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534A -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534A
KR20150083534A KR1020140003165A KR20140003165A KR20150083534A KR 20150083534 A KR20150083534 A KR 20150083534A KR 1020140003165 A KR1020140003165 A KR 1020140003165A KR 20140003165 A KR20140003165 A KR 20140003165A KR 20150083534 A KR20150083534 A KR 2015008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rubber bag
rubber
air
para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774B1 (ko
Inventor
권진욱
김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to KR102014000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7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백에 공기주입구를 돌출되지 않게 장착하면서 제조과정을 단순화시킨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중앙에는 공기 주입기와 연결되면서 상기 고무백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은,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기주입구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 상기 고무백에 상기 공기주입구가 장착되는 장착공을 형성하는 장착공 형성단계; 상기 고무백의 장착공과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주연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삽입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하는 가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air inlet of rubber bag of deformable rubber membrane parap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ubber bag using thereof}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백에 공기주입구를 돌출되지 않게 장착하면서 제조과정을 단순화시킨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무막체 파라펫이란, 방파제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격납하여 조망권을 확보하고, 이상 파랑 방생시 고무막체를 전개하여 월파 방지 및 저감으로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도록 하는 동적 가변형 구조물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무막체 파라펫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막체 파라펫은, 방파제(B)에 고정설치되는 격납하판(10)과; 상기 격납하판(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격납상판(20)과; 상기 격납하판(10)과 격납하판(20)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백(30)과; 사이 고무백(30)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무막체 파라펫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기로 상기 고무백(30)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고무백(30)이 팽창하면서 격납상판(20)을 기립시켜 월파를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백(30)에서 공기를 빼서 상기 격납상판(20)이 격납하판(10)에 인접하게 하여 조망권을 확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무백(30)에 구비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는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공기주입구인 슈레더 방식, 던롭방식, 프레스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공기 주입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공기의 주입과 공기의 배출이 유용한 슈레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도 2는 종래의 슈레더 방식의 공기주입구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주입구(31)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고무백(30)의 팽창 또는 수축시 상기 공기주입구(31)가 다른 부속들과 접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기주입구의 제조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첫 번째 방법은, 먼저 금속재로 이루어진 공기주입구(31)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 상기 공기주입구(31)의 하부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고무판재(32)에 위치시켜 접착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31)의 하부에 고무판재(32)를 결합하는 제1차가황단계; 상기 제1차가황단계에서 가황된 상기 고무판재(32)와 고무백(30)의 접착면을 연마하는 연마단계; 연마된 상기 고무판재(32)와 상기 고무백(30)의 접착면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 후, 가황시키는 상기 공기주입구(31)를 상기 고무백(30) 장착하는 제2차가황단계; 를 포함한다.
두 번째 방법은, 먼저 금속재로 이루어진 공기주입구(31)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 공기주입구(31) 형상과 만들고자 하는 제품 형상을 감안하여 금속 또는 고무와 유사한 탄성체로 주입구용 추가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제작단계, 제작된 추가 금형내에 고무를 삽입하고 접착면에 접착액을 도포한 공기주입구(31)를 삽입한 후, 고무백(30) 접착면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가황시키는 가황단계; 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더러, 연마단계와 접착작업이 높은 기술을 요함으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주입구가 고무백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장착하여 공기주입구가 장착된 고무백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속도의 증가 및 초보자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중앙에는 공기 주입기와 연결되면서 상기 고무백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은,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기주입구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 상기 고무백에 상기 공기주입구가 장착되는 장착공을 형성하는 장착공 형성단계; 상기 고무백의 장착공과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주연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삽입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하는 가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기주입구의 길이가 고무백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됨으로써, 고무백에 장착된 공기주입구가 고무백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종래와 같이 돌출된 공기주입구가 다른 부속에 부딛치거나 접촉하여 고무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주입구에 결합홈과 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가황시켜 고무백에 장착시, 용융된 고무백이 결합홈과 결합공에 유입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공기주입구를 고무백에 강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무막체 파라펫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슈레더 방식의 공기주입구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백의 공기주입구에 공기주입기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공기주입구를 절취하여 고무백과 공기주입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의 공기주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구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백의 공기주입구에 공기주입기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a)는 도 5에서 결합공을 따라 공기주입구를 절취하여 고무백과 공기주입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에서 결합공과 결합공 사이의 공기주입구를 절취하여 고무백과 공기주입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는, 중앙에는 공기 주입기(A)와 연결되면서 상기 고무백(3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110)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공기주입구(100)는 가황작업에 의해 상기 고무백(3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기(A)와 연결되어 상기 고무백(3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길이는 상기 고무백(30)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길이가 상기 고무백(30)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됨으로써, 장착된 상기 공기주입구(100)가 상기 고무백(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공기주입구(100)가 고무백(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부속들과 부딪치거나 접촉하여 상기 고무백(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주입구(100)에는 연결공(110), 결합홈(120), 결합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110)은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중앙에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공(110)에는 상기 공기 주입기(A)와 연결되어 상기 고무백(30)의 내부와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11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공기 주입기(A)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공(110)과 상기 공기 주입기(A)가 나사결합되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달리 공지의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홈(120)은 도 3, 도 4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고무백(30)에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가황시켜 장착할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백(30)이 녹으면서 용융된 상기 고무백(30)의 일부가 유입되어 굳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1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융된 고무백(30)이 유입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추후 상기 고무백(30)에서 상기 공기주입구(100)가 빠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홈(120)은 도면에 도시된 반원형상뿐만 아니라,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홈(120)을 나사산형상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나사골로 가황시 용융된 상기 고무백(30)이 유입되어 굳어지게 하여 보다 강하게 상기 고무백(30)에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장착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공(130)은 도 3,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에 상기 연결공(110)과 직교되게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공(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된 부분에 일정한 거리로 등분되어 상기 공기주입구(10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공(130)을 상기 결합홈(120)에 형성된 부분에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불규칙하게 상기 공기주입구(1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공(130)은 상기 결합홈(120)과 같이 상기 고무백(30)에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가황시켜 장착할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백(30)이 녹으면서 용융된 상기 고무백(30)의 일부가 유입되어 굳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공(130)에 용융된 상기 고무백(30)이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내부로 더 깊이 유입되어 굳어지게 됨으로써, 보다 강하게 상기 고무백(30)에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공(130)과 상기 결합홈(120)을 모두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을 도면에 도시된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무막체 파라펫의 공기주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길이방향으로 상부(101)와 하부(102)로 구분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01)와 하부(102)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의 형상을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무백(30)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강하게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고무백(30)에 장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과정을 보인 공정도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100)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S10); 상기 고무백(30)에 상기 공기주입구(100)가 장착되는 장착공(35)을 형성하는 장착공 형성단계(S20); 상기 고무백(30)의 장착공(35)과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 도포단계(S30); 상기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장착공(35)에 삽입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장착공(35)에 장착하는 가황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공기주입구 가공단계(S10)는 도 3,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공기 주입기(A)연결되어 상기 고무백에 공기를 주입하는 상기 공기주입구(100)에 연결공(110), 결합홈(120) 및 결합공(130)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은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01)와 하부(102)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30), 결합홈(120) 모두를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중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 형성단계(S20)는 상기 고무백(30)의 일측에 상기 공기 주입구를 삽입할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장착공(35)은 상기 공기주입구(100)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공기주입구(100)보다 조금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35)을 상기 공기주입구(100)보다 조금 크게 형성한다 하여도 가항시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장착공(35)에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주입구(100)가 상기 장착공(35)에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액 도포단계(S30)는 상기 고무백(30)의 장착공(35)과 상기 공기주입구(100)의 외주연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35)에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장착할 때, 보다 잘 접착되게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공기주입구(100) 외주연과 상기 고무백(30)의 장착공(35) 중 어느 하나에만 접착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가황단계(S40)는 외주연에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고무백(30)의 장착공(35)에 삽입한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장착공(35)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고무백(30)의 장착공(35)은 열에 의해 용융되고, 이렇게 용용된 상기 고무백(30)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20) 및 상기 결합공(130)에 유입된다.
이후, 용융된 상기 고무백(30)은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공(130)에 유입된 상태에서 굳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공기주입구(100)를 상기 고무백(30)에 보다 강하게 장착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조공정으로 고무백(30)을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고무백(3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30: 고무백 35: 장착공 100: 공기주입구 101: 상부 102: 하부 110: 연결공 120: 결합홈 130: 결합공 A: 공기 주입기

Claims (8)

  1.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중앙에는 공기 주입기와 연결되면서 상기 고무백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길이는,
    상기 고무백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공과 직교되게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결합홈이 나사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주연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는 길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의 외주연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의 외주연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8.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기주입구를 가공하는 공기주입구 가공단계;
    상기 고무백에 상기 공기주입구가 장착되는 장착공을 형성하는 장착공 형성단계;
    상기 고무백의 장착공과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주연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접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액이 도포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삽입 후, 가황시켜 상기 공기주입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하는 가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KR1020140003165A 2014-01-10 2014-01-10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KR10159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65A KR101593774B1 (ko) 2014-01-10 2014-01-10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65A KR101593774B1 (ko) 2014-01-10 2014-01-10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34A true KR20150083534A (ko) 2015-07-20
KR101593774B1 KR101593774B1 (ko) 2016-02-12

Family

ID=5387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165A KR101593774B1 (ko) 2014-01-10 2014-01-10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90B1 (ko) 2018-05-25 2020-05-22 정덕채 고무백 및 고무백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579A (ja) * 1994-01-05 1995-08-01 Dainippon Printing Co Ltd 空気袋
JP2008018116A (ja) * 2006-07-14 2008-01-31 Shoso Ri 球技用ボール、ボール用チューブ及びボール用バルブ
KR20090124349A (ko) * 2008-05-29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KR20110075670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에어 플러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5579A (ja) * 1994-01-05 1995-08-01 Dainippon Printing Co Ltd 空気袋
JP2008018116A (ja) * 2006-07-14 2008-01-31 Shoso Ri 球技用ボール、ボール用チューブ及びボール用バルブ
KR20090124349A (ko) * 2008-05-29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KR20110075670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이중 보온관 연결용 에어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774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0143C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gaskets
US10773316B2 (en) Fixing device for securing thin-walled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astic member for use in the fixing device
US118570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molded component with an insert
JP2007099052A (ja) 電子部品付タイヤ及び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WO2006046974A8 (en) Method of making and using shape memory polymer composite patches
JP2007331293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1593774B1 (ko)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KR20200019048A (ko)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타이어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
US7699950B2 (en) Rubber/resin ultrasonic bonding method
KR950701858A (ko) 타이어 재생 장치 및 그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량된 경화 외피(Apparatus for recapping a tire and an improved curing envelope for use therein)
KR101925774B1 (ko) 타이어 일체형 컨테이너구조의 제조방법
KR20170099620A (ko)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3682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및 타이어 가류 방법
KR101925775B1 (ko) 타이어에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컨테이너구조
KR101251424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
EP3956121B1 (en) Vehicle-window glass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43270B1 (ko)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20190045741A (ko) 스태빌라이저바 고무 가류접착용 금형 구조
JP2007137037A (ja) 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JP3637624B2 (ja) 取付け用部材付き窓用板状体の製造方法
KR101593795B1 (ko) 실런트 모듈 구조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TWI584950B (zh) Continuous Preparation of Double - layer Structural Materials
WO2010095841A2 (ko) 엘이디 패키지 성형몰드
JPH0365313A (ja) 防振ゴム製造用金型装置及び防振ゴムの製造方法
JP201907294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