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997A - 수평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997A
KR20150078997A KR1020130168928A KR20130168928A KR20150078997A KR 20150078997 A KR20150078997 A KR 20150078997A KR 1020130168928 A KR1020130168928 A KR 1020130168928A KR 20130168928 A KR20130168928 A KR 20130168928A KR 20150078997 A KR20150078997 A KR 2015007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rizontal
leveling
leveling panel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룡
Original Assignee
안성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룡 filed Critical 안성룡
Priority to KR102013016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997A/ko
Publication of KR2015007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 판넬의 서로 다른 세 지점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3개의 승강축에 의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을 상하 구동시키면서 동시에 세 지점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판재 구조를 가지는 레벨링 판넬(leveling panel); 상기 레벨링 판넬의 하면 중 서로 다른 세 지점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각 지점을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3개의 승강축; 상기 3개의 승강축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 유지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ITY}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링 판넬의 서로 다른 네 지점 이상의 다수 지점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다수개의 승강축에 의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을 상하 구동시키면서 동시에 다수 지점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TSP)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등의 급속한 보급 확대로 인하여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모니터, TV 등으로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과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흡착척(30) 상에 흡착되어 있는 유리 패널(10) 또는 필름 상에 레진(R)을 도포한 상태에서, 상부 흡착척(40)에 흡착되어 있는 또 다른 유리 패널(20) 또는 필름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켜면서 부착하는 공정이 많이 진행된다. 이 부착 공정에서는 부착을 위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유리 패널 또는 패널(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유리 패널(10) 상에 부착을 위한 레진(R)을 도포할 때, 유리 패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패널 상에 도포되는 레진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서 부착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런데 상기 유리 패널 또는 필름 등은 패널 자체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서 패널의 상면이 기울어질 수도 있고, 필름 또는 유리 패널 자체의 형상이 변형되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리 패널 또는 필름을 지지하고 있는 탑재대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유리 패널 또는 필름 상면의 수평을 보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탑재대의 네 모서리를 모두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수평을 맞추다보니, 수평을 맞추기 위한 알고리듬이 너무 복잡하고 수평을 맞추는데 공정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벨링 판넬의 서로 다른 네 지점이상의 다수지점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다수개개의 승강축에 의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을 상하 구동시키면서 동시에 다수 지점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판재 구조를 가지는 레벨링 판넬(leveling panel); 상기 레벨링 판넬의 하면 중 서로 다른 네 지점 이상이 다수 지점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각 지점을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축; 상기 다수개의 승강축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평 유지 장치에는, 상기 레벨링 판넬에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승강축을 정확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는 서보(servo) 모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링 판넬 상부에는, 상기 작업 대상물이 탑재되는 작업 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면적 레벨링 판넬 중 일부분의 처짐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지점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축에 의하여 레벨링 판넬 자체의 승강운동 뿐만아니라, 미세 승강 높이 조절을 통하여 레벨링 판넬의 수평 여부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판 합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축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축의 배치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100)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벨링 판넬(leveling panel, 110), 3개의 승강축(124, 134, 144), 다수개의 부가 승강축 및 수평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레벨링 판넬(110)은 장치의 중앙에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며,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의하여 수평이 유지되는 판넬이다. 상기 레벨링 판넬(110)은 판넬 또는 기판을 흡착하는 스테이지 역할을 할 수도 있고, 다른 판넬의 얼라인(align)을 위한 작업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축들(124, 134, 14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하면 중 서로 다른 세 지점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각 지점을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3개의 승강축(124, 134, 144)이 설치되는 지점은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서로 다른 세 지점이면 충분하며,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넓은 지점에 분포되도록 서로 최대한 이격되는 것이, 상기 레벨링 판넬(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축들(124, 134, 144)은 상기 레벨링 판넬(110)과 결합되는 부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3개의 승강축(124, 134, 144)이 독립적으로 승강 구동하면서 상기 승강축과 상기 레벨링 판넬(110)과의 결합 각도가 미세하면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상기 승강축과 레벨링 판넬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렝 판넬(110)의 하면에는 상기 승강축(124)의 구형 말단(122)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형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의 구형 말단(122)이 상기 구형 삽입홈(11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형 삽입홈(112)과 구형 말단(122) 사이의 공간에는 윤활제 또는 베어링 등이 삽입되어 원활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100)에서 상기 각 승강축(124, 134, 14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축을 정확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는 서보(servo) 모터(126, 136, 14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축을 매우 미세한 간격으로 승강 구동시켜 상기 레벨렝 판넬(1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승각축(124, 134, 144)의 정확하고 미세한 구동 제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축 하부에 서보 모터(126, 136, 146)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승강축의 정확한 구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서보 모터는 더 정확한 구동 제어를 위한 다른 구동수단으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부가 승강축(170, 180, 190)들은 상기 승강축이 설치되지 아니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링 판넬의 일부부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벨링 판넬의 전면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부가 승강축들은 상기 수평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승강축에 의하여 상기 레벨렝 판넬의 수평이 확보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상하 구동되어 상기 레벨링 판넬의 다른 부분의 처짐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100)에는 수평 감지 센서(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감지 센서(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링 판넬(110)에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수평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는 후술하는 수평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 여부를 판정하고 제어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상기 수평 감지 센서(15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제어부는 상기 3개의 승강축(124, 134, 144)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부가 승강축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의 처지는 부분을 보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 제어부는 3개의 승강축(124, 134, 144)을 승강 구동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알고리듬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감지 센서(150)에서 제공되는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110)의 승강 구동 및 수평 유지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장치에는 변위 감시 센서(160a, 160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 감지 센서는 각 승강축 별로 독립하여 구비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축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축에 의하여 변동되는 상기 레벨링 판넬의 변위량을 미세하게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변위감지센서는 상기 승강축이 서보 모터로 구비되는 경우, 서보 모터의 공차 범위 이내의 미세한 변위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도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변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변위량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도를 유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200)에는 작업 판넬(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업 판넬(230)은 상기 레벨링 판넬(2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2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작업 대상물(S)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작업 대상물(S)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리프팅핀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렇게 작업 판넬(23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감지 센서(240)가 작업 판넬(2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200)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예 3 >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에서 상기 승강축의 구조가 실시예 1, 2의 그것과 상이하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축은 정확한 미세 구동 제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슬라이딩 승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경사 슬라이딩 구조라 함은 ‘경사면을 마주하고 접촉되어 있는 상부 블럭(361)과 하부 블럭(362)이, 하부 블럭(361)의 수평 구동에 의하여 상기 하부 블럭(361)의 경사면을 타고 상기 상부 블럭(362)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때 상기 상부 블럭(362)은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 승강 안내 가이드(364)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블럭(362)은 수평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수평 안내 가이드(365)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블럭(362)과 하부 블럭(361)이 접촉하는 경사면에서도 직선 구동을 안내하는 직선 구동 안내 가이드가 설치된다. 각 안내 가이드는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블럭(361)의 상단은 상기 레벨링 판넬(3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벨링 판넬(310)을 상하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하부 블럭(362)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블럭(362)을 수평 이동시키는 모터(36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에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3개의 승강축이 구비된다. 이 3개의 승강축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지만,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치판넬(320)의 중앙에 하나의 중앙 승강축(360a)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승강축(360a)의 좌우에 각각 외측 승강축(360b, 360c)이 배치되되, 상기 중앙 승강축(360a)과 외측 승강축(360b, 360c)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3개의 승강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레벨링 판넬(310)의 설도 다른 세 지점을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면서 레벨링 판넬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감지 센서(370)가 구비된다. 상기 변위 감지 센서의 기능 및 구조는 실시예 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에도 부가 승강축(380a, 380b, 380c)들이 더 구비되어 대면적 레벨링 판넬의 일부분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
110 : 레벨링 판넬
124, 134, 144 : 승강축
126, 136, 146 : 서보 모터
150 : 수평 감지 센서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
210 : 레벨링 판넬 220 : 설치 판넬
230 : 작업 판넬 240 : 수평 감지 센서
254, 264, 274 : 승강축
256, 266, 276 : 서보 모터
280 : 상하 구동부 S : 작업 대상물
31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판넬
320 : 설치 판넬
360 : 승강축

Claims (4)

  1. 판재 구조를 가지는 레벨링 판넬(leveling panel);
    상기 레벨링 판넬의 하면 중 서로 다른 네 지점 이상의 다수 지점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각 지점을 상하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축;
    상기 다수개의 승강축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판넬에 설치되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축은,
    하측으로 향하는 빗면을 가지며, 상기 레벨링 판넬의 하면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 블럭의 빗면과 접촉되는 빗면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이동 블럭;
    상기 수평 이동 블럭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수평 이동 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수평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승강축은,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KR1020130168928A 2013-12-31 2013-12-31 수평 유지 장치 KR20150078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928A KR20150078997A (ko) 2013-12-31 2013-12-31 수평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928A KR20150078997A (ko) 2013-12-31 2013-12-31 수평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97A true KR20150078997A (ko) 2015-07-08

Family

ID=5379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928A KR20150078997A (ko) 2013-12-31 2013-12-31 수평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73A (ko) 2017-12-05 2019-06-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173A (ko) 2017-12-05 2019-06-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82007C (zh) 基板贴合装置及其方法以及基板检测装置
CN106062990A (zh) 对准器结构及对准方法
JP2010032322A (ja) 表面性状測定機および測定方法
JPWO2016024364A1 (ja) 実装装置および測定方法
KR101479937B1 (ko) 글라스와 마스크의 정렬장치
CN103529048A (zh) 基板检查装置
KR20150051584A (ko) 수평 유지 장치
JP2005142443A (ja) カセット装置および薄型基板移載システム
KR101211965B1 (ko) 플레이트 정렬 장치
WO2014103027A1 (ja) 作業機、および、位置ズレデータ取得方法
KR20150078997A (ko) 수평 유지 장치
JP2009246285A (ja) 部品実装装置
KR20150089491A (ko) 스테이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다이 본딩 장치
KR102288837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1456661B1 (ko) 수평 유지 장치
KR101742595B1 (ko) 소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팅 장치
JP2003243286A (ja) 基板処理装置
JP2020015139A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取付台の傾き調整方法
JP2009206315A (ja) テーブルへの基板搭載装置
JP2020009820A (ja) 産業用ロボット
CN108071909B (zh) 触控交互装置
KR20120079982A (ko) 기판 수직 이송장치
CN113808986A (zh) 转移对位系统及转移对位方法
KR101269487B1 (ko) 플로팅 센서 유닛의 간극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26370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