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66A - 꼬치 꽂이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꽂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766A
KR20150080766A KR1020140000232A KR20140000232A KR20150080766A KR 20150080766 A KR20150080766 A KR 20150080766A KR 1020140000232 A KR1020140000232 A KR 1020140000232A KR 20140000232 A KR20140000232 A KR 20140000232A KR 20150080766 A KR20150080766 A KR 20150080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pusher
pedestal
bar
ske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원 filed Critical 김석원
Priority to KR102014000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766A/ko
Publication of KR2015008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6Putting meat on skew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나 채소, 어류 등의 음식물을 꼬치구이를 위한 꼬챙이에 꿸 수 있도록 한 꼬치 꽂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착대와, 장착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여러 개의 꼬챙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이 배열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올려진 꼬챙이의 후방을 가압하여 꼬챙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와, 밀대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동수단과, 꼬챙이의 전방에 위치되어 대상물을 담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틀과, 수납공간의 상부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판이 형성된 누름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는 가압판의 양측에 장착된 이동구가 레일축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동구의 재질을 내마모성과 자기 윤활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물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꼬챙이가 장전되는 받침대의 구조를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장착바와 안착홈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바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보조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안착홈의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을 수행하여 대상물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꼬챙이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꼬치 꽂이장치{skewer device for skewered food}
본 발명은 여러 개의 꼬챙이를 배열하여 장전시킨 후 밀대를 슬라이드 작동시켜 꼬챙이를 일시에 밀어서 육류나 채소, 어류 등의 음식물을 꼬치로 꽂을 수 있도록 한 꼬치 꽂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구조를 간소화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꼬치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는 닭고기나 양고기 등의 육류나 채소, 또는 어묵이나 어류 등 다양한 음식물을 토막내어 꼬챙이에 꽂아서 구워내는 것으로, 종래에는 꼬챙이에 대상물(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꽂는 작업을 손으로 일일히 한 꼬치씩 꽂아서 사용하였으나, 이렇게 수작업으로 꽂는 방식은 작업성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대상물을 꼬챙이에 꽂을 때 손을 다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상물을 꼬챙이에 꽂기 위한 다양한 보조수단이 제안되었다.
즉, 꼬치를 일시에 꽂을 수 있는 장비로 공지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08890호 "꼬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길이방향으로 대상물을 절단하여 꼬치기에 올려두고 꼬치기에는 여러 개의 꼬챙이를 장착하여 일시에 밀어줌으로써 여러 개의 꼬치를 동시에 꿸 수 있도록 하고, 꼬챙이에 대상물이 꽂힌 상태에서 대상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꼬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작동구조는 이동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링이 안내봉에 장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슬라이드 작동되는 구조에서는 가이드링에 베어링을 장착하여야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제작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슬라이드 작동하는 과정에서 베어링에 음식물이 끼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자주 물로 세척을 해야 하는데, 물이 베어링에 들어가게 되면 베어링이 쉽게 망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대상물, 즉 꼬치용도로 사용되는 음식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는데, 상술한 구조에서는 꼬챙이의 장전 높이가 정혀져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대상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
즉, 꼬치를 꽂을 때는 대상물의 중심에 꼬챙이를 관통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꼬치 꽂이장치에서는 꼬챙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획일적인 크기의 대상물에만 한정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한편, 꼬치를 일시에 꽂을 수 있는 장비로 공지된 것으로, 그 밖에도 꼬치대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여러 개 배열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꼬챙이를 삽입하여 꼬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조수단이 제안되었으나, 공지된 것들이 모두 대상물을 일시에 꽂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대상물의 중심에 정확하게 꼬챙이를 꽂을 수 없기 때문에, 실용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보조수단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꼬치를 꽂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08890호(1999.04.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7903호(1999.11.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9554호(2000.02.1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335호(2010.07.16)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꼬치를 일시에 꽂기 위하여 여러 개의 꼬챙이를 장전하여 슬라이드 작동하는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 왕복 작동하는 구간에 음식물이 쉽게 끼지 않으면서도 음식물이 끼는 경우에도 쉽게 세척할 수 있어 꼬치를 꽂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꼬치 꽂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꼬챙이의 장전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꼬챙이의 배열상태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대상물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도록 꼬챙이의 높낮이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꼬치 꽂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장착대와, 장착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여러 개의 꼬챙이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이 배열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올려진 꼬챙이의 후방을 가압하여 꼬챙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와, 밀대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동수단과, 꼬챙이의 전방에 위치되어 대상물을 담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틀과, 수납공간의 상부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판이 형성된 누름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는 가압판의 양측에 장착된 이동구가 레일축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동구의 재질을 내마모성과 자기 윤활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식물의 끼임을 방지하고 물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꼬챙이가 장전되는 받침대의 구조를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장착바와 안착홈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바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보조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안착홈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보조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꼬챙이의 장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서 꼬챙이의 장전높이를 조절하여 중심에 꽂을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대상물을 꽂을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꼬치 꽂이장치에 의하면, 여러 개의 대상물을 수용틀에 수납한 상태에서 여러 개 배열된 꼬챙이를 일시에 밀어서 꼬치를 꽂는 작업을 수행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꼬치를 꿸 수 있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밀대가 슬라이드 작동되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함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음식물이 쉽게 끼지 않고 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꼬챙이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꼬치에 꽂혀지는 대상물의 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므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꼬챙이가 장전되는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꼬치 꽂이장치로도 다양한 크기나 종류의 꼬치를 꽂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을 꽂음에도 불구하고 수작업으로 꼬치를 꽂을 때보다 더 정확하게 꼬챙이를 대상물의 중심에 꿸 수 있게 되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꼬치 꽂이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꼬치 꽂이장치를 작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꼬치 꽂이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꼬치 꽂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밀대의 작동범위 조절요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범위 조절요소를 이용한 밀대의 작동범위 조절 구조를 타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받침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받침대의 안착홈 높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착대(100)와, 장착대(100)의 상부에 꼬챙이(1)를 올려놓기 위해 형성되는 받침대(200)와, 꼬챙이(1)의 후방을 밀기 위한 밀대(300)와, 밀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동수단(400)과, 꼬챙이(1)에 꽂을 대상물(2)이 담기는 수용틀(500)과 수용틀(500)에 담겨진 대상물(2)을 눌러 고정하기 위한 누름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착대(100)는 상면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대(200)과 밀대(300)와 가동수단(400)과 수용틀(500) 및 누름대(600)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된다. 금속판의 테두리를 하부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00)는 여러 개의 꼬챙이(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안착홈(210)이 측면으로 배열되게 형성된다. 받침대(200)는 제1받침대(200a)와 제2받침대(200b)로 구성되어 꼬챙이(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들어올려 수평으로 장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받침대(200)에 안착된 꼬챙이(1)는 후술하는 밀대(300)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받침대(200a)는 장착대(100)의 상부에 고정식으로 장착하면서 제2받침대(200b)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제1받침대(200a)와 제2받침대(200b)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평을 정확하게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받침대(200a)와 제2받침대(200b) 각각의 구조를 복수의 안착홈(210)이 형성된 장착바(220)와, 장착바(220)의 안착홈(2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바(230)가 덧대여 지도록 함으로써 보조바(230)를 이용하여 꼬챙이(1)의 장전 높이를 수평으로 배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장착바(220)와 보조바(230)는 서로 대응되게 고정홀(222,232)이 형성되어 고정요소(240)로 체결되며, 장착바(220)에 형성되는 고정홀(222) 또는 보조바(230)에 형성된 고정홀(232)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을 상,하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하면 고정요소(240)를 이용하여 보조바(230)를 장착바에 체결할 때 보조바(230)의 장착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바(230)의 상측에는 수평 맞춤을 위한 수평면(234)이 형성된다.
밀대(300)는 받침대(200)의 후방에 장착되어 꼬챙이(1)의 후단을 밀어 꼬챙이(1)가 대상물(2)을 관통하여 꼬치를 꿰는 작업을 하게 된다. 밀대(300)는 꼬챙이(1)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판(310)의 양측에 이동구(320)가 장착되고, 이동구(320)는 레일축(33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되게 장착된다. 레일축(330)의 전,후방에는 각각 전방스토퍼(340)와 후방스토퍼(350)가 형성되어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이동구(320)에는 상술한 제2받침대(200b)가 일체로 조립되어 이동구(320)의 전,후방 슬라이드 작동과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일축(330)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는 이동구(320)의 재질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이동구(320)에 전,후방으로 관통하게 타공홀(322)이 형성되어 이동구(320)가 레일축(330)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동구(320)가 레일 구조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이동구(320)는 내마모성, 자기 윤활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MC나일론(Monomer Cast Nylon) 또는 폴리아세탈(polyacetal)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구(320)에 형성되는 타공홀(322)의 하부에 절개부(324)가 형성되어 하측이 개방되어 이동구(320)의 전,후방 슬라이드 작동시 레일축(330)과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레일축(330)에는 이동구(320)의 전,후방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는 일정한 단위두께를 갖는 판재(362)가 복수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작동범위만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되며, 작동범위 조절요소(360)의 구조는 판재(362)의 하단에 레일축(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홈(364)이 형성되어 레일축(330)의 상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가동수단(400)은 밀대(300)의 전,후방 슬라이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밀대(300)의 전,후방 작동을 견인하기 위한 작동링크(410)와 작동링크(4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레버(420)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링크(410)는 밀대(300)에 연결되는 작동대(412)와 조작레버(420)에 연결되는 구동축(414)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대(412)의 전단부는 밀대(300)의 후방, 즉 가압판(310) 또는 이동구(320)의 후방에 고정되고, 작동대(412)는 구동축(414)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구동축(414)은 조작레버(420)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작동대(412)와 구동축(414)은 보조링크(416)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동축(414)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대(412)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용틀(500)은 꼬챙이(1)가 장전되는 전방에 위치되어 대상물(2)이 담기는 것으로, 여러 개의 대상물(2)을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510)이 형성되며, 수납공간(510)은 격벽(512)에 의하여 여러 개의 꼬챙이(1)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510)이 여러 칸으로 구획된다. 각각의 구획된 수납공간(510)의 전,후방에는 꼬챙이(1)가 삽입되어 대상물(2)을 꿴 후 관통될 수 있도록 삽입홈(51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납공간(510)에는 꼬챙이(1)가 관통되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보조격벽(516)이 형성되어 대상물(2)의 유동이 방지된다.
누름대(600)는 수용틀(500)에 담겨져 있는 대상물(2)을 눌러 꼬치를 꿸 때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대(100)에 힌지 고정되어 절첩 작동하면서 수용틀(500)의 상부를 눌러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누름대(600)에는 누름판(610)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100)에 장착되어 있는 누름대(600)를 상부로 열어서 개방하고, 가동수단(400)의 조작레버(420)를 후방으로 당겨서 밀대(300)가 후방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꼬치 꽂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가 준비된다.
그 상태에서 수용틀(500)에 형성된 수납공간(510)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어 있는 대상물(2)을 삽입하는 것으로, 각각의 대상물(2)은 격벽(512)과 보조격벽(516)에 의하여 여러 칸으로 분할되어 있는 수납공간(510)에 삽입되어 위치가 설정된다.
그리고 장착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200)의 안착홈(210)에 여러 개의 꼬챙이(1)를 측방향으로 배열되게 끼운 후, 꼬챙이(1)의 후방이 밀대(300)의 가압판(310)과 밀착되게 장전한다.
이때, 장착바(220)와 보조바(230)는 서로 대응되게 고정홀(222,232)이 형성되어 고정요소(240)로 체결하는 것으로, 장착바(220)에 형성되는 고정홀(222) 또는 보조바(230)에 형성된 고정홀(232)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홀이 상,하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되어 보조바(230)의 장착 높이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안착홈(210)의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200)를 성형할 때 절곡하여 성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보조바(230)에 의하여 안착홈(210)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춰서 꼬챙이(1)가 기울어지지 않고 동일한 높이에서 측면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대상물(2)의 종류에 따라서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에도 보조바(23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꼬챙이(1)가 대상물의 중심에 정확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대(600)를 덮으면 누름대(600)의 누름판(610)이 수용틀(500)의 수용공간(510)에 담겨져 있는 대상물(2)의 상부를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대상물(2)이 고정되고 꼬챙이(1)가 장전된 상태에서 가동수단(400)을 가동시키면, 즉 조작레버(420)를 전방으로 밀면 조작레버(420)와 연동하게 장착되어 있는 작동링크(410)가 밀대(300)의 가압판(310)을 전방으로 밀어서 꼬챙이(1)의 후방을 밀게 되면서 꼬챙이(1)가 수용틀(500)에 담겨있는 대상물(2)을 관통하여 꼬치를 꿸 수 있게 되며, 누름대(600)를 다시 개방한 후 꼬챙이(1)에 대상물(2)이 꿰어져 있는 꼬치를 빼냄으로써 꼬치 꽂이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밀대(300)는 이동구(320)의 타공홀(322) 하부에 절개부(3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일축(330)과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이동구(320)가 레일축(330)을 타고 원활하게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절개부(324)에 의하여 이동구(320)의 하부가 개방되므로 이동구(320) 및 레일축(330)의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레일축(33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레일축(330)의 상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꼬챙이(1)에 끼우고자 하는 대상물(2)의 양에 따라서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장착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꼬챙이(1)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많은 양의 대상물(2)을 꿰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제거하면 이동구(320)가 전방으로 작동할 수 있는 범위가 길어져 꼬챙이(1)를 많이 밀어서 많은 양의 대상물(2)을 꽂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적은 양의 대상물(2)을 꿰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레일축(330)에 끼우면 이동구(320)가 전방으로 작동할 수 있는 범위가 짧아져서 꼬챙이(1)를 덜 밀면서 적은 양의 대상물(2) 만을 꽂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꼬챙이(1)에 꿰고자 하는 대상물(2)의 양만큼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이용하여 꼬챙이(1)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꼬챙이
2: 대상물
100: 장착대
110: 브라켓 120: 타공홀
130: 가이드 132: 경사부
140: 상판
200: 받침대
210: 안착홈 220: 장착바
222: 고정홀 230: 보조바
232: 고정홀 234: 수평면
240: 고정요소
300: 밀대
310: 가압판 320: 이동구
322: 타공홀 324: 절개부
330: 레일축 340: 전방스토퍼
350: 후방스토퍼 360: 작동범위 조절요소
362: 판재 364: 절개홈
400: 가동수단
410: 작동링크 412: 작동대
414: 구동축 416: 보조링크
420: 조작레버
500: 수용틀
510: 수납공간 512: 격벽
514: 삽입홈 516: 보조격벽
600: 누름대
610: 누름판

Claims (6)

  1. 장착대(100);
    장착대(100)의 상부에 장착되되 여러 개의 꼬챙이(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210)이 배열되는 받침대(200);
    받침대(200)에 올려진 꼬챙이(1)의 후방을 가압하여 꼬챙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300);
    밀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동수단(400);
    꼬챙이(1)의 전방에 위치되어 대상물(2)을 담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510)이 형성되는 수용틀(500);
    수납공간(510)의 상부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판(610)이 형성된 누름대(600);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대(300)는, 꼬챙이(1)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판(310)의 양측에 이동구(320)가 장착되고, 이동구(320)는 레일축(330)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동구(320)의 재질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방으로 관통하게 타공홀(322)이 형성되어 이동구(320)가 레일축(330)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레일 구조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꼬치 꽂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300)는 레일축(330)의 전,후방에 각각 전방스토퍼(340)와 후방스토퍼(350)가 형성되어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되고, 이동구(320)는 타공홀(322)의 하부에 절개부(324)가 형성되어 이동구(320)의 전,후방 슬라이드 작동시 레일축(330)과의 마찰면적을 감소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꽂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300)는 레일축(330)에 장착되는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꽂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범위 조절요소(360)는 일정한 단위두께를 갖는 판재(362)가 복수로 형성되되 각각의 판재(362)의 하단에는 레일축(3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홈(364)이 형성되어 레일축(330)의 상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이동구(3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꽂이장치.
  5. 장착대(100);
    장착대(100)의 상부에 장착되되 여러 개의 꼬챙이(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210)이 배열되는 받침대(200);
    받침대(200)에 올려진 꼬챙이(1)의 후방을 가압하여 꼬챙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300);
    밀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동수단(400);
    꼬챙이(1)의 전방에 위치되어 대상물(2)을 담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510)이 형성되는 수용틀(500);
    수납공간(510)의 상부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판(610)이 형성된 누름대(600);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200)는, 복수의 안착홈(210)이 형성된 장착바(220)와, 장착바(220)의 안착홈(2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바(230)가 덧대여 꼬챙이(1)의 장전 높이를 수평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되는 꼬치 꽂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바(220)와 보조바(230)는 서로 대응되게 고정홀(222,232)이 형성되어 고정요소(240)로 체결되고, 그 고정홀 중의 어느 하나의 고정홀은 상,하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되어 보조바(23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꽂이장치.
KR1020140000232A 2014-01-02 2014-01-02 꼬치 꽂이장치 KR20150080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32A KR20150080766A (ko) 2014-01-02 2014-01-02 꼬치 꽂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32A KR20150080766A (ko) 2014-01-02 2014-01-02 꼬치 꽂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66A true KR20150080766A (ko) 2015-07-10

Family

ID=5379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232A KR20150080766A (ko) 2014-01-02 2014-01-02 꼬치 꽂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76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022A (zh) * 2017-03-03 2017-08-08 靖西市秀美边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穿肉装置
CN107027862A (zh) * 2017-03-20 2017-08-11 刘影 一种肉排打孔器
CN107980876A (zh) * 2017-12-22 2018-05-04 邱楠婷 一种手动串肉装置
CN108719416A (zh) * 2018-06-30 2018-11-02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新型穿肉串装置
CN108850100A (zh) * 2018-07-11 2018-11-23 聊城东大食品有限公司 一种芝香肉串自动穿串称重系统
WO2019092325A1 (fr) * 2017-11-09 2019-05-16 Palga Sas International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brochettes d'aliments
CN110142808A (zh) * 2019-05-19 2019-08-20 青岛振坤智能设备有限公司 一体式串料推刀推签装置
CN110200046A (zh) * 2019-07-11 2019-09-06 青岛利诺鑫丰工贸有限公司 一种自动切肉穿串装置
KR20210063031A (ko) * 2019-11-22 2021-06-01 류의석 꼬치성형장치
KR102365567B1 (ko) * 2021-07-26 2022-02-18 전옥창 꼬치고기 자동화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82A (ja) * 1995-08-31 1997-03-11 Hara Seisakusho:Kk 串刺装置
KR100208890B1 (ko) * 1996-05-29 1999-07-15 이재한 꼬치기
KR200370081Y1 (ko) * 2004-07-21 2004-12-14 조은이 꼬지 자동화 장치
KR20080078433A (ko) * 2007-02-23 2008-08-27 이용철 꼬치 제조장치
KR20110043296A (ko) * 2009-10-21 2011-04-27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435026B1 (ko) * 2013-08-02 2014-11-03 이훈 취급의 편리성을 갖는 꼬치 꽂이용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82A (ja) * 1995-08-31 1997-03-11 Hara Seisakusho:Kk 串刺装置
KR100208890B1 (ko) * 1996-05-29 1999-07-15 이재한 꼬치기
KR200370081Y1 (ko) * 2004-07-21 2004-12-14 조은이 꼬지 자동화 장치
KR20080078433A (ko) * 2007-02-23 2008-08-27 이용철 꼬치 제조장치
KR20110043296A (ko) * 2009-10-21 2011-04-27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435026B1 (ko) * 2013-08-02 2014-11-03 이훈 취급의 편리성을 갖는 꼬치 꽂이용 유닛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022A (zh) * 2017-03-03 2017-08-08 靖西市秀美边城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穿肉装置
CN107027862A (zh) * 2017-03-20 2017-08-11 刘影 一种肉排打孔器
WO2019092325A1 (fr) * 2017-11-09 2019-05-16 Palga Sas International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brochettes d'aliments
CN107980876A (zh) * 2017-12-22 2018-05-04 邱楠婷 一种手动串肉装置
CN108719416A (zh) * 2018-06-30 2018-11-02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新型穿肉串装置
CN108850100A (zh) * 2018-07-11 2018-11-23 聊城东大食品有限公司 一种芝香肉串自动穿串称重系统
CN110142808A (zh) * 2019-05-19 2019-08-20 青岛振坤智能设备有限公司 一体式串料推刀推签装置
CN110200046A (zh) * 2019-07-11 2019-09-06 青岛利诺鑫丰工贸有限公司 一种自动切肉穿串装置
KR20210063031A (ko) * 2019-11-22 2021-06-01 류의석 꼬치성형장치
KR102365567B1 (ko) * 2021-07-26 2022-02-18 전옥창 꼬치고기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0766A (ko) 꼬치 꽂이장치
US9919442B2 (en) Convertible slicing/dicing mandolin
US4383365A (en) Egg slice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8973479B2 (en) Apparatus for cutting food
AU2008265492B2 (en) Slicing device
US5740722A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roduction of meat and/or vegetable kebabs
US1974194A (en) Food comminuting utensil
US20050274244A1 (en) Adjustable slicing device
US4184397A (en) Food slicer
US20150230666A1 (en) Improvements to a food cutting board
CN105058457A (zh) 食物自动切片机及切片方法
KR102188144B1 (ko) 생계육 절단기
JP4708255B2 (ja) 食品用カッター
JP2009544477A (ja) 野菜切断装置
CN108782702B (zh) 牛肉切条装置
KR20150080762A (ko) 꼬치 꽂이장치
KR101595608B1 (ko) 꼬치구이 고기를 꼬치구인 핀에 끼우는 장치
CN204844328U (zh) 蔬菜处理器
US2437818A (en) Machine for cutting potatoes, including a stationary cutter and reciprocating plunger
US2136792A (en) Slicing machine
AU2008248910B2 (en) Slicer for food
JP2006175566A (ja) 食肉加工機
US20150196165A1 (en) Knife Guided Cutting Board
KR200412533Y1 (ko) 김밥 성형 장치
CA2767471A1 (en) Convertible slicing/dicing mandolin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