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60U -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60U
KR20180000960U KR2020160005645U KR20160005645U KR20180000960U KR 20180000960 U KR20180000960 U KR 20180000960U KR 2020160005645 U KR2020160005645 U KR 2020160005645U KR 20160005645 U KR20160005645 U KR 20160005645U KR 20180000960 U KR20180000960 U KR 20180000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upling
angle
sleev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650Y1 (ko
Inventor
배수근
Original Assignee
배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근 filed Critical 배수근
Priority to KR2020160005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5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빈을 감싸는 결합 앵글에 밸브 바디와 연통될 수 있는 홀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밸브 바디로의 유입되는 것 또한 차단되므로, 밸브 작동 중에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 홀더를 이용하여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코킹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코킹 처리할 필요가 없고, 보빈의 결합홀에 슬리브를 수작업으로 단순 삽입할 수 있으며, 결합 앵글을 밸브 바디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 홀더에 의해 보빈과 결합 앵글이 결합 고정되므로 밸브의 조립 공정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SOLENOID VALVE ASSEMBLY}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을 감싸는 결합 앵글에 밸브 바디와 연통될 수 있는 홀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밸브 바디로의 유입되는 것 또한 차단되므로, 밸브 작동 중에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 홀더를 이용하여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코킹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코킹 처리할 필요가 없고, 보빈의 결합홀에 슬리브를 수작업으로 단순 삽입할 수 있으며, 결합 앵글을 밸브 바디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 홀더에 의해 보빈과 결합 앵글이 결합 고정되므로 밸브의 조립 공정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를 취급하는 기기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 및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기본적으로 내부 공간에 유체가 흘러갈 수 있도록 내부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모듈은 코일을 원통형으로 감은 보빈과 이러한 보빈의 중심에 놓인 상자성체로 된 가동철심('플런저'라고도 함) 그리고 가동철심을 어느 일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탄력을 보유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보빈의 코일이 여자되면 그 중심에서 대체로 균일하게 분포하는 자속에 의한 자기장이 형성되고, 여자 전류의 방향 또는 극성에 따라 자속의 방향이 바뀌며 이에 따라 가동철심을 밀거나 당기는 전자적 추력이 작용한다. 스프링은 여자된 코일에 의한 전자적 추력보다 약하며 여자 전류가 차단될 때 가동철심을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빈은 코일이 원통형으로 감긴 형상으로, 그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는 전자기력의 증대를 위해 금속 재질의 슬리브가 삽입되며, 슬리브의 내부 공간으로 가동철심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보빈은 별도의 결합 앵글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결합 앵글에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 앵글에 결합된 상태로 결합 앵글과 함께 밸브 바디에 결합된다. 이때, 보빈과 결합 앵글은 슬리브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합 앵글에는 보빈의 관통홀과 동심원을 이루는 별도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결합 앵글과 보빈은 각각 결합홀과 관통홀이 서로 동심 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슬리브가 결합홀을 관통하여 보빈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의 끝단은 결합 앵글의 결합홀에 코킹 처리되며, 이러한 코킹 처리를 통해 슬리브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결합 앵글과 보빈이 상호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통해 결합 앵글과 보빈이 결합하기 때문에, 그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별도의 코킹 장비가 필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결합 앵글과 보빈의 결합 구조의 특성상 결합 앵글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등의 이유로 솔레노이드 모듈의 외주면이 매끄럽지 못해 그 사이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부착되어 위생적으로 양호한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58101호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빈을 감싸는 결합 앵글에 밸브 바디와 연통될 수 있는 홀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밸브 바디로의 유입되는 것 또한 차단되므로, 밸브 작동 중에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고정 홀더를 이용하여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코킹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코킹 처리할 필요가 없고, 보빈의 결합홀에 슬리브를 수작업으로 단순 삽입할 수 있으며, 결합 앵글을 밸브 바디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 홀더에 의해 보빈과 결합 앵글이 결합 고정되므로 밸브의 조립 공정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앵글에 대한 보빈의 결합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설치 환경에 따라 보빈의 커넥터부에 대한 위치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은, 원통 형상으로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 및 상기 밸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 앵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슬리브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 앵글은 상기 보빈의 측면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되게 접촉 결합하는 상면 지지부 및 하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지지부는 상기 보빈의 결합홀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면 지지부는 상기 보빈의 결합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결합홀과 동일축상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은 상기 보빈과 결합 앵글의 상호 결합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결합 앵글의 하면 지지부의 개방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빈의 슬리브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 삽입 결합되는 홀더 삽입부와, 상기 홀더 삽입부의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면 지지부의 하면과 밀착 접촉하는 홀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결합 앵글이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홀더 지지부가 상기 결합 앵글과 밸브 바디 사이에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결합홀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에 스토퍼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도록 2개로 분리 형성되고, 각각의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에 의해 삽입 제한된 상태에서 삽입 완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금속 재질의 중공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원주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서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에는 상기 보빈이 상기 결합 앵글에 결합하는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결합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보빈이 상기 결합 앵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결합홀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홈은 상기 상면 지지부의 원호 형상을 갖는 가장자리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결합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맞물림되어 상기 보빈의 결합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더의 홀더 삽입부는 상기 보빈의 슬리브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밀착 접촉 돌기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의 끝단부 하면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보빈을 감싸는 결합 앵글에 밸브 바디와 연통될 수 있는 홀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밸브 바디로의 유입되는 것 또한 차단되므로, 밸브 작동 중에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 홀더를 이용하여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보빈과 결합 앵글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코킹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코킹 처리할 필요가 없고, 보빈의 결합홀에 슬리브를 수작업으로 단순 삽입할 수 있으며, 결합 앵글을 밸브 바디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 홀더에 의해 보빈과 결합 앵글이 결합 고정되므로 밸브의 조립 공정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 앵글에 대한 보빈의 결합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설치 환경에 따라 보빈의 커넥터부에 대한 위치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보빈 결합 방향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앵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밸브 바디(10)와, 밸브 바디(1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밸브 바디(10)는 바디 본체(100)에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바디 본체(100)의 일측 및 타측에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가 형성되고, 바디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와 연통되는 연결 챔버(130)가 형성된다. 연결 챔버(130)에는 유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유동 연결구(140)가 형성되며, 연결 챔버(130) 내부 공간에는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이 구비되고,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은 솔레노이드 모듈(20)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유동 연결구(140)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솔레노이드 모듈(20)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600) 및 플런저(6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610)가 구비되며, 플런저(600) 및 플러그(610)가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 직선 이동하여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을 개폐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밸브 바디(1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연통 챔버(130)로 유입되고, 플런저(600) 및 플러그(610)에 의해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이 가압되어 유동 연결구(14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유체가 흘러가지 않고 유지되며, 플런저(430) 및 플러그(440)가 전자기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에 대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유동 연결구(140)가 개방되면, 유입구(110)로 유입된 유체는 연통 챔버(130)에서 유동 연결구(140)를 통과하여 유출구(120)로 흘러가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결합 구조체는 솔레노이드 모듈(20)의 전기적인 작동 상태에 따라 내부 유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동 연결구(140)를 개폐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밸브가 개폐 작동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모듈(20)은 밸브 바디(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여 밸브 바디(1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데, 먼저, 그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플런저(600)가 배치되고, 플런저(600)의 하부에는 플러그(610)가 결합된다. 이때, 플런저(600)의 상부에는 플런저(600)를 하향 가압하도록 탄성 스프링(6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403)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플런저(600)는 탄성 스프링(620)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플런저(600)에 결합된 플러그(610)가 밸브 바디(10)의 파일럿(210) 및 다이아프램(22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유동 연결구(140)를 폐쇄하게 되고, 솔레노이드 코일(403)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플런저(600)가 전자기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여 반대 방식으로 유동 연결구(140)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600)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플런저(600)의 외부 공간에는 원통 형상으로 솔레노이드 코일(403)이 권취되고, 솔레노이드 코일(403)은 별도의 보빈(400)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보빈(400)은 원통 형상으로 중심부에 결합홀(401)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솔레노이드 코일(403)이 원통 형상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보빈(400)은 별도의 결합 앵글(300)에 의해 외부 공간이 일부 감싸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결합 앵글(300)은 밸브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보빈(400)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합 앵글(300)은 보빈(400)의 측면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는 측면 지지부(320)와, 측면 지지부(320)의 양단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보빈(4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되게 접촉 결합하는 상면 지지부(330) 및 하면 지지부(3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 앵글(300)을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 구조를 통해 탄성력이 발휘되어 상면 지지부(330) 및 하면 지지부(310)가 보빈(400)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 접촉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앵글(300)에는 밸브 바디(10)와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나사 결합홀(311)이 형성될 수 있고, 밸브 바디(10)에는 이와 대응되는 나사 체결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 나사(340)를 통해 결합 앵글(300)이 밸브 바디(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앵글(300)은 보빈(400)이 결합된 상태로 밸브 바디(10)에 결합된다.
한편, 보빈(4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홀(401)에는 별도의 슬리브(410)가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 고정되고, 이때, 슬리브(410)는 결합홀(401)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보빈(400)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슬리브(410)는 1개 구비되어 보빈(400)의 결합홀(401)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슬리브(410) 결합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결합홀(40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도록 2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401)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에 스토퍼 돌기(404)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슬리브(410)는 결합홀(401)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토퍼 돌기(404)에 의해 삽입 제한된 상태에서 삽입 완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슬리브(410)를 각각 결합홀(401)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하는데, 스토퍼 돌기(404)에 의해 삽입 제한될 때까지 삽입하면, 외부 돌출되지 않게 삽입 완료되므로, 슬리브(410) 삽입 과정에서 슬리브(410)가 결합홀(40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염려하여 슬리브(41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슬리브(410)를 끝까지 삽입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슬리브(4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410)는 금속 재질의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서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411)에 의해 슬리브(410)가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으므로, 결합홀(401)의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하는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보빈(400)은 결합홀(401)에 슬리브(410)가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단 및 하단으로 슬리브(410)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그 상태로 결합 앵글(3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 및 하면 지지부(310) 사이 공간으로 보빈(400)이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보빈(400)의 상면 및 하면이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 및 하면 지지부(310)에 밀착 접촉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는 보빈(400)의 결합홀(401)을 차단하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 지지부(310)는 보빈(400)의 결합홀(401)이 개방되도록 결합홀(401)과 동일 중심축 상에 개방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홀(312)은 후술하는 고정 홀더(500)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는 별도의 홀이 형성되지 않고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밸브 조립체 전체 구조 중 최외곽에서 외부 노출되는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에 밸브 바디(10)와 연통될 수 있는 홀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차단되고, 이에 따라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밸브 바디(10)로의 유입 또한 차단되므로,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400)과 결합 앵글(30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코킹 장비를 이용하여 슬리브(410)를 코킹 처리할 필요가 없이 보빈(400)의 결합홀(401)에 슬리브(410)를 수작업으로 단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모듈(20)에는 보빈(400)과 결합 앵글(300)의 상호 결합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고정 홀더(500)가 구비되는데, 고정 홀더(500)는 결합 앵글(300)의 하면 지지부(310)의 개방홀(312)을 관통하여 보빈(400)의 슬리브(410)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 삽입 결합되는 홀더 삽입부(510)와, 홀더 삽입부(510)의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 앵글(300)의 하면 지지부(310)의 하면과 밀착 접촉하는 홀더 지지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홀더(500)는 결합 앵글(300)이 밸브 바디(10)에 결합됨에 따라 홀더 지지부(520)가 결합 앵글(300)과 밸브 바디(10) 사이에서 결합 앵글(300)의 하면 지지부(310)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홀더(500)가 결합 앵글(300)의 개방홀(312)을 관통하여 결합 앵글(300)에 밀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 홀더(500)의 홀더 삽입부(510)가 보빈(400)의 결합홀(401) 및 슬리브(410)의 내주면에 밀착 삽입되므로, 결합 앵글(300)과 보빈(400)은 고정 홀더(500)에 의해 그 상대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슬리브 코킹 작업 없이도 보빈(400)과 결합 앵글(300)을 완벽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 홀더(500)의 홀더 삽입부(5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 전술한 탄성 스프링(620), 플런저(60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플런저(600)는 이러한 홀더 삽입부(510)에 의해 상하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서 보빈(400)의 솔레노이드 코일(403)에 의한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보빈(400)과 결합 앵글(300)의 결합 고정력 강화를 위해 홀더 삽입부(510)는 보빈(400)의 결합홀(401)에 삽입된 슬리브(410)의 내주면에 밀착 접촉하는 형태로 억지끼워맞춤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홀더 삽입부(510)의 외주면에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10)의 내주면과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밀착 접촉 돌기(51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보빈 결합 방향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앵글(300)에 결합되는 보빈(400)의 결합 위치 및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에는 보빈(400)이 결합 앵글(300)에 결합하는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결합 가이드홈(332)이 형성되고, 보빈(400)의 상면 일측에는 결합 가이드홈(332)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 가이드 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보빈(400)의 결합 가이드 돌기(420)가 결합 앵글(300)의 결합 가이드홈(332)에 삽입 맞물림되도록 함으로써, 보빈(400)의 결합 앵글(30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보빈(400)이 결합 앵글(300)에 결합한 상태에서 보빈(400)의 결합홀(401)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 형상(331)을 갖도록 형성되고, 결합 가이드홈(332)은 상면 지지부(330)의 원호 형상(331)을 갖는 가장자리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빈(400)의 결합 가이드 돌기(420)가 다수개의 결합 가이드홈(332)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맞물림되어 보빈(400)의 결합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00)의 결합 가이드 돌기(420)가 결합 앵글(300)의 결합 가이드홈(332) 중 서로 다른 결합 가이드홈(332)에 삽입되어 보빈(400)의 결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보빈(400)의 결합 방향은 보빈(400)의 결합홀(40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므로, 보빈(400)이 결합 앵글(300)에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홀(401)의 위치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보빈(400)의 결합홀(401)과 결합 앵글(300)의 개방홀(312)의 상대 위치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고정 홀더(500)의 삽입 작업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앵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앵글(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지지부(330)의 끝단부에 경사면(335)이 형성된다. 경사면(335)은 상면 지지부(330)의 하면 끝단부에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35)은 단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결합 앵글(300)의 상면 지지부(330)와 하면 지지부(310) 사이에 보빈(4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보빈(400)과 결합 앵글(30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원활하게 보빈(400)을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밸브 바디 20: 솔레노이드 모듈
100: 바디 본체 110: 유입구
120: 유출구 300: 결합 앵글
310: 하면 지지부 312: 개방홀
320: 측면 지지부 330: 상면 지지부
332: 결합 가이드홈 335: 경사면
400: 보빈 401: 결합홀
410: 슬리브 411: 절개부
420: 결합 가이드 돌기
500: 고정 홀더
510: 홀더 삽입부 511: 밀착 접촉 돌기
520: 홀더 지지부 600: 플런저

Claims (8)

  1.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도록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은
    원통 형상으로 중심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 및
    상기 밸브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 앵글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슬리브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 앵글은 상기 보빈의 측면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빈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되게 접촉 결합하는 상면 지지부 및 하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지지부는 상기 보빈의 결합홀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면 지지부는 상기 보빈의 결합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결합홀과 동일축상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모듈은
    상기 보빈과 결합 앵글의 상호 결합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결합 앵글의 하면 지지부의 개방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빈의 슬리브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 삽입 결합되는 홀더 삽입부와, 상기 홀더 삽입부의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면 지지부의 하면과 밀착 접촉하는 홀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결합 앵글이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홀더 지지부가 상기 결합 앵글과 밸브 바디 사이에서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결합홀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에 스토퍼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도록 2개로 분리 형성되고, 각각의 슬리브는 상기 결합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에 의해 삽입 제한된 상태에서 삽입 완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 재질의 중공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원주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서 절개된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에는 상기 보빈이 상기 결합 앵글에 결합하는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결합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보빈이 상기 결합 앵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결합홀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홈은 상기 상면 지지부의 원호 형상을 갖는 가장자리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결합 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맞물림되어 상기 보빈의 결합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의 홀더 삽입부는 상기 보빈의 슬리브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밀착 접촉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앵글의 상면 지지부의 끝단부 하면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KR2020160005645U 2016-09-29 2016-09-29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KR200487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45U KR200487650Y1 (ko) 2016-09-29 2016-09-29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45U KR200487650Y1 (ko) 2016-09-29 2016-09-29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60U true KR20180000960U (ko) 2018-04-06
KR200487650Y1 KR200487650Y1 (ko) 2018-10-17

Family

ID=6196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645U KR200487650Y1 (ko) 2016-09-29 2016-09-29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96B1 (ko) * 2022-10-11 2023-10-12 마노 주식회사 범용 급수 밸브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36A (ko) * 1998-08-03 2000-03-06 구자홍 급수밸브용 솔레노이드
KR20010093463A (ko) * 2000-03-29 2001-10-29 밍 루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0858101B1 (ko) 2007-03-22 2008-09-10 캄텍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KR20150082117A (ko) * 2014-01-07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JP2016089986A (ja) * 2014-11-07 2016-05-2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磁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36A (ko) * 1998-08-03 2000-03-06 구자홍 급수밸브용 솔레노이드
KR20010093463A (ko) * 2000-03-29 2001-10-29 밍 루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0858101B1 (ko) 2007-03-22 2008-09-10 캄텍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KR20150082117A (ko) * 2014-01-07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워터 서버용 전자 밸브
JP2016089986A (ja) * 2014-11-07 2016-05-2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96B1 (ko) * 2022-10-11 2023-10-12 마노 주식회사 범용 급수 밸브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50Y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690B2 (en) Solenoid with an over-molded component
KR100678611B1 (ko) 전자밸브
EP28997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6701823B2 (ja) 電磁弁装置
JP2015110996A (ja) 通常時低出力ソレノイド弁アセンブリ
JP2015223072A (ja) 磁極片配列部材を備えた電気機械式ソレノイド
JP2013217465A (ja) 電磁弁
KR20190065313A (ko) 전자기 액추에이터
KR200487650Y1 (ko)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US5310160A (en) Electromagnetic valve top part
US6184766B1 (en) Solenoid valve
KR1017158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결합 구조체
KR101998479B1 (ko) 솔레노이드밸브
JP2012225429A (ja) 電磁弁
CN112236608B (zh) 用于流体的,优选用于气体的阀
JP2006038153A (ja) 電磁弁の製造方法
US20200318752A1 (en) Solenoid valve
EP3499102A1 (en) Anti-latching and damping shim for an electromagnetic actuator
US6731192B1 (en) Solenoid coil positioning assembly and method
JP2849791B2 (ja) 三方向電磁弁
JP7111550B2 (ja) 電磁弁
JP2014163478A (ja)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EP3850209B1 (en) Pole piece retention and insertion method
JPH05141560A (ja) 流体制御弁
KR102024020B1 (ko)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