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116A -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116A
KR20150076116A KR1020140188270A KR20140188270A KR20150076116A KR 20150076116 A KR20150076116 A KR 20150076116A KR 1020140188270 A KR1020140188270 A KR 1020140188270A KR 20140188270 A KR20140188270 A KR 20140188270A KR 20150076116 A KR20150076116 A KR 2015007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linear motor
sec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104B1 (ko
Inventor
아키라 쿠사카리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3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비교적 양호한 도포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중복 도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도포장치(100)는, 소정 방향으로 주행하는 시트(12)에 대하여 도포액을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도포장치이다. 도포장치(100)는, 도포액을 저장하는 탱크(16)와, 탱크(16)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을 시트(12)에 대하여 토출하는 토출부와, 토출부와 탱크(16)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밸브(20)와, 밸브(20)를 개폐시키는 리니어모터(40)와, 밸브(20)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82)와, 취득한 시간에 밸브(20)가 폐쇄되도록 리니어모터(40)를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제어부(84)와, 토출부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3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포장치{A Spreading Device}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6951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이나 유리 등의 기재를 향하여 약액을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도포영역과 비도포영역을 교대로 가지는 도포패턴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도포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간헐 도포용의 밸브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장치에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도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2-179540호
도포영역은, 이상적으로는 일정한 높이(두께)를 가지고, 그 단면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포영역의 종료점 근방을 에지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밸브의 폐쇄 동작의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밸브의 폐쇄 동작을 고속으로 행하면, 장치 내부의 액압이 크게 변화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도공 종료 직후에 순간적으로 도공액이 토출하는, 이른바 중복 도포 현상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인식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비교적 양호한 도포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중복 도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도포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주행하는 기재에 대하여 도포액을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도포장치로서, 도포액을 저장하는 도포액원과, 도포액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을 기재에 대하여 토출하는 토출부와, 토출부와 도포액원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밸브와, 밸브를 개폐시키는 리니어모터와, 밸브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한 시간에 밸브가 폐쇄되도록 리니어모터를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제어부와, 토출부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밸브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와, 토출부 내의 압력을 대응지어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양호한 도포영역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중복 도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되는 토출부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포장치에 있어서의 조정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4의 (a)는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의 제1 액통로 내의 압력변동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그 때의 도포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의 (a)는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보다 낮은 경우의 제1 액통로 내의 압력변동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그 때의 도포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포장치에 있어서의 조정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 공정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는, 기재에 도포액을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도포영역과 비도포영역을 교대로 가지는 도포패턴을 기재 상에 형성한다. 여기에서, 도포영역은, 이상적으로는 일정한 높이(두께)를 가지고, 그 단면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포영역의 종료점 근방을 에지형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밸브의 폐쇄 동작의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행한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밸브의 폐쇄 동작을 고속으로 행하면, 밸브의 폐쇄 직후에, 도포장치의 토출부 내의 액압이 크게 변화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이른바 중복 도포 현상이 발생한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는, 도포작업의 사전준비로서, 비교적 양호한 도포영역(즉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도포영역)을 유지하면서 중복 도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밸브의 폐쇄 동작의 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는, 밸브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토출부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밸브의 폐쇄 동작의 속도에 관한 정보와, 토출부 내의 압력을 대응지어 파악할 수 있어, 중복 도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밸브폐쇄 동작의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포장치(100)는, 리튬이온전지의 전극부재의 형성에 이용된다. 도포장치(100)는, 정극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면에 코발트산 리튬 산화 코발트를 주체로 하는 용제를 도포한다. 부극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면에 카본을 주체로 하는 용제를 도포한다.
도포장치(100)는, 반송장치(14)와, 탱크(16)와, 다이(18)와, 밸브(20)와, 제1 액통로(34)와, 제2 액통로(36)와, 계측부(38)와, 리니어모터(40)와, 인코더(42)와, 컨트롤러(80)를 구비한다.
반송장치(14)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복수의 반송롤러를 포함하고,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장척(長尺) 형상의 시트(12)를 그 길이방향으로 반송한다. 반송장치(14)는, 시트(12)를 기본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반송한다. 도 1에서는, 반송되는 시트(12)의 도포 위치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메인롤러(22)가 배치되어 있다. 그 도포 위치에 있어서 메인롤러(22)와 대향하도록 다이(18)가 배치되어 있다.
다이(18)는, 시트(12)의 도포면에 대향 배치되는 슬릿을 가진다. 다이(18)에는, 제1 액통로(34)를 통하여 도포액이 공급되고, 그 슬릿으로부터 반송 상태에 있는 시트(12)에 대하여 도포액이 간헐적으로 토출된다. 즉, 제1 액통로(34) 및 다이(18)는, 시트(12)에 도포액을 토출하는 토출부로서 기능한다.
탱크(16)는, 상기 서술한 용제로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저장한다. 탱크(16)와 밸브(20) 사이에는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있으며, 이로써 탱크(16)로부터 밸브(20)로 대략 일정한 압력으로 도포액이 보내지고 있다.
밸브(20)는, 리니어모터(40)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자밸브이다. 밸브(20)는, 탱크(16)로부터 다이(18)로 공급되는 도포액의 유량을 변화시킨다. 상기 서술과 같이 상류측의 액압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다이(18)의 슬릿으로부터 토출되는 도포액의 토출유량은, 밸브(20)의 개방도에 대략 비례한다.
밸브(20)는, 내부에 도포액의 유통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바디(50)와, 통형상의 바디(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뻗어 있는 작동로드(68)를 구비한다. 바디(50)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상류부(50a)와 하류부(50b)로 구획하는 격벽(62)이 마련되어 있다. 격벽(62)의 중앙에는 밸브부를 구성하는 밸브구멍(64)이 마련되어 있다. 바디(50)의 측부에는, 탱크(16)로부터 상류부(50a)로 도포액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포트(58)와, 하류부(50b)로부터 다이(18)로 도포액을 도출하기 위한 도출포트(60)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로드(68)의 하류부(50b)측의 단부에는 밸브체(7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70)는, 밸브구멍(64)에 대하여 도출포트(60)측으로부터 착탈하여 밸브부를 개폐한다. 즉, 격벽(62)에 있어서의 밸브구멍(64)의 하류측 개구단 가장자리에 의하여 밸브시트(63)가 형성되며, 밸브체(70)의 테이퍼면이 이에 착탈함으로써 밸브부를 개폐한다.
리니어모터(40)는, 흘려 보내는 전류의 방향으로 추력의 방향이 정해지고, 흘려 보내는 전류의 크기로 추력의 크기가 정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리니어모터(40)에 의한 추력이 작동로드(68)를 통하여 밸브체(70)에 전달되어, 밸브부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20)는, 리니어모터(40)로 공급되는 통전 상태에 의하여 그 밸브개방도가 조정된다.
인코더(42)는, 리니어모터(40)의 가동자(可動子)의 이동량을 통하여 밸브체(70)의 이동량을 검출한다. 인코더(42)는, 검출한 이동량을 출력부(86)에 전달한다. 계측부(38)는, 제1 액통로(34) 내에 있어서의 도포액의 압력을 계측한다. 계측부(38)는, 계측한 압력을 출력부(86)에 전달한다. 다만, 계측부(38)는, 다이(18) 내의 압력을 계측해도 된다.
컨트롤러(8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ROM, 데이터 격납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워크에리어로서 이용되는 RAM, 입출력 인터페이스, 백업메모리 등을 구비한다. 컨트롤러(80)는, 리니어모터(40)로 공급하는 전류를 조정하여 그 밸브개방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80)는, 시트(12)에, 미리 설정된 도포패턴이 형성되도록 도포액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컨트롤러(80)의 제어에 의하여 다이(18)로부터는 도포액이 간헐적으로 토출되고, 그 결과, 시트(12)의 표면에 도포영역(24)과 비도포영역(26)을 교대로 가지는 소정의 도포패턴이 형성된다.
컨트롤러(80)는, 취득부(82)와, 리니어모터제어부(84)와, 출력부(86)를 구비한다. 취득부(82)는, 유저에 의하여 입력되는, 밸브(20)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필요로 하는 목표위치와 목표시간(이하, “밸브폐쇄 동작시간”이라고 부름)을 취득한다. 취득부(82)는, 밸브(20)의 개방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필요로 하는 목표시간이나, 밸브(20)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이나, 밸브(20)가 폐쇄되어 있는 시간 등을 취득해도 된다.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리니어모터(40)에 전류를 공급하고, 그 추력에 의하여 밸브(20)를 개폐시킨다. 특히,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취득부(82)가 취득한 목표시간에 밸브(20)가 폐쇄되도록 리니어모터(40)를 제어한다. 즉, 취득부(82)가 취득한 목표위치와 목표시간에 밸브(20)가 폐쇄되도록 리니어모터(40)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정한다.
출력부(86)는, 계측부(38)에 의하여 계측되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시인할 수 있는 양태로 출력한다. 특히, 출력부(86)는, 밸브(20)가 폐쇄된 후 소정의 기간까지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출력한다. 또, 출력부(86)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밸브(20)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밸브체(70)의 이동량)와 대응지어 출력한다. 출력부(86)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기기에 출력한다. 다만, 출력부(86)는, 프린터 등의 인쇄기기에 출력해도 된다.
도 2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변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출력부(86)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 및 밸브(20)의 개폐도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좌측의 세로축은 밸브(20)의 개폐도(밸브체(70)의 이동량)를 나타내고, 0μm일 때에 밸브(2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래프(90)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밸브(20)는 6ms로 2000μm 이동하여, 폐쇄되어 있다. 우측의 세로축은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나타낸다. 그래프(9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밸브(20)가 폐쇄된 직후에 압력이 크게 변동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도포장치(100)에 있어서의 조정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취득부(82)는, 밸브(20)의 폐쇄 동작시간을 취득한다(S10).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리니어모터(40)에 전류를 공급하여, 밸브(20)를 개폐시킨다. 특히,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취득부(82)가 취득한 밸브폐쇄 동작시간에 밸브(20)를 폐쇄시킨다. 계측부(38)는, 이 때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계측한다(S12). 출력부(86)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표시기기에 출력한다(S14). 유저는, 이 출력을 참조함으로써,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6). 즉, 밸브폐쇄 동작의 속도가 너무 빨라 중복 도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S16의 N), 유저는 보다 긴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입력하고, 처리는 S10으로 되돌아간다. 임계값 이하인 경우(S16의 Y), 취득부(82)가 취득한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최적값으로서 결정한다. 즉,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조금씩 길게 하면서, 제1 액통로(34)의 압력이 처음으로 임계값 이하가 되었을 때의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최적의 밸브폐쇄 동작시간으로서 결정한다(S20).
도포장치(100)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한 밸브폐쇄 동작시간에 도포작업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100)에 의하면, 밸브(20)가 폐쇄된 후 소정 기간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시인할 수 있는 양태로 출력된다. 이로써, 유저는, 중복 도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중복 도포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했다.
도 4의 (a)는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변동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그 때의 도포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보다 낮은 경우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변동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그 때의 도포 상태를 나타낸다. 다만, 본 실험에서는, 토출 시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임계값으로 했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는, 이른바 중복 도포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폐쇄 후의 압력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는, 중복 도포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도포 완료 부분의 형상도 도 4의 (a), (b)에 비하여, 깨끗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포장치(200)는, 반송장치(14)와, 탱크(16)와, 다이(18)와, 밸브(20)와, 제1 액통로(34)와, 제2 액통로(36)와, 계측부(38)와, 리니어모터(40)와, 인코더(42)와, 드라이버(44)와, 컨트롤러(18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측부(38)는, 출력부(86)에 더하여 판정부(188)(후술)에도 계측결과를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인코더(42)도, 출력부(86)에 더하여 판정부(188)에도 검출결과를 전달한다.
컨트롤러(180)는, 취득부(82)와, 리니어모터제어부(84)와, 출력부(86)와, 판정부(188)를 구비한다. 취득부(82)는, 유저에 의하여 입력된 밸브폐쇄 동작시간 혹은 판정부(188)로부터 전달되는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취득한다.
판정부(188)는, 계측부(38)가 취득한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특히, 판정부(188)는, 밸브폐쇄된 후 소정의 기간까지의 압력이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정부(188)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취득부(82)가 먼저 취득한 밸브폐쇄 동작시간보다 긴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새로운 밸브폐쇄 동작시간으로 하여 취득부(82)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188)는, 앞의 밸브폐쇄 동작시간에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ms)을 플러스한 시간을 새로운 밸브폐쇄 동작시간으로 하여 취득부(82)에 전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포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도포장치(200)에 있어서의 조정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취득부(82)는, 밸브(20)의 폐쇄 동작시간을 취득한다(S20).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리니어모터(40)에 전류를 공급하여, 밸브(20)를 개폐시킨다. 특히,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취득부(82)가 취득한 밸브폐쇄 동작시간에 밸브(20)를 폐쇄시킨다. 계측부(38)는, 이 때의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을 계측한다(S22). 판정부(188)는, 제1 액통로(34) 내의 압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4).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S24의 N), 판정부(188)는, 앞의 밸브폐쇄 동작시간보다 긴 밸브폐쇄 동작시간을 취득부(82)에 전달하고, 처리는 S20으로 되돌아간다. 임계값 이하인 경우(S24의 Y), 취득부(82)가 취득한 목표시간을 최적값으로서 설정한다(S26).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200)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100)에 의하여 나타나는 작용효과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200)에 의하면, 밸브폐쇄 동작시간이 자동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유저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장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취득부(82)가 밸브(20)의 개폐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필요로 하는 목표시간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취득부(82)는 밸브(20)의 개폐 동작의 속도를 취득하고, 리니어모터제어부(84)는 개폐 동작의 속도를 리니어모터(40)에 부여하며, 리니어모터(40)는 부여된 속도로 밸브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100 도포장치
12 시트
14 반송장치
16 탱크
18 다이
20 밸브
22 메인롤러
24 도포영역
26 비도포영역
34 제1 액통로
36 제2 액통로
38 계측부
50 바디
50a 상류부
50b 하류부
58 도입포트
60 도출포트
62 격벽
63 밸브시트
64 밸브구멍
68 작동로드
70 밸브체
80 컨트롤러
82 취득부
84 리니어모터제어부
86 출력부
200 도포장치

Claims (6)

  1. 소정 방향으로 주행하는 기재에 대하여 도포액을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도포장치로서,
    도포액을 저장하는 도포액원과,
    상기 도포액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을 기재에 대하여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와 상기 도포액원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밸브의 폐쇄 동작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한 시간에 상기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동시키는 리니어모터제어부와,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폐쇄된 후 소정의 기간까지의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이,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터제어부는, 제1 시간에 상기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1 시간에 상기 밸브가 폐쇄된 후 소정의 기간까지의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이 상기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리니어모터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에 상기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도포액이 토출되고 있을 때의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폐쇄된 후 소정의 기간까지의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을 시인할 수 있는 양태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내의 압력을 시인할 수 있는 양태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토출부 내의 압력을, 상기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지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KR1020140188270A 2013-12-26 2014-12-24 도포장치 KR101722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9515 2013-12-26
JP2013269515A JP6418737B2 (ja) 2013-12-26 2013-12-26 塗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116A true KR20150076116A (ko) 2015-07-06
KR101722104B1 KR101722104B1 (ko) 2017-03-31

Family

ID=5348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70A KR101722104B1 (ko) 2013-12-26 2014-12-24 도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82986A1 (ko)
JP (1) JP6418737B2 (ko)
KR (1) KR101722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5426B (zh) * 2020-05-17 2021-09-03 合肥路明反光材料有限公司 一种反光布生产用微珠散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0829A (en) * 1995-05-05 1999-07-06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compensating for changes in flow characteristics of a dispensed fluid
US6200100B1 (en) * 1998-09-25 2001-03-13 Smc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incontinent liquid drip
JP2002143752A (ja) * 2000-11-13 2002-05-21 Tokyo Electron Ltd 塗布液供給装置及び塗布装置
JP2002219400A (ja) * 2000-11-21 2002-08-06 Hirano Tecseed Co Ltd 塗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852A (en) * 1986-10-30 1990-05-08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 materials
JP4294757B2 (ja) * 1998-06-18 2009-07-15 平田機工株式会社 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及び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方法
JP5626783B2 (ja) * 2009-09-25 2014-11-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および塗布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0829A (en) * 1995-05-05 1999-07-06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compensating for changes in flow characteristics of a dispensed fluid
US6200100B1 (en) * 1998-09-25 2001-03-13 Smc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incontinent liquid drip
JP2002143752A (ja) * 2000-11-13 2002-05-21 Tokyo Electron Ltd 塗布液供給装置及び塗布装置
JP2002219400A (ja) * 2000-11-21 2002-08-06 Hirano Tecseed Co Ltd 塗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8737B2 (ja) 2018-11-07
KR101722104B1 (ko) 2017-03-31
US20150182986A1 (en) 2015-07-02
JP2015123406A (ja)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57879A5 (ko)
WO2009040234A3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stabilization and visual monitoring of an elongated meallic strip
KR102209012B1 (ko) 간헐도공장치
JPWO2010146928A1 (ja) 基板用塗布装置
US9991531B2 (en) Fuel cell system
KR101722104B1 (ko) 도포장치
US201302579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ation of print medium i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the inkjet printing apparatus
WO2012035602A1 (ja) 電池の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の電極の製造装置
GB2519646A8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84662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JP2008174355A (ja) 張力制御装置及び張力制御方法
JP2011088138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制御装置
SI3221486T1 (en) A process and apparatus for coating a metal strip with, initially, a liquid coating material
CA2911847A1 (en) Fuel cell system
CN108469803B (zh) 维护判断指标推断装置及其方法、流量控制装置
WO2015182332A1 (ja) 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2012075980A (ja) 塗工装置
JP2015136768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液供給制御装置
JP2019122928A (ja) 塗布装置
JP2018158326A (ja)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JP4609197B2 (ja) 板厚制御装置
JP4612284B2 (ja) 塗布装置
EP2887146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6762773B2 (ja) 間欠塗工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2061445A (ja)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