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089B1 - 봉지약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봉지약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089B1
KR101971089B1 KR1020180116746A KR20180116746A KR101971089B1 KR 101971089 B1 KR101971089 B1 KR 101971089B1 KR 1020180116746 A KR1020180116746 A KR 1020180116746A KR 20180116746 A KR20180116746 A KR 20180116746A KR 101971089 B1 KR101971089 B1 KR 10197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medicine
sorting
uni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상
Original Assignee
이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상 filed Critical 이금상
Priority to KR102018011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상기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선별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봉지약과 상기 선별이송수단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봉지약이 공급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오작동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이송수단은, 상기 봉지약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응 배치되며, 봉지약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배출유도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선택된 봉지약을 배출유도부에 접하게 하여, 봉지약이 배출유도부의 이송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선택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약 공급장치 {FEEDER FOR MEDICINE IN PAPER BAG}
본 발명은 봉지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종의 봉지약을 수납한 상태로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봉지약의 배출 속도를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봉지약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자동 약 포장기의 작동은, 정제가 들어있는 카셋트를 선반위에 올려 놓으면, 선반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력으로 카셋트내의 정제가 홉퍼로 떨어지면서 포장지에 담겨지며, 이때 열로서 접착하여 봉합하는 것이다.
약 포장기는, 정제를 담은 여러개의 카셋트가 자동 약 포장기의 선반에 장착되고, 처방에 따라 종류별로 카셋트에서 정제를 배출하면 정제는 홉퍼에 떨어져 모아지게 되며, 2겹으로 접힌 포장지는 세로와 가로를 접착하면 봉투가 만들어지게 되므로, 홉퍼에 모아진 정제들은 세로접착부에서 만들어진 봉투에 담겨지고, 포지당김봉으로 포장지를 당겨 가로접착부에서 포장지 입구를 봉하면 정제가 들어있는 약봉투가 되는 것으로,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 연속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 약 포장기와, 정제를 배출하는 카셋트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나, 카셋트를 밀봉하는 장치는 없어, 포장이 끝나면 카셋트에 들어있는 정제를 약병에 옮겨담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지만, 수많은 카셋트에서 약병으로 정제를 옮긴다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약품을 다루는 병원이나 약국은 사람 출입이 많아 여러종류의 병원균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래의 카셋트에 담겨진 정제는 무방비로 외부에 노출되어 공기중의 습기로 약품이 변질되거나, 먼지나 세균이 침투하여 약품이 오염될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자동 약 포장기의 카셋트는 정제의 종류별로 넘버나 약이름을 붙여 지정된 선반에 장착해야만 지정된 약이 배출되는데, 만약 실수로 카셋트를 바꿔서 장착하면 바뀐 카셋트의 정제가 배출되어 약품 사고가 발생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 약 포장기의 정제 분배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분배기는, 몸체의 상부에 고정된 투입구는 뚜껑에 설치된 날개바킹에 밀착되고, 공급편과 분리편을 일체로 고정시켜 몸체의 중심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공급편과 분리편 사이에 차단막이 끼워져 턱은 배출부에 삽입되고, 공급편의 축 하단으로 부터 리데나와 링을 삽입하여 기어를 고정시키며, 몸체의 하부에 개폐부를 설치하여 개폐부에 고정된 바킹은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되었고, 몸체의 하부 한편에 메모리가 설치된 메모리집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카셋트와, 밑판에 모터를 고정하고, 한편에 안내집을 설치하며, 안내집의 내부에 당김편을 삽입하여 솔레노이드와 연결하는데 있어서, 당김편의 하부에 강철핀을 끼우며, 한편에 고정된 자석은 홀소자에 감지 되도록 되었으며, 상판의 한편에 연결집을 고정하고, 경사로 형성된 고정판의 출구대의 양쪽 측면으로 포토센서가 설치되었으며, 밑판과 상판을 고정판에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941호(2014년 10월 1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자동 약 포장기의 정제 분배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분배기는, 약을 포장지에 정확한 양을 정확한 위치에 공급하여 포장할 수 있지만, 포장된 약을 종류 별로 약사 또는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약봉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롤 모양으로 권취되는 약봉지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개발하는 경우에 롤에서 풀리면서 공급되는 약봉지가 공급장치와 슬립되면서 공급장치가 공회전되는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다종의 봉지약을 수납한 상태로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봉지약의 배출 속도를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봉지약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상기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선별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봉지약과 상기 선별이송수단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봉지약이 공급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오작동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이송수단은, 상기 봉지약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응 배치되며, 봉지약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배출유도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선택된 봉지약을 배출유도부에 접하게 하여, 봉지약이 배출유도부의 이송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선택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유도부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평행하게 이격된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를 감아도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전환부는, 상기 벨트의 사이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선택된 벨트측으로 이동시켜, 지지롤러와 벨트 사이에 위치한 봉지약이 벨트에 접하게 하는 회동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오작동감지부는, 이송되는 상기 봉지약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 상기 봉지약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상기 봉지약의 길이를 판단하고, 상기 출구에 설치되는 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와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봉지약의 공급길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선별이송수단의 오작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는,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선별이송수단을 이용해, 용법이 상이한 다종의 봉지약을 구분하여 종류별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편리한 복약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는, 여러 사람이 각자의 복약 내용이나 복약 패턴을 입력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령 요양원이나 의료시설과 같은 공고 장소에 비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는, 봉지약이 수납되는 하우징이 투명도어로 커버되므로 하우징 외부에서 봉지약의 잔량과 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어 안전한 운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는, 선별이송수단과 봉지약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면서 봉지약이 공급되지 않거나 봉지약의 공급 거리가 짧아지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감지하여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오작동 감지부가 구비되므로 선별이송수단이 구동되는 동안에 봉지약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오작동이 발생되며 작업자가 콘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오작동 신호를 인지하여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선별이송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데이터 전달과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오작동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오작동감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선별이송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데이터 전달과정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오작동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의 오작동감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공급장치는, 본체부(21)와 받침부(26)를 가지며 일측에 출구(27)를 구비한 하우징(20)과, 출구(27)의 내측에 설치되는 선별이송수단(40)과, 받침부(26)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50) 및 콘트롤러(52)와, 선별이송수단(10)과 봉지약(A1, A2)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면서 봉지약(A1, A2)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감지하여 오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오작동감지부를 포함한다.
후술할 설명에서 언급되는 봉지약(A1,A2)은,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약봉투에 들어있는 약을 의미하고, 이러한 봉지약은 병원이나 약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는 봉지약 A1과 A2는 다른 용법으로 복용해야 하는 다른 종류의 약을 의미한다.
본체부(21)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31), 입력부(32), 선택버튼(33), 배출버튼(34), 스피커(35), 알람램프(36), 복약확인버튼(37), 통신부(38), 메모리부(3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본체부(21)는 대략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다종의 봉지약(A1,A2)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a)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개방구(21b)와 출구(27)를 갖는다.
개방구(21b)는 수용공간(21a)을 측부로 개방하는 통로로서 투광성도어(22)에 의해 개폐되고, 투광성도어(2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 또는 아크릴로 제작된 것으로서 힌지(22b)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투광성도어(22)를 적용함으로써 투광성도어(22)를 닫은 상태라 하더라도 본체부(21)의 내부 상황을 쉽게 관찰할 수 있고, 투광성도어(22)를 열지 않더라도 봉지약(A1,A2)의 잔량이나 기타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손잡이(22a)가 설치된다.
또한, 출구(27)는 일회분의 봉지약(A1,A2)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이고, 출구(27)의 전면 개방부에도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수용공간(21a)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출구(27)에는 격판(27c)이 고정되어 있으며, 격판(27c)은 출구(27)를 제1분할출구(27a)와 제2분할출구(27b)로 나누는 수평의 판상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 출구를 상하 두 개로 구획하였지만, 후술할 선별이송수단(40)을 보다 정교하게 구성할 경우, 더 많은 출구로 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2분할출구(27a,27b)의 내측부에는 센서(30)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30)는 제1,2분할출구(27a,27b)의 내부에 봉지약(A1,A2)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콘트롤러(52)로 전달하여 콘트롤러(52)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달성 할 수 있는 한 센서(30)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예로 적외선 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부(21)의 수용공간(21a) 내에는 나선형가이더(23)가 구비되고, 나선형가이더(23)는 봉지약(A1,A2)에 나선형 경로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그 자체가 나선형의 형태를 취한다.
투광성도어(22)를 개방한 상태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봉지약(A1,A2)을 겹쳐 나선형 경로에 끼우고, 봉지약(A1,A2)의 일단부를 당겨 제1,2분할출구(27a,27b)에 위치시키면 봉지약(A1,A2)의 세팅이 완료된다.
이 상태로 선별이송수단(40)을 구동하면, 선택된 봉지약(A1 또는 A2)은 나선형경로 내에서 가이드 되며 출구(27)를 향해 이동한다.
한편, 선별이송수단(40)은, 봉지약(A1,A2)을 제1분할출구(27a) 및 제2분할출구(27b)를 향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배출유도부(41)와 하부배출유도부(42)와 선택전환부(43)를 구비한다.
선별이송수단(50)은, 격판(27c)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배출유도부(41)와, 격판(27c)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배출유도부(42)와, 격판(27c)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는 선택전환부(43)로 구성된다.
상부배출유도부(41)는,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축회전하는 구동롤러(41a) 및 종동롤러(41b)와, 구동롤러(41a) 및 종동롤러(41b)를 감아도는 벨트(41c)를 구비하고, 구동롤러(41a)는 롤러구동모터(4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고, 롤러구동모터(45)는 콘트롤러(52)에 의해 제어된다.
하부배출유도부(42)는 상부배출유도부(41)와 동일한 구성을 갖으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한 구동롤러(42a) 및 종동롤러(42b)와, 구동롤러(42a) 및 종동롤러(42b)를 감아 도는 벨트(42c)를 포함하고, 구동롤러(42a)는 롤러구동모터(4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 한다.
선택전환부(43)는, 제1,2분할출구(27a,27b)에 각각 걸쳐져 있는 봉지약(A1,A2) 중 어떤 봉지약을 배출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롤러(43a)와, 지지롤러(4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홀더(43b)와, 회동홀더(43b)를 상하로 회동운동 시키는 전환모터(43c)를 포함한다.
전환모터(43c)는 콘트롤러(52)에 의해 제어되어 회동홀더(43b)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시킨다.
특히, 회동홀더(43b)가 상향 회동하면 지지롤러(43a)가 벨트(41c)와 접할 수 있고, 벨트(41c)와 지지롤러(43a)의 사이에 봉지약(A1)이 개재된 상태로 지지롤러(43a)를 상승시키면 봉지약(A1)이 외부로 인출된다.
회동홀더(43b)가 하향 회동하면 지지롤러(43a)가 벨트(42c)와 접하여, 지지롤러(43a)와 벨트(42c)의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약(A2)이 외부로 이송 배출된다.
상기한 지지롤러(43a)의 위치조절을 통해 두 종류의 봉지약(A1,A2) 중 하나의 봉지약을 선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약의 선별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상하부배출유도부(41,42) 및 회동형 선택전환부(43)를 적용하였지만,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기구적 변형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하부공간(26a) 내에 전원(50)과 콘트롤러(52)가 설치되어 있고, 전원(50)은 충전형 배터리 일 수 있으며,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를 통해 옥내 전원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콘트롤러(52)는, 선별이송수단(40)을 제어함은 물론 스마트 공급장치(10)의 모든 동작을 관할한다.
한편, 본체부(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31)는, 현재 수용공간(21a) 내부에 남아있는 봉지약(A1,A2)의 잔량을 나타냄은 물론, 공급장치(10)의 작동 상 관련된 여러 사항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수단이고, 세팅된 복약 시각이나 알람정보는 물론 봉지약의 배출정보나 복용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입력부(32)는, 복약시각을 입력하거나 내부공간(21a) 내의 봉지약(A1,A2)의 개수나 복용정보 또는 복용방법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고, 입력부(32)에 입력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출력된다.
선택버튼(33)은, 두 가지 종류의 봉지약(A1,A2) 중 어떤 약을 배출할지 결정하는 버튼이다. 가령 좌측 버튼을 누르면 제1분할출구(27a)를 통해 봉지약 A1이 배출될 준비가 되는 것이고, 우측 버튼을 누르면 제2분할출구(27b)를 통해 다른 봉지약 A2이 배출될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버튼(34)은 복용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배출버튼(34)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콘트롤러(52)로 전달되어, 선택버튼(33)으로 이미 선택한 봉지약(A1 또는 A2)이 배출된다.
스피커(35)는, 복약시각에 음향이나 음성을 출력하여 환자나 보호자에게 복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스피커(35)의 출력시각은 입력부(32)를 통해 메모리부(39)에 미리 입력되어 있어야 한다.
알람램프(36)는 스피커(35)와 마찬가지로 복약시각에 동작하여 복용자나 보호자에게 복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알람램프(36)로서 엘이디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람램프(35)의 개수나 위치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약확인버튼(37)은 복약 완료 후 누르는 스위치이고, 복약확인버튼(37)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메모리부(39)로 전달되어, 이를테면 몇 시에 약을 복용했는지 저장되며, 메모리부(39)에 저장된 정보는 복약 이력으로서 추후 복약 스케줄링의 셋업 시 사용된다.
또한, 통신부(38)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방식의 무선 신호 입출력부로서 외부의 스마트폰과 접속된다.
이와 같이 통신부(3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복용자나 보호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단말기를 이용해 콘트롤러(52)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고, 원격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일회분의 봉지약을 배출하게 하거나 알람램프(36)나 스피커(35)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입력부(32)를 대신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0053] 수용공간(21a)의 내부에 봉지약(A1,A2)을 수납한 후, 입력부(32) 또는 복용자 스마트폰(60)을 이용해 복용시각과 봉지약의 개수와 복용정보와 복용방법 등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스마트폰(60)으로 입력되는 사항은 통신부(38)를 거쳐 메모리부(39)로 전달되고,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사항은 메모리부(39)로 바로 전달되며, 입력하는 내용은 메모리부(39)에 저장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31) 또는 스마트폰(6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복용시각이 도래하면, 콘트롤러(52)는 스피커(35)와 알람램프(36)를 작동시켜 복용자에게 복용시각이 되었음을 알리고, 선별이송수단(40)을 구동하여 일회분의 봉지약(A1 또는 A2)을 배출한다.
선별이송수단(40)을 통해 이송되는 봉지약(A1,A2)은, 제1,2분할출구(27a,27b)내의 센서부(34)에 의해 감지되며, 센서부(34)는 감지내용을 콘트롤러(52)로 전달하여 콘트롤러(52)로 하여금 롤러구동모터(45)를 정지하게 하며, 상기한 과정을 통해 봉지약(A1,A2)은 제1,2분할출구(27a,27b) 내부에서 대기한다.
복용자는 제1분할출구(27a) 또는 제2분할출구(27b)내에 봉지약이 대기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봉지약을 절취해 꺼낸다.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다면, 복약확인버튼(37)을 눌러 복약사실을 메모리부(39)에 저장함과 동시에 통신부(38)를 통해 복용자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하고, 복용자 스마트폰(60)으로 전달된 정보는 클라우드서버(62)로 업로드 된 후 보호자 스마트폰(64)과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 등으로 실시간 전송된다.
한편, 상황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9)에 복약시각이 미리 입력되지 못한 경우나, 또는 복약시간이 아직 남아 있지만 사정상 조금 일찍 복약해야 하는 경우에는, 선택버튼(33) 및 배출버튼(34)을 눌러 필요한 봉지약을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배출버튼(34)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콘트롤러(52)로 전달되고 콘트롤러(52)는 선별이송수단(40)을 작동시켜 일회분의 봉지약(A1 또는 A2)을 배출하고, 이와 같이 수동으로 배출한 봉지약을 복용하고 복약확인버튼(37)을 눌러 복약 사실을 보호자와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 등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공급장치(10)는 복용자 스마트폰(60)과 직결되어 있고, 공급장치(10)와 스마트폰(60)은 일대일 매칭된 상태로 통신하며, 스마트폰(60)을 통해 복약 관련 정보나 데이터를 공급장치(10)로 입력할 수 있고, 공급장치(10)는 공급장치(10) 내부의 정보를 스마트폰(60)을 계속 전달한다.
또한, 보호자 스마트폰(64)은 클라우드서버(62)와 접속되고, 클라우드서버(62)는 복용자 스마트폰(60)을 보호자 스마트폰(64)과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과 연결시켜주며, 의료기관(66)은 의료기관의 컴퓨터서버를, 요양기관(68)은 요양기관의 컴퓨터서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장치(10)가 복용자 스마트폰(60)과 클라우드서버(62)를 통해 의료기관(66)이나 요양기관(68)으로 연결되므로, 의료기관이나 및 요양기관의 관리자에게 복약유무와 봉지약의 잔량 정보가 실시간 전달되고 환자의 복약 이력이 빠짐없이 체크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선별이송수단(40)이 구동된 후에 센서에 의해 봉지약(A1, A2)이 감지되지 않으면 선별이송수단(40)의 오작동을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오작동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선별이송수단(40)이 구동된 후에 센서(30)에 봉지약(A1, A2)이 감지되면, 오작동감지부에서 봉지약(A1, A2)의 이송거리를 측정하여 선별이송수단(40)과 봉지약(A1, A2)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작동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오작동감지부는, 선별이송수단(40)에 의해 봉지약(A1, A2)이 이송되지만 선별이송수단(40)과 봉지약(A1, A2) 사이에 부분적인 슬립이 발생되어 봉지약(A1, A2)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출구(27)로부터 봉지약(A1, A2)을 인출하기 어려운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오작동감지부는, 이송되는 봉지약(A1, A2)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110)와, 봉지약(A1, A2)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130)와, 포토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포토센서(130)를 통과한 봉지약(A1, A2)의 길이를 판단하고, 출구에 설치되는 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와 포토센서(130)에 의해 계산되는 봉지약(A1, A2)의 공급길이를 바탕으로 하여 선별이송수단(40)의 오작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52)를 포함한다.
따라서 봉지약(A1, A2)이 공급되어 출구(27)에 삽입될 때에 패턴성형부(110)에서 제공되는 휘발성 잉크가 봉지약(A1, A2) 일측에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게 되고, 포토센서(1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가 콘트롤러(52)에 송신되면 콘트롤러(52)에서 물결 모양의 패턴 중 돌출부위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출구(27) 내부로 삽입되는 봉지약(A1, A2)의 길이를 정확히 판단하게 된다.
봉지약(A1, A2)이 출구(27)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순간에 센서(30)에서 봉지약(A1, A2)이 감지되지 않으면 선별이송수단(40)이 오작동되는 것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포토센서(130)에서 감지되는 패턴의 돌출부위가 콘트롤러(52)에 다시 송신되고, 포토센서(130)에서 송신되어 콘트롤러(130)에 수신되는 봉지약(A1, A2)의 투입 길이와, 센서(30)에서 송신되어 콘트롤러(52)에 수신되는 봉지약(A1, A2)의 투입 길이 사이에 설정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되면 콘트롤러(52)로부터 오작동 신호가 출려되고, 작업자에게 오작동 신호가 송신된다.
따라서 봉지약(A1, A2)이 충분한 길이로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출구(27)로부터 봉지약(A1, A2)을 인출하기 어려우지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포토센서(130)에서 송신되어 콘트롤러(52)에 수시되는 봉지약(A1, A2)의 투입 길이와, 센서(30)에서 송신되어 콘트롤러(52)에 수신되는 봉지약(A1, A2)의 투입 길이 사이에 설정치 보다 작은 오차가 발생되면 오작동 신호는 송신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패턴성형부(110)는, 나선형 가이더(23) 일측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112)와, 제1케이스(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선형 가이더(23)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봉지약(A1, A2)에 접촉되면서 휘발성 잉크를 봉지약(A1, A2)에 도포하여 물결 모양의 패턴을 성형하는 드로잉부재(114)와, 드로잉부재(114)를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1케이스(112) 내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드로잉부재(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실린더(117)와, 봉지약(A1, A2)의 두께에 따라 물결모양의 돌출부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드로잉부재(114)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폭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포토센서(130)는, 나선형 가이더(23)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봉지약(A1, A2)의 두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나선형 가이더(23)에 공급되는 봉지약(A1, A2)을 촬영하여 콘트롤러(52)에 신호를 송신하는 제1센서와, 나선형 가이더(23)에 설치되어 나선형 가이더(23)의 출구 측으로 이동하는 봉지약(A1, A2)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센서와, 나선형 가이더(23)에 설치되어 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봉지약(A1, A2)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3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제3센서만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므로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드로잉부재(114)는, 나선형 가이더(23)에 제1힌지(114b)에 의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는 공급관부재(114a)와, 공급관부재(114a)의 외측 단부에 교체부(150)에 의해 연결되는 붓부재(116)와, 공급관부재(114a)에 연결되어 휘발성 잉크를 공급하는 호스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호스부재에 설치되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호스부재를 통해 휘발성 잉크가 공급되면 공급관부재(114a) 및 교체부(150)를 통과하는 휘발성 잉크가 붓부재(116)에 적셔지고, 이송되는 봉지약(A1, A2)의 측면에 붓부재(116)가 접촉되면서 휘발성 잉크가 봉지약(A1, A2) 측면에 그려지게 된다.
이때, 공급관부재(114a)의 후단부에 제2힌지(114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가 구동실린더(117)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출몰되므로 공급관부재(114a)의 내측 단부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여 붓부재(116)가 규칙적으로 승강되면서 이송 중인 봉지약(A1, A2) 측면에 물결모양의 패턴을 그리게 된다.
간격조절부(118)는, 공급관부재(114a)의 외측 단부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도록 제1케이스(11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1조절실린더(118a)와, 공급관부재(114a)의 외측 단부의 회전 정도를 제한하도록 제1케이스(182)의 타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2조절실린더(11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제어부(134)에서 봉지약(A1, A2)의 두께를 판단하고, 제1조절실린더(118a)와 제2조절실린더(118b)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붓부재(116)가 회전되는 폭이 봉지약(A1, A2)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봉지약(A1, A2)에 장기간 접촉되면 마모되는 붓부재(116)를 교체할 수 있도록 공급관부재(114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붓부재(116)가 연결되는 교체부(150)와, 교체부(150)와 공급관부재(114a)의 연결상태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1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붓부재(116)가 마모되어 봉지약(A1, A2)에 그려지는 패턴이 포토센서(130)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착탈부(170)를 조작하여 교체부(150) 및 붓부재(116)를 공급관부재(114a)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교체부(150) 및 붓부재(116)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교체부(150)는, 붓부재(116)가 일체로 연결되고, 공급관부재(114a)에 구비되는 제1유로(152b)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제2유로(154a)가 구비되는 착탈블록(152)과, 공급관부재(114a)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홈부(154)와, 착탈홈부(154)에 삽입되도록 착탈블록(152)에 구비되는 돌출부(152a)를 포함한다.
따라서 붓부재(116)가 마모되어 봉지약(A1, A2)에 패턴을 그리지 못하게 되면 작업자는 착탈블록(152)을 공급관부재(114a)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붓부재(116)가 구비되는 착탈블록(152)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170)는, 돌출부(152a)에 형성되는 후크부재(172)와, 후크부재(172)와 걸림결합되도록 착탈홈부(154)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174)와, 걸림부재(174)를 착탈홈부(154) 내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6)와, 걸림부재(174)를 착탈홈부(154) 외측으로 후퇴시키도록 걸림부재(174)로부터 공급관부재(114a)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레버부재(1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돌출부(152a)를 착탈홈부(154)에 삽입시키면 후크부재(172)가 걸림부재(174)를 가압하여 후퇴시키면서 삽입되고, 돌출부(152a)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176)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174)가 착탈홈부(154)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후크부재(172)와 걸림부재(174)가 걸림결합되어 착탈블록(152)과 공급관부재(114a)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착탈블록(152) 및 붓부재(116)를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레버부재(178)를 당기면서 탄성부재(176)를 압축시키고, 걸림부재(174)를 착탈홈부(154) 외측으로 후퇴시키면 걸림부재(174)와 후크부재(172)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서 착탈블록(152)과 공급관부재(114a)의 연결이 해제되어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다종의 봉지약을 수납한 상태로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봉지약의 배출 속도를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봉지약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봉지약 공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봉지약 공급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스마트 공급장치 20:하우징
21:본체부 21a:수용공간
21b:개방구 22:투광성도어
22a:손잡이 22b:힌지
23:나선형가이더 26:받침부
26a:하부공간 27:출구
27a:제1분할출구 27b:제2분할출구
27c:격판 30:센서
31:디스플레이부 32:입력부
33:선택버튼 34:배출버튼
35:스피커 36:알람램프
37:복약확인버튼 38:통신부
39:메모리부 40:선별이송수단
41:상부배출유도부 41a:구동롤러
41b:종동롤러 41c:벨트
42:하부배출유도부 42a:구동롤러
42b:종동롤러 42c:벨트
43:선택전환부 43a:지지롤러
43b:회동홀더 43c:전환모터
45:롤러구동모터 50:전원
52:콘트롤러 60:복용자 스마트폰
62:클라우드서버 64:보호자 스마트폰
66:의료기관 68:요양기관
114 : 드로잉부재 116 : 붓부재
117 : 구동실린더 118 : 간격조절부
130 : 포토센서 132 : 제2케이스
134 : 제어부 150 : 교체부
152 : 착탈블록 154 : 착탈홈부
170 : 착탈부 172 : 후크부재
174 : 걸림부재 176 : 탄성부재

Claims (3)

  1.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상기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선별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봉지약과 상기 선별이송수단이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봉지약이 공급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오작동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이송수단은,
    상기 봉지약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응 배치되며, 봉지약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배출유도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선택된 봉지약을 배출유도부에 접하게 하여, 봉지약이 배출유도부의 이송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선택전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도부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평행하게 이격된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를 감아도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전환부는,
    상기 벨트의 사이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선택된 벨트측으로 이동시켜, 지지롤러와 벨트 사이에 위치한 봉지약이 벨트에 접하게 하는 회동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오작동감지부는,
    이송되는 상기 봉지약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
    상기 봉지약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상기 봉지약의 길이를 판단하고, 상기 출구에 설치되는 센서에서 송신되는 감지신호와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봉지약의 공급길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선별이송수단의 오작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6746A 2018-10-01 2018-10-01 봉지약 공급장치 KR10197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46A KR101971089B1 (ko) 2018-10-01 2018-10-01 봉지약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46A KR101971089B1 (ko) 2018-10-01 2018-10-01 봉지약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089B1 true KR101971089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46A KR101971089B1 (ko) 2018-10-01 2018-10-01 봉지약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0157A (zh) * 2020-02-19 2020-06-26 韦乐海茨(上海)医药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药槽盘点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18B1 (ko) *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18B1 (ko) *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0157A (zh) * 2020-02-19 2020-06-26 韦乐海茨(上海)医药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药槽盘点方法
CN111340157B (zh) * 2020-02-19 2023-08-18 韦乐海茨(上海)医药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药槽盘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518B1 (ko)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EP2067699B2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medicine packaging method
JP6263535B2 (ja) 1用量の固形薬品ポーションを貯蔵及び吐出するための貯蔵及び用量分割ステーション
KR102140447B1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US6497342B2 (en) Medicine feeder
JP6258038B2 (ja) 薬剤供給装置、並びに薬剤供給装置における薬剤鑑査方法
US5819500A (en) Medication packaging apparatus
KR20150048747A (ko) 의약품의 조제 분량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및 해당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576202B1 (ko) 약제 포장장치
KR20150034464A (ko) 알약 제공장치
CA2882987C (en) Apparatus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comprising moving collecting containers and an ancillary dosing station
KR101971089B1 (ko) 봉지약 공급장치
US20190092500A1 (en) Pill packaging device
US20160009436A1 (en) Machine for packing medical products and printing medical instructions for a nurse in a hospital environment
KR101857559B1 (ko) 테이프 부착 및 커팅 장치
CA3051909C (en) Blister package stacker
KR200338658Y1 (ko) 정제 및 산제 혼합 포장장치
KR200383062Y1 (ko) 단자식 조제용 약 포장기
KR20180060000A (ko) 약제 자동 포장기
JP2016214823A (ja) 調剤装置
JPH06227525A (ja) 錠剤包装機
JP2022047090A (ja) 薬剤包装作製装置
KR20180117587A (ko) 약제 포장 불량 감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