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978A - 스팀 조리기 - Google Patents

스팀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978A
KR20150081978A KR1020140002023A KR20140002023A KR20150081978A KR 20150081978 A KR20150081978 A KR 20150081978A KR 1020140002023 A KR1020140002023 A KR 1020140002023A KR 20140002023 A KR20140002023 A KR 20140002023A KR 20150081978 A KR20150081978 A KR 20150081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team generating
he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080B1 (ko
Inventor
염완식
Original Assignee
염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완식 filed Critical 염완식
Priority to KR102014000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0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스팀 조리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열을 전달받아 물로부터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 용기; 물 탱크와 스팀 발생 용기를 연결하여 물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물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 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에 스팀 발생을 위한 열을 전달하는 히터; 스팀 발생 용기 및 히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스팀 발생 용기 및 히터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 커버;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하여,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노즐을 통해 음식물에 분사하는 분사 헤드; 스팀 발생 용기와 분사 헤드를 연결하여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분사 헤드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팀 조리기{STEAM COOKER}
본 발명은 스팀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휴게소,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만두 등의 냉동식품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 조리 식품은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가열된 물을 부어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의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의 겉면이 딱딱하게 굳게 되어 식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즉석 조리 식품에 미리 가열된 물을 부어 조리하는 경우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가 요구되고, 물을 가열하기 위한 상당한 시간과 음식물에 물을 부은 후에도 조리를 위해 3분 이상의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동식품, 즉석 조리 식품 등은 휴게소, 편의점과 같은 간이 음식점에서 주로 판매되는 것이므로, 조리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면서도 음식물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내는 것이 중요하다.
1.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1033호 (2012. 01. 04)
본 발명은 음식물에 스팀을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음식물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낼 수 있는 스팀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열을 전달받아 물로부터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 용기; 물 탱크와 스팀 발생 용기를 연결하여 물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물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 탱크로부터 스팀 발생 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 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에 스팀 발생을 위한 열을 전달하는 히터; 스팀 발생 용기 및 히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스팀 발생 용기 및 히터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 커버;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하여,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노즐을 통해 음식물에 분사하는 분사 헤드; 스팀 발생 용기와 분사 헤드를 연결하여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분사 헤드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가 제공된다.
노즐은 분사 헤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즐은 분사 헤드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노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팀 조리기는, 분사 헤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 내부로 분사된 스팀을 조리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벤트관(air vent tub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 조리기는, 분사 헤드의 승강을 위한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유닛은, 분사 헤드에 결합되는 로드; 및 로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 표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및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온 커버는, 스팀 발생 용기 및 히터를 둘러싸는 단열재; 및 단열재를 둘러싸는 외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용기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 공급관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에 스팀을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음식물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스팀 발생 용기와 히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스팀 발생 용기, 히터 및 보온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분사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분사 헤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조리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10)을 가열하여 스팀(20)을 발생시킨 뒤 이러한 스팀(20)을 조리 용기(40) 내의 음식물(30)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음식물(30)을 조리하기 위한 스팀 조리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10), 물 탱크(120), 물 공급관(125), 조절 밸브(130), 스팀 발생 용기(140), 스팀 공급관(145), 히터(150), 보온 커버(160), 분사 헤드(170), 승강 유닛(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30)에 고온의 스팀(20)을 직접 주입함으로써 조리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음식물(30)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30)이 굳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음식물(30) 본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 조리기(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 조리기(100)는 하우징(110) 내에 각 구성이 설치된 모듈화 장비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조절 밸브(130), 히터(150), 승강 유닛(18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당 동작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어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물 탱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물 탱크(120)의 눈금 등을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물 탱크(120) 상부의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물(10)을 주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20)에는 물 공급관(125)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 공급관(125)은 물 탱크(120)와 스팀 발생 용기(140)를 연결하여 물 탱크(120)로부터 스팀 발생 용기(140)로 물(10)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물 공급관(125)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밸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밸브(130)는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조절 밸브(130)는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어 스팀 발생 용기(140)로 공급되는 물(10)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20)는 스팀 발생 용기(140) 보다 상측에 위치되므로, 물(10)은 중력에 의해 물 공급관(125)을 거쳐 스팀 발생 용기(1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 밸브(130)를 이용하여 물 공급관(125)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팀 발생 용기(140)로의 물(10)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용기(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물(10)을 내부 공간(142)에 수용하며, 히터(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물(10)로부터 스팀(20)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용기(140)는 내부 공간(142)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물(10)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스팀(20)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 발생 용기(14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 발생 용기(140)로부터 발생되는 스팀(20)은 음식물(30)에 직접 제공되어 음식물(30)을 조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 발생 용기(140)를 부식 등에 강하고 환경 호르몬 등의 오염 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히터(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용기(140)의 외부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 용기(140)의 내부 공간(142)에 수용된 물(10)에 스팀(20) 발생을 위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50)는 본체(152) 및 그 내부에 설치된 발열 부재(154)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5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용기(14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52)는 스팀 발생 용기(140)의 외부 표면, 구체적으로 4개의 측면 및 저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52)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부재(154), 예를 들어 전기 공급에 의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선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52)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발열 부재(154)에서 발생된 열은 효과적으로 스팀 발생 용기(14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52) 내부에는 열 전달 매체가 충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열 부재(154)의 열은 보다 효과적으로 스팀 발생 용기(14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체(152)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히터(1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90)는 이와 같이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히터(15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가 과열되어 온도가 상한값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필요 이상의 과도한 스팀(20)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히터(150)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으며, 이후 히터(150)가 다시 냉각되어 온도가 하한값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히터(150)가 다시 작동될 수 있다.
보온 커버(1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용기(140) 및 히터(15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스팀 발생 용기(140) 및 히터(150)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온 커버(160)는 단열재(162) 및 이를 둘러싸는 외부 커버(16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62)는 스팀 발생 용기(140) 및 이를 둘러싸는 히터(150)를 감싸도록 이들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재(162)의 외부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져 단열재(162)를 보호하는 외부 커버(164)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 헤드(17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20)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72)을 구비하여, 스팀 발생 용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20)을 노즐(172)을 통해 음식물(30)에 분사할 수 있다.
즉 스팀 발생 용기(140)로부터 발생된 스팀(20)은, 스팀 발생 용기(140)와 분사 헤드(170)를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145)을 통해 분사 헤드(17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사 헤드(170)로 공급된 스팀(20)은 노즐(172)을 통해 음식물(30)로 직접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 공급관(145)은 테프론(PTF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72)은 분사 헤드(170)의 표면, 즉, 분사 헤드(170)의 저면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복수의 노즐(172)은 분사 헤드(17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노즐(172)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헤드(1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172)이 돌출된 핀 형상을 가짐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40)의 상면에 씌워진 커버를 천공하여 조리 용기(40) 내부의 음식물(30)(예를 들어 컵라면 등)에 직접적으로 스팀(20)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헤드(170)의 일측에는 에어 벤트관(174)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 벤트관(174)은 분사 헤드(170)의 표면, 즉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음식물(30)이 수용된 조리 용기(40) 내부로 분사된 스팀(20)을 조리 용기(4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에어 벤트관(17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이 별도로 연결되어 배출된 스팀(20)을 스팀 조리기(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 벤트관(174) 역시 노즐(172)과 마찬가지로 돌출된 핀 형상을 가짐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벤트관(174)은 노즐(172)과 같이 조리 용기(40)의 상면에 씌워진 커버를 천공하게 되므로, 조리 용기(40) 내부로 주입된 스팀(20)에 의해 조리 용기(40) 내부 압력이 증가되더라도 조리 용기(40) 내부의 스팀(20)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조리 용기(40) 내부의 압력을 일정 수준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승강 유닛(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헤드(170)에 결합되어 분사 헤드(170)를 조리 용기(40)에 대해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닛(180)은, 분사 헤드(170)에 결합되는 로드(182)와, 로드(18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실린더(18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승강 유닛(180)으로 전기식 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다. 전기식 실린더는 실린더(184) 내에 모터, 및 모터의 회전력을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식 실린더 이외에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도 본 실시예의 승강 유닛(18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분사 헤드(170)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승강 유닛(180)을 구비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30)의 조리시 분사 헤드(170)를 조리 용기(40) 커버에 접하도록 하강시켜 노즐(172) 및 에어 벤트관(174)을 조리 용기(40)의 커버를 뚫고 조리 용기(40) 내부 공간(142)으로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 용기(40) 내부의 음식물(30)에 직접적으로 스팀(20)을 제공할 수 있고, 조리 용기(40) 내부의 압력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물
20: 스팀
30: 음식물
40: 조리 용기
100: 스팀 조리기
110: 하우징
120: 물 탱크
125: 물 공급관
130: 조절 밸브
140: 스팀 발생 용기
142: 내부 공간
145: 스팀 공급관
150: 히터
152: 본체
154: 발열 부재
160: 보온 커버
162: 단열재
164: 외부 커버
170: 분사 헤드
172: 노즐
174: 에어 벤트관
180: 승강 유닛
182: 로드
184: 실린더
19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열을 전달받아 상기 물로부터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 용기;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스팀 발생 용기를 연결하여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스팀 발생 용기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스팀 발생 용기로 공급되는 상기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상기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 발생 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에 상기 스팀 발생을 위한 열을 전달하는 히터;
    상기 스팀 발생 용기 및 상기 히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 발생 용기 및 상기 히터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 커버;
    상기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노즐을 통해 음식물에 분사하는 분사 헤드;
    상기 스팀 발생 용기와 상기 분사 헤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팀 발생 용기로부터 상기 분사 헤드로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 헤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분사 헤드의 표면에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노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 내부로 분사된 상기 스팀을 상기 조리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벤트관(air vent tube)을 더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의 승강을 위한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분사 헤드에 결합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스팀 발생 용기의 외부 표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버는,
    상기 스팀 발생 용기 및 상기 히터를 둘러싸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둘러싸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 용기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관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조리기.
KR1020140002023A 2014-01-07 2014-01-07 스팀 조리기 KR10157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23A KR101571080B1 (ko) 2014-01-07 2014-01-07 스팀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23A KR101571080B1 (ko) 2014-01-07 2014-01-07 스팀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78A true KR20150081978A (ko) 2015-07-15
KR101571080B1 KR101571080B1 (ko) 2015-11-24

Family

ID=5379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023A KR101571080B1 (ko) 2014-01-07 2014-01-07 스팀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52B1 (ko) * 2020-08-21 2021-10-28 김교천 균일 스팀압력을 유지하는 승강식 덮개 방식의 다기능 스팀레인지
CN114947501A (zh) * 2021-02-26 2022-08-3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WO2024075985A1 (ko) * 2022-10-07 2024-04-11 바나플 주식회사 스팀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09A2 (ko) * 2017-01-26 2018-08-02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8139908A2 (ko) * 2017-01-26 2018-08-02 박한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852A (ja) 1998-07-30 2000-02-15 Sanwa Life Sera Kk 加熱調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52B1 (ko) * 2020-08-21 2021-10-28 김교천 균일 스팀압력을 유지하는 승강식 덮개 방식의 다기능 스팀레인지
CN114947501A (zh) * 2021-02-26 2022-08-3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4947501B (zh) * 2021-02-26 2024-03-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WO2024075985A1 (ko) * 2022-10-07 2024-04-11 바나플 주식회사 스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080B1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80B1 (ko) 스팀 조리기
US8288690B2 (en) Oven steam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US20190014940A1 (en) Food Steamer Device
MY126849A (en) Heating, cooking and sterilizing device
EP3884820B1 (en)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KR101624581B1 (ko)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JP2015200463A (ja) 調理容器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20180088591A (ko)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525350B1 (ko) 스팀 조리기
KR101412089B1 (ko) 스팀 온수 혼합 분사 스팀발생기
CN109124325A (zh) 烹饪设备
EP1299002A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treatment of unshelled eggs
KR101632970B1 (ko) 스팀히터유닛을 갖춘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KR20180088592A (ko) 스팀가열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222567B1 (ko) 증기 기포 침투식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열 방법
CN211155163U (zh) 煮水式蒸汽发生器和烹饪装置
KR10204827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99453B1 (ko)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JP2012102917A (ja) 蒸気調理器
KR20170056738A (ko) 즉석식품 조리장치의 사이클론 분사식 스팀노즐
KR20160074063A (ko) 압력 밥솥의 증기배출관에 결합되는 안전 캡
CN217408553U (zh) 空炸烹饪装置
EP3427616B1 (en) A food steaming device
CN218651371U (zh) 烹饪器具
KR10209433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