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77A -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077A
KR20210146077A KR1020200063107A KR20200063107A KR20210146077A KR 20210146077 A KR20210146077 A KR 20210146077A KR 1020200063107 A KR1020200063107 A KR 1020200063107A KR 20200063107 A KR20200063107 A KR 20200063107A KR 20210146077 A KR20210146077 A KR 2021014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rug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725B1 (ko
Inventor
주성덕
Original Assignee
주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덕 filed Critical 주성덕
Priority to KR102020006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는,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Medic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경증 치매환자 등의 약 복용시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는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이나 고지혈 또는 당뇨 등과 같은 만성질환을 겪는 환자에게 있어 지속적 복약 관리는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인지능력 저하와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나이가 들수록 약의 종류가 늘어나기 마련인데, 여러 가지 종류의 약에 관한 복용시간과 복용방법, 복용횟수 등의 사항을 일일이 체크하는 것은 꽤 힘든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을 잊는 것은 물론, 약복용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고 잠시 후 다시 복용한다거나, 약복용을 자주 잊어버리니 먹을 때 2, 3회분의 약을 미리 먹어두는 사람을 심심치않게 주변에서 볼 수 있다. 특히, 경증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물론 종래에도 오남용을 방지하고 정확하고 계획적인 약 복용을 가이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약을 날짜별 또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넣는 다수의 칸이 마련되어 있는 약상자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약상자는 약 자체만 수납하는 것으로서 약이 세균에 쉽게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더욱이 근래에는 조제약들이 위생 등의 이유로 봉지약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그 용적이 협소해 봉지약을 수용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8796호(2004.05.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3063호(2013.07.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2250호(2013.12.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5494호(2015.04.1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518호(2018.04.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치매환자 등의 약 복용시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는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는,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장치의 전원을 턴온시켜 상기 일회분의 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약 복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지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지정 시간마다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환자가 상기 배출한 약을 취득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을 자동으로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에 의해 전원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약의 지급 정보를 근거로 전원의 턴온 동작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장치의 전원을 턴온시켜 상기 일회분의 약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약 복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지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지정 시간마다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환자가 상기 배출한 약을 취득하는지 센서부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을 자동으로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환자에 의해 전원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약의 지급 정보를 근거로 전원의 턴온 동작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약 자동지급장치 내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또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약 지급 스케줄을 관리함으로써 경증 치매환자 등의 약물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치매환자 등이 아니라 일반인들의 경우에도 약복용 여부를 일시적으로 망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의 경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약 자동지급장치를 기구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약 자동지급장치의 세부구조를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예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약 자동지급장치(110)가 스탠드얼론(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약 자동지급장치(11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등과 같이 PC 기반보다는 태블릿PC, 스마트폰, 국내 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와 같은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가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가령 스마트폰에서 요일 및 시간을 세팅하여 약 복용의 스케줄 관리를 해 세팅 값으로 매일 같은 시간대에 약이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하는 사용자는 또는 경증 치매환자와 같이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호자가 해당 앱을 실행한 후 약 복용 정보를 세팅 즉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약을 복용하는 날짜를 선택하거나 요일을 선택한 후 구체적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과 저녁에만 복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아침과 저녁 시간에 각각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통해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병원에서 약을 처방받아 약국에서 약을 수령한 경우, 해당 약들은 약 자동지급장치(11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실행한 후 약 복용을 위한 정보 즉 약 복용 정보를 설정한다. 보통 3일치의 약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3일 동안 아침, 점심, 저녁의 식후에 복용하도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해당 앱의 스케줄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그리고, 설정된 약 복용 정보에 따라 시간이 도래한 경우, 앱(혹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약 자동지급장치(110)로 제어 신호(혹은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제어 신호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잠자는 즉 턴오프된 전원을 켜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약 자동지급장치(110)에서 전원이 켜지면 해당 시간에 복용하기 위한 약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약 자동지급장치(110)로부터 약이 배출되고, 배출 동작이 완료되면 이의 감지신호를 약 자동지급장치(110)로부터 수신하여 환자의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경증 치매환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실행하여 약을 복용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자체적으로 전원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서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실행한 후 다시 약의 배출을 요청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약 복용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환자에게 알리고 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만약, 전자의 경우라면 약 자동지급장치(110)가 내부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여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이의 경우에도 역시 약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약의 복용이 이미 이루어졌거나 다음 회의 약 복용 시간이 많이 남아 있음을 외부로 음성송출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가령 앱을 통해 간단하게 환자의 약 복용과 관련한 스케줄을 관리함으로써 약물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자동지급장치(110)를 통해서도,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지 않아도 단독으로 위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정보 입력 과정이 좀더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여 동작하지 않고 스탠드얼론 형태로 얼마든지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으로부터 수령한 약을 약 자동지급장치(110)에 투입시킨 후,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창 혹은 메뉴 창을 통해 복용 정보 즉 스케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의 경우 내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약 복용과 관련한 스케줄을 관리한다. 가령, 환자가 약 복용을 위해 전원버튼을 누른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내부에 저장된 스케줄을 확인하여 약 복용 시간인지를 확인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내부적으로 타이머를 가동시켜 약 복용을 위한 시간이 도래할 때, 전원을 턴온시켜 내부의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 등을 통해 약 복용시간이 되었음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약이 배출되면 더 정확하게는 사용자의 약 취득이 감지되면 이를 기록에 남기는 방식으로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약의 제공 이후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턴오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제조비용이나 정보 입력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물론,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전원버튼이 없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제어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전원을 턴온시킨 후 일회분의 약을 외부를 배출시킨다. 약을 배출한 후에도 동작 완료 신호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한 후 전원을 자동으로 턴오프시킬 수 있다. 물론 통신과 관련해서는 비콘통신이나 블루투스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블루투스를 통해 주변의 약 자동지급장치(110)를 인식하고 서로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즉 페어링 동작 등을 통해 서로의 식별정보를 저장시킨 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동할 수 있다. 물론 약 자동지급장치(110)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제외하고자 한다. 다만,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전원버튼을 구비하는 경우와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 제어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약 복용과 관련한 모든 스케줄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약 자동지급장치(110)가 전원버튼을 구비하는 경우, 경증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전원버튼을 누를 수 있으므로, 이의 경우 약 복용과 관련한 스케줄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전원버튼의 선택이 있는 경우, 전원버튼의 선택이 있음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정보에 따라 약 복용 시간이 아니라는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스피커 등을 통해 외부로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도 2는 도 1의 약 자동지급장치를 기구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도 2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내부는 약국에서 수령한 약을 약 봉지채로 또는 별도의 전용컵(200)이나 밀폐용기에 수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용컵(200)들이 순환하면서 일회분의 약을 외부의 배출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물론 그러한 회전값은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혹은 배출구)에는 센서부(210)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센서는 포토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약이 배출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약을 취득한 경우, 이에 따라 특정 시간의 약 복용이 이루어졌음을 약 자동지급장치(110')가 인식할 수 있다. 약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때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부(220)를 통해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LED 등의 상태출력부(230)를 통해서는 광을 송출하여 약이 나오고 있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물론, 특정 시간대의 약을 이미 복용한 상태이거나 시간이 많이 남은 경우에는 음성출력부(220)를 통해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 즉 음성 내용을 송출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전용컵(200)은 컵의 하부면에 회전 기어인 헬리컬 기어나 섹터 기어를 통해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적인 설계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도 2의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여기서 구동장치는 PCB 기판상에 구성되어 있는 CPU, MPU와 그 주변회로들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의 구동 메커니즘과 관련해서는 계속해서 도 3을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도 1의 약 자동지급장치의 세부구조를 구동 메커니즘적으로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약 지급부(310), 제어부(320), 약지급실행부(330) 및 저장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전압공급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약지급실행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초기 앱의 실행시 서로의 장치 식별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의 앱의 실행에 따라 전원을 턴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320)로 제공하여 전원을 턴온시켜 약 자동지급장치(1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대기 전력에 의해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통신 신호 즉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정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약 지급 완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지급부(310)는 앞서 도 2에서와 같이 센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약을 배출부로 배출한 후 센서부(210)로부터 환자나 그의 보호자에 의해 약이 취득된 것이 감지되면 해당 감지 신호를 근거로 약 지급 완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식별정보와 함께 완료신호를 전송하며, 완료신호는 2진 2비트나 4비트 등 다양한 형태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약지급부(310)는 도 2에서 살펴보면 바와 같이, 모터부와 전용컵(200), 또 센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약지급부(310)를 제어하여 약이 환자 또는 그의 보호자에게 지급되도록 내부의 전용컵(200) 등에 보관되어 있는 약을 외부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전용컵(200)에는 순번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최초에 복용하는 약은 아침, 점심, 저녁 중 어느 하나의 지정된 시간에 최초 공급되고, 이어서 약지급실행부(330)의 프로그램, 가령 앱에 설정된 약 복용 시간정보를 근거로 약이 지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용컵(200)의 순번대로 약이 수납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경고방송이 송출될 수 있다. 가령, 1번 및 2번에 해당하는 전용컵(200)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2번에 먼저 약이 투입되고 이어 1번에 약이 투입되면 경고방송을 송출한다. 이러한 동작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전용컵(200)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을 때, 위의 동작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지급부(310)는 바코드 시스템으로 동작하여 약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약지급부(310)는 약봉지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스캐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약봉지에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이러한 바코드의 인식에 따라 전용컵(200)의 약을 환자 또는 그의 배우자에게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지급부(3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지급부(310)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도 2의 음성출력부(220), 상태출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220)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안내방송이나 경고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상태출력부(230)는 LED 발광소자 등을 구비하여 약의 배출시 불빛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하거나 점멸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약지급실행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프로그램은 스탠드얼론 형태로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동할 때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동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약 복용을 위해 최초 입력된 시간 정보를 근거로 동작하여, 다시 말해 제어부(320)가 약지급부(310)를 제어하여 환자나 그의 보호자에게 약이 지급되도록 한다. 물론, 약을 시간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지급한 이후에 지급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저장부(340)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약지급실행부(330)는 가령, 내부에 저장된 약 복용을 위한 시간 정보에 따라 약 복용 시간과 관계없이 전원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버튼이 선택될 때, 우선적으로 전원버튼의 선택될 때의 시간을 점검하고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약 복용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불필요한 버튼 선택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장된 약 복용 시간정보와 일치하거나 인접한 시간에 있는 경우 약 지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불필요한 선택이 있는 경우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약지급실행부(330)가 내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동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약지급실행부(3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적절한 제어 신호인지 내부의 약 복용 시간 정보와 시간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약지급부(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가령, 경증 치매환자의 경우 불필요하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실행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앱이 실행되어 제어 신호가 전송될 때의 시간을 확인하여 기저장되어 약 복용 시간 정보와 일치하거나 인접하는지를 판단하여 약을 지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정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점검하여 원천적으로 제어 신호가 송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약을 지급한 이후에도 약지급실행부(330)는 그 결과에 대한 정보가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부(320)에 요청한다. 물론 이의 경우에도 시간 정보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약 복용과 관련한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여 서로 일치하는 시간 정보가 있을 때, 약 복용이 완료되었음을 기록하고, 이를 근거로 다음 시간대의 약 복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약지급실행부(330)는 별도의 약 지급과 관련한 내역을 저장부(340)에 기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약 지급과 관련한 내역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약 지급과 관련되는 내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관련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약 지급 신호나 약 지급이 완료되었을 때의 약 지급 완료신호(예: 2진 데이터 형태)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약지급부(310), 제어부(320), 약지급실행부(330) 및 저장부(34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2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약 자동지급장치(110")의 초기 구동시 약지급실행부(33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400). 여기서,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나, 적외선 등 근거리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2진 비트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2진 신호 '1'일 때는 전원을 턴온시키라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고, '0'일 때는 전원을 턴오프시키라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제어 신호로서 전원을 턴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과 함께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만, 시간 정보의 확인은 약 자동지급장치(1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성의 약을 외부로 배출하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S410).
이의 과정에서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한 상태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지연 시간은 고려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 정보를 근거로 전원을 턴온시키지 않거나 약 배출을 제어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의 실행시 시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으므로, 이의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약 복용과 관련하여 설정한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약 자동지급장치(110)로의 제어 신호 전송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4의 약 자동지급장치(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시스템(490)은 사용자 단말장치(500), 약 자동지급장치(510), 통신망(520) 및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약국이나 병원 등의 의료기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장치(5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약 자동지급시스템(490)이 구성되거나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5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는 도 1의 시스템(90)의 동작이 범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약 자동지급장치(510)는 제조사들마다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는 다수의 약 자동지급방치(510)를 통합 관리하는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령 병원에서의 처방에 따라 약국에서 약이 환자나 보호자에게 제공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해당 병원은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500)는 앱을 통해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530)는 자신이 처방받은 약에 대한 약 복용 정보 즉 스케줄 정보를 자동으로 앱에 세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약 자동지급장치(510)와 사용자 단말장치(500)의 동작이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는 약 복용 정보를 약 자동지급장치(510)로 직접 제공하여 약 자동지급장치(510)가 스탠드얼론 형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도 이미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통신망(5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5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5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5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5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5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500)나 약 자동지급장치(5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500)나 약 자동지급장치(510) 등과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는 사용자 단말장치(500)가 앱을 실행하여 접속할 때, 이를 중개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서서는 다이렉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도 5의 경우에는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가 도 5의 통신망(520)을 통해 약 자동지급장치(510)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다. 관련 데이터는 DB(5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데이터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증 치매환자들의 약 복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는 약국에서의 약 지급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말해 약 복용 시간임을 알리면, 사용자는 약 자동지급장치(510)의 전원버튼을 선택하여 외부로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5의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사용자 단말장치(500), 약 자동지급장치(510), 통신망(520) 및 의료서비스제공장치(5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은 UI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UI 화면에 표시되는 1번에서 5번 버튼은 각각 스마트 약 지급기 전원 on/off 버튼(1번), 약 지급 버튼(2번), 스케줄 관리 on/off(3번), 카메라 on/off(4번), 양방향 통화 버튼(5번)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UI 화면상에는 카메라 화면 방향 전환을 위한 버튼 혹은 키(key) 버튼이 표시되며, 제일 하단에는 카메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화면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도 1의 약 자동지급장치(110) 혹은 이후에 기술하는 도 7의 약 자동지급장치(690)는 스마트 약 지급기로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홈 CCTV를 이용하여 약 복용 여부를 화면과 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약 스마트폰에서 전원을 켜고 안내방송 및 경고음으로 약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약 지급버튼은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지급할 수 있으며, 환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지급받을 수도 있다. 약 스케줄 관리를 하여 일정 요일 시간에 약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예: 홈CCTV)를 기기 내에 설치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 대화하면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양방향 통화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화면 방향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 자동지급장치(690)는 외부면에 약 지급 수동 버튼(700), 카메라(710), 스피커(720) 및 약 배출구(730)을 포함할 수 있다.
약 지급 수동 버튼(700)은 환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지급 받을 수 있으며, 환자의 인지 능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카메라(홈 CCTV)를 설치하여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약 복용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 환자와 대화를 할 수 있어 혼자 사는 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
스피커(710)는 카메라(710)를 보면서 환자와 대화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론 스피커(710)는 상대자의 음성을 송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약 배출구(730)는 약 지급 수동 버튼(700)을 눌렀을 때 가령 스케줄에 따라 약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5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510: 약 자동지급장치
200: 전용컵 210: 센서부
220: 음성출력부 230: 상태출력부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약지급부
320: 제어부 330: 약지급실행부
340: 저장부 520: 통신망
530: 의료서비스제공장치

Claims (6)

  1.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 자동지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장치의 전원을 턴온시켜 상기 일회분의 약을 배출시키는 약 자동지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약 복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지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신호를 지정 시간마다 수신하는 약 자동지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상기 배출한 약을 취득하는지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을 자동으로 턴오프시키는 약 자동지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에 의해 전원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약의 지급 정보를 근거로 전원의 턴온 동작을 차단시키는 약 자동지급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지정 시간마다 환자에게 약을 지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내부에 기저장된 일회분의 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 후 약의 지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자동지급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63107A 2020-05-26 2020-05-26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3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07A KR102430725B1 (ko) 2020-05-26 2020-05-26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07A KR102430725B1 (ko) 2020-05-26 2020-05-26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77A true KR20210146077A (ko) 2021-12-03
KR102430725B1 KR102430725B1 (ko) 2022-08-08

Family

ID=7886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07A KR102430725B1 (ko) 2020-05-26 2020-05-26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72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796A (ko) 2002-10-29 2004-05-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약 공급 시스템
KR20100055976A (ko)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3063A (ko) 2011-12-28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복용 지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KR101342250B1 (ko) 2012-03-21 2013-12-16 전진우 시계를 가진 약 공급장치
KR101515494B1 (ko) 2013-06-26 2015-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KR20150062066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포 자동 배출 기능을 갖는 환자감시장치
KR20160131790A (ko) * 2015-05-08 2016-11-16 지현구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796A (ko) 2002-10-29 2004-05-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 피 약 공급 시스템
KR20100055976A (ko)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3063A (ko) 2011-12-28 2013-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복용 지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KR101342250B1 (ko) 2012-03-21 2013-12-16 전진우 시계를 가진 약 공급장치
KR101515494B1 (ko) 2013-06-26 2015-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KR20150062066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포 자동 배출 기능을 갖는 환자감시장치
KR20160131790A (ko) * 2015-05-08 2016-11-16 지현구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725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7123B2 (ja) 薬剤情報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454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ill container activity
US11207243B2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KR101042245B1 (ko) 약복용 지원 장치, 약상자, 약 보관용 컨테이너 및 약 복용지원 방법
AU2018200224A1 (en) Medica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1456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nd assisting in medication compliance
US20160354284A1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and non-stationa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5196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pensing of pills
US20140005826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illing of a medication dispenser, and medication dispenser
US2018022869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US20200135321A1 (en) System, methods, & device for managing a product
KR20160098719A (ko) 약통을 위한 디지털 캡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20190282450A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20210020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medicine control action
WO2020106330A1 (en) Smart drug delivery and monitoring device, kit, and method of use for pill compounds
US9125797B2 (en) Programmable system with visual indication for medicine consumption
US2016003466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f medication
KR102430725B1 (ko)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21029597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dherence to a regimen
KR102241062B1 (ko) 의료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7344115B2 (ja) スマートピルボック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97625A (ko)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4112034A1 (en) Medicine pillbox for managing medicine consumption
KR101760698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220270734A1 (en) Smart system for dispensing medications in real-time and pharmacovigilance methods employe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