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039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039A
KR20140136039A KR20147028734A KR20147028734A KR20140136039A KR 20140136039 A KR20140136039 A KR 20140136039A KR 20147028734 A KR20147028734 A KR 20147028734A KR 20147028734 A KR20147028734 A KR 20147028734A KR 20140136039 A KR20140136039 A KR 2014013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tank
valv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4013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Abstract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에 체크 밸브(20)를 마련한 워터 서버에 있어서,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를,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하여,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25)을 개방시키고, 밸브 슬리브(21) 내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에서는 밸브체(22)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의 하방에 위치되는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 워터 서버는, 사용 장소에 설치할 때까지는, 통상,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모두 빈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워터 서버를 사용 장소에 설치한 후, 워터 서버에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연결시킨다. 이에 의해, 원수 용기로부터 냉수 탱크에 음료수가 도입되어, 냉수 탱크 내는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음료수가 저장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로부터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에 음료수가 도입되어, 온수 탱크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가 된다.
그 후,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에 마련된 냉각 장치로 저온으로 유지되고,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는, 온수 탱크에 마련된 가열 장치로 고온으로 유지된다. 또한,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였을 때,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냉수 탱크로부터 온수 탱크에 도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는 항상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음료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작다. 그리고, 냉수 탱크의 하방에 배치된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는, 저온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보다 높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 사이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 내에서 음료수의 대류가 생기고, 이 대류에 의해,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 탱크 연결로 내의 대류에 의해 온수 탱크로부터 냉수 탱크에 유입되는 음료수의 유량은 작지만, 이것이 장시간에 걸쳐 연속되면,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커져, 워터 서버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탱크 연결로 내의 대류에 의해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워터 서버에서는,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냉수 탱크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를 탱크 연결로에 마련하고 있다(동문헌의 도 2, 단락 0020).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9033호 공보
본원의 발명자는, 특허문헌 1의 도 2와 같이,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냉수 탱크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를 탱크 연결로에 마련한 워터 서버를 시험 제작하였다. 이때, 체크 밸브는, 일반적인 구조의 것을 이용하였다. 즉, 밸브 개방 위치와 밸브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갖는 체크 밸브를 이용하였다.
이 결과,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모두 빈 상태로, 교환식의 원수 용기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에 도입하였을 때에,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온수 탱크에 거의 도입되지 않아, 온수 탱크가 빈 채로 가열 상태로 될 우려가 있는 것을 알았다. 이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모두 빈 상태의 워터 서버에 원수 용기를 연결시킬 때는, 통상, 온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주출로에 마련된 온수 콕을 개방해 둔다. 이에 의해, 온수 주출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원수 용기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에 도입하였을 때에,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에도 도입된다. 이와 같이,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작업은, 온수 콕을 개방한 상태로 행한다.
그러나,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모두 빈 상태의 워터 서버에 원수 용기를 연결시켰을 때에, 온수 콕을 개방하는 것을 잊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온수 콕이 폐쇄된 채이기 때문에, 온수 주출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없다. 또한, 탱크 연결로에,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냉수 탱크측으로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도 없다. 그 때문에, 원수 용기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에 도입하여도,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는 온수 탱크에 거의 도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 가열 장치가 가열 동작을 개시하면, 온수 탱크가 빈 채로 가열 상태로 된다.
온수 탱크가 일단 빈 채로 가열 상태로 되면, 그 후, 온수 탱크 내에 음료수를 도입하였을 때에,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에 이상한 냄새가 배거나, 음료수의 맛이 나빠지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냉수 탱크측으로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를 탱크 연결로에 마련한 경우라도,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면, 온수 탱크가 빈 채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에 착안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료수를 수용하는 상부 탱크와, 상기 상부 탱크의 하방에 위치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상부 탱크와 온수 탱크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를 가지며,
상부 탱크측으로부터 온수 탱크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며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상부 탱크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가 상기 탱크 연결로에 마련되어 있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통형의 밸브 슬리브와, 상기 밸브 슬리브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밸브 구멍이 형성된 밸브 시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체를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밸브 슬리브 내부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 구멍을 개방시키고,
상기 밸브 슬리브 내부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 구멍을 폐쇄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온수 탱크가 비었을 때는,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이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가 체크 밸브를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상부 탱크측으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상부 탱크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온수 탱크가 만수 상태일 때는,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이 폐쇄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탱크 연결로 내의 대류로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상부 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 내에 유입되는 음료수의 양이, 온수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상회함으로써, 온수 탱크 내의 공기압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온수 탱크 내의 공기압으로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어, 온수 탱크 내에의 음료수의 유입이 멈추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밸브 시트보다 상부 탱크측에 있는 영역과 밸브 시트보다 온수 탱크측에 있는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상기 체크 밸브에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 탱크 내에 안정적으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밸브체의 하방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리테이너를 마련하고, 그 밸브체를 구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밸브체가 상기 리테이너에 접촉할 때의 밸브체의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구멍을 폐쇄시킬 때의 밸브체의 위치까지의 밸브체의 이동량을, 밸브체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도,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 탱크 내에 안정적으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탱크 연결로는, 상기 온수 탱크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어 온수 탱크의 바닥면의 근방에서 개구되는 탱크 내 배관을 가지고, 그 탱크 내 배관의 온수 탱크의 상면 근방에 탱크 내 배관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을 마련한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 내의 공기가, 온수 탱크의 상면 근방에 있는 탱크 내 배관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탱크 연결로 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 내의 수위가 높아졌을 때에도,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체크 밸브의 밸브 슬리브 내에 음료수가 없을 때는,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이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가 체크 밸브를 온수 탱크측으로부터 상부 탱크측으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빈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를 통하여 온수 탱크 내의 공기를 상부 탱크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체크 밸브의 밸브 슬리브 내가 음료수로 채워졌을 때는, 체크 밸브의 밸브체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을 폐쇄시킨다. 그 때문에, 온수 탱크가 고온의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일 때에, 탱크 연결로 내의 대류로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가 상부 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를 냉수 탱크측으로부터 온수 탱크측으로 음료수가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의 밸브 슬리브 내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모두 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연통로가 없는 예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하여 연통로가 있는 예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원수 용기의 잔수량이 적어진 단계에서, 원수 용기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원수 용기의 음료수가 없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원수 용기 대신에 강성이 있는 원수 용기를 사용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내는 연통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교환식의 원수 용기(4)가 배치되는 용기 홀더(5)와, 용기 홀더(5)에 배치한 원수 용기(4)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공급로(6)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를 갖는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원수 용기(4)는, 수출구(水出口)(8)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용기 홀더(5)에 배치된다. 원수 용기(4)의 본체부(9)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원수 용기(4)가 수축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수 용기(4)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원수 용기(4)의 용량은, 만수 상태로 8리터∼20리터 정도이다.
용기 홀더(5)는, 원수 용기(4)의 교환 작업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 케이스(1)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대(11)에 부착되고, 케이스(1)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기 홀더(5)에는, 원수 용기(4)를 용기 홀더(5)에 배치하였을 때에 원수 용기(4)의 수출구(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인트 부재(11)가 마련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11)의 하단에는, 원수 공급로(6)의 원수 용기(4)측의 단부와, 원수 용기(4)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로(12)의 원수 용기(4)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원수 공급로(6)의 도중에는, 펌프(13)와 유량 센서(14)가 조립되어 있다. 펌프(13)는,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톱니바퀴를 회전시켜 음료수를 송출하는 기어 펌프이다. 펌프(13)로서,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음료수의 흡입과 토출을 행하는 다이어프램 펌프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13)를 작동시키면,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원수 용기(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되어, 원수 용기(4)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펌프(13)는,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졌을 때는, 원수 공급로(6) 내의 공기(오존 함유 공기를 포함함)를 원수 용기(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한다. 유량 센서(14)는, 펌프(13)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16)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 장치(15)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16)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1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17)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1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배플판(16)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될 때에, 냉각 장치(15)에서 냉각되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주출하는 냉수 주출로(18)가 연결되어 있다. 냉수 주출로(18)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콕(19)이 마련되고, 이 냉수 콕(19)을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원수 용기(4)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배플판(16)의 중앙에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의 상단이 개구되고 있다. 탱크 연결로(7)는, 냉수 탱크(2)의 바닥면과 온수 탱크(3)의 상면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탱크 연결로(7)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냉수 탱크(2)의 내측을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플판(1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탱크 연결로(7)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통형의 밸브 슬리브(21)와, 그 밸브 슬리브(21)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밸브체(22)와, 그 밸브체(22)의 상방에 마련된 밸브 시트(23)와, 밸브체(22)의 하방의 이동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리테이너(24)를 갖는다. 밸브 슬리브(21)는, 배플판(16)의 중앙에 개구한 탱크 연결로(7)의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밸브 시트(23)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밸브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23)는, 밸브 슬리브(21)로부터 직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의 부분이다. 밸브 구멍(25)은, 원형의 주연부를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2)는,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형성되어, 음료수에 부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밸브 슬리브(21) 내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에서는, 밸브체(22)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23)에 접촉하여, 밸브 구멍(25)이 폐쇄된다. 밸브체(22)는, 밸브체(22)가 밸브 슬리브(21) 내를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밸브체(22)의 방향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키도록 하기 위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2)의 직경은, 밸브 구멍(25)의 직경보다 크다.
이 체크 밸브(20)는, 밸브 슬리브(21) 내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밸브 시트(23)보다 상측[즉 냉수 탱크(2)측]의 압력이 하측[즉 온수 탱크(3)측]의 압력보다 높아지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로부터 이격하여 밸브 구멍(25)이 개방되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한다. 한편, 밸브 시트(23)보다 하측의 압력이 상측의 압력보다 높아졌을 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압착되기 때문에, 밸브 구멍(25)은 폐쇄된 채로 되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이 제한된다.
여기서, 체크 밸브(20)에는, 밸브체(22)를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23)로부터 이격하여, 밸브 구멍(25)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을 때는, 공기가 체크 밸브(20)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리테이너(24)는, 밸브 슬리브(21)를 직경 방향으로 건너지르는 1개의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24)에 의해 분할된 개개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여, 물의 표면 장력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음료수와 공기가 체크 밸브(20)를 통과할 때에, 리테이너(24)의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23)에는, 밸브체(22)가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밸브 시트(23)보다 상측[즉 냉수 탱크(2)측]의 영역과 밸브 시트(23)보다 하측[즉 온수 탱크(3)측]의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로(2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연통로(26)는, 밸브 구멍(2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관통 구멍이다. 연통로(26)는, 밸브 구멍(25)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유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7)가 부착되어 있어,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27)에 시스 히터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3)의 둘레벽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3)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3)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저장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28)가 연결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28)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콕(29)이 마련되고, 이 온수 콕(29)을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탱크 연결로(7)는,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7a)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7a)의 하단은, 온수 탱크(3)의 바닥면의 근방[구체적으로는, 온수 탱크(3)의 내측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30 ㎜ 이내의 위치]에서 개구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열 장치(27)로 가열된 고온의 음료수의 상승류가, 탱크 내 배관(7a)의 하단 개구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탱크 내 배관(7a)의 온수 탱크(3)의 상면 근방에는, 탱크 내 배관(7a)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30)은, 작은 구멍(30)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가, 온수 탱크(3)의 내측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10 ㎜ 이내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은 구멍(30)은, 탱크 내 배관(7a)의 관로 면적보다 작은 개구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작은 구멍(30)으로서는, 예컨대, 직경이 2 ㎜∼4 ㎜인 원형 구멍을 채용할 수 있다.
탱크 연결로(7)의 내직경은, 일반적으로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의 온도차에 의한 탱크 연결로(7) 내에서의 음료수의 대류를 억제하기 위해 작게 설정되지만,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9 ㎜ 이상으로 설정하면 바람직하고, 10 ㎜ 이상으로 설정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탱크 연결로(7)의 내직경을 8 ㎜ 이하로 설정한 경우, 물의 표면 장력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냉수 탱크(2)로부터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3) 내의 공기가 탱크 연결로(7) 내에 유입되기 어려워져, 온수 탱크(3)로부터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에 공기를 배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탱크 연결로(7)의 내직경을 9 ㎜ 이상(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으로 설정하면, 탱크 연결로(7) 내에 있어서의 물의 표면 장력의 영향이 작아지기 때문에, 냉수 탱크(2)로부터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3) 내의 공기가 탱크 연결로(7)에 유입되기 쉬워져, 온수 탱크(3)로부터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탱크 연결로(7)가 지나치게 굵으면 워터 서버의 제조 비용이 비싸지기 때문에, 탱크 연결로(7)의 내직경은 40 ㎜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31)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32)가 연결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32)는, 공기 취입구(33)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34)와, 케이스(34)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5)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35)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32)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35)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케이스(34)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31)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32)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냉수 탱크(2) 내에는, 원수 공급로(6)로부터 유출된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음료수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판(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확산판(36)을 마련함으로써, 원수 공급로(6)로부터 유출된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 중의 오존[공기 살균 챔버(32)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 것]과 넓은 면적에서 닿도록 하여,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되는 음료수의 위생을 높이고 있다.
흡기로(12)의 원수 용기(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오존 발생 장치(37)가 연결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37)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 중공의 케이스(38)와, 그 케이스(38)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9)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8)의 입구는 공기 도입로(31)에 연결되고, 케이스(38)의 출구는 흡기로(12)에 연결되어 있다. 오존 발생체(39)는, 공기 살균 챔버(32)의 오존 발생체(35)와 마찬가지로,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오존 발생 장치(37)는, 펌프(13)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원수 공급로(6)와 흡기로(12)는, 용기 홀더(5)를 지지하는 슬라이드대(11)의 슬라이드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오존 발생 장치(37)에서 발생한 오존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연성 및 내오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수 공급로(6)와 흡기로(12)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튜브, 불소 수지 튜브, 불소 고무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터 서버를 사용 장소(일반 가정, 사무실, 병원 등)에 설치할 때까지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가 모두 빈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20)는,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기 때문에,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25)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공기가 체크 밸브(20)를 하측[즉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상측[즉 냉수 탱크(2)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워터 서버를 사용 장소에 설치한 후, 워터 서버에 교환식의 원수 용기(4)를 연결시킨다. 그 후, 워터 서버의 전원을 켜면, 펌프(1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도입되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상승한다.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상승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서 잉여가 되는 공기는 공기 도입로(31)와 공기 살균 챔버(32)를 순서대로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배플판(16)의 높이[즉, 탱크 연결로(7)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의 높이]를 상회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온수 탱크(3)에 도입된다. 이때, 온수 탱크(3) 내의 공기가, 온수 탱크(3)의 상면 근방에 있는 탱크 내 배관(7a)의 작은 구멍(30)을 통하여 탱크 연결로(7) 내에 유입되고,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에 배출된다. 즉,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공기와 교체됨으로써,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가 도입된다.
여기서,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3) 내에 유입되는 음료수의 양이, 온수 탱크(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양을 상회함으로써, 온수 탱크(3) 내의 공기압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20)의 밸브 시트(23)에 연통로(26)가 존재하지 않으면, 하측[즉 온수 탱크(3)측]의 압력으로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으로의 음료수의 유입이 멈추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밸브체(22)와 밸브 슬리브(21)의 간극에 인입된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해서도,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20)의 밸브 시트(23)에 연통로(26)를 마련해 두면,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온수 탱크(3) 내의 공기압이 상승하여도, 온수 탱크(3)측의 압력은, 연통로(26)를 통해 냉수 탱크(2)측으로 빠져 나간다. 그 때문에,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밀착하는 것이 방지되어, 온수 탱크(3) 내에 안정적으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수위에 달하면, 펌프(13)가 정지한다. 계속해서,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냉각 장치(15)로 냉각되어 저온으로 유지된다. 또한,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가, 가열 장치(27)로 가열되어 고온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온수 탱크(3) 내에 채워진 음료수는, 가열 장치(27)로 가열되어 상온의 상태로부터 고온의 상태로 변화할 때에 열 팽창하지만, 이때, 온수 탱크(3)측의 압력이 체크 밸브(20)의 연통로(26)를 통해 냉수 탱크(2)측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음료수의 열 팽창에 의한 온수 탱크(3)의 균열이나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냉수 탱크(2)의 하방에 배치된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의 온도는, 저온 탱크 내의 음료수의 온도보다 높다. 그 때문에,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 사이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 내에서 음료수의 대류가 생긴다. 이 탱크 연결로(7)에 체크 밸브(20)가 존재하지 않으면, 탱크 연결로(7) 내의 음료수의 대류에 의해,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연결로(7)의 도중에,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0)를 마련하면, 탱크 연결로(7) 내의 대류로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2)가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킨 상태여도, 밸브 시트(23)에 마련된 연통로(26)를 통해, 밸브 시트(23)보다 냉수 탱크(2)측의 영역과 밸브 시트(23)보다 온수 탱크(3)측의 영역이 연통되고 있지만, 이 연통로(26)의 유로 면적은, 탱크 연결로(7)의 유로 면적에 비해서 충분히 작기 때문에,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에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그 후,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콕(19)을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콕(29)을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여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17)가 검출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1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4)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2)에 공급한다. 이때, 펌프(13)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 발생 장치(37)에서 오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펌프(13)가 작동하고 있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 내의 잔수량이 많은 단계에서는, 원수 용기(4) 내의 음료수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원수 용기(4)가 수축한다. 그 때문에, 흡기로(12)로부터 원수 용기(4) 내로의 공기의 유입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4) 내의 잔수량이 적어진 단계에서는, 원수 용기(4)의 수축이 진행되어 강성을 발생시켜, 그 이상의 수축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13)가 작동하고 있을 때, 원수 용기(4) 내의 감압에 의해 흡기로(12)로부터 원수 용기(4) 내에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오존 발생 장치(37)에서 오존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오존이 흡기로(12)와 조인트 부재(11)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원수 용기(4) 내에 유입되어, 흡기로(12)의 내부 및 조인트 부재(11)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13)가 작동한 상태에서,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진 것을 유량 센서(14)가 검지하였을 때는,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펌프(13)와 오존 발생 장치(37)가 계속해서 작동한다. 이때, 오존 발생 장치(37)에서 발생한 오존은, 흡기로(12)와 조인트 부재(11)를 순서대로 통하여 원수 용기(4)의 하부에 들어가며, 더욱, 원수 용기(4)의 하부로부터 조인트 부재(11), 원수 공급로(6)를 순서대로 통하여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흡기로(12)의 내부, 조인트 부재(11)의 내부, 원수 공급로(6)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이상과 같이, 이 워터 서버를 사용하면, 체크 밸브(20)의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을 때는,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25)이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가 체크 밸브(20)를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공기를 냉수 탱크(2)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결과, 온수 콕(29)이 폐쇄된 채여도,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온수 탱크(3)에 도입되어, 온수 탱크(3)가 빈 채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체크 밸브(20)의 밸브 슬리브(21) 내가 음료수로 채워졌을 때는,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구멍(25)이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온수 탱크(3)가 고온의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일 때에, 탱크 연결로(7) 내의 대류로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체크 밸브(20)에 연통로(26)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 탱크(3) 내에 안정적으로 음료수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탱크 내 배관(7a)의 온수 탱크(3)의 상면 근방에 탱크 내 배관(7a)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3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온수 탱크(3) 내의 수위가 높아졌을 때에도, 탱크 연결로(7)를 통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펌프(13)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 발생 장치(37)가 오존을 발생하기 때문에, 흡기로(12)로부터 원수 용기(4) 내에 공기가 유입될 때에, 오존 발생 장치(37)에서 발생한 오존이 흡기로(12)를 흘러, 흡기로(12)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그 때문에, 흡기로(12)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이 방지되어, 위생적이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원수 용기(4) 내에 음료수가 다 떨어졌을 때에, 펌프(13)가 계속해서 작동하여, 흡기로(12) 및 원수 공급로(6) 내에 오존을 통과시킨다. 그 때문에, 교환식의 원수 용기(4)의 음료수를 다 쓸 때마다, 흡기로(12)와 원수 공급로(6)의 양방의 유로가 오존 살균되어, 위생적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는 원수 용기(4)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수량이 감소하여도 수축하지 않는 원수 용기(4)를 사용하는 워터 서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원수 용기(4)의 본체부(9)는, 원수 용기(4)의 잔수량이 감소하여도 원수 용기(4)가 수축하지 않도록 강성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강성을 갖는 원수 용기(4)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22)가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밸브 시트(23)의 양측을 연통시키는 연통로(26)로서, 밸브 구멍(2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관통 구멍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로(26)로서, 밸브 구멍(25)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한 절결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밸브 슬리브(21)의 외주에 밸브 슬리브(2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을 연통로(26)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슬리브(21) 내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로,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리테이너(24)에 접촉할 때의 밸브체(22)의 위치(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에 접촉하여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킬 때의 밸브체(22)의 위치(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의 밸브체(22)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S)을, 밸브체(22)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완전히 내려간 상태로부터 밸브체(22)가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키기까지의 밸브체(22)의 이동량이 길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체크 밸브(20)를 통과하여 빈 온수 탱크(3)에 도입할 때에, 밸브체(22)가 밸브 시트(23)의 위치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빈 온수 탱크(3)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체크 밸브(20)의 밸브체(22)가밸브 시트(23)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 탱크(3) 내에 안정적으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되는 온수 탱크(3)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를 가지고, 그 탱크 연결로(7)에 체크 밸브(20)를 마련한 예[즉, 온수 탱크(3)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탱크가, 냉수 탱크(2)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온수 탱크(3)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탱크가, 상온의 음료수를 저류하는 탱크인 워터 서버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교환식의 원수 용기(4)로부터 음료수를 수납하여 저류하는 상온 탱크와, 그 상온 탱크의 하방에 좌우로 배열하여 마련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상온 탱크와 냉수 탱크(2)를 연결시키는 냉수측의 탱크 연결로와, 상온 탱크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온수측의 탱크 연결로(7)를 갖는 워터 서버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측의 탱크 연결로(7)에, 온수 탱크(3)로부터 상온 탱크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0)를 마련한다.
2 냉수 탱크
3 온수 탱크
7 탱크 연결로
7a 탱크 내 배관
20 체크 밸브
21 밸브 슬리브
22 밸브체
23 밸브 시트
24 리테이너
25 밸브 구멍
26 연통로
27 가열 장치
30 작은 구멍

Claims (4)

  1. 음료수를 수용하는 상부 탱크(2)와, 상기 상부 탱크(2)의 하방에 위치되는 온수 탱크(3)와, 상기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7)와, 상기 상부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연결시키는 탱크 연결로(7)를 가지며,
    상부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며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상부 탱크(2)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20)가 상기 탱크 연결로(7)에 마련되어 있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2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통형의 밸브 슬리브(21)와, 상기 밸브 슬리브(21)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밸브체(22)와, 상기 밸브체(22)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밸브 구멍(25)이 형성된 밸브 시트(23)를 가지며,
    상기 밸브체(22)를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밸브 슬리브(21) 내부에 음료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22)가 자기 중량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 구멍(25)을 개방시키고,
    상기 밸브 슬리브(21) 내부가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22)가 부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2)가 상기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밸브 시트(23)보다 상부 탱크(2)측에 있는 영역과 밸브 시트(23)보다 온수 탱크(3)측에 있는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로(26)가 상기 체크 밸브(20)에 마련되는 것인 워터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22)의 하방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리테이너(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22)를 구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밸브체(22)가 상기 리테이너(24)에 접촉할 때의 밸브체(22)의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체(22)가 상기 밸브 구멍(25)을 폐쇄시킬 때의 밸브체(22)의 위치까지의 밸브체(22)의 이동량(S)을 밸브체(22)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인 워터 서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연결로(7)는, 상기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을 하방으로 연장되어 온수 탱크(3)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구되는 탱크 내 배관(7a)을 가지며, 탱크 내 배관(7a)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30)이 상기 탱크 내 배관(7a)의 온수 탱크(3)의 상면 근방에 마련되는 것인 워터 서버.
KR20147028734A 2012-03-23 2013-03-25 워터 서버 KR20140136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6759 2012-03-23
JP2012066759A JP5647640B2 (ja) 2012-03-23 2012-03-23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58536 WO2013141399A1 (ja) 2012-03-23 2013-03-25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039A true KR20140136039A (ko) 2014-11-27

Family

ID=4922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8734A KR20140136039A (ko) 2012-03-23 2013-03-25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48116A1 (ko)
EP (1) EP2829506A4 (ko)
JP (1) JP5647640B2 (ko)
KR (1) KR20140136039A (ko)
CN (1) CN104203804A (ko)
TW (1) TW201350422A (ko)
WO (1) WO2013141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8481B2 (ja) * 2013-11-14 2018-08-01 Next Innovation合同会社 流体収容分配装置
US20150129607A1 (en) * 2013-11-14 2015-05-14 MTN Products, Inc Energy saving hot tank for water cooler
JP6589229B2 (ja) * 2014-02-18 2019-10-16 Next Innovation合同会社 流体貯留装置
JP5583296B1 (ja) * 2014-04-15 2014-09-0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005240B1 (ja) * 2015-10-14 2016-10-12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6028970A (ja) * 2015-10-16 2016-03-03 Next Innovation合同会社 ウォータサーバの冷水又は温水の貯留装置及び熱伝達体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JP7133169B2 (ja) * 2018-06-26 2022-09-08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DE102018113952B4 (de) * 2018-07-30 2022-01-27 Danfoss Power Solutions Aps Hydraulische Lenkeinheit
CN109330375B (zh) * 2018-11-03 2020-11-17 浙江三宝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可自动上水的饮水装置
WO2021176435A1 (en) * 2020-03-02 2021-09-10 Somekh Meir Hay Automatic wet wipe paper-towel dispenser
US11142444B2 (en) 2020-03-05 2021-10-12 Wandering Bear Inc. Refrigerated dispenser conver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16352A (fr) * 1964-02-21 1965-11-05 Mac Gregor & Co Naval Architec Dispositif formant soupape d'évacuation et de non-retour ou analogue et ses diverses applications
US3698603A (en) * 1971-07-09 1972-10-17 Ebco Mfg Co Water-distributing system for a hot and cold drinking water dispenser
JPS5281604U (ko) * 1975-12-15 1977-06-17
JPS6049281U (ja) * 1983-09-14 1985-04-06 岩壺 正道 握筒式ポンプにおける逆止弁装置
JPS61141872U (ko) * 1985-02-25 1986-09-02
JPS62116110U (ko) * 1986-01-14 1987-07-23
JPS63111391U (ko) * 1987-01-13 1988-07-18
JPS63318376A (ja) * 1987-06-23 1988-12-27 Itsusei:Kk 自動式空気抜弁
JP3400611B2 (ja) * 1995-06-13 2003-04-2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エアブリーザ
WO2001038807A1 (fr) * 1999-11-19 2001-05-31 Kabushiki Kaisha Kyusyu Kaihatsu Kikaku Dispositif de chauffage d'eau pour boissons et autres et reservoir de stockage d'eau utilise pour le dispositif de chauffage d'eau selon l'invention
JP2006347558A (ja) * 2005-06-13 2006-12-28 Sanden Corp 飲料ディスペンサ
CN2920112Y (zh) * 2006-07-03 2007-07-11 于乔治 带有热水杀菌系统的桶装水饮水机
CN201131654Y (zh) * 2007-12-10 2008-10-15 于乔治 饮水机用冷热胆结构
JP5235092B2 (ja) *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US8356731B2 (en) * 2009-09-09 2013-01-22 Mtn Products Inc Energy saving baffle for water cooler
US20150129607A1 (en) * 2013-11-14 2015-05-14 MTN Products, Inc Energy saving hot tank for water coo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99277A (ja) 2013-10-03
JP5647640B2 (ja) 2015-01-07
US20150048116A1 (en) 2015-02-19
EP2829506A4 (en) 2016-03-09
WO2013141399A1 (ja) 2013-09-26
EP2829506A1 (en) 2015-01-28
TW201350422A (zh) 2013-12-16
CN104203804A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6039A (ko) 워터 서버
US9440840B2 (en) Water dispenser
KR102089823B1 (ko) 워터 서버
TW201400398A (zh) 飲水機
US20160009537A1 (en) Water dispenser
KR102092434B1 (ko) 워터 서버
KR20140033181A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 공기 살균 챔버
KR20150058142A (ko) 워터 서버
US20150360924A1 (en) Water dispenser
JP5529233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201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TWI624632B (zh) 開飲機
JP552040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405522B1 (ko)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