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117A -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117A
KR20150082117A KR1020150000091A KR20150000091A KR20150082117A KR 20150082117 A KR20150082117 A KR 20150082117A KR 1020150000091 A KR1020150000091 A KR 1020150000091A KR 20150000091 A KR20150000091 A KR 20150000091A KR 20150082117 A KR20150082117 A KR 2015008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port
valve chamb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이케다
타케시 후나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5008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과제>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로서 위생면을 양호하게 유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자 밸브(1)는, 워터 서버에 설치되어 급수원과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를 개폐한다. 이 전자 밸브(1)는,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을 도입하는 도입 포트(7)와, 급수구를 향해 물을 도출하는 도출 포트(9)와, 도입 포트(7)와 도출 포트(9)를 연결하는 내부 통로(20)를 구비하고, 내부 통로(20)의 중간에 밸브 구멍(14)이 형성되고, 밸브 구멍(14)의 상류측에 밸브실(18)이 형성된 보디(5); 밸브실(18)에 배치되고, 밸브 구멍(14)에 접리하여 메인 밸브(24)을 개폐하는 밸브체(22); 및 밸브체(22)를 메인 밸브(24)의 개폐 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4)를 구비한다. 보디(5)에는 밸브 구멍(14)과 상이한 위치에 배수시에 개방 가능한 출수구(56)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실(18)의 저면이, 출수구(56)를 향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72)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SOLENOID VALVE FOR WATER SERVER}
본 발명은, 워터 서버로의 설치에 바람직한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소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에는, 미네랄워터를 봉입한 보틀이 급수원으로서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냉수 탱크(저수 탱크)에 저류되어 냉수 상태로 유지된다. 혹은, 온수 탱크(저수 탱크)에 저류되어 온수 상태로 유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워터 서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물을 받는 급수구와 저수 탱크를 연결하는 급수로에 전자 밸브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급수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그 전자 밸브가 개방되고, 저수 탱크의 물이 음료수로서 공급된다.
일본국공개 특허공보 2013-177207호 공보
여기서, 이와 같은 워터 서버의 제품출하시에는 출하전 검사가 진행되지만, 그 때, 실제로 보틀이 장착되고, 전자 밸브가 작동하여 음료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확인된다. 검사를 통과한 워터 서버는, 보틀이 제거되고, 탱크 및 급수로의 물을 배수한 후에 출하된다. 이 배수는, 예를 들면 급수로 혹은 전자 밸브에 마련된 배수전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진행된다.
하지만, 전자 밸브의 설치 자세에 따라서는 그 보디의 구석부에 물이 잔류하고, 그 잔류수가 부식되어 위생면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미네랄워터에는 소독을 위한 염소 등이 첨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잔류수에 의한 잡균(미생물)의 증식이나 이상한 냄새의 발생이 염려된다. 이 때문에, 잔류수를 가능한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 목적은,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로서 위생면을 양호하게 유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밸브는, 워터 서버에 설치되어 급수원과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 밸브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을 도입하는 도입 포트와, 급수구를 향해 물을 도출하는 도출 포트와, 도입 포트와 도출 포트를 연결하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내부 통로의 중간에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밸브 구멍의 상류측에 밸브실이 형성된 보디; 밸브실에 배치되고, 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밸브부를 개폐하는 밸브체; 및 밸브체를 밸브부의 개폐 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다. 보디에는 밸브 구멍과 상이한 위치에 배수시에 개방 가능한 출수구가 마련되고, 밸브실의 저면이, 출수구를 향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보디의 저면이 밸브실에서 출수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 내의 배수를 진행한 경우에 저부에 잔류하려는 물을 적극적으로 출수구로 인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가령, 해당 전자 밸브가 워터 서버에 설치되었을 때에 미소한 경사가 생겼다고 해도, 그 경사면에 의해 출수구의 위치를 항상 낮은 위치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출수구를 향해 물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배수시의 잔류수에 의한 잡균의 증식이나 이상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고, 더욱 위생면에 우수한 전자 밸브 나아가서는 워터 서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로서 위생면을 양호하게 유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밸브(1)는, 밸브 기구를 구비하는 밸브 본체(2)와, 구동부인 솔레노이드(4)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자 밸브(1)는, 도시하지 않는 워터 서버 내에 설치되고, 그 워터 서버의 저수 탱크(냉수 탱크나 온수 탱크)와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를 개폐한다.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는 급수 스위치를 누르면, 전자 밸브(1)가 통전되어 개방되어, 저수 탱크 내의 물(미네랄워터)이 급수구에 공급된다. 사용자는, 그 급수구의 하방에 컵 등을 놓는 것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를 얻을 수 있다. 전자 밸브(1)는, 비통전시에 밸브부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상시 폐쇄 밸브이다. 한편, 워터 서버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2)는, 수지재를 성형하여 얻어진 보디(5)를 구비한다. 보디(5)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6)와, 본체(6)의 측부에 연결된 도입관부(8)와, 본체(6)의 하방에 연결된 도출관부(10)를 구비한다. 보디(5)는, 본체(6)의 상단 개구부에 솔레노이드(4)가 조립되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봉지되어 있다.
도입관부(8)는, 본체(6)의 축선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출관부(10)는, 본체(6)와 동축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도입관부(8)의 개구 단부는, 상류측에 있는 도시하지 않는 저수 탱크로부터 물을 도입하는 도입 포트(7)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출관부(10)의 개구 단부는, 하류측에 있는 도시하지 않는 급수구를 향해 물을 도출하는 도출 포트(9)로서 기능한다.
도출관부(10)의 상단부에는, 본체(6)의 내방에 동심 형태로 연장되는 원형 보스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원형 보스부(12)의 상단면은, 도입관부(8)의 축선 근방에 위치한다. 도입관부(8)에 도입된 물은, 원형 보스부(12)의 주위를 돌아서 본체(6)에 유입한다. 원형 보스부(12)의 내주부에 의해 밸브 구멍(14)이 형성되고, 그 상류측 개구 단부에 밸브 시트(16)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16)는, 밸브 구멍(14)의 축선에 대해 수직이 되는 원형 보스부(12)의 상면으로 이루어진다. 원형 보스부(12)를 둘러싸는 공간이 밸브실(18)을 형성한다. 밸브실(18)은, 상류측에서 도입 포트(7)와 연통하고, 하류측에서 밸브 구멍(14)을 통해 도출 포트(9)와 연통한다. 즉, 보디(5)에는, 도입 포트(7), 밸브실(18), 밸브 구멍(14) 및 도출 포트(9)를 연결하는 내부 통로(20)가 형성된다. 이 내부 통로(20)는, 저수 탱크와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를 형성한다.
밸브실(18)에는 밸브체(22)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22)는, 밸브 시트(16)에 탈착하여 메인 밸브(24)(밸브부)를 개폐한다. 메인 밸브(24)가 개폐되는 것에 의해, 저수 탱크와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가 개방 또는 차단된다. 밸브체(22)는, 탄성체(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솔레노이드(4)의 후술하는 플런저(26)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4)는, 보디(5)의 상단 개구부를 봉지하도록 장착된 저부와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28)를 구비한다. 슬리브(28)는 비자성이며, 그 내방에 원주 형상의 플런저(2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리브(2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측 코어(30) 및 하측 코어(32)가 마련되고, 나아가 그 지름 방향 외측에는 보빈(34)이 마련되어 있다. 보빈(34)에는 전자 코일(36)이 권취되어 있다. 상측 코어(30)와 하측 코어(32)는 축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코일(36)을 외부에서 덮도록 케이스(38)가 마련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들의 케이스(38), 하측 코어(32), 플런저(26), 및 상측 코어(30)에 의해 솔레노이드(4)의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슬리브(28)는, 그 하단부가 O링(40)("실링 부재"로서 기능함)을 통해 보디(5)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체(22)는, 플런저(26)의 하단부에 감합되어, 플런저(26)와 일체적으로 동작한다. 슬리브(28)의 저부와 플런저(26) 사이에는, 플런저(26)를 통해 밸브체(22)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2)("부세 부재"에 해당)이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6)의 하단부에는, 오목홈이 고리 모양으로 둘레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감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체(22)의 상면 중앙에는, 감합부(44)와 거의 상보 형상인 감합요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2)는, 감합요부(46)를 감합부(44)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플런저(26)와 일체화되어 있다. 다만, 감합요부(46)와 감합부(44)가 헐겁게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22)는 플런저(26)에 대해 미소량 경동할 수 있다. 또한, 이 경동을 쉽게 하기 위해, 감합부(44)의 선단면(플런저(26)의 하단면)이 곡면(R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26)의 축선과 밸브 구멍(14)의 축선이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밸브체(22)가 밸브 시트(16)에 확실히 착석할 수 있다. 즉, 감합요부(46)와 감합부(44)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메인 밸브(24)의 폐쇄시에 밸브체(22)와 밸브 구멍(14)의 축선을 자율적으로 맞추는(혹은 평행하게 하는) 자율 조정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플런저(26)에는, 그 한쪽면이 축선에 평행하게 절삭된 이른바 D컷 처리되어 있어, 단면이 비원형(축중심에 대해 점대칭이 아님)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절삭 처리된 측의 절삭면(48)과 그 반대측면(50)의 지름 방향의 자기갭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솔레노이드(4)가 통전되면, 플런저(26)는, 슬리브(28)와의 자기갭이 작은 측인 반대측면(50)이 지름 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흡인되게 된다. 즉, 플런저(26)를 지름 방향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메인 밸브(24)의 개방시에 플런저(26)가 슬리브(28) 내에서 작동할 때 지름 방향으로 덜컹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그 작동음을 저감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솔레노이드(4)가 오프로 된 상태(비통전 상태)에서는, 메인 밸브(24)가 폐쇄되어 급수로를 차단한다. 즉, 솔레노이드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42)에 의해 밸브체(22)가 밸브 폐쇄 방향에 부세 되어, 메인 밸브(24)가 폐쇄 상태가 된다. 한편, 솔레노이드(4)가 온으로 된 상태(통전 상태)에서는, 메인 밸브(24)가 개방되어 급수로를 개방한다. 즉, 솔레노이드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프링(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밸브체(22)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구동되어, 메인 밸브(24)가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는 급수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저류 탱크의 물이 급수구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밸브의 배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입관부(8)에는, 밸브실(18)에 모인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전(52)이 마련되어 있다. 즉, 도입관부(8)의 축선 방향 중간부에 배수관부(54)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그 배수관부(54)에는 배수전(52)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수관부(54)의 상단 개구부가, 내부 통로(20)에 연통하는 출수구(56)로 되어 있다. 출수구(56)의 하방은 테이퍼면(58)을 통해 지름이 확장되어 있고, 배수관부(54)의 하반부에는 암나사부(6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수전(52)은, 저부와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단부(상측 저부)가 플러그(62)를 형성하고 있다. 플러그(62)의 외주면에는 O링(64)("실링 부재"로서 기능함)이 감합되어 있다. 플러그(62)의 하방에는, 배수전(52)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구멍(66)이 마련되어 있다. 배수전(52)에 있어서의 연통구멍(66)의 하방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60)와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전(52)을 배수관부(54)에 비틀어 넣어 체결하는 것에 의해 출수구(56)를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플러그(62)가 상사점에 도달하여 O링(64)이 테이퍼면(58)에 밀착하는 것에 의해 실링성이 확보된다. 반대로, 배수전(52)의 체결을 푸는 것에 의해, 플러그(62)를 출수구(56)로부터 이격시켜, 출수구(56)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출수구(56)로부터 도출된 물은, 배수전(52)의 연통구멍(66) 및 내부 통로(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특히, 보디(5)의 저면이 밸브실(18)에서 출수구(56)를 향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72)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72)의 경사 각도를 수평면에 대해 10도 정도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와 다른 각도를 설정해도 좋다. 경사면(72)은, 원형 보스부(12)의 주위에도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18)에 있어서 도입관부(8)의 반대측 안쪽일수록 저면의 위치가 높아져 있다. 경사면(72)으로부터 융기하는 원형 보스부(12)의 높이는, 도입관부(8)측을 향할수록 높아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전(52)을 개방하여 배수를 진행한 경우에, 밸브실(18)의 저부에 잔류하려는 물을 적극적으로 출수구(56)로 인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 가령, 도시하지 않는 워터 서버에 설치된 전자 밸브(1)에 오차 범위의 경사가 생겼다고 해도, 경사면(72)이 충분한 경사 각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밸브실(18)의 안쪽이나 구석부에 물을 체류시키지 않고, 배출할 수 있다.
즉, 워터 서버에 전자 밸브(1)를 고정했을 때, 도입관부(8)를 수평하게 레이아웃했다고 생각하지만, 전자 밸브(1)의 부품 치수 공차의 편차, 전자 밸브(1)와 상류측 배관의 이음매의 덜컹거림, 워터 서버의 기울기, 워터 서버의 설치 장소의 기울기 등으로 의해 전자 밸브(1)가 미세하게 기우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출수구(56)의 위치를 낮은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그 출수구(56)를 향해 물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배수시의 잔류수에 의한 잡균의 증식이나 이상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고, 더욱 위생면에 우수한 워터 서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경사면(72)의 경사 각도가 너무 크면, 밸브실(18)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경사면(72)의 경사 각도는, 상술한 전자 밸브(1)의 기울기의 요인으로 추정되는 각도보다 크면서 밸브실(18)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26)에 D컷에 의한 절삭면(48)을 마련하고, 슬리브(28)와의 사이에 간격 통로(74)를 형성하도록 했다. 이 간격 통로(74)는, 슬리브(28)의 배압실(76)과 밸브실(18) 사이의 통기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실(18)에 있어서의 물과 공기의 치환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물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D컷(절삭)의 크기에 관해서는, 통기 통로를 기능시키는데 충분하면서 플런저(26)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을 지름 방향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D컷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절삭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실시형태의 효과를 나타내고, (B)는 비교예의 효과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는, 저수 탱크에 연결되는 상류측 배관과 전자 밸브가 접속되었을 때, 도입관부(8)가 수평면(2점 쇄선 참조)에 대해 미소 각도(도시의 예에서는 5도) 기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관부(8)에 상류측 배관(80)의 선단이 삽통되고, 양자의 단부가 맞물리고 클립(82)에 의해 고정된다. 상류측 배관(80)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실링용 O링(84)이 감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밸브(1)가 수평면에 대해 기울었다고 해도, 경사면(72)이 전체적으로 출수구(56)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배수전(52)을 개방하여 배수를 진행할 때는, 경사면(72)에 따라 물을 하방으로 인도하여, 출수구(5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즉, 밸브실(18)에 물을 체류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B)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보디(105)의 저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배수전(52)을 개방해도 밸브실(18)의 안쪽에게 잔류수가 모인다. 이 때문에, 그 잔류수가 부식되어 잡균이 증식하거나, 그에 의해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보디(5)의 저면을 경사면으로 한 것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4~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제1변형예)
도 4는 제1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배수전(52)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보디(205)의 저면이, 밸브실(18)에서 도입 포트(7)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272)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밸브실(18)의 물을 도입관부(8)의 개구부로 인도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 개구부가 "출수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관부(8)와 상류측 배관(80)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클립(82)을 제거하여 양자의 접속을 해제하면, 밸브실(18)의 물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제2변형예)
도 5(A)는 제2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경사면(72)의 중력 방향 하방(폭방향 중앙)에 오목한 가이드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320)은, 도입관부(308)의 관로의 반경보다 작은 폭을 구비하고, 원형 보스부(12)보다 도입 포트(7)측에서 도입관부(30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가이드홈(320)이 출수구(56)보다 도입 포트(7)측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출수구(56)까지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즉, 출수구(56)보다 도입 포트(7)측에는, 오목홈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밸브실(18)의 저면에 가이드홈(320)을 마련한 것에 의해, 가령 밸브실(18)의 저면에 물이 표면장력으로 머물려고 해도, 그 가이드홈(320)을 타고 출수구(56)로 유도할 수 있다.
(제3변형예)
도 6(A)는 제3변형예에 따른 전자 밸브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경사면(72)의 중력 방향 하방(폭방향 중앙)에 볼록한 리브(42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20)는, 도입관부(408)의 관로의 반경보다 작은 폭을 구비하고, 원형 보스부(12)보다 도입 포트(7)측에서 도입관부(40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리브(420)가 출수구(56)보다 도입 포트(7)측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출수구(56)까지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즉, 출수구(56)보다 도입 포트(7)측에는, 리브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밸브실(18)의 저면에 리브(420)를 마련한 것에 의해, 그 리브(420)의 측면을 타고 출수구(56)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에서 몇 가지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1: 전자 밸브
2: 밸브 본체
4: 솔레노이드
5: 보디
6: 본체
7: 도입 포트
8: 도입관부
9: 도출 포트
10: 도출관부
14: 밸브 구멍
16: 밸브 시트
18: 밸브실
20: 내부 통로
22: 밸브체
24: 메인 밸브
26: 플런저
28: 슬리브
48: 절삭면
52: 배수전
54: 배수관부
56: 출수구
58: 테이퍼면
62: 플러그
72: 경사면
80: 상류측 배관
82: 클립
205: 보디
272: 경사면
308: 도입관부
320: 가이드홈
408: 도입관부
420: 리브

Claims (6)

  1. 워터 서버에 설치되어 급수원과 급수구를 연결하는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을 도입하는 도입 포트와, 상기 급수구를 향해 물을 도출하는 도출 포트와, 상기 도입 포트와 상기 도출 포트를 연결하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통로의 중간에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구멍의 상류측에 밸브실이 형성된 보디;
    상기 밸브실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구멍에 접리하여 밸브부를 개폐하는 밸브체; 및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부의 개폐 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에는, 상기 밸브 구멍과 상이한 위치에 배수시에 개방 가능한 출수구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실의 저면이, 상기 출수구를 향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를 개폐 가능한 배수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밸브실을 획정하는 통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그 개구 단부에 상기 도입 포트를 구비하는 도입관부; 및
    상기 본체의 하방에 동축 형태로 연결되고, 그 내방에 상기 밸브 구멍이 형성되고, 개구 단부에 상기 도출 포트를 구비하는 도출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출수구를 향해 연장되도록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밸브실 내의 물을 상기 출수구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출수구를 향해 연장되도록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밸브실 내의 물을 상기 출수구로 유도하기 위한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보디에 대해 고정된 비자성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고정되는 코어; 및
    상기 슬리브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밸브체가 일체로 마련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한쪽면에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격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삭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면과 그 반대측면의 자기갭이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150000091A 2014-01-07 2015-01-02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KR20150082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0835A JP6247097B2 (ja) 2014-01-07 2014-01-07 ウォータサーバ用電磁弁
JPJP-P-2014-000835 2014-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117A true KR20150082117A (ko) 2015-07-15

Family

ID=5364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91A KR20150082117A (ko) 2014-01-07 2015-01-02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47097B2 (ko)
KR (1) KR20150082117A (ko)
CN (1) CN104763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60U (ko) * 2016-09-29 2018-04-06 배수근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0295A (zh) * 2018-09-27 2020-04-03 吉诺工业有限公司 饮料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1936U (ko) * 1977-02-15 1978-09-06
JPS6117580U (ja) * 1984-07-06 1986-02-01 松下冷機株式会社 電磁弁
JPH061099Y2 (ja) * 1987-03-02 1994-01-12 中部工機株式会社 タンクから液状食品を取出す装置
JPH01118278U (ko) * 1988-02-04 1989-08-10
JPH0454390A (ja) * 1990-06-21 1992-02-21 Nec Kyushu Ltd 抽出口付バルブ
JP3041333U (ja) * 1997-03-11 1997-09-19 株式会社光明製作所 逆止機能付き止水栓
JP5163037B2 (ja) * 2007-09-28 2013-03-13 株式会社ノーリツ 飲料水サーバ
JP4933637B2 (ja) * 2010-05-07 2012-05-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
JP2012207672A (ja) * 2011-03-29 2012-10-25 Keihin Corp バルブ装置
JP2013113487A (ja) * 2011-11-29 2013-06-10 Time Engineering Co Ltd 逆流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60U (ko) * 2016-09-29 2018-04-06 배수근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29541A (ja) 2015-07-16
JP6247097B2 (ja) 2017-12-13
CN104763837A (zh)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82744A1 (en)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EP3224511B1 (en) Aircraft water heating tank air vent valve
JP5072593B2 (ja) ビン詰め液体ディスペンサー
US20110030823A1 (en) Diverter valve
KR20140136039A (ko) 워터 서버
KR20150082117A (ko)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JP6268377B1 (ja) 蓋体及び液体収容容器
KR101786770B1 (ko)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
JP6377430B2 (ja) 電磁弁
KR20120021905A (ko) 정수기용 출수밸브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JP2009248984A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JP5603961B2 (ja) 冷温水供給装置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JP2012520977A (ja) バルブアセンブリ
GB2470382A (en) Point-of-use water dispenser.
US10145092B2 (en)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JP2008255660A (ja) 便器洗浄装置
KR101417358B1 (ko) 급수니플
US20170159269A1 (en) Anti-freeze faucet
WO2018162027A1 (en) Improved valve assembly for use in a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JP2009057054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6537808B2 (ja) 電磁弁
KR20190031553A (ko) 전자 밸브
KR200351520Y1 (ko) 파우치내의 음료원액 배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