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453B1 -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 Google Patents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453B1
KR102099453B1 KR1020180106623A KR20180106623A KR102099453B1 KR 102099453 B1 KR102099453 B1 KR 102099453B1 KR 1020180106623 A KR1020180106623 A KR 1020180106623A KR 20180106623 A KR20180106623 A KR 20180106623A KR 102099453 B1 KR102099453 B1 KR 10209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pace
cooking
temperature
dispose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213A (ko
Inventor
한승우
Original Assignee
한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우 filed Critical 한승우
Priority to KR102018010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0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오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 및 제2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히터와 하부히터; 상기 상부히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에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스팀 공급부; 상기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공간의 상기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와 스팀 공급부를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설정가능한 조작부;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교류전자 개폐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공간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서브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각 서브제어부를 모두 포함하여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공간이 과열되기 이전에 이웃한 조리공간과의 열기 전달을 감안하여 과열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전자개폐기를 구비하여 어느 한 조리공간의 설정된 하한온도부터 상한온도까지 온(On)과 오프(Off)를 반복하여 계단식으로 온도의 상승을 유도함으로써, 과열방지와 함께 이웃하는 조리공간에 열기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DECK OVEN}
본 발명은 데크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굽기 위한 오븐으로 데크오븐(deck oven)과 컨벡션오븐(convection oven) 등이 있다.
그중, 데크오븐은 대류팬 기능이 없고 상부와 하부에 구성된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이며, 주로 빵류를 조리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고, 적층된 조리공간을 구비하여 각 조리공간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빵이나 과자를 조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크오븐은 어느 한 조리공간에서 조리되며 발생한 열이 그와 이웃하는 조리공간, 특히 바로 인접한 상부의 조리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조리공간의 온도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온도까지 상승한 후 가열을 멈추며, 미리 설정해놓은 온도보다 낮아지면 해당 조리공간에 재가열함으로써 온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상승 방법은, 이웃하고 있는 조리공간의 온도를 감안하지 않은 것으로, 예컨대 하측의 조리공간의 설정온도보다 상측의 조리공간의 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하측의 조리공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한 열기는 상측의 조리공간을 데워 결국 상측의 조리공간은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과열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484614(2015.01.23. 공고)는 자동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 구조를 갖는 데크오븐에 관한 것으로, 어느 한 오븐실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한 경우 오븐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오븐실 내부의 온도 조절을 가능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제10-1484614(2015.01.23. 공고)는 오븐실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이는 이미 과열된 것을 의미하며,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공간에 열기를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84614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공간이 과열되기 이전에 이웃한 조리공간과의 열기 전달을 감안하여 과열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데크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개폐기를 구비하여 어느 한 조리공간의 설정된 하한온도부터 상한온도까지 온(On)과 오프(Off)를 반복하여 계단식으로 온도의 상승을 유도함으로써, 과열방지와 함께 이웃하는 조리공간에 열기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마련되어 적층되는 제1조리공간과 제2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히터;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히터; 상기 상부히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에 배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공간의 상기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와 스팀 공급부를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설정가능한 조작부; 상기 제1 및 제2조리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교류전자 개폐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공간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서브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각 서브제어부를 모두 포함하여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어느 한 조리공간의 서브제어부는 상기 어느 한 조리공간을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상부히터와 하부히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1조리공간의 상부에 상기 제2조리공간이 배치된 경우, 상기 교류전자 개폐기는 상기 제1조리공간이 미리 정해진 하한 온도부터 미리 정해진 상한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상부히터와 상기 하부히터의 온 또는 오프를 반복시키며, 상기 제1조리공간의 설정온도보다 그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2조리공간의 설정온도가 더 낮은 경우, 그 반대의 경우보다 상기 제1조리공간의 온과 오프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더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공간 또는 제2조리공간은 내부의 열이 서로 이웃하는 조리공간끼리 열교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보온재와 하부 보온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공간이 과열되기 이전에 이웃한 조리공간과의 열기 전달을 감안하여 과열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전자개폐기를 구비하여 어느 한 조리공간의 설정된 하한온도부터 상한온도까지 온(On)과 오프(Off)를 반복하여 계단식으로 온도의 상승을 유도함으로써, 과열방지와 함께 이웃하는 조리공간에 열기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어느 한 조리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어느 한 조리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은 제1 내지 제4본체(110, 120, 130, 14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각 본체(110, 120, 130, 140)에는 각각 상부히터(111, 121, 131, 141), 하부히터(112, 122, 132, 142), 온도센서(113, 123, 133, 143), 물탱크(114, 124, 134, 144), 스팀 공급부(115, 125, 135, 145), 조작부(200, 210, 220, 230, 240), 교류전자 개폐기(116, 126, 136, 146), 서브제어부(300, 310, 320, 330, 340) 및 메인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복수 개의 본체(110, 120, 130, 140)을 가질 수 있고 각 본체는 각각의 조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본체(110, 120, 130, 140)는 각각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본체(110, 120, 130, 14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본체(110, 120, 130, 140)는 제1 내지 제4본체(110, 120, 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체(110, 120, 130, 140)의 갯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다양하게 마련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본체(110, 120, 130, 140)를 설명함에 있어, 제1본체(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제2 내지 제4본체(120, 130, 140)의 설명은 제1본체(110)의 설명으로 준용하기로 한다.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가 하부에 위치하고 제2본체(120)가 상부에 위치하여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제1본체(110)에는 상부에 제1상부히터(111)가 배치될 수 있고, 하부에 제1하부히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는 제1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내부공간으로 열을 가할 수 있다.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는 열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본체(110)에 내부공간으로 열을 가하는 수단이 마련되고, 제1본체(110) 내부에서 열풍을 발생시켜 조리물 전체를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1본체(110)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존재하는 조리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보호망(119)을 제1상부히터(111)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제1본체(110)에는 제1물탱크(114)가 배치될 수 있고, 제1물탱크(114)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내부공간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제1물탱크(114)에 수용된 물은 제1상부히터(111)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제1물탱크(114)는 일측에 제1급수라인(114a)과 타측에 제1배수라인(114b)이 배치될 수 있고, 제1급수라인(114a)과 제1배수라인(114b)은 제1물탱크(114)의 내부공간과 밸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물탱크(114)의 상측에는 제1상부 보온재(117)가 배치될 수 있고, 제1하부히터(112)의 하측에는 제1하부 보온재(11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 보온재(117)와 제1하부 보온재(118)는 이웃하는 제2본체(120)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2본체(120)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본체(110)에는 제1온도센서(113)가 배치될 수 있고, 제1온도센서(113)는 제1본체(110)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제1본체(110)에는 제1스팀 공급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히터(111)에 의해 제1물탱크(114) 내부에서 가열된 물이 스팀으로 변화할 수 있고, 제1스팀 공급부(115)는 제1본체(110)에 제1물탱크(114)에서 발생된 상기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제1스팀 공급부(115)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제1스팀 공급부(115)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별도의 관통홀(미도시) 또는 노즐(미도시) 등과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일부에는 조작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본체(110)의 일측에 해당하는 본체(100)의 일부분에 제1조작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210)는 사용자가 제1본체(110)의 조리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 및 제1스팀 공급부(115)를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제1본체(110)에는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는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제1교류전자 개폐기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본체(110)는 제1서브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메인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400)는 각 서브제어부(310, 320, 330, 340)를 포함하여 제1 내지 제4본체(110, 120, 130, 140)를 포함하는 본체(100)의 조리공간의 조리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오븐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본체(100)를 구비하여 각 본체(110, 120, 130, 140)의 조리공간별로 다른 종류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 본체(110, 120, 130, 140)는 서로 이웃하는 본체(110, 120, 130, 140)와 열의 교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상부 보온재(117)와 제1하부 보온재(118)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 사이의 고온의 전달을 완전히 막을 수 없으므로, 각 본체(110, 120, 130, 140)의 온도 상승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이웃하는 본체(110, 120, 130, 140)에 열의 전달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데크오븐을 사용함에 있어서, 하한 온도(t1)와 상한 온도(t2)를 미리 정할 수 있다. 이때, 상한 온도(t2)는 조리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온도이며, 하한 온도(t1)는 온도의 단계적 상승을 시작하는 온도이다.
또한, 각 본체(110, 120, 130, 140)의 조리공간에서 측정한 온도가 하한 온도(t1)일 때의 시간을 T1이라고 미리 정하며, 각 본체(110, 120, 130, 140)의 조리공간에서 측정한 온도가 상한 온도(t2))일 때의 시간을 T2라고 미리 정하기로 한다.
시간이 T1에서 T2로 변화됨에 있어, 온도는 도 3에서와 같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데, 이를 위해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본체(110)이 하한 온도(t1)에 도달하게 되면 제1온도센서(113)가 이를 감지하고 제1서브제어부(31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고, 제1서브제어부(310)는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가 미리 설정한 시간(T1 ∼ T2) 동안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가 온(On)과 오프(Off)를 반복시킬 수 있다.
즉, 제1본체(110)에서 조리가 시작되면 하한 온도(t1)까지는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가 온(On)을 유지하며, 하한 온도(t1)부터 상한 온도(t2)가 될 때까지 제1교류전자 개폐기(116)는 닫힌상태와 열린 상태를 반복하면서 제1상부히터(111)와 제1하부히터(112)의 온(On)과 오프(Off)를 반복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본체(110)에 설정된 상한 온도(t1)보다 그의 상부에 위치한 제2본체(120)에 설정된 상한 온도(t1)가 더 낮은 경우, 제1본체(110)에 설정된 상한 온도(t1)보다 그의 상부에 위치한 제2본체(120)에 설정된 상한 온도(t1)가 더 높은 경우보다, 제1본체(110)의 온과 오프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오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삭제
100 : 본체
110 : 제1본체 111 : 제1상부히터
112 : 제1하부히터 113 : 제1온도센서
114 : 제1물탱크 114a : 제1급수라인
114b : 제1배수라인 115 : 제1스팀 공급부
116 : 제1교류전자 개폐기 117 : 제1상부 보온재
118 : 제1하부 보온재 119 : 제1보호망
120 : 제2본체 121 : 제2상부히터
122 : 제2하부히터 123 : 제2물탱크
123 : 제2온도센서 124 : 제2물탱크
125 : 제2스팀 공급부 126 : 제2교류전자 개폐기
130 : 제3본체 131 : 제3상부히터
132 : 제3하부히터 133 : 제3물탱크
133 : 제3온도센서 134 : 제3물탱크
135 : 제3스팀 공급부 136 : 제3교류전자 개폐기
140 : 제4본체 141 : 제4상부히터
142 : 제4하부히터 143 : 제4물탱크
143 : 제4온도센서 144 : 제4물탱크
145 : 제4스팀 공급부 116 : 제4교류전자 개폐기
200 : 조작부 210 : 제1조작부
220 : 제2조작부 230 : 제3조작부
240 : 제4조작부
300 : 서브제어부 310 : 제1서브제어부
320 : 제2서브제어부 330 : 제3서브제어부
340 : 제4서브제어부
400 : 메인제어부

Claims (2)

  1. 수평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마련되어 적층되는 제1조리공간과 제2조리공간이 각각 마련된 제1본체와 제2본체;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공간으로 열을 가하는 상부히터;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공간으로 열을 가하는 하부히터;
    상기 상부히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에 상기 물탱크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조리공간과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상부보온재;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에 상기 하부히터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조리공간과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하부보온재;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에 배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본체의 상기 상부히터 및 하부히터와 스팀 공급부를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설정가능한 조작부;
    상기 제1 및 제2본체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교류전자 개폐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본체를 제어하는 복수 개의 서브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각 서브제어부를 모두 포함하여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어느 한 조리공간의 서브제어부는 상기 어느 한 조리공간을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상부히터와 하부히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1본체의 상부에 상기 제2본체가 배치된 경우, 상기 교류전자 개폐기는 상기 제1조리공간의 온도가 단계적 상승을 시작하도록 미리 정해진 하한 온도부터 조리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미리 정해진 상한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상부히터와 상기 하부히터의 온 또는 오프를 반복시키며,
    상기 제1조리공간의 설정온도보다 그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2조리공간의 설정온도가 더 낮은 경우, 그 반대의 경우보다 상기 제1조리공간의 온과 오프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데크오븐.
  2. 삭제
KR1020180106623A 2018-09-06 2018-09-06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KR10209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23A KR102099453B1 (ko) 2018-09-06 2018-09-06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23A KR102099453B1 (ko) 2018-09-06 2018-09-06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13A KR20200028213A (ko) 2020-03-16
KR102099453B1 true KR102099453B1 (ko) 2020-04-09

Family

ID=6994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623A KR102099453B1 (ko) 2018-09-06 2018-09-06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511B (zh) * 2020-06-30 2021-07-1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的控制方法、烹饪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85Y1 (ko) * 1998-05-07 2001-06-01 장기재 오븐기의 스팀 발생장치
KR101123359B1 (ko) * 2010-11-15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동시 조리를 위한 가변형 조리 공간을 갖는 오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596B2 (ja) * 1991-07-01 1995-08-30 株式会社栄和製作所 多段式の電気オーブンにおける焼成炉の温度制御方法と温度制御装置
KR20060069117A (ko)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실 구획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오븐
KR20110028047A (ko) * 2009-09-11 2011-03-17 한상영 스팀공급장치 내장형 제빵 오븐
KR101484614B1 (ko) 2014-05-20 2015-01-23 주식회사 뺑오르방씨엘 자동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 구조를 갖는 데크오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85Y1 (ko) * 1998-05-07 2001-06-01 장기재 오븐기의 스팀 발생장치
KR101123359B1 (ko) * 2010-11-15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동시 조리를 위한 가변형 조리 공간을 갖는 오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13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5659A (en) Food processing oven
US20070114222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CN102577595A (zh) 用于烹饪器具的闭环自适应控制系统
KR100820734B1 (ko) 증기조리장치
JP2005083735A (ja) 過熱蒸気調理装置
KR20060069117A (ko) 조리실 구획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오븐
EP3319489B1 (en) Food preparation
KR102099453B1 (ko) 교류개폐기를 이용한 데크오븐
US2006023742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king oven
WO2014095659A1 (en) An oven comprising a cooking pot
JP4969991B2 (ja) 加熱調理器
KR100805226B1 (ko) 면상발열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US5951901A (en) Steam control for combination oven and steamer
JP6219471B2 (ja) 高周波を用いたフライヤー
JP4610530B2 (ja) 加熱調理器
EP2963994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ovens
KR101130389B1 (ko) 워밍 드로어용 히터 제어 방법
EP2614309B1 (en) An oven comprising a warmer compartment
EP1253381B1 (en) An oven for foods
KR100790391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1615261B1 (ko) 스팀 프라이팬
JP2013050298A (ja) 加熱調理器
CN204617985U (zh) 具有可调加热区域的电陶烤炉
KR102306242B1 (ko) 조리와 보온의 기능을 갖는 구이장치
JP2013106812A (ja) 蒸し焼き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