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875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875A
KR20150081875A KR1020140001810A KR20140001810A KR20150081875A KR 20150081875 A KR20150081875 A KR 20150081875A KR 1020140001810 A KR1020140001810 A KR 1020140001810A KR 20140001810 A KR20140001810 A KR 20140001810A KR 20150081875 A KR20150081875 A KR 2015008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valve
joint flange
vibration
inle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316B1 (ko
Inventor
이해준
서은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7Noise absorbers by means of a flexible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의 진동소음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팽창밸브의 냉매를 증발기에 도입시키고 증발기의 냉매를 상기 팽창밸브에 배출시키기 위한 입출구 파이프 및, 입출구 파이프를 팽창밸브의 냉매 입출구 포트에 각각 연결시키는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를 포함하며, 조인트 플랜지는, 팽창밸브의 입출구 포트와 상기 입출구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유로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팽창밸브와 조인트 플랜지 사이에서 양자 간의 진동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팽창밸브와 조인트 플랜지 상호 간의 냉매유동을 허용하는 내부유로를 갖는 러버(Rubber) 재질의 진동소음 차단댐퍼와; 팽창밸브와 진동소음 차단댐퍼와 조인트 플랜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의 진동소음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서, 진동과 소음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엔진, 공조장치의 에어컨 등에서 발생되는 낮은 주파수의 진동소음, 즉, 부밍소음(Booming Noise)이 있다.
부밍소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도시하지 않음)과 에어컨 압축기(1)에서 발생된 진동소음이 주변의 다른 소음들과 공진을 일으키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된다.
특히, 대부분의 부밍소음(이하, "진동소음"이라 통칭함)은, 공조장치의 냉매배관(3)을 통해 차실내측으로 전달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부분의 진동소음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측의 냉매 파이프(5)와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9)를 통해 공조케이스(10)내의 증발기(12)로 전달되는 데, 이렇게 전달된 진동소음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증폭되면서 차실내로 방출된다. 이로써, 차량의 쾌적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주어 안전운전에 많은 지장을 준다.
따라서, 공조장치의 냉매배관(3)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은, 차실내의 쾌적성 향상과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 반드시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엔진룸측과 차실내측 사이의 냉매배관 상에 진동소음 차단댐퍼를 설치함으로써,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쾌적성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상기 팽창밸브의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도입시키고 상기 증발기의 냉매를 상기 팽창밸브에 배출시키기 위한 입출구 파이프 및, 상기 입출구 파이프를 상기 팽창밸브의 냉매 입출구 포트에 각각 연결시키는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플랜지는, 상기 팽창밸브의 입출구 포트와 상기 입출구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유로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와 조인트 플랜지 사이에서 양자 간의 진동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브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 상호 간의 냉매유동을 허용하는 내부유로를 갖는 러버(Rubber) 재질의 진동소음 차단댐퍼와; 상기 팽창밸브와 진동소음 차단댐퍼와 조인트 플랜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는,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 포트와 상기 입구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 1연결유로와, 상기 팽창밸브의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 2연결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는,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 포트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제 1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제 1내부유로와, 상기 팽창밸브의 입구 포트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제 2연결유로를 연결하는 제 2내부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엔진룸측과 차실내측 사이의 냉매배관 상에 진동소음 차단댐퍼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엔진룸측에서 차실내측으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의 진동소음을 흡수 및 감쇄시키는 구조이므로,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의 진동소음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진동소음으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과 안전운전 방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실내의 쾌적성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공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주요 특징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주요 특징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냉매배관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공조장치의 냉매배관은, 엔진룸측 냉매 파이프(5)들과,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를 포함한다.
엔진룸측 냉매 파이프(5)들은, 엔진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응축기(1a)의 냉매를 팽창밸브(7)로 도입시키거나, 팽창밸브(7)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1)에 도입시킨다.
팽창밸브(7)는, 응축기(1a)의 냉매를 감압, 팽창시켜 증발기(12)로 배출시키고, 증발기(12)의 냉매를 도입하여 압축기(1)측으로 리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의 배출과 도입을 위한 입출구 포트(7a, 7b)들을 갖추고 있다.
조인트 플랜지(9)는, 팽창밸브(7)와 증발기(12)의 입출구 파이프(12a, 12b)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와 증발기(12)의 입구 파이프(12a)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 1연결유로(9a)와,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와 증발기(12)의 출구 파이프(12b)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 2연결유로(9b)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조인트 플랜지(9)는, 증발기(12)의 입출구 파이프(12a, 12b)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공조케이스(10)에 고정되는데, 이때, 별도의 고정구(10a)에 의해 공조케이스(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의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소음 차단댐퍼(20)를 포함한다.
진동소음 차단댐퍼(20)는, 러버(Rubber) 재질로 구성되며,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연결유로(9a)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 1내부유로(20a)와,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2연결유로(9b)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 2내부유로(20b)를 갖추고 있다.
제 1내부유로(20a)는,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연결유로(9a)를 연결시키므로,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에서 배출된 냉매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연결유로(9a)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에서 배출된 냉매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연결유로(9a)를 통해 증발기(12)의 입구 파이프(12a)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제 2내부유로(20b)는, 조인트 플랜지(9)의 제 2연결유로(9b)와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를 연결시키므로, 조인트 플랜지(9)의 제 2연결유로(9b)에서 배출된 냉매가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증발기(12)의 출구 파이프(12b)에서 배출된 냉매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2연결유로(9b)를 통해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소음 차단댐퍼(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0)을 포함한다.
체결수단(30)은,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각각에 형성되는 체결구멍(32)들과, 이들 체결구멍(32)들에 연이어서 끼워진 상태에서 공조케이스(10)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34)를 포함한다.
체결구멍(32)들은,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를 서로 정렬시켰을 시에,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체결볼트(34)는, 머리부(34a)와 몸체부(34b)를 갖는 것으로, 몸체부(34b)를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의 각 체결구멍(32)들에 연이어서 끼운 다음, 머리부(34a)를 팽창밸브(7)의 일측면 부분에 지지시키고, 최종적으로 몸체부(34b)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10)에 나사 체결한다. 특히, 공조케이스(10)에 고정된 고정구(10a)에 나사 체결한다
따라서, 서로 정렬된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를 공조케이스(10)에 체결시킨다. 이로써,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의 사이에 진동소음 차단댐퍼(20)가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체결볼트(34)를 공조케이스(10)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서로 간의 체결력은 더 강화된다.
이때, 고무재질의 진동소음 차단댐퍼(20)는, 간격의 좁아지는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에 더욱 더 밀착된다.
이로써,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사이 및,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의 밀봉성능은 더욱 더 강화된다.
따라서,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 및,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들은, 견고하게 밀봉된다.
그 결과, 팽창밸브(7)와 증발기(12) 사이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누출없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러버 재질의 진동소음 차단 댐퍼(20)는,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의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팽창밸브(7)에서 조인트 플랜지(9)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공조장치의 배관계통을 통해 팽창밸브(7)로 전달되는 엔진과 에어컨 압축기(1)의 진동소음을 흡수 및 감쇄시키면서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장치의 배관계통을 통해 차실내의 증발기(12)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진동소음으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과 안전운전 방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실내의 쾌적성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20)는,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의 양쪽 개방부에 형성되는 돌기부(40)들을 구비한다.
돌기부(40)들은,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의 양쪽 개방부 둘레부분을 따라 돌출된다. 특히,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의 양쪽 개방부 둘레로부터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를 향해 각각 원형의 형태로 돌출된다.
한편,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에는,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돌기부(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부(42)는,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의 입구측 내주면을 원주방향으로 절취하여 형성한 것으로,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돌기부(40)들을 각각 수용하면서 이들과 결합된다.
특히,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의 사이에 진동소음 차단댐퍼(20)를 배열한 상태에서 체결수단(30)으로 서로 체결할 시에,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돌기부(40)들을 각각 수용하면서 이들과 결합된다.
따라서,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사이 및,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다.
또한,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 사이 및,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 간의 결합과 밀봉성능을 높인다. 이로써,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에서 유동하는 냉매의 누출을 방지한다.
한편,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원형 돌기부(40)는, 외주면부분이 끝부분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기부(40)가 결합되는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 결합홈부(42)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 결합홈부(42)들은, 테이퍼진 돌기부(40)에 대응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테이퍼진 돌기부(40)에 대응될 수 있도록, 내측방향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돌기부(40)와 결합홈부(42)는,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서로 간의 밀봉성능이 높아진다.
따라서,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 사이 및,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와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 간의 밀봉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테이퍼진 돌기부(40)와 결합홈부(42)는, 체결수단(30)의 체결볼트(34)를 조여서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의 간격을 더욱 좁히게 되면, 서로 간의 마찰접촉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높은 마찰접촉력 때문에 서로 간의 밀봉성능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의 냉매 유로 들의 밀봉성능도 극대화된다. 그 결과,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누출의 염려없이 원활하게 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엔진룸측과 차실내측 사이의 냉매배관 상에 진동소음 차단댐퍼(20)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엔진룸측에서 차실내측으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1)의 진동소음을 흡수 및 감쇄시키는 구조이므로,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엔진과 압축기(1)의 진동소음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냉매배관을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진동소음으로 인한 차실내의 쾌적성 저하현상과 안전운전 방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실내의 쾌적성과 운전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압축기 3: 냉매배관
5: 엔진룸측 냉매 파이프(Pipe) 7: 팽창밸브(Valve)
7a: 출구 포트(Port) 7b: 입구 포트(Port)
9: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 9a: 제 1연결유로
9b: 제 2연결유로 10: 공조케이스(Case)
12: 증발기 12a: 입구 파이프(Pipe)
12b: 출구 파이프(Pipe) 20: 진동소음 차단댐퍼(Damper)
20a: 제 1내부유로 20b: 제 2내부유로
30: 체결수단 32: 체결구멍
34: 체결볼트(Bolt) 40: 돌기부
42: 결합홈부

Claims (5)

  1. 팽창밸브(7)와, 증발기(12)와, 상기 팽창밸브(7)의 냉매를 상기 증발기(12)에 도입시키고 상기 증발기(12)의 냉매를 상기 팽창밸브(7)에 배출시키기 위한 입출구 파이프(12a, 12b) 및, 상기 입출구 파이프(12a, 12b)를 상기 팽창밸브(7)의 냉매 입출구 포트(7a, 7b)에 각각 연결시키는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9)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플랜지(9)는, 상기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상기 입출구 파이프(12a, 12b)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유로(9a, 9b)들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 사이에서 양자 간의 진동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브(7)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9) 상호 간의 냉매유동을 허용하는 내부유로(20a, 20b)를 갖는 러버(Rubber) 재질의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상기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9)는,
    상기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와 상기 입구 파이프(12a)를 연결하는 제 1연결유로(9a)와, 상기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와 상기 출구 파이프(12b)를 연결하는 제 2연결유로(9b)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20)는,
    상기 팽창밸브(7)의 출구 포트(7a)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연결유로(9a)를 연결하는 제 1내부유로(20a)와, 상기 팽창밸브(7)의 입구 포트(7b)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9)의 제 2연결유로(9b)를 연결하는 제 2내부유로(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20)는, 상기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의 양쪽 개방부 둘레부분을 따라 원형의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내부유로(20a, 20b)의 양쪽 개방부에 대응되는 팽창밸브(7)의 입출구 포트(7a, 7b)와 상기 조인트 플랜지(9)의 제 1 및 제 2연결유로(9a, 9b)부분에는,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돌기부(4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40)들과 상기 결합홈부(42)들은, 상기 체결수단(30)으로 상기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를 서로 체결함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 차단댐퍼(20)의 원형 돌기부(40)들은, 외주면부분이 끝부분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돌기부(40)들이 결합되는 상기 팽창밸브(7)와 조인트 플랜지(9)의 결합홈부(42)들은, 테이퍼진 상기 돌기부(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진 형상의 돌기부(40)와 결합홈부(42)는, 상기 체결수단(30)으로 상기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의 간격을 좁힐 시에, 서로 간의 마찰접촉력이 높아지면서 기밀적으로 밀봉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팽창밸브(7)와 진동소음 차단댐퍼(20)와 조인트 플랜지(9) 각각에 서로 정렬되게 형성되는 체결구멍(32)들과,
    상기 체결구멍(32)들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조케이스(10)의 일부분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001810A 2014-01-07 2014-01-07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10A KR102022316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10A KR102022316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875A true KR20150081875A (ko) 2015-07-15
KR102022316B1 KR102022316B1 (ko) 2019-09-18

Family

ID=5379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810A KR102022316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3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427A (ja) * 1994-02-10 1995-08-22 Tgk Co Ltd カーエアコンの膨張弁の配管接続構造
JPH0891044A (ja) * 1994-09-22 1996-04-09 Calsonic Corp 自動車用配管のシール構造
JPH10100654A (ja) * 1996-09-30 1998-04-21 Calsonic Corp 膨張弁の連結構造
JP2001026213A (ja) * 1999-05-11 2001-01-30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膨張弁と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427A (ja) * 1994-02-10 1995-08-22 Tgk Co Ltd カーエアコンの膨張弁の配管接続構造
JPH0891044A (ja) * 1994-09-22 1996-04-09 Calsonic Corp 自動車用配管のシール構造
JPH10100654A (ja) * 1996-09-30 1998-04-21 Calsonic Corp 膨張弁の連結構造
JP2001026213A (ja) * 1999-05-11 2001-01-30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膨張弁と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16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739A (en) Piping arrangement of automotive air conditioner
KR20140074225A (ko) 공기 조화 회로를 위한 범용 감쇠 장치
KR101664070B1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유닛
EP2642215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n acoustic damper
KR102027006B1 (ko) 소음-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닝 회로를 위한 덕트 및 그것을 포함하는 회로
KR101987013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연결부재
KR10143794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WO2018105508A1 (e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compressor equipped with vibration damping members
WO2007080705A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2015008187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58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소음기
CN108778796B (zh) 车辆空气调节系统
JP2014100926A (ja) ダッシュパネルの透過音低減構造
JPH0891044A (ja) 自動車用配管のシール構造
CN109109607B (zh) 用于机动车辆的空调系统的隔音装置
US11473642B2 (en) Vibration damper valve assembly with switchable bypass
KR20160072321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3525033B (zh) 车辆空气调节系统
KR20200003952A (ko)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 진동 방지 구조
KR100412859B1 (ko) 에어컨 컴프레서용 머플러
WO2018116628A1 (ja) 膨張弁装置
CN208544225U (zh) 用于防火墙和膨胀阀组件的密封结构
KR1017409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소음기
KR1017315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3020014U (zh) 车用制冷系统的安装结构、车用制冷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