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329B1 - 알약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알약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329B1
KR102284329B1 KR1020190094928A KR20190094928A KR102284329B1 KR 102284329 B1 KR102284329 B1 KR 102284329B1 KR 1020190094928 A KR1020190094928 A KR 1020190094928A KR 20190094928 A KR20190094928 A KR 20190094928A KR 102284329 B1 KR102284329 B1 KR 10228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ine bag
moving
medicin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756A (ko
Inventor
손인수
서상우
김영재
서한교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서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하부로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컷팅부 및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약봉지의 내부에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 및 한 쌍의 롤러의 반대 지점에서 틈새를 구비하되, 이동부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는 약봉지가 한 쌍의 롤러 가운데 삽입됨과 동시에 컷팅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절단되고, 배출구 방향으로 쓰러짐을 유도하여 약이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약 자동 배출 장치 {AUTOMATIC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알약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약봉지 내부의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와 이와 반대 지점에 틈새부를 구비하여 약봉지 내부의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빈 약봉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현대인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몸매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약을 복용하고,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약국이나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처방해주는 약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약봉지에 담겨진 후 밀봉된 상태로 환자에게 제공된다.
대부분의 약은 복용 시각이 정해져 있으며, 또한 병의 종류와 증상에 따라 약의 정류, 복용 시간, 복용량이 각각 다르다.
따라서,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 전 또는 식사 후와 같이 구분되는 약복용 시각에 따라 약봉지 상부에 표시된 절취선을 절단하여 약을 꺼낸 후 복용한다.
그러나, 사회활동을 하는 환자들,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 치매에 걸린 노인, 장기 혈압환자 및 당뇨 환자들의 경우, 약을 복용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약을 제 때에 복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환자들은 정해진 시각에 정해진 약을 복용하여야 하나, 약 복용 시각을 지나치거나, 약복용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여 한번 더 먹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실수는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만성질환자나, 노인들에게 주로 일어나기 쉽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대는 핵가족 시대로 일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경우 자기 행위에 대한 확신이 결여되어 있어 보호자나 간병인이 약 복용 행위를 모니터링 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환자들이 약복용을 제 시간에 맞게 복용하지 못하여 버려지는 약들이 한 해에 수십 억에 이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치료 효과가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크게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약을 장기간 복용하는 환자들을 위해 처방받은 약의 관리 및 복용의 관리가 가능한 장치 및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9-0121265 A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절단하여 약만 배출시켜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 및 간호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약봉지 내부의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한 쌍의 롤러와 이와 반대 지점에 틈새부를 구비하여 약봉지 내부의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빈 약봉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알약 자동 배출장치는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약봉지의 내부에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동일선상에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약봉지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사이에 삽입되고, 전방에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전방에 인접하되, 상기 약봉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약봉지를 넣을 수 있는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약봉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각각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는 마주보고, 각각의 롤러들이 회전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후방에 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제2 이동부와 맞닿아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2 이동부를 가압하여 가운데 삽입된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컷팅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삽입되는 각각의 절단날; 한 쌍으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나사부; 및 한 쌍의 상기 나사부를 관통하는 각각의 스크류부;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스크류부가 회전할 경우, 상기 나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단날은, 상부에서 볼 때, 외부를 향하여 열려져 있는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하부에서 인접하여 결합되는 각도 롤러부; 상기 각도 롤러부의 하부에서 위치되되, 경사를 지니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 롤러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중공부의 틈새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롤러부 사이에 상기 약봉지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 롤러부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약봉지가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부의 후방에 인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는 상기 약봉지가 누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관통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기 설정된 환자의 약복용 시간 마다 소리 또는 빛으로 출력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하면 개폐부를 제1 저장부로부터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닌 미닫이 형상으로 어린 아이와 같이 분별이 미숙한 객층에게 손쉽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약 복용 오남용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을 가지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제1 이동부가 제2 이동부를 향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날의 알파벳 'V'자 형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의 휘어지는 반경까지 칼날을 보유하므로 약봉지의 절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의 양측면에서 절단날이 삽입되므로, 일방향에서만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왕복 운동하면서 약봉지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 끼니마다 약복용을 위해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를 환자의 편의대로 한 번에 처리부를 바디부로부터 분리 및 체결 작업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약복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컷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이동부 및 컷팅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인출부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인출부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자동 배출 장치의 처리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또한,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폭방향이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약이 배출되는 바디부(200)의 배출구(220) 방향과 가까운 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배출구(220)와 가장 먼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는 저장부(100), 바디부(200), 이동부(300), 컷팅부(400), 인출부(500) 및 처리부(6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저장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00)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 저장부(110), 제2 저장부(120), 이동 롤러부(130) 및 개폐부(140)로 구비된다.
제1 저장부(110)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내부에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10)가 수용된다.
또한, 제1 저장부(1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면에서 제1 저장부(110)를 밀폐하도록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140)가 삽입 및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140)를 제1 저장부(110)로부터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닌 미닫이 형상으로 어린 아이와 같이 분별이 미숙한 객층에게 손쉽게 열람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약 복용 오남용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폐부(140)의 재질은 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제1 저장부(110) 내부에 수용된 약봉지(10)를 수시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약 처방 시점을 인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제2 저장부(120)는 제1 저장부(110)의 상부에서 소정의 길이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저장부(120)의 하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저장부(110)에 수용된 약봉지(10)가 제2 저장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후술할 바디부(200)로 진입될 때, 제2 저장부(120)에 형성된 경사면(S)으로 인해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저장부(120)의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만 절삭되어 약봉지(10)가 인출될 수 있고, 롤러가 구비되어 약봉지(10)가 인출될 때, 제2 저장부(120)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약봉지(10)는 제2 저장부(120)에서 인출되어 인접된 바디부(200)의 내측을 향하여 진입된다.
바디부(200)는 제2 저장부(120)의 하부와 맞닿고, 제1 저장부(110)의 전방의 면과 맞닿도록 인접하여 결합된다.
바디부(200)의 내측면은 후술할 이동부(300), 컷팅부(400), 인출부(500) 및 처리부(600)가 수용되도록 중공부를 지니며, 상면은 약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부(200)의 전방에는 손가락 두 개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삭된 배출구(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부(200)의 전방에서 배출구(200)를 통해 약봉지(10) 내부의 포장된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부(300)는 바디부(200) 상면에서 내측에 결합되는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로 구비된다.
제1 이동부(320) 및 제2 이동부(320)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주보며 위치하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이동부(320)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이동부(310)는 결합부(311), 본체부(312), 롤러부(313) 및 스프링부(314)로 구비된다.
결합부(311)는 바디부(200) 상면에서 알파벳 'T' 형상으로 결합되고, 결합부(311) 하부에 본체부(312)가 결합된다.
본체부(312)는 롤러부(31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이 구비되고, 롤러부(313)의 절반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수용되지 않는 방향에서 각각의 롤러부(313),(323)가 마주보고 회전하고, 각각의 롤러부(313),(323) 사이에 약봉지(10)가 삽입된다(도 3 참조).
이에,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롤러부(313),(32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된다.
이때, 제2 이동부(320)의 일측에는 인코더부(3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코더부(324)는 공지된 회전각 변위를 측정하는 인코더의 종류인 로터리 인코더로 구현될 수 있고, 회전되는 축에 고정하여 회전각이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 인코더부(324)는 모터 축의 전환 및 회전을 추적해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지름이 6cm 인 인코더의 회전수 측정 구멍이 30도 당 1칸씩 배치됨을 가정하면, 각도를 계산하여 롤러가 회전하며 칸 당 이격되는 거리가 계산된다. 따라서, 약봉지(10)가 후술할 인출부(500)까지 도달하는 길이를 6cm 라고 가정했을 때, 인코더의 회전되는 칸수가 4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코더부(324)를 이용하여 이동부(300)에서 후술할 인출부(500)까지 약봉지(10)가 이동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310)의 후방에는 스프링부(314)가 구비된다.
따라서,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을 가지는 스프링부(314)로 인해 제1 이동부(310)가 제2 이동부(320)를 향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컷팅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컷팅부(400)는 이동부(300)의 하부에 위치되고, 본체부(410), 절단날(420), 나사부(430) 및 스크류부(440)로 구비된다.
본체부(4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
본체부(4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한 쌍으로 링 형상의 나사부(430)가 결합된다.
나사부(4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스크류부(440)가 나사부(430) 내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300)와 인출부(50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약봉지(10)가 위치되고, 각각의 스크류부(440)가 한 쌍의 나사부(43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본체부(410)가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410)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는 홈이 구비되어 절단날(420)이 결합될 수 있다.
절단날(420)은 상부에서 볼 때,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류부(440)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410)가 이동될 때, 절단날(420)은 약봉지(10)와 만나게 된다.
상세히, 약봉지(10)는 절단날(420)과 맞닿고, 계속해서 회전하는 스크류부(440)에 의해 본체부(410)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봉지(10)는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때, 상부에서 볼 때, 절단날(420)의 알파벳 'V'자 형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10)의 절단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만약, 상부에서 볼 때, 절단날(420)의 모습이 일반적인 직선 형상으로 날이 구비된다면,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약봉지(10)는 흐물해지는 형상으로 휘어져 계속해서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본체부(410)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절단날(420)의 알파벳 'V'자 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얇은 종이 재질을 갖는 약봉지(10)가 휘어지는 반경까지 칼날을 보유하므로 약봉지(10)의 절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410)의 양측면에서 절단날(420)이 삽입되므로, 일방향에서만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왕복 운동하면서 약봉지(10)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인출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인출부(500)는 각도 롤러부(510), 회전 롤러부(520), 이동 플레이트(530) 및 벽부(540)로 구비된다.
회전 롤러부(52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롤러 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롤러부(313),(323)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이동부(310) 및 제2 이동부(320)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가 이동하여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는 사이에 삽입된 약봉지(10)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 약봉지(10)는 이동부(300)와 회전 롤러부(520)에 의해 팽팽해지게 된다.
이 후, 컷팅부(400)에 의해 약봉지(10)는 상방 및 하방으로 절단되어 분리되고,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가 계속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약봉지(1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히, 회전 롤러부(520)와 인접하여 하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각도 롤러부(510)가 결합된다.
각도 롤러부(510)는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벽부(540)에 관통되는 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벽부(540) 사이에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이동 플레이트(530)가 결합된다.
따라서, 컷팅부(400)에 의해 절단된 약봉지(10)는 각도 롤러부(510)가 이동 플레이트(530)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절단된 약봉지(10)가 쓰러져 내부에 저장된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에 배출되고, 환자는 배출구(220)를 통해 약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는 계속해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약봉지(10) 내부에 저장된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에 배출되고, 약봉지(10)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히, 각도 롤러부(510)에는 도 7과 같이, 회전 롤러부(520)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소정의 두께가 절삭된 틈새(51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 롤러부(520)가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 이동되는 약봉지(10)는 틈새(5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컷팅부(400)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된 약봉지(10)를 회전 롤러부(520)가 지속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각도 롤러부(510)를 이동 플레이트(530)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만 회전시켜 약봉지(10) 내부에 저장된 약을 배출 및 약봉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약봉지(10)가 얇은 종이 재질을 가지는 특성상 상방 및 하방으로 분리된 후, 흐물해져 약이 이동 플레이트(530)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즉, 각도 롤러부(510) 및 회전 롤러부(520)에 의해 약봉지(10)에 저장된 약을 즉각적으로 이동 플레이트(530)로 이동시켜 환자에게 공급되는 작업의 정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틈새(511)를 통해 배출된 약봉지(10)는 인출부(500) 후방에서 인접되어 결합되는 처리부(600)에 수용되어 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처리부(600)는 상면이 개방된 정육면체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약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이 배출된 약봉지(10)를 한 번에 처리하기 위해 처리부(600)에 저장시킨 뒤에, 한 번에 약봉지(10)를 쓰레기 처리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부(600)는 바디부(200)의 일측에서 분리가 가능하며, 손잡이(610)를 구비하여 편리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알약 자동 배출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약을 장기간 복용 중인 환자들은 다량의 약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장기 복용 중인 약은 많은 양의 약봉지를 가지므로, 조식, 중식 및 석식에 따라 다른 성분을 가지는 약들을 포함하고 있어 매번 찾아야하는 번거로움과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출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약봉지(10)를 저장부(100)에 저장하기만 하면 약이 약봉지(10)로부터 배출되어 나오는 구성으로 관리가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약봉지(10)가 컷팅되어 약만 배출되는 구성으로 쓰레기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매 끼니마다 약복용을 위해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를 환자의 편의대로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하므로 약복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병원에서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장치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병원에 장기 입원하여 혈압환자, 당뇨환자 및 치매환자들은 매 시각에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자들을 일일이 관리가 어려운 구조 상 본 발명에 의한 알약 자동 배출장치를 매 시각 설정하여 자동으로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알람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알람부(7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알람부(70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여,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구동되는 스피커 모듈로, 폴 피스, 마스넷, 프레임, 보이스 코일, 진동판, 리벳 전기회로기판 및 FPCB판 등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알람부(70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현재 시각, 약의 종류, 약복용 방법, 남은 약봉지 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알람부(700)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약복용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는 약복용 시간을 수신하여 약복용 시간을 놓치지 않고, 복용할 수 있고, 간호사, 환자 관리인 및 보호자는 인당 관리해야 하는 환자들의 모든 약복용 시간을 챙기는 업무가 생략되므로,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알람부(700)의 알람 기능을 위해 알람 울리는 시간 설정 및 안내 멘트 등은 제어부를 통하여 사전에 설정이 가능하며, 이는 공지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알약 자동 배출장치는 단말기를 구비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환자의 약복용 시간을 이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정보가 누적될 수 있어, 간호사, 환자 관리인 및 보호자는 환자의 약 복용에 대한 그래프 및 표를 통해 눈으로 즉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약복용의 시간을 체크할 수 있어 관리의 편리성 및 병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 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 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M,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약봉지, 100 : 저장부,
110 : 제1 저장부, 120 : 제2 저장부,
130 : 이동 롤러부, 140 : 개폐부,
S : 경사면, 200 : 바디부,
210 : 홈, 220 : 배출구,
300 : 이동부, 310 : 제1 이동부,
311 : 결합부, 312 : 본체부,
313 : 롤러부, 314 : 스프링부,
320 : 제2 이동부, 321 : 결합부,
322 : 본체부, 323 : 롤러부,
324 : 인코더부, 400 : 컷팅부,
410 : 본체부, 420 : 절단날,
430 : 나사부, 440 : 스크류부,
500 : 인출부, 510 : 각도 롤러부,
511 : 틈새부, 520 : 회전 롤러부,
530 : 이동 플레이트, 540 : 벽부,
600 : 처리부, 610 : 손잡이,
700 : 알람부.

Claims (10)

  1. 연속적으로 연장된 약봉지를 보관하는 저장부;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에 인접하되, 전방에 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절단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약봉지를 절단하는 컷팅부; 및
    상기 컷팅부로부터 절단된 상기 약봉지의 내부에 약이 배출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동일선상에서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약봉지는 한 쌍의 상기 롤러 사이에 삽입되고, 전방에 약을 배출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저장부는,
    수직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전방에 인접하되, 상기 약봉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기 약봉지를 넣을 수 있는 미닫이 형상의 개폐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약봉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각각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는 마주보고, 각각의 롤러들이 회전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후방에 스프링이 결합되되,
    상기 제2 이동부와 맞닿아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2 이동부를 가압하여 가운데 삽입된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에 삽입되는 각각의 절단날;
    한 쌍으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나사부; 및
    한 쌍의 상기 나사부를 관통하는 각각의 스크류부;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스크류부가 회전할 경우, 상기 나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가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부에서 볼 때, 외부를 향하여 열려져 있는 알파벳 V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 롤러부;
    상기 회전 롤러부의 하부에서 인접하여 결합되는 각도 롤러부;
    상기 각도 롤러부의 하부에서 위치되되, 경사를 지니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벽부;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롤러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와 반대되는 지점에서 중공부의 틈새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롤러부 사이에 상기 약봉지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 롤러부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약봉지가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의 후방에 인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는 상기 틈새부를 통과하는 상기 약봉지가 누적되는
    알약 자동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관통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부를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기 설정된 환자의 약복용 시간 마다 소리 또는 빛으로 출력 가능한
    알약 자동 배출 장치.
KR1020190094928A 2019-08-05 2019-08-05 알약 자동 배출 장치 KR10228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ko) 2019-08-05 2019-08-05 알약 자동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ko) 2019-08-05 2019-08-05 알약 자동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56A KR20210016756A (ko) 2021-02-17
KR102284329B1 true KR102284329B1 (ko) 2021-07-30

Family

ID=7473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28A KR102284329B1 (ko) 2019-08-05 2019-08-05 알약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KR101953750B1 (ko) 2018-08-14 2019-03-04 이선준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38B1 (ko) 2009-11-05 2013-01-10 양재정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KR101368644B1 (ko) * 2012-02-14 2014-03-20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KR101515494B1 (ko) * 2013-06-26 2015-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18B1 (ko) 2017-05-26 2018-04-19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KR101953750B1 (ko) 2018-08-14 2019-03-04 이선준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56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815B2 (en) Drive mechanism for an injection device
US202400090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y dispensing pre-packaged pharmaceuticals
JP2023166491A (ja) 統合された注射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TWI243691B (en) Infusion pump
US5300042A (en)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US20170235919A1 (en) Information provider system
EP392875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of-use medication control
JP2016511669A (ja) 患者の自己テストと自己治療管理を可能にする装置と患者のヘルスケアを管理する装置を用いたシステム
US20170357776A1 (en) Medicament training device and system
ATE468142T1 (de) Injektionsgerät mit einer nadelkassette zur abgabe einer pharmazeutischen flüssigkeit
AU2002216231A1 (en) Drive mechanism for an injection device
BR112015017664B1 (pt)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US4781696A (en)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
US1151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regulating removal of patient medications
US11666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ill dispensers with various dispensing mechanisms
KR102284329B1 (ko) 알약 자동 배출 장치
Mathew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medicine dispenser
CN105408930B (zh) 管理返还药物的重新使用
EP3766472A1 (en) Instillation assistance tool
CN203447519U (zh) 一种家用智能药箱
US11771591B2 (en) Liquid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US20200327972A1 (en) Automatic detection of medical adherence
US20220249327A1 (en) Blister pack content monitoring
BR102013006806A2 (pt) Sistema de monitoramento eletrônico para medicamentos
Shastay Transdermal Iontophoretic FentaNYL P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