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349A -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349A
KR20090124349A KR1020080050493A KR20080050493A KR20090124349A KR 20090124349 A KR20090124349 A KR 20090124349A KR 1020080050493 A KR1020080050493 A KR 1020080050493A KR 20080050493 A KR20080050493 A KR 20080050493A KR 20090124349 A KR20090124349 A KR 2009012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hangar
rubber membrane
hang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121B1 (ko
Inventor
전인식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12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고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은 방파제의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격납고와; 상기 격납고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 시 상기 격납고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두개의 고무막체와; 상기 격납고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무막체가 상기 격납고에 수용 시 격납고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용이하게 조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월파 시에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이중의 고무막체 구조물이 상호 충돌함으로써 월파를 저지함과 동시에 월파에 의한 충격압을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방파제 제체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방파제, 월파, 파라핏

Description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AIR INFLATABLE BREAKWATER PARAPE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격벽에 의하여 분리되는 내측과 외측의 별도의 격납고에 각각 구비되는 두개의 고무막체 구조물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사람 및 차량 통행에 의한 상재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외해측 조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월파 시에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이중의 고무막체 파라핏이 유체에 의한 충격압을 상호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소파블록 피복식 방파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파블록 피복식 방파제는, 일부가 해저면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해수에 잠겨서 해저수의 흐름을 차단하고, 그 상부 일부가 해수 표면 위로 돌출되어 해수면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물결 에너지인 파랑을 흡수하여 주는 케이슨부(10)와, 케이슨부(1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테트라포드(20), 그리고 월파를 저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트라포드(20)는 케이슨부(10)와 더불어 해수 표면을 따라 전달되어 오는 물결 에너지인 파랑을 분산 및 흡수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파제에 있어서는, 해수 표면 위로 돌출된 케이슨부(10) 및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의 높이, 즉, 마루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이 그 높이가 항상 일정하므로, 초기 건립 시 마루높이를 과도하게 높일 경우에는 조망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건립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슨부(10) 및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에 작용하는 충격파압은 방파제 전체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거나 국소적 부재파손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초기 건립시 해수 표면 위로 마루높이를 낮게 할 경우에는 폭풍이나 태풍에 의하여 파고가 높아져서 방파제를 월파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므로 방파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격납고에 격납되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무막체 파라핏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용이하게 조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월파 시에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이중의 고무막체 파라핏이 유체에 의한 충격압을 상호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월파저지는 물론 충격파압에 대한 구조적인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은, 방파제의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격납고와; 상기 격납고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 시 상기 격납고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무막체와; 상기 격납고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무막체가 상기 격납고에 수용 시 상기 격납고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은, 별도의 격납고에 격납되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무막체 파라핏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용이하게 조망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월파 시에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이중의 고무막체 파라핏이 유체에 의한 충격압을 상호 흡수 및 분산함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식 고정 파라핏에서의 고질적인 충격파압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체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과 외측에 각각 구비된 이중의 고무막체 파라핏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고무막체 파라핏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한 개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호 보조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의 고무막체가 격납고에 격납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의 고무막체에 공기가 주입되어 격납고의 외측으로 인출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은, 방파제의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격납고(310)와, 격납고(3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시 격납고(3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무막체(320)와, 격납고(3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무막체(320)가 격납고(310)에 수용시 격납고(310)의 상부를 덮는 커버(330)로 구성되어 있다.
격납고(310)는 콘크리트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며, 격납고(310)는 양 측벽(311)과, 양 측벽(311) 사이에 형성된 중앙격벽(320)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이 이분되어 있다.
고무막체(320)에 공기가 주입되어 고무막체(320)가 격납고(310)의 외부로 인출시에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중앙격벽(320)의 양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격납고(310)의 양 측벽 상단에는 고무막체(320)가 격납고(310)에 수용시에 커버(330)가 측벽(311)과 중앙격벽(3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3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격납고(310)에 마련된 이분된 내부공간에는 각각 고무막체(320)이 수축된 상 태로 격납되어 있으며, 고무막체(320)의 일측은 중앙제어기(미도시)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기를 인, 입출시키는 공기주입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파고가 낮은 평상시에는 해수면이 기초지지부(100)의 높이를 넘지 않으므로 고무막체(320)는 격납고(410)의 내부공간에 격납되고, 커버(330)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된 상태가 유지된다.
기존의 소파블록방파제의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방파제 상면에 영구 설치되며 황천시 월파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월파저지 기능은 케이슨부(10) 및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의 높이에 비례하므로 월파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해역에 설치되는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은 그 자체 높이로 인하여 항만의 외해 조망성을 침해하게 되지만, 실제 월파가 발생하는 경우는 연중 수일에 불과하며 이를 저지하게 위하여 케이슨부(10) 및 고정식 콘크리트 파라핏(30)을 높게 설치하는 것은 외해 조망성 확보자원에서 볼 때 매우 취약하다.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300)은 평상시 격납하였다가 월파가 발생하는 황천 시에만 가동하기 때문에 평상시 조망성 확보가 매우 유리하다.
태풍이나 해변의 거세진 바람으로 인하여 파고가 높아지는 비상시에는 파고가 기초지지부(100)의 높이를 넘게 되어 방파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막체(320)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고무막체(320)가 서서히 팽창하면서 격납고(310)의 외부로 인출되며 이와 동시에 커버(330)는 서서히 회전하여 열리게 되고 고무막체(320)는 상호 접촉하게 된다.
방파제나 호안의 외해측 면이 직각인 직립구조물의 경우에는 접근 파랑의 충 돌시 심한 충격파압이 발생되어 국소적인 구조물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활동 및 전도 등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고무막체(320)는 고무막체(320) 자체의 연성에 의하여 충격압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고무막체(320)가 격납고(410)의 외부로 인출시 상호 접촉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단일 막체의 경우보다 파 에너지 소산 효과가 크게 발생하며 한 개의 막체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한 개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호 보조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고무막체(320)를 단일 막체로 구성할 경우에는 팽창 시 소정의 막체 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격납고(310)의 폭이 커지고 따라서 커버(330)의 폭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격납고(310) 내부에 기둥을 설치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커버(330) 위에 보행자 및 차량통행에 의하여 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는 커버(310)의 변형이 발생하여 고무막체(320)의 팽창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격납고(310)는 양 측벽(311)에 복수의 커버(3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방파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의 고무막체가 격납고에 격납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의 고무막체에 공기가 주입되어 격납고의 외측으로 인출된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슨부 200 : 테트라포드
300 : 파라핏 310 : 격납고
311 : 측벽 312 : 중앙격벽
320 : 고무막체 330 : 커버

Claims (4)

  1. 방파제의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격납고와; 상기 격납고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시 상기 격납고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무막체와; 상기 격납고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무막체가 상기 격납고에 수용시 상기 격납고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고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형성된 중앙격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무막체는 상기 측벽과 상기 중앙격벽 사이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두 개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두 개로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막체가 상기 격납고에 수용시에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과 중앙격벽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격벽의 양측면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 식 방파제 파라핏.
KR1020080050493A 2008-05-29 2008-05-29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KR10096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93A KR100964121B1 (ko) 2008-05-29 2008-05-29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493A KR100964121B1 (ko) 2008-05-29 2008-05-29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349A true KR20090124349A (ko) 2009-12-03
KR100964121B1 KR100964121B1 (ko) 2010-06-16

Family

ID=4168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493A KR100964121B1 (ko) 2008-05-29 2008-05-29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1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57B1 (ko) * 2011-07-11 2012-05-25 (주) 아라기술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KR20150083534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63B1 (ko) 2010-08-26 2012-12-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천 제방용 월류 방지장치
KR102136211B1 (ko) * 2018-07-31 2020-07-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38B1 (ko) * 1994-11-10 1997-05-16 한국기계연구원 유연막 백(Bag)구조 부유식 방파제
KR100748581B1 (ko) 2005-01-19 2007-08-13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해안 구조물의 인명 보호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57B1 (ko) * 2011-07-11 2012-05-25 (주) 아라기술 분수형 해안 잠제 구조물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KR20150083534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고무막체 파라펫 고무백의 공기주입구 및 이를 이용한 고무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121B1 (ko)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121B1 (ko)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KR100993631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JP2006342653A (ja) 津波防波堤
CA2224915A1 (en) Wave suppression system
JP3186385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護岸用擁壁ブロックの設置構造
KR101168678B1 (ko) 다수의 반사 블록을 구비한 내파 구조물의 상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호안
LT6027B (lt) Gravitacinio-estakadinio tipo hidrotechninis statinys
JP5914923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20100011076U (ko) 이중베개식 공기파라핏
JP2721652B2 (ja) 堤防切替式道路
KR101124591B1 (ko) 소파구조물의 상치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호안
KR101290330B1 (ko) 원형 셀을 구비한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JP5988319B2 (ja) 陸閘
KR100906114B1 (ko) 소파블럭 직립 적치식 방파제 및 설치방법
JP2012158934A (ja) 浮上式防波堤
JP2006249914A (ja) 津波防波堤
US6558076B2 (en) Flow permeable port embankment
JPH0415778Y2 (ko)
KR10182943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JPH11229346A (ja) ケーソン揚圧力低減工法
KR200183594Y1 (ko) 방파제의 월파차단을 위한 상치콘크리트 구조
CN110939100A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应用
JP2007113261A (ja) 起立姿勢保持機構を備える止水施設
JPS5935614Y2 (ja) 津波、高潮による海上浮上構造物の陸上への移動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