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518B1 -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518B1
KR101850518B1 KR1020170065155A KR20170065155A KR101850518B1 KR 101850518 B1 KR101850518 B1 KR 101850518B1 KR 1020170065155 A KR1020170065155 A KR 1020170065155A KR 20170065155 A KR20170065155 A KR 20170065155A KR 101850518 B1 KR101850518 B1 KR 10185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outlet
sorting
medicin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6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및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별이송수단을 이용해 다종의 봉지약을 구분하여 종류별로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봉지약이 수납되는 하우징이 투명도어로 커버되므로 하우징 외부에서 봉지약의 잔량과 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어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SMART APPARATUS FOR SUPPLYING MEDICINE PACKAGED BY PACKET}
본 발명은 봉지약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종의 봉지약을 수납한 상태로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이나 고지혈 또는 당뇨 등과 같은 만성질환을 겪는 환자에게 있어 지속적 복약 관리는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인지능력 저하와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나이가 들수록 약의 종류가 늘어나기 마련인데, 여러 가지 종류의 약에 관한 복용시간과 복용방법 복용횟수 등의 사항을 일일이 체크하는 것은 꽤 힘든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을 잊는 것은 물론, 약복용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고 잠시 후 다시 복용한다거나, 약복용을 자주 잊어버리니 먹을 때 2,3회분의 약을 미리 먹어두는 사람을 주변에서 볼 수 있다.
이에, 상기한 오남용을 방지하고 정확하고 계획적인 약 복용을 가이드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에는 약을 날짜별 또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넣는 다수의 칸이 마련되어 있는 약상자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약상자는 약 자체만 수납하는 것으로서 약이 세균에 쉽게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더욱이 근래에는 조제약들이 위생 등의 이유로 봉지약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그 용적이 협소해 봉지약을 수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상기한 봉지약의 복약관리를 위한 장치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5252호(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는,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와,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 동기화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판단하여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의 배출을 제어하며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약 복용 스케줄의 동기화 및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 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에 상기 공급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봉지약 배출부와,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약 복용 지원 장치는, 한 종류의 봉지약만 공급할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이를테면,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의 병렬 이송 공급이 불가능 한 것이다. 이는 복용 시각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봉지약을 번갈아가며 공급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다수의 출구를 통해 다종의 봉지약을 구분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한 복약을 가능하게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는,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및 상기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이송수단은, 상기 봉지약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응 배치되며, 봉지약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배출유도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선택된 봉지약을 배출유도부에 접하게 하여, 봉지약이 배출유도부의 이송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선택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평행하게 이격된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를 감아도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전환부는, 상기 벨트의 사이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선택된 벨트측으로 이동시켜, 지지롤러와 벨트 사이에 위치한 봉지약이 벨트에 접하게 하는 회동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출구는 격판에 의해 다수의 분할출구로 구획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복용할 봉지약을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개방구를 통해 개방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개방구를 개폐하되 육안으로 하우징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광성도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복약시각을 포함하는 복약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된 내용을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복약시간의 도래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안내수단; 복약 후 사용자에 의해 눌려 복약 완료 신호를 발생하는 확인버튼; 상기 확인버튼에서 발생한 신호를 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어 콘트롤러로 하여금 선별이송수단을 통해 봉지약을 배출하게 하는 배출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는,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선별이송수단을 이용해, 용법이 상이한 다종의 봉지약을 구분하여 종류별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편리한 복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여러 사람이 각자의 복약 내용이나 복약 패턴을 입력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령 요양원이나 의료시설과 같은 공고 장소에 비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봉지약이 수납되는 하우징이 투명도어로 커버되므로 하우징 외부에서 봉지약의 잔량과 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어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선별이송수단을 별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를 이용한 복약관리시스템을 참고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10)는, 본체부(21)와 받침부(26)를 가지며 일측에 출구(27)를 구비한 하우징(20)과, 상기 출구(27)의 내측에 설치되는 선별이송수단(40)과, 받침부(26)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50)과 콘트롤러(52)를 포함한다.
후술할 설명에서 언급되는 봉지약(A1,A2)은,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약봉투에 들어있는 약을 의미한다. 이러한 봉지약은 병원이나 약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는 봉지약 A1과 A2는 다른 용법으로 복용해야 하는 다른 종류의 약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부(21)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부(31), 입력부(32), 선택버튼(33), 배출버튼(34), 스피커(35), 알람램프(36), 복약확인버튼(37), 통신부(38), 메모리부(3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21)는 대략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다종의 봉지약(A1,A2)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a)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개방구(21b)와 출구(27)를 갖는다.
상기 개방구(21b)는 수용공간(21a)을 측부로 개방하는 통로로서 투광성도어(2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투광성도어(2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 또는 아크릴로 제작된 것으로서 힌지(22b)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투광성도어(22)를 적용함으로써 투광성도어(22)를 닫은 상태라 하더라도 본체부(21)의 내부 상황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가령 투광성도어(22)를 열지 않더라도 봉지약(A1,A2)의 잔량이나 기타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22a는 손잡이이다.
또한 상기 출구(27)는 일회분의 봉지약(A1,A2)이 배출되는 배출통로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출구(27)의 전면 개방부에도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수용공간(21a)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출구(27)에는 격판(27c)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격판(27c)은 출구(27)를 제1분할출구(27a)와 제2분할출구(27b)로 나누는 수평의 판상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출구를 상하 두 개로 구획하였지만, 후술할 선별이송수단(40)을 보다 정교하게 구성할 경우, 더 많은 출구로 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1,2분할출구(27a,27b)의 내측부에는 센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30)는 제1,2분할출구(27a,27b)의 내부에 봉지약(A1,A2)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내용을 콘트롤러(52)로 전달하여 콘트롤러(52)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달성 할 수 있는 한 센서(30)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예로 적외선 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의 수용공간(21a) 내에는 나선형가이더(23)가 구비된다. 상기 나선형가이더(23)는 봉지약(A1,A2)에 나선형 경로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그 자체가 나선형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투광성도어(22)를 개방한 상태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봉지약(A1,A2)을 겹쳐 나선형 경로에 끼우고, 봉지약(A1,A2)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제1,2분할출구(27a,27b)에 위치시키면 봉지약(A1,A2)의 세팅이 완료된다. 이 상태로 선별이송수단(40)을 구동하면, 선택된 봉지약(A1 또는 A2)은 상기 나선형경로 내에서 가이드 되며 출구(27)를 향해 이동한다.
한편, 상기 선별이송수단(40)은, 봉지약(A1,A2)을 제1분할출구(27a) 및 제2분할출구(27b)를 향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배출유도부(41)와 하부배출유도부(42)와 선택전환부(43)를 구비한다.
도 3에 상기 선별이송수단(40)을 별도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이송수단(50)은, 상기 격판(27c)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배출유도부(41)와, 격판(27c)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배출유도부(42)와, 격판(27c)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되는 선택전환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배출유도부(41)는,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축회전하는 구동롤러(41a) 및 종동롤러(41b)와, 상기 구동롤러(41a) 및 종동롤러(41b)를 감아도는 벨트(41c)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롤러(41a)는 롤러구동모터(4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 한다. 상기 롤러구동모터(45)가 콘트롤러(52)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하부배출유도부(42)는 상부배출유도부(4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한 구동롤러(42a) 및 종동롤러(42b)와, 상기 구동롤러(42a) 및 종동롤러(42b)를 감아 도는 벨트(42c)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롤러(42a)는 롤러구동모터(4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전환부(43)는, 제1,2분할출구(27a,27b)에 각각 걸쳐져 있는 봉지약(A1,A2) 중 어떤 봉지약을 배출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롤러(43a)와, 상기 지지롤러(4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홀더(43b)와, 상기 회동홀더(43b)를 상하로 회동운동 시키는 전환모터(43c)를 포함한다. 상기 전환모터(43c)는 콘트롤러(52)에 의해 제어되어 회동홀더(43b)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시킨다.
특히 상기 회동홀더(43b)가 상향 회동하면 지지롤러(43a)가 벨트(41c)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41c)와 지지롤러(43a)의 사이에 봉지약(A1)이 개재된 상태로 지지롤러(43a)를 상승시키면 봉지약(A1)이 외부로 인출된다.
마찬가지로 회동홀더(43b)가 하향 회동하면 지지롤러(43a)가 벨트(42c)와 접하여, 지지롤러(43a)와 벨트(42c)의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약(A2)이 외부로 이송 배출된다.
결국 상기한 지지롤러(43a)의 위치조절을 통해 두 종류의 봉지약(A1,A2) 중 하나의 봉지약을 선별 공급할 수 있는 것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약의 선별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상하부배출유도부(41,42) 및 회동형 선택전환부(43)를 적용하였지만,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기구적 변형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공간(26a) 내에 전원(50)과 콘트롤러(52)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원(50)은 충전형 배터리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를 통해 옥내 전원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52)는, 선별이송수단(40)을 제어함은 물론 스마트 공급장치(10)의 모든 동작을 관할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31)는, 현재 수용공간(21a) 내부에 남아있는 봉지약(A1,A2)의 잔량을 나타냄은 물론, 공급장치(10)의 작동 상 관련된 여러 사항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수단이다. 가령, 세팅된 복약 시각이나 알람정보는 물론 봉지약의 배출정보나 복용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2)는, 복약시각을 입력하거나 내부공간(21a) 내의 봉지약(A1,A2)의 개수나 복용정보 또는 복용방법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상기 입력부(32)에 입력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출력됨은 물론이다.
상기 선택버튼(33)은, 두 가지 종류의 봉지약(A1,A2) 중 어떤 약을 배출할지 결정하는 버튼이다. 가령 좌측 버튼을 누르면 제1분할출구(27a)를 통해 봉지약 A1이 배출될 준비가 되는 것이고, 우측 버튼을 누르면 제2분할출구(27b)를 통해 다른 봉지약 A2이 배출될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버튼(34)은 복용자 또는 보호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배출버튼(34)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콘트롤러(52)로 전달되어, 선택버튼(33)으로 이미 선택한 봉지약(A1 또는 A2)이 배출된다.
상기 스피커(35)는, 복약시각에 음향이나 음성을 출력하여 환자나 보호자에게 복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35)의 출력시각은 입력부(32)를 통해 메모리부(39)에 미리 입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알람램프(36)는 스피커(35)와 마찬가지로 복약시각에 동작하여 복용자나 보호자에게 복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알람램프(36)로서 엘이디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알람램프(35)의 개수나 위치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복약확인버튼(37)은 복약 완료 후 누르는 스위치이다. 복약확인버튼(37)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메모리부(39)로 전달되어, 이를테면 몇 시에 약을 복용했는지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39)에 저장된 정보는 복약 이력으로서 추후 복약 스케줄링의 셋업 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38)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방식의 무선 신호 입출력부로서 외부의 스마트폰과 접속된다. 이와 같이 통신부(3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복용자나 보호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콘트롤러(52)와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즉, 원격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일회분의 봉지약을 배출하게 하거나 알람램프(36)나 스피커(35)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입력부(32)를 대신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용공간(21a)의 내부에 봉지약(A1,A2)을 수납한 후, 입력부(32) 또는 복용자 스마트폰(60)을 이용해 복용시각과 봉지약의 개수와 복용정보와 복용방법 등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스마트폰(60)으로 입력되는 사항은 통신부(38)를 거쳐 메모리부(39)로 전달되고,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사항은 메모리부(39)로 바로 전달된다. 아울러 입력하는 내용은 메모리부(39)에 저장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31) 또는 스마트폰(6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복용시각이 도래하면, 콘트롤러(52)는 스피커(35)와 알람램프(36)를 작동시켜 복용자에게 복용시각이 되었음을 알리고, 선별이송수단(40)을 구동하여 일회분의 봉지약(A1 또는 A2)을 배출한다.
상기 선별이송수단(40)을 통해 이송되는 봉지약(A1,A2)은, 제1,2분할출구(27a,27b)내의 센서부(34)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부(34)는 감지내용을 콘트롤러(52)로 전달하여 콘트롤러(52)로 하여금 상기 롤러구동모터(45)를 정지하게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봉지약(A1,A2)은 제1,2분할출구(27a,27b) 내부에서 대기한다.
복용자는 상기 제1분할출구(27a) 또는 제2분할출구(27b)내에 봉지약이 대기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봉지약을 절취해 꺼낸다.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였다면, 상기 복약확인버튼(37)을 눌러 복약사실을 메모리부(39)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38)를 통해 복용자 스마트폰(60)으로 전송한다. 복용자 스마트폰(60)으로 전달된 정보는 클라우드서버(도 5의 62)로 업로드 된 후 보호자 스마트폰(64)과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 등으로 실시간 전송된다.
한편, 상황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9)에 복약시각이 미리 입력되지 못한 경우나, 또는 복약시간이 아직 남아 있지만 사정상 조금 일찍 복약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버튼(33) 및 배출버튼(34)을 눌러 필요한 봉지약을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배출버튼(34)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콘트롤러(52)로 전달되고 콘트롤러(52)는 선별이송수단(40)을 작동시켜 일회분의 봉지약(A1 또는 A2)을 배출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배출한 봉지약을 복용하고 상기 복약확인버튼(37)을 눌러 복약 사실을 보호자와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 등으로 전송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10)를 이용한 복약관리시스템을 참고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공급장치(10)는 복용자 스마트폰(60)과 직결되어 있다. 공급장치(10)와 스마트폰(60)은 일대일 매칭된 상태로 통신한다. 가령 스마트폰(60)을 통해 복약 관련 정보나 데이터를 공급장치(10)로 입력할 수 있고, 공급장치(10)는 공급장치(10) 내부의 정보를 스마트폰(60)을 계속 전달한다.
또한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64)은 클라우드서버(62)와 접속된다. 상기 클라우드서버(62)는 복용자 스마트폰(60)을 보호자 스마트폰(64)과 의료기관(66)과 요양기관(68)과 연결시켜준다. 의료기관(66)은 의료기관의 컴퓨터서버를, 요양기관(68)은 요양기관의 컴퓨터서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장치(10)가 복용자 스마트폰(60)과 클라우드서버(62)를 통해 의료기관(66)이나 요양기관(68)으로 연결되므로, 의료기관이나 및 요양기관의 관리자에게 복약유무와 봉지약의 잔량 정보가 실시간 전달되고 환자의 복약 이력이 빠짐없이 체크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스마트 공급장치 20:하우징 21:본체부
21a:수용공간 21b:개방구 22:투광성도어
22a:손잡이 22b:힌지 23:나선형가이더
26:받침부 26a:하부공간 27:출구
27a:제1분할출구 27b:제2분할출구 27c:격판
30:센서 31:디스플레이부 32:입력부
33:선택버튼 34:배출버튼 35:스피커
36:알람램프 37:복약확인버튼 38:통신부
39:메모리부 40:선별이송수단 41:상부배출유도부
41a:구동롤러 41b:종동롤러 41c:벨트
42:하부배출유도부 42a:구동롤러 42b:종동롤러
42c:벨트 43:선택전환부 43a:지지롤러
43b:회동홀더 43c:전환모터 45:롤러구동모터
50:전원 52:콘트롤러 60:복용자 스마트폰
62:클라우드서버 64:보호자 스마트폰 66:의료기관
68:요양기관

Claims (6)

  1.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띠의 형태를 취하며 절취선으로 구분된 봉지약을 그 내부에 다수 열 수납할 수 있고, 일측에는 수납되어 있는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이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출구의 내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봉지약 중 선택된 봉지약을 이송시켜 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선별이송수단; 및
    상기 선별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이송수단은,
    상기 봉지약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응 배치되며, 봉지약에 이송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배출유도부; 및
    상기 이송경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선택된 봉지약을 배출유도부에 접하게 하여, 봉지약이 배출유도부의 이송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선택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축회전 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평행하게 이격된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를 감아도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전환부는,
    상기 벨트의 사이에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선택된 벨트측으로 이동시켜, 지지롤러와 벨트 사이에 위치한 봉지약이 벨트에 접하게 하는 회동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격판에 의해 다수의 분할출구로 구획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용할 봉지약을 그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개방구를 통해 개방되며,
    상기 개방구에는, 개방구를 개폐하되 육안으로 하우징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 투광성도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약시각을 포함하는 복약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된 내용을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복약시간의 도래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안내수단;
    복약 후 사용자에 의해 눌려 복약 완료 신호를 발생하는 확인버튼;
    상기 확인버튼에서 발생한 신호를 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어 콘트롤러로 하여금 선별이송수단을 통해 봉지약을 배출하게 하는 배출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KR1020170065155A 2017-05-26 2017-05-26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KR10185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155A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7-05-26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155A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7-05-26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518B1 true KR101850518B1 (ko) 2018-04-19

Family

ID=6208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155A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7-05-26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5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89B1 (ko) * 2018-10-01 2019-04-22 이금상 봉지약 공급장치
KR20210016756A (ko) * 2019-08-05 2021-02-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약 자동 배출 장치
KR20210146077A (ko) 2020-05-26 2021-12-03 주성덕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87768B1 (ko) * 2021-11-09 2022-04-18 전현정 정기 복용품 배출 및 관리 장치
KR102643896B1 (ko) 2023-08-10 2024-03-07 주식회사 푸른건설시스템 약봉지 자동 제공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395B1 (ko) * 2014-12-31 2016-06-02 허예준 롤형 연속 약봉지의 보관 및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395B1 (ko) * 2014-12-31 2016-06-02 허예준 롤형 연속 약봉지의 보관 및 배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89B1 (ko) * 2018-10-01 2019-04-22 이금상 봉지약 공급장치
KR20210016756A (ko) * 2019-08-05 2021-02-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약 자동 배출 장치
KR102284329B1 (ko) 2019-08-05 2021-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약 자동 배출 장치
KR20210146077A (ko) 2020-05-26 2021-12-03 주성덕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87768B1 (ko) * 2021-11-09 2022-04-18 전현정 정기 복용품 배출 및 관리 장치
KR102643896B1 (ko) 2023-08-10 2024-03-07 주식회사 푸른건설시스템 약봉지 자동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518B1 (ko)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CN107106412B (zh) 用于分拣和分配口服药物的系统
EP3342718B1 (en) Full-automatic medicine distributing and supplying system and automatic solid-medicine separating method
US20090281657A1 (en) Automatic medication reminder and dispensing device, system , and method therefor
CA2578910C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US6732884B2 (en) Bulk medication dispenser and monitoring device
KR20150034464A (ko) 알약 제공장치
US10292906B1 (en) Contactless automatic pill dispenser with blister-pack support
US10682284B2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pills
JP2004203433A (ja) 薬剤供給装置
JP2019517363A (ja) 錠剤類ディスペンサー、システム及び/又は方法
US11410764B1 (en) Smart medication dispenser
TWM528748U (zh) 智慧型個人藥盒管理系統
JP2011005321A (ja) 薬剤を投与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857505B2 (en) Smart pill dispenser
JP6429334B2 (ja) 服薬支援装置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04334148A (zh) 药剂填充装置
KR20140049709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39341A (ko) 복약 관리장치
KR101971089B1 (ko) 봉지약 공급장치
JPH06269488A (ja) 薬収納容器
KR101715062B1 (ko) 전자 복약장치
US11344477B2 (en) Synchronized medication tracking system
WO2020105551A1 (ja) 薬剤分包装置、薬剤分包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