없고, 하방을 향할수록, 벌어지고 있어도 되고, 또는 동일하게 되어도 된다.
출구부(152)는, 연통부(153)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포장용 시트(3)의 상방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한 한 쌍의 지지 볼록부(1522, 1522)를, 개폐 기구(154)에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오목홈(1541, 1541)에 뺏다 꽂았다 함으로써, 개폐 기구(154)에 대하여 출구부(152)를 착탈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를 약제 통로부(15)에 남기고, 출구부(152)를 약제 통로부(15)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부(152)의 착탈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을 위해, 출구부(152)의 전방에는, 조작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취수부(取手部)(1523)가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개폐 기구(154)에는 상기 착탈 시의 연통부(153)의 돌출부(1535)를 밀어 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밀어올림 레버(15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구부(152)의 하단은, 포장용 시트(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반송되는 포장용 시트(3)에 출구부(152)가 간섭하지 않는다.
출구부(152)의 하단에는 판형의 누름부(15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1524)는, 출구부(15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포장용 시트(3)의 오목부(31)를 덮는 것에 의해, 출구부(152)로부터 낙하한 약제(M)가 출구부(152)와 포장용 시트(3)와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지 않아, 약제(M)를 확실하게 오목부(31)에 인도할 수 있다. 누름부(1524)에 있어서 적어도 시트 반송 방향 상류 단부는 상방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 하류 단부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약제 포장 장치(1)의 운전 개시에 앞서, 포장용 시트(3)를 출구부(152)의 하방에 위치시킬 때, 포장용 시트(3)가 출구부(152)에 쉽게 걸리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연통부(153)는, 입구부(151)와 출구부(152)를 연통하는 부분이다. 연통부(15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약제(M)가 낙하하는 약제 통로(1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약제 통로(153a)는, 상방에서 입구부(151)의 약제 통로(151a)와 연통하고, 하방에서 출구부(152)의 약제 통로(152a)와 연통한다. 약제 통로(153a)의 횡단면 형상은, 상부에서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긴 직사각형상이다. 약제 통로(153a)에서의 직사각형의 장변 치수는 하방을 향할수록 단축되어가고, 하부에서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상이 된다. 약제 통로(153a)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상이나 정방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나 원형상이라도 된다. 약제 통로(153a)의 횡단면 형상은, 반드시 하방을 향할수록 좁아질 필요는 없으며, 하방을 향할수록, 벌어지고 있어도 되고, 또는 동일해도 된다. 이 연통부(153)는 상방부(1531), 하방부(1532), 중간부(1533)를 구비한다.
상방부(153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151)의 하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입구부(151)에 외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된다. 외측으로부터 유감되므로,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151)의 하단보다 상방에서, 약제 통로부(15)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으로부터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151)와 연통부(153)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153a)가 입구부(151)가 가지는 약제 통로(151a, 151a)의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양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방부(1532)는, 출구부(152)의 상방부(1521)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출구부(152)에 내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된다. 내측으로부터 유감되므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153)의 하단보다 상방에서, 약제 통로부(15)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으로부터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출구부(152)가 가지는 약제 통로(152a)가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153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구부(151)와 연통부(153)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또한 약제 통로부(15)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간부(1533)는 상방부(1531)와 하방부(1532)를 일체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통로부(15)에서는, 입구부(151)에 대하여 출구부(152)가 전방 (도 3에 나타내는 좌측)에 위치하므로, 중간부(1533)는 하방을 향할수록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통부(153)는 입구부(151)에 접속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고정 볼트(1534)가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볼트(1534)는, 약제 통로(151a)를 횡단하지 않도록 입구부(151)의 시트 반송 방향에서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연통부(153)는 입구부(151)로부터 현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구부(152)를 약제 통로부(15)로부터 제거하고, 연통부(153)의 하방으로부터의 지지가 상실되더라도 연통부(153)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통부(153)가 입구부(151)에 대하여 유감하여 접속된다. 또한, 고정 볼트(1534)는 입구부(151)의 장공(1511)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장공(1511)의 상하 방향의 형성 범위에 있어서, 연통부(153)는 상하 이동 가능하다. 연통부(15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하방부(1532)의 하단이 출구부(152)의 상방부(1521)으로부터 탈출하므로, 연통부(153)는 출구부(15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연통부(153)는 하방부(1532)에 있어서, 출구부(15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연통부(153)는,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하방부(1532)로부터 외측에는 플랜지(flange)형으로 돌출부(1535)가 돌출하고 있다. 연통부(153)는 약제 통로부(15)에서의 상하 가동 범위의 도중에서, 이 돌출부(1535)가 출구부(152)의 상단면(1521a)(도 4 참조)와 맞닿음으로써, 출구부(152)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출구부(152)에는 연통부(153)의 자중(自重)이 걸린다. 이 연통부(153)의 자중에 의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와 연통부(153)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개폐 기구(15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개폐판(1542)을 구비한다. 이 개폐판(1542)은, 연통부(153)에서의 약제 통로(153a)와 출구부(152)에서의 약제 통로(152a)의 사이를 횡단하고, 연통부(153)와 출구부(152)를 연통하는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포장용 시트(3)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31)로의 약제(M)의 투입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에 의하면, 포장용 시트(3)의 공급, 복수의 오목부(31…31)의 형성, 약제(M)의 투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블리스터(blister) 포장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약제 통로부(15)에서의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입구부(151)에 대한 조정 작업과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입구부(151)와 약제 공급부 본체(14)와의 간극, 출구부(152)와 포장용 시트(3)와의 간극의 양자가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를 동시에 위치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를 개별적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조정 작업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비해,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통로부(15)에서의 연통부(153)는,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는 별체로 설치되고,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 작업에 의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어도, 그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변화의 흡수에 의해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고, 또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통로부(15)의 복수의 구성 부품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에 필요로 할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의 변화에 따라, 연통부(153)는,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형태(변형된 형태를 포함함)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정리해 둔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공급 장치(1X)는, 약제(M)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부 본체(14)와,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를, 약제(M)를 포장하는 포재(3)로 인도하는 약제 통로부(15)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통로부(15)는,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151)와, 상기 입구부(151)의 하방, 동시에, 상기 포재(3)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152)와, 상기 입구부(151)와 상기 출구부(152)를 연통하는 연통부(153)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약제(M)가 공급된다.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는, 약제(M)를 포장하는 포재(3)로, 약제 통로부(15)에 의해 인도된다. 약제 통로부(15)에서는, 입구부(151)의 하방에 출구부(152)가 배치되고, 입구부(151)와 출구부(152)가 연통부(153)에 의해 연통된다. 약제 공급부 본체(14)에 의해 공급된 약제(M)는, 입구부(151)로 상방으로부터 들어오고, 연통부(153)를 통과하여, 출구부(152)로부터 하방으로 나온다.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입구부(151)에 대한 조정 작업과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입구부(151)에 대한 조정 작업이란, 입구부(151)와 약제 공급부 본체(14)와의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작업이다.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이란, 출구부(152)와 상기 포재(3)와의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입구부(151)와 약제 공급부 본체(14)와의 간극, 출구부(152)와 포재(3)와의 간극의 양자가 허용 범위에 들어가도록,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를 동시에 위치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를 개별적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조정 작업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비해,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연통부는,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 작업에 의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어도, 그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변화의 흡수에 의해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고, 또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통로부(15)의 복수의 구성 부품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례에 관한 약제 통로 장치(15)는, 약제(M)를 통과시키는 약제 통로 장치(15)로서, 약제(M)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151)와, 상기 입구부(151)의 하방에 배치되고, 약제(M)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152)와, 상기 입구부(151)와 상기 출구부(152)를 연통하는 연통부(153)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151) 및 상기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입구부(151)의 하방에 출구부(152)가 배치되고, 입구부(151)와 출구부(152)가 연통부(153)에 의해 연통된다. 약제(M)는, 입구부(151)로 상방으로부터 들어오고, 연통부(153)를 통과하여, 출구부(152)로부터 하방으로 나온다.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는, 서로 별체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입구부(151)에 대한 조정 작업과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조정 작업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비해,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입구부(151)에 대한 조정 작업은, 입구부(151)와, 이 입구부(151)에 약제(M)를 주는 물체와의 간극을 조정하는 작업이다.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은, 출구부(152)와, 이 출구부(152)로부터 약제(M)를 부여하는 물체와의 간극을 조정하는 작업이다. 연통부(153)는,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 작업에 의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가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변화되어도, 그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변화의 흡수에 의해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에 대한 조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고, 또한 연통부(153)에 대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 부품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에 필요한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하 가동 범위의 도중에서, 상기 출구부(152)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연통부(153)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하 가동 범위의 도중에서, 출구부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출구부(152)에 걸리는 연통부(153)의 자중을 이용하여, 입구부(151) 및 출구부(152)와 연통부(153)와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기 입구부(151)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연통부(153)는, 입구부(151)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구부(152)를 제거하더라도 연통부(153)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기 출구부(15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상기 출구부(152)는, 상기 연통부(153)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포재(3) 상방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연통부(153)는, 출구부(15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출구부(152)는, 연통부(153)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포재(3) 상방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를 남기고, 출구부(152)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부(152)의 착탈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153)는, 상기 입구부(151)에 외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되고, 상기 출구부(152)에 내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연통부(153)는, 입구부(151)에 외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된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와 입구부(151)와의 간극으로부터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153)는, 출구부(152)에 내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된다. 이에 따라,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간극으로부터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통로부(15)로부터 약제(M)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51)와 상기 연통부(153)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입구부(151)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부(153)와 상기 출구부(152)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출구부(152)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입구부(151)와 연통부(153)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입구부(151)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153)와 출구부(152)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출구부(152)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연통부(153)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접속 부분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통로부(15) 내에 있어서 약제(M)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구성의 일례에 의하면, 약제 통로부(15)의 복수의 구성 부품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에 요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특원 2015-133719호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1: 약제 포장 장치
1X: 약제 공급 장치
11: 포장용 시트 유지부
12: 포장용 시트 공급부
13: 오목부 형성부
14: 약제 공급부 본체
141: 저류부 (종류별 저류부, 복용분별 저류부)
15: 약제 통로 장치, 약제 통로부
151: 입구부
151a: 입구부의 약제 통로
152: 출구부
152a: 출구부의 약제 통로
153: 연통부
153a: 연통부의 약제 통로
154: 개폐 기구
16: 커버 시트 유지부
17: 커버 시트 공급부
18: 커버 시트 접착부
19: 절단부
20: 인쇄부
3: 포재, 포장용 시트
31: 오목부
4: 커버 시트
M: 약제

Claims (7)

  1.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부 본체; 및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를 포장하는 포재(包材)로 인도하는 약제 통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통로부는,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의 하방(下方)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상기 약제가 상방(上方)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방이면서, 또한, 상기 포재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 공급부 본체에 의해 공급된 상기 약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 및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부;
    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약제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하 가동 범위의 도중에서, 상기 출구부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접속되는, 약제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로부터 현수(懸垂)된, 약제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상기 출구부는, 상기 연통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포재 상방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한, 약제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에 외측으로부터 유감(遊嵌)하여 접속되고, 상기 출구부에 내측으로부터 유감하여 접속되는, 약제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연통부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연통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입구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연통부와 상기 출구부와의 접속 부분에서는, 상기 출구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가 상기 연통부가 가지는 약제 통로보다 외측으로 위치하는, 약제 공급 장치.
  7. 약제를 통과시키는 약제 통로 장치로서,
    상기 약제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약제가 하방으로 나오는 출구부; 및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를 연통하는 연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는, 서로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와는 별체로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접속되는,
    약제 통로 장치.
KR1020177035346A 2015-07-02 2016-06-30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KR20180025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3719 2015-07-02
JP2015133719A JP6572023B2 (ja) 2015-07-02 2015-07-02 薬剤供給装置、薬剤通路装置
PCT/JP2016/069433 WO2017002914A1 (ja) 2015-07-02 2016-06-30 薬剤供給装置、薬剤通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56A true KR20180025856A (ko) 2018-03-09

Family

ID=5760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346A KR20180025856A (ko) 2015-07-02 2016-06-30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4140B2 (ko)
JP (1) JP6572023B2 (ko)
KR (1) KR20180025856A (ko)
CN (1) CN107709164B (ko)
TW (1) TW201713563A (ko)
WO (1) WO2017002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0787B2 (en) * 2018-03-27 2021-06-22 HyVida Brands, Inc. Dosing assembly for use with a filler, a valve for a dosing assembly and a method of providing a fill material
JP6914604B2 (ja) * 2018-09-10 2021-08-04 Ckd株式会社 Ptpシート及びptp包装機
US10994879B2 (en) * 2019-09-20 2021-05-04 Spee-Dee Packaging Machinery, Inc. Rotary filling machine
TWI715307B (zh) * 2019-11-22 2021-01-01 郝榮華 藥品包裝機及其封口單元
CN111127760A (zh) * 2020-02-07 2020-05-08 泉州泉港品然茶业有限公司 茶叶自动售卖机
CN111421315B (zh) * 2020-05-21 2021-11-05 重庆台冠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背光模组的组装设备用入料结构
CN114590432B (zh) * 2022-03-08 2023-10-13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机构用药品包装机构
CN115177013B (zh) * 2022-08-02 2023-08-22 安徽宏亮饲料科技有限公司 一种添加有中草药保健的猪饲料制备系统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607A (en) * 1954-02-15 1956-09-04 American Machinery Corp Filler-valve for filling containers
JPS5420260U (ko) * 1977-07-12 1979-02-09
JPS58112667A (ja) * 1981-12-28 1983-07-05 Nippon Kokan Kk <Nkk> サイロのシユ−トパイプの取付方法
JPH0649385Y2 (ja) * 1988-01-29 1994-12-14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蓋供給装置の供給位置調整装置
JP3505202B2 (ja) * 1993-06-28 2004-03-0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の包装装置
JPH08102A (ja) 1994-06-17 1996-01-09 Iseki & Co Ltd 育苗床材
JP4291018B2 (ja) * 2003-03-10 2009-07-08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装置及びホッパー装置
JP4343721B2 (ja) 2004-01-26 2009-10-14 株式会社トパック 粉剤供給用の充填シュ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粉剤充填包装機
JP2008285226A (ja) 2007-04-19 2008-11-27 Sanko Kikai Kk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の二重充填シュート
CN201873007U (zh) 2010-10-13 2011-06-22 刘成华 用于散装机的密封套筒伸缩节
CN202138566U (zh) 2011-06-01 2012-02-08 安徽绿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接头
US8991442B1 (en) 2012-10-26 2015-03-31 Spee-Dee Packaging Machinery, Inc. Rotary filling machine with magnetic funnel attachment
WO2015011764A1 (ja) * 2013-07-22 2015-01-29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2914A1 (ja) 2017-01-05
JP6572023B2 (ja) 2019-09-04
CN107709164A (zh) 2018-02-16
TW201713563A (zh) 2017-04-16
US10864140B2 (en) 2020-12-15
JP2017013869A (ja) 2017-01-19
CN107709164B (zh) 2020-07-03
US20180185242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856A (ko) 약제 공급 장치, 약제 통로 장치
CN107735326B (zh) 药剂包装装置
KR101522006B1 (ko) 겔 타입 마스크 팩의 제조 장치
KR20150009958A (ko) 약제 분포 장치
KR101576202B1 (ko) 약제 포장장치
CN109562853B (zh) 包装装置
JP6778779B2 (ja) 薬剤包装装置
WO2016152630A1 (ja) 薬剤包装装置
WO2017111025A1 (ja) 薬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包装装置
WO2017002916A1 (ja) 薬剤包装装置
WO2017111021A1 (ja) 凹部形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供給装置、薬剤包装装置
WO2017111024A1 (ja) 薬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包装装置
WO2017111023A1 (ja) 薬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包装装置
WO2017111026A1 (ja) 凹部形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供給装置、薬剤包装装置
JP2005212886A (ja)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WO2017111022A1 (ja) 凹部形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供給装置、薬剤包装装置
JP2017043414A (ja) 薬剤分包装置
KR20130138683A (ko) 미립자의 충전방법 및 충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