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746A -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746A
KR20150074746A KR1020130162817A KR20130162817A KR20150074746A KR 20150074746 A KR20150074746 A KR 20150074746A KR 1020130162817 A KR1020130162817 A KR 1020130162817A KR 20130162817 A KR20130162817 A KR 20130162817A KR 20150074746 A KR20150074746 A KR 20150074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film
roll
film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길
진윤규
Original Assignee
김완길
진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길, 진윤규 filed Critical 김완길
Priority to KR102013016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746A/ko
Publication of KR2015007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앞면 및/또는 뒷면에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거취하는 롤 필름 장착대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며, 이송 과정 중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foreign material of synthetic resin film}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롤타입의 합성수지필름에 남아있는 희토류 물질을 자동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와 PDP TV,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은 미리 설계된 패턴을 갖는 금속 배선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사용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 30~50M 크기의 장방형의 작업대에 일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롤타입의 PET 필름을 장방형의 작업대의 상단면에 횡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작업대의 상단면에 PET 필름을 사용하는 이유는 PET 필름이 기판의 전극 형성시 전극을 절연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어, 다수개의 기판을 작업대의 상부면에 위치한 PET 필름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배치한 후, 전극 형성을 포함한 기판 제조공정을 수행하며, 이때, 기판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외기에 의해 쉽게 산화되는 금속배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희토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 기판의 제조가 완료되면, 완성된 기판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고, 사용한 PET 필름은 장방형의 작업대의 타측에 설치된 PET 필름 회수용 롤러에 감은 후, 장방형의 작업대의 일측에 설치된 PET 공급용 롤러에 감긴 새로운 PET 필름을 장방형의 작업대에 위치시킨 후, 상기에서 설명한 기판 제조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기판 생산라인에 사용된 롤타입의 PET 필름은 일반 쓰레기로 간주되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려지는 PET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PET 필름의 앞면과 뒷면에 뭍어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ET 필름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PET 필름을 다른 제조공정에 재활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ET 필름에서 제거된 희토류 물질을 재처리 가능하도록 모을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PET 필름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의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좁은 공간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앞면 및/또는 뒷면에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거취하는 롤 필름 장착대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며, 이송 과정 중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밑면 및 측면은 액체의 누설이 불가능하도록 밀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의 일정 구간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대 본체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PET 필름이 통과될 때 상기 PET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와; 상기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을 통과한 상기 PET 필름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2 롤 나이프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롤 나이프 브러시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립되는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와; 상기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칼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방법은, 작업자가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롤 필름 장착대에 거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롤 필름 장착대에 거취된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상기 이송경로를 경유하여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필름에 남아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와 칼날부를 동시에 이용하여 긁어내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세척조의 내부에 일정 시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합성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롤타입의 PET 필름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PET 필름을 다른 제조공정에 원료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둘째, PET 필름에 남아있는 이물질 중에서 희토류 물질을 재처리하도록 별도로 모을 수 있어, 고가의 희토류 물질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PET 필름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의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좁은 공간에서도 구현할 수 있어, 전체 장치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롤 브러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일측과 타측에 대해서는, 프레임 구조체에 마련된 셸을 중심으로 스프로킷이 설치되는 방향에 있는 각 구성 및 구성부를 일측 또는 일측부라 명명하기로 하고, 상대측을 타측 또는 타측부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롤 브러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 및/또는 뒷면에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PET 필름(P)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거취하는 롤 필름 장착대(100)와; 롤 필름 장착대(100)를 통하여 이송되는 PET 필름(P)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며, 이송 과정 중 이송되는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에 남아 있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이물질 제거부(200)에서 이송되는 PET 필름(P)을 함침시켜 세척하는 세척조(300)와; 송풍기(410) 및 모터(420)이 설치되는 기계 설치부(400)와; 기계 설치부(400)의 측면에 위치하며, 세척조(300)를 경유하고 배출되는 PET 필름(P)을 적층하는 적제함(2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P)은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폴리부텐(Polybutene:PB),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이미드(Polyimide:PI) 등 연성회로기판의 원판에 사용되는 정전기 방지용 필름은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롤 필름 장착대(100)의 일측에는 장력 조절구(110)가 고정 설치되어, PET 필름(P)의 이송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200)는, 밑면 및 측면은 액체의 누설이 불가능하도록 밀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의 일정 구간에 개구부(211)가 형성된 작업대 본체(200a)와; 작업대 본체(200a)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대 본체(200a)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PET 필름(P)이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롤러(210)와; 롤 필름 장착대(100)를 통하여 제공되는 PET 필름(P)이 통과될 때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와;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을 통과한 PET 필름(P)이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롤러(240)와; 제2 롤러(240)를 경유한 PET 필름(P)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50,260)와; 한 쌍의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50,26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 롤러(2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이물질 제거부(200)의 밑면에는 물과 정전기 방지재가 첨가된 용재가 채워지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부(200)에서 제거 또는 분리되는 희토류 물질이 용재에 자중에 의해 함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250,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부(221)와, 몸체부(221)의 외표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립되는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223)와,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223)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칼날부(22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제1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250,260)의 외표면에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223)와 다수개의 칼날부(225)가 함께 배치되어 있으므로,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다수개의 브러시 모(223)와 칼날부(225)를 반복적으로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칼날부(225)는 몸체부(221)의 외표면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 보다는 10-35도, 바람직하게는 20-25도의 설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조(300)의 내부에는 제4 롤러(310)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물질 제거부(20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세척조(300)에 채워진 물과 정전기 방지재가 첨가된 용재에 충분히 함침되며, 세척조(300)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320a,320b)가 설치되어 있어서, 세척된 PET 필름(P)이 세척조(300)의 내부에서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320a,320b)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면서 건조된다.
기계 설치부(400)에 설치된 송풍기(410)는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320a,320b)에 바람을 공급하는 동시에 이물질 제거부(200)의 상단부에도 바람을 공급하여, 이물질 제거부(200)에서 제거 또는 분리되는 희토류 물질을 밑면 방향으로 낙하시킨다.
또한, 기계 설치부(400)에 설치된 모터(420)는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균일하게 인출되도록 미리 설정된 인출 장력으로 PET 필름(P)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적제함(500)에 완성된 PET 필름(P)을 연속적으로 적재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부(200)의 구성 및 배치가 다른 실시 예이다.
즉, 이물질 제거부(200)는 밑면 및 측면은 액체의 누설이 불가능하도록 밀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의 일정 구간에 개구부(211)가 형성된 작업대 본체(200a)와; 작업대 본체(200a)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대 본체(200a)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PET 필름(P)이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롤러(210)와; 롤 필름 장착대(100)를 통하여 제공되는 PET 필름(P)이 통과될 때 PET 필름(P)의 상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1 롤 나이프 브러시(220)와; 제1 롤 나이프 브러시(22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통과되도록 가이드하고, PET 필름(P)의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2 롤러(240)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30)와; 제2 롤러(240)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3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PET 필름(P)의 상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3 롤 나이프 브러시(250)와; 제3 롤 나이프 브러시(25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통과되도록 가이드하고, PET 필름(P)의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3 롤러(280) 및 제3 롤 나이프 브러시(260)와; 제3 롤러(280) 및 제3 롤 나이프 브러시(260)를 통과한 PET 필름(P)이 상부를 경유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제4 롤러(27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절차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가 상면 및/또는 하면에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PET 필름(P)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롤타입의 PET 필름(P)을 롤 필름 장착대(100)에 거취한다(S110).
이때, 작업자는 롤 필름 장착대(100)의 일측에 고정된 장력 조절구(110)를 조절하여 PET 필름(P)의 이송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120).
이어, 작업자는 PET 필름(P)의 이송 경로에 PET 필름(P)이 이송되도록 설정한다(S130). 예를 들어, PET 필름(P)이 한 쌍의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250,260) 및 제2 롤러(240)를 경유 및 통과하는 경로를 설정한다.
한편, 작업자는 모터(420)를 구동시켜 제5 롤러(430)를 통하여 롤 필름 장착대(100)에 거취된 PET 필름(P)이 균일하게 이송되어 적제함(200)의 내부에 차례로 적재되도록 설정한다(S140).
이때, PET 필름(P)은 한 쌍의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 사이를 통과하면서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에 남아 있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1차적으로 긁혀진다(S150).
이어,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를 통과한 PET 필름(P)은 제2 롤러(240)를 경유하여 한 쌍의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50,260) 사이를 통과하면서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에 남아 있는 희토류 성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2차적으로 긁혀진다(S160).
이때, 각각의 제1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220,230,250,260)의 외표면에는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223)와 다수개의 칼날부(225)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PET 필름(P)의 상면 및 하면에 남아 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어, 이물질 제거부(200)를 통과한 PET 필름(P)의 앞면 및 뒷면은 세척조(300)의 내부에 설치된 제4 롤러(310)를 경유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함침되어 세척된다(S170).
이어, 세척된 PET 필름(P)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320a,320b)를 통과하면서 건조된다(S180). 즉, 송풍기(410)에서 제공되는 바람이 한 쌍의 건조용 파이프(320)의 각각의 내측에 천공 형성된 다수의 공기 배출공을 통하여 제공하여 PET 필름(P)을 건조시킨다.
이어, 제5 롤러(430)를 통해 배출되는 PET 필름(P)은 적제함(500)의 내부에 차례로 적층된다(S190).
작업자는 적제함(500)에 적층된 PET 필름(P)을 필요에 따라 반출하여 재활용 공정에서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부(200)의 밑면에 수집된 희토류 물질도 재활용 공정에서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P: PET 필름 100: 롤 필름 장착대
110: 장력 조절구 200: 이물질 제거부
210: 제1 롤러 220,230: 제1 롤 나이프 브러시
240: 제2 롤러 250,260: 제2 롤 나이프 브러시
270: 제3 롤러 300: 세척조 310: 제5 롤러 320(320a,320b): 건조용 파이프 400: 기계 설치부 410: 송풍기 420: 모터 430: 제6 롤러 500: 적제함

Claims (9)

  1. 앞면 및/또는 뒷면에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거취하는 롤 필름 장착대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며, 이송 과정 중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세척하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 폴리부텐(Polybutene:PB),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PP), 폴리이미드(Polyimide:PI) 중에서 선택되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밑면 및 측면은 액체의 누설이 불가능하도록 밀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의 일정 구간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대 본체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통과될 때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와;
    상기 한 쌍의 제1 롤 나이프 브러시을 통과한 상기 합성수지 필름 상면 및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한 쌍의 제2 롤 나이프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롤 나이프 브러시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립되는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와;
    상기 다수개의 단위 브러시 모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칼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칼날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을 중심으로 20-25도의 설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밑면 및 측면은 액체의 누설이 불가능하도록 밀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의 일정 구간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대 본체와;
    상기 롤 필름 장착대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통과될 때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1 롤 나이프 브러시와;
    상기 제1 롤 나이프 브러시를 통과한 합성수지 필름이 통과되도록 가이드하고, 합성수지 필름(P)의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2 롤러 및 제2 롤 나이프 브러시와;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제2 롤 나이프 브러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3 롤 나이프 브러시와;
    상기 제3 롤 나이프 브러시를 통과한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통과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하면을 미리 설정된 궤적으로 반복적으로 각각 긁어내는 제3 롤러 및 제3 롤 나이프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7. 작업자가 희토류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남아있는 롤타입의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롤 필름 장착대에 거취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롤 필름 장착대에 거취된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상기 이송경로를 경유하여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필름에 남아있는 희토류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와 칼날부를 동시에 이용하여 긁어내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세척조의 내부에 일정 시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합성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필름이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롤 필름 장착대에 거취한 후,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이송시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방법.
  9. 상기 각각의 칼날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을 중심으로 20-25도의 설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방법.
KR1020130162817A 2013-12-24 2013-12-2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20150074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17A KR20150074746A (ko) 2013-12-24 2013-12-2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817A KR20150074746A (ko) 2013-12-24 2013-12-2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746A true KR20150074746A (ko) 2015-07-02

Family

ID=537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817A KR20150074746A (ko) 2013-12-24 2013-12-24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7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952B1 (ko) 기판 이중표면 홀 충진 장치
KR101425179B1 (ko) 전자파 차폐용 쉴드캔의 제조방법
KR20170096935A (ko) 광학 필름 반송 회수 장치, 광학 필름 제조 시스템 및 광학 필름 반송 회수 방법
JPWO2015178383A1 (ja) ガラス板用合紙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用合紙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板用合紙
JP2008266016A (ja) 無張力ロール・ツー・ロール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材料の移送方法
US99567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 laminate
KR20150074746A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20150074745A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WO2013187368A1 (ja) 塗工膜の剥離装置、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装置、塗工膜の剥離方法、及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KR20150144215A (ko) 폴리머 셀 이송 트레이 이물 제거 장치 및 폴리머 셀 이송 트레이 이물 제거 방법
KR102529234B1 (ko) 필름지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25916B1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JP6811537B2 (ja) エキスパンダ装置、多孔質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多孔質フィルム製造方法
JP2016034843A (ja) ガラス板用合紙及び合紙付きガラス板並びにガラス板梱包体
KR101936711B1 (ko) 보호필름 자동 배출장치
CN207748629U (zh) 用于组装配重块的装置
KR20150075807A (ko) 합성수지필름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20160048367A (ko) 아이티 기기용 배터리 패드-인쇄 장치
WO20160264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f plate-shaped clichés
KR200481277Y1 (ko) 차량용 클립의 식모사 부착장치
KR20140002630U (ko) 회로기판 프레스 공정용 쿠션필름의 펄프지 박리장치
CN210911604U (zh) 贴片机上的撕膜送料设备
JP3939290B2 (ja) スペーサテープの洗浄装置およびスペーサテープの洗浄方法
KR102497548B1 (ko) 필름 커팅 장치
CN212097971U (zh) 一种数码印刷机中的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