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553A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1553A KR20190031553A KR1020197005493A KR20197005493A KR20190031553A KR 20190031553 A KR20190031553 A KR 20190031553A KR 1020197005493 A KR1020197005493 A KR 1020197005493A KR 20197005493 A KR20197005493 A KR 20197005493A KR 20190031553 A KR20190031553 A KR 201900315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valve seat
- valve body
- plunger
- diaphrag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새니터리성이 향상된 전자 밸브를 제공한다. 유입 관로 (11) 와 유출 관로 (12) 를 갖는 밸브 박스 (10) 와, 밸브 박스 (10) 의 내부에 배치 형성된 밸브 시트 (14) 와, 밸브 시트 (14) 에 착좌 가능한 밸브체 (19) 와, 밸브체 (19) 에 이어지는 플런저 (17) 와, 플런저 (17) 를, 플런저 (17) 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밸브체 (19) 를 밸브 시트 (14) 에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상태와, 밸브 시트 (14) 로부터 퇴좌시키는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 (15) 를 구비한 전자 밸브 (1) 로서, 밸브 시트 (14) 는, 유출 관로 (12) 의 상류단에 배치 형성되고, 밸브체 (19) 는, 유입 관로 (11) 측으로부터 밸브 시트 (14) 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되고, 밸브체 (19) 와 구동부 (15) 사이에, 밸브 박스 (10) 와 구동부 (15) 를 유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다이어프램 (21)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밸브 시트 및 밸브체를 갖는 밸브 박스와, 상기 밸브체에 이어지는 플런저를 상기 플런저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상태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퇴좌시키는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워터 서버는, 이용자에 의한 주수 (注水) 버튼 등의 조작에 따라, 내부의 탱크에 저류된 물이나 뜨거운 물을 조금씩 공급하는 장치이다.
최근, 음료수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음료수가 봉입된 수지성의 용기의 재치 (載置) 부와,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용기 본체의 봉지부에 접속되는 급수구와, 상기 급수구로부터 급수된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수용 탱크와, 상기 냉수용 탱크 내의 냉수를 주수하는 냉수용 주수구에 이르는 냉수용 배관계와, 상기 냉수용 탱크에 공급되는 음료수와는 분기되어 공급된 음료수를 가열하는 온수용 탱크와, 상기 온수용 탱크 내의 온수를 주출 (注出) 하는 온수용 주수구에 이르는 온수용 배관계 등에 추가하여, 상기 배관계를 정기적으로 살균하기 위한 살균 기구를 구비한 워터 서버가 제안되어 있다.
그 살균 기구는, 순환 펌프에 의해 정기적으로 온수용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온수의 일부를 빨아 올려, 순환 경로를 통하여 적어도 냉수용 경로에 공급함으로써 배관계의 살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용문헌 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워터 서버는, 이용자가 수동으로 콕식의 지수전을 개폐함으로써 음료수의 주수와 정지가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살균 기구의 작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냉수용 주수구의 지수전을 열면, 냉수가 아니라 온수가 주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수전에, 이용자가 주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개폐 작동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지수전의 용도로서의 전자 밸브는, 유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럿식의 것보다 직동식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직동식의 전자 밸브는, 밸브체에 이어지는 플런저를 전자력에 의해 작동시켜, 밸브체를 밸브구로부터 이간시킨 밸브 개방 상태와, 밸브체를 밸브구에 맞닿게 한 밸브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밸브의 개폐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기구의 작동 중이면, 주수 버튼의 조작을 해도, 밸브 개방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전자 밸브의 채용에 의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전자 밸브는 콕식의 지수전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여, 상기 살균 기구에 의한 살균용의 온수가 전자 밸브의 특히 플런저의 작동부에 충분히 골고루 퍼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전자 밸브 내의 살균에 시간이 걸리거나, 살균이 불충분해지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새니터리성이 향상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밸브 박스와, 상기 밸브 박스의 내부에 배치 형성된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이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상기 플런저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상태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퇴좌시키는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전자 밸브로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출부의 상류단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상기 밸브 박스와 상기 구동부를 유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다이어프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상기 밸브 박스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의 살균이 불필요해진다.
그런데, 다이어프램을 배치 형성할 때, 밸브체의 외주부에 다이어프램을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밸브 박스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밸브체의 외주부가 다이어프램에 이어져 있기 때문에 밸브체의 밸브 시트에 대한 자유도가 적고, 밸브체와 밸브 시트의 성형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즉, 밸브체와 밸브 시트의 평행의 정밀도가 불충분하면,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대하여 착좌시키고자 플런저로 밸브체를 밸브 시트를 향하여 가압시켜도, 밸브체가, 그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다이어프램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적절히 밸브 폐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밸브 시트와 밸브체 사이에 이물질이 말려들어가는 것에도 약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밸브는, 밸브체와 다이어프램을 별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밸브 폐쇄시에 밸브체는 다이어프램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체로 구성한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플런저는 밸브체의 크기에 비해 가늘게 구성하고, 밸브체는 플런저에 대하여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밸브체의 밸브 시트에 대한 자유도가 증대되고, 밸브 시트와 밸브체 사이에 이물질이 말려들어가는 것에 강해진다.
또, 통상적으로 전자 밸브를 유체의 배관 도중에 배치 형성할 때에는, 밸브 시트는 유입부의 하류단에 배치 형성되고, 밸브체는 유출부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체에는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이겨내고 밸브 폐쇄를 가능하게 할 만큼의 강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필요해지고, 또한, 밸브 폐쇄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을 이겨내고 밸브 개방을 가능하게 할 만큼의, 플런저를 구동시키기 위한 코일 등의 구동부가 필요해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밸브는, 밸브 시트는 유출부의 상류단에 배치 형성되고, 밸브체는 유입부측으로부터 밸브 시트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입부로부터 밸브 박스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탄성 지지하는 힘으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경우에 비해 약한 탄성력의 스프링이어도 충분히 밸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탄성력이 약함으로써, 밸브 폐쇄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을 이겨내고 밸브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일도 작아도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자 밸브의 비용 절감이나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와 같은 작용 효과는, 밸브체와 다이어프램이 별체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다. 즉, 밸브체의 밸브 시트와의 대향면의 이면에, 유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는, 상기 플런저가 관통됨과 함께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상기 밸브 박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플런저는, 그 축심 방향을 따라 밸브 박스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플런저와 밸브 박스에 걸쳐 배치 형성되면서도, 자체가 가요함으로써 밸브 박스와 구동부의 유체적인 격리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다이어프램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밸브체와의 대향 영역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의 고정 위치보다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팽출되는 코러게이트부를 갖고, 상기 코러게이트부는, 가장 팽출되는 부분에 둘러싸이는 부분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이,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코러게이트부를 갖지 않는 다이어프램은, 막면이 굴곡됨으로써, 플런저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이어프램은, 굴곡의 정도에 따라 탄성력이 변화한다. 이 탄성력은,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의 플런저의 축심 방향을 따른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되기 때문에,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다이어프램에 코러게이트부를 가짐으로써, 코러게이트부가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탄성력에 대항하여 굴곡시키는 힘에 비해 약한 힘으로서,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의 플런저의 축심 방향을 따른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의 코러게이트부의 가장 팽출되는 부분에 둘러싸이는 부분에는, 밸브 박스 내의 유체에 의해, 상기 플런저에 접속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퇴좌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한편,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과의 대향면에는, 상기 밸브 박스 내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은, 코일 등의 구동부에 의한, 상기 밸브체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퇴좌시키는 방향의 힘이 크면,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해 강력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가 필요해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부는 강력한 탄성력을 이겨내는 힘을 발생 가능한 능력이 필요해진다.
코러게이트부의 가장 팽출되는 부분에 둘러싸이는 부분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을,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밸브 박스 내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밸브체로부터 퇴좌시키는 방향의 힘을,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방향의 힘보다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불필요하게 강력하게 하지 않아도 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부의 능력도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중앙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면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맞닿는 환상의 스페이서가 배치 형성되고, 상기 코러게이트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개구부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플런저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러게이트부가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변형된다. 이 때, 상기 코러게이트부를 스페이서의 개구부의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점에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밸브 박스 또는 구동부와 일체 형성되어도 되고,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입부는, 유체의 통류 축심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유출부는, 유체의 통류 축심이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음료 공급 장치의 지수전으로서 사용되는 전자 밸브의 유출부의 하류측은 대기 개방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출부의 유체의 통류 축심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밸브체를 밸브 개방 상태로부터 밸브 폐쇄시켰을 때, 유출부 내에 유체, 즉 음료가 남기 쉽다. 음료의 잔류는 대기 중의 부유균의 부착이나 증식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를 밸브 개방 상태로부터 밸브 폐쇄시켰을 때, 유출부를 흐르는 유체는 중력에 의해 저절로 흘러 떨어져 유출부 내에 잘 남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 시트의 개구 축심은, 연직 방향으로, 또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밸브체 및 상기 플런저의 이동 축심은, 상기 개구 축심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밸브 시트의 개구 축심, 밸브체 및 플런저의 이동 축심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밸브체 및 플런저의 자중을, 밸브체의 밸브 시트로의 탄성력으로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밸브 시트의 개구 축심, 밸브체 및 플런저의 이동 축심을, 연직 방향으로부터, 특히,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유입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유입부와 밸브 시트와 유출부를 근접시킬 수 있어, 밸브 박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전자 밸브를 음료 공급 장치의 지수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밸브 박스 내에 잔류하는 공기는,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밸브 시트의 개구 축심, 밸브체, 플런저의 이동 축심을, 상기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시킴으로써, 밸브 박스 내의 공기는 음료를 유통할 때마다, 음료와 함께 유출부에 옮겨내어지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밸브 (1) 는, 특히 물의 유통 경로의 방향이 변화하는 지점 (유로의 굴곡부) 에 장착함으로써 잔류수나 공기 고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 공급 장치, 예를 들어 워터 서버의 지수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워터 서버의 전자 밸브에 관하여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워터 서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해는 생략된다.
전자 밸브 (1) 는, 워터 서버의 주수 관로 (30) 의 말단부에 장착되고, 워터 서버의 조작 패널에 구비된 주수 버튼에 연동하여 밸브 개방 또는 밸브 폐쇄시킴으로써, 음료수의 주수 또는 정지를 하도록 제어된다.
전자 밸브 (1) 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워터 서버의 주수 관로 (30) 와 접속되는 유입 관로 (유입부) (11) 와, 상단부에 밸브구 (13) 를 갖고 하단부가 대기 개방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출 관로 (유출부) (12) 와, 밸브구 (13) 를 둘러싸는 밸브 시트 (14) 와, 밸브 박스 (10) 와, 밸브 박스 (10) 의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전자 코일 (16) 과, 전자 코일 (16) 의 전자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 (17) 와, 플런저 (17) 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런저 케이스 (18) 와, 플런저 (17) 의 선단부에 이어지는 밸브체 (19) 와, 플런저 (17) 의 상부측의 단면 (端面) 을 가압하도록 플런저 케이스 (18) 의 내부에 수용된 압축 코일 스프링 (20) 과, 밸브체 (19) 와 전자 코일 (16) 사이에 배치 형성된, 밸브 박스 (10) 와 전자 코일 (16) 을 유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다이어프램 (21) 을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 (17) 를 이동시키는 전자 코일 (16) 이나 압축 코일 스프링 (20) 이나, 그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스 등이 구동부 (15) 를 구성한다.
전자 코일 (16) 이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20) 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 (19) 는 밸브 시트 (14) 에 착좌되어, 밸브구 (13) 는 밸브 폐쇄되고, 음료수는 통수되지 않는다.
한편, 워터 서버의 주수 버튼을 이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전자 코일 (16) 이 통전되면, 발생한 전자력이 압축 코일 스프링 (20)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플런저 (17) 를 이동시키고, 이것에 수반하여 밸브체 (19) 는 밸브 시트 (14) 로부터 퇴좌되어, 밸브구 (13) 가 밸브 개방되고, 음료수의 통수가 된다.
또한, 플런저 (17) 는, 전자 코일 (16) 의 전자력이 작용하는 철심부 (17a) 와, 철심부 (17a) 에 연결된 수지부 (17b) 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부 (17b) 의 하단에는, 밸브체 (19) 가 연결되어 있다. 수지부 (17b) 와 밸브체 (19) 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 (21) 의 중앙부 (23) 는, 플런저 (17) 의 특히 수지부 (17b) 둘레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 형성되고, 다이어프램 (21) 의 둘레 가장자리부 (24) 는, 밸브 박스 (10) 와 구동부 (15)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이로써, 다이어프램 (21) 은, 전자 코일 (16) 등의 구동부를 밸브 박스 (10) 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시킨다.
또한, 다이어프램을 갖는 전자 밸브로서, 밸브체의 외주부에 일체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밸브 박스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의 것이 공지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밸브 (1) 는, 다이어프램 (21) 이 밸브체 (19) 와는 이간된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크게 상이하다.
다이어프램 (21) 의 둘레 가장자리부 (24) 와 구동부 (15) 사이에는, 중앙에 개구부 (26) 를 갖고, 개구부 (26) 의 주위의 적어도 밸브체 (19) 와의 대향면이 다이어프램 (21) 에 맞닿는 환상의 스페이서 (25)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25) 의 개구부 (26) 는 코러게이트부 (22) 를 수용 가능하면 되며, 그 개구 면적은 밸브체 (19) 의 밸브 시트 (14) 에 대한 투영 면적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다이어프램 (21) 의 밸브체 (19) 와의 대향면 중 스페이서 (25) 의 개구부 (26) 에 대응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음료수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 (17) 에 접속된 밸브체 (19) 를 밸브 시트 (14) 로부터 퇴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과, 밸브체 (19) 의 다이어프램 (21) 과의 대향면에 작용하는 음료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 (19) 를 밸브 시트 (14) 에 착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은,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 (20) 의 탄성력과, 전자 코일 (16) 의 전자력의 크기에 따라, 어느 일방의 힘이 타방의 힘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 (25) 는 플런저 (17) 가 수용되는 플런저 케이스 (18) 와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스페이서 (25) 는, 밸브 박스 (10) 또는 구동부 (15) 와 일체 형성되어도 되고,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다이어프램 (21) 에는, 둘레 가장자리부 (24) 의 고정 위치보다 밸브체 (19) 와는 이간되는 방향으로 팽출되는 코러게이트부 (22) 가, 밸브체 (19) 와의 대향 영역에 구비되어 있다. 코러게이트부 (22) 는, 가장 팽출되는 부분에 둘러싸이는 부분의 밸브 시트 (14) 로의 투영 면적이, 밸브체 (19) 의 밸브 시트 (14) 로의 투영 면적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러게이트부 (22) 는, 플런저 (17) 의 이동에 수반하여, 코러게이트부 (22) 가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변형되고, 스페이서 (25) 의 개구부 (26) 의 내측에 수용된다.
유입 관로 (11) 와 주수 관로 (30) 의 접속은, 일방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타방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관 조인트 혹은 플랜지 조인트와 같은 공지된 다른 다양한 접속 구성이어도 된다.
전자 밸브 (1) 를 구성하는 유입 관로 (11) 와 유출 관로 (12) 를 포함하는 밸브 박스 (10), 스페이서 (25) 에는, 폴리페닐렌술파이드나 폴리술폰 등의 내열성이나 강도, 강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또한 식품 안전성이 높은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런저 (17) 의 철심부 (17a) 는, 접수 (接水) 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우수하고, 또한 자성을 갖는 SUS430 과 같은 스테인리스 강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접수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철, 예를 들어 SS400 과 같은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등이 사용된다.
플런저 (17) 의 수지부 (17b) 에는, 폴리페닐렌술파이드나 폴리술폰 등의 내열성이나 강도, 강성, 내마모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또한 식품 안전성이 높은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플런저 (17) 는, 철심부 (17a) 및 수지부 (17b) 와 같이 별도 부재를 조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철심부 (17a) 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밸브체 (19) 에 연결되는 단부 (端部) 로부터 적어도 다이어프램 (21) 이 접속되는 부분까지는 밸브 박스 (10) 의 내부를 통류하는 음료수와 접촉하기 때문에, 부동태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 (19) 나 다이어프램 (21) 에는, 불소 고무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내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식품 위생법에 준거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이어프램 (21) 은, 표리면에 대응하는 금형의 사이에 상기 수지를 흘려넣어 성형한 후, 이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언더 컷이 없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금형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형도 용이해지므로 작업성이 양호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입 관로 (11) 는, 음료수의 통류 축심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고, 유출 관로 (12) 는, 음료수의 통류 축심이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고, 유출 관로 (12) 의 상단부에 배치 형성된 밸브 시트 (14) 의 밸브구 (13) 의 개구 축심은,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밸브체 (19) 및 플런저 (17) 의 이동 축심 (X) 은 밸브 시트 (14) 의 밸브구 (13) 의 개구 축심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14) 의 밸브구 (13) 의 개구 축심, 밸브체 (19) 및 플런저 (17) 의 이동 축심 (X) 을, 연직 방향으로부터, 특히, 밸브 시트 (14) 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유입 관로 (11) 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 예를 들어 연직으로부터 약 25 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로써, 밸브 박스 (10) 내의 공기는 음료수를 유통할 때마다, 음료수와 함께 유출 관로 (12) 에 옮겨내어진다. 공기 고임은, 거기에서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 및 살균해야 할 부위에 대한 전열 상의 장해가 발생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그 우려가 저감된다.
1 : 전자 밸브
10 : 밸브 박스
11 : 유입 관로 (유입부)
12 : 유출 관로 (유출부)
13 : 개구
14 : 밸브 시트
15 : 구동부
16 : 전자 코일 (구동부)
17 : 플런저
18 : 플런저 케이스
19 : 밸브체
20 : 압축 코일 스프링 (구동부)
21 : 다이어프램
22 : 코러게이트부
23 : 중앙부
24 : 둘레 가장자리부
25 : 스페이서
26 : 개구부
X : 이동 축심
10 : 밸브 박스
11 : 유입 관로 (유입부)
12 : 유출 관로 (유출부)
13 : 개구
14 : 밸브 시트
15 : 구동부
16 : 전자 코일 (구동부)
17 : 플런저
18 : 플런저 케이스
19 : 밸브체
20 : 압축 코일 스프링 (구동부)
21 : 다이어프램
22 : 코러게이트부
23 : 중앙부
24 : 둘레 가장자리부
25 : 스페이서
26 : 개구부
X : 이동 축심
Claims (6)
- 유입부와 유출부를 갖는 밸브 박스와,
상기 밸브 박스의 내부에 배치 형성된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이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상기 플런저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상태와,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퇴좌시키는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전자 밸브로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출부의 상류단에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대향하도록 배치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상기 밸브 박스와 상기 구동부를 유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다이어프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는, 상기 플런저가 관통됨과 함께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상기 밸브 박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밸브체와의 대향 영역에, 상기 둘레 가장자리부의 고정 위치보다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팽출되는 코러게이트부를 갖고,
상기 코러게이트부는, 가장 팽출되는 부분에 둘러싸이는 부분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이,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로의 투영 면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중앙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적어도 일면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맞닿는 환상의 스페이서가 배치 형성되고,
상기 코러게이트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개구부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체의 통류 축심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유출부는, 유체의 통류 축심이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의 개구 축심은, 연직 방향으로, 또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밸브체 및 상기 플런저의 이동 축심은, 상기 개구 축심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72047 WO2018020617A1 (ja) | 2016-07-27 | 2016-07-27 | 電磁弁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4968A Division KR20200104943A (ko) | 2016-07-27 | 2016-07-27 | 전자 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553A true KR20190031553A (ko) | 2019-03-26 |
Family
ID=610157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4968A KR20200104943A (ko) | 2016-07-27 | 2016-07-27 | 전자 밸브 |
KR1020197005493A KR20190031553A (ko) | 2016-07-27 | 2016-07-27 | 전자 밸브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4968A KR20200104943A (ko) | 2016-07-27 | 2016-07-27 | 전자 밸브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20200104943A (ko) |
CN (1) | CN109563944A (ko) |
WO (1) | WO20180206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97865B (zh) * | 2018-11-19 | 2024-04-05 |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 用于快热式热水器的联控装置和快热式热水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21793A (ja) | 2004-07-08 | 2006-01-26 | Fuji Techno Kk | 飲料サーバー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54859U (zh) * | 1989-09-05 | 1990-03-21 | 江西省景德镇市电瓷电器专用设备制造厂 | 电磁隔膜阀 |
CN2779183Y (zh) * | 2005-02-01 | 2006-05-10 | 于乔治 | 零压力电磁阀水龙头 |
JP5565641B2 (ja) * | 2012-11-12 | 2014-08-06 | Smc株式会社 | バルブ |
JP6377430B2 (ja) * | 2014-06-25 | 2018-08-22 | パーパス株式会社 | 電磁弁 |
CN203963035U (zh) * | 2014-07-02 | 2014-11-26 | 宁波捷尔天电气有限公司 | 一种电磁阀 |
JP6355545B2 (ja) * | 2014-12-15 | 2018-07-11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飲料供給装置の電磁弁 |
-
2016
- 2016-07-27 CN CN201680087956.7A patent/CN109563944A/zh active Pending
- 2016-07-27 KR KR1020207024968A patent/KR2020010494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7-27 KR KR1020197005493A patent/KR20190031553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7-27 WO PCT/JP2016/072047 patent/WO201802061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21793A (ja) | 2004-07-08 | 2006-01-26 | Fuji Techno Kk | 飲料サーバ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563944A (zh) | 2019-04-02 |
KR20200104943A (ko) | 2020-09-04 |
WO2018020617A1 (ja) | 2018-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75970B2 (en) | Valve system | |
CN104696538B (zh) | 具有磁力致动器的阀门 | |
KR101786770B1 (ko) | 음료 공급 장치의 전자 밸브 | |
US8783306B2 (en) | Device for delivering liquids | |
US8555916B2 (en) | Solenoid valve having flow control function | |
US20120175541A1 (en) | Solenoid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particularly for washing machines | |
JP6598547B2 (ja) | 電磁弁 | |
KR20190031553A (ko) | 전자 밸브 | |
JP2017009238A (ja) | 逆流防止装置および風呂給湯器 | |
WO2007017496A3 (en) | System for opening and/or closing an inlet valve and/or an outlet valve of a liquid container | |
CA2605231A1 (en) | Air vent valve for beverage makers | |
US20100132805A1 (en) | Air vent valve for beverage makers | |
TWI635235B (zh) | 電磁閥 | |
US20120138839A1 (en) | Valve | |
EP2480836B1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hot or boiling water | |
US20120001114A1 (en) | Shut-off valve | |
JP2014514937A (ja) | 航空機用の飲料製造機のための排水システム及び方法 | |
KR20090081554A (ko) |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 |
JP6377430B2 (ja) | 電磁弁 | |
BR102019001600A2 (pt) | válvula de escoamento de líquido | |
JP6247097B2 (ja) | ウォータサーバ用電磁弁 | |
JP6537808B2 (ja) | 電磁弁 | |
KR102288480B1 (ko) | 음료용 디스펜서 | |
JP3191875U (ja) | 湯水混合栓装置 | |
JPH09133228A (ja) | サニタリ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1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828 Effective date: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