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746A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746A
KR20150073746A KR1020130161784A KR20130161784A KR20150073746A KR 20150073746 A KR20150073746 A KR 20150073746A KR 1020130161784 A KR1020130161784 A KR 1020130161784A KR 20130161784 A KR20130161784 A KR 20130161784A KR 20150073746 A KR20150073746 A KR 2015007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support
barrel assembly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746A/ko
Publication of KR2015007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Abstract

틸트 조정이 필요한 경우와 틸트 조정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따라 경통 조립체에 마련된 틸트 조정을 위한 구조/형상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렌즈부가 경통 조립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정확하게 틸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경통 조립체의 광축 틀어짐을 간단한 구조로 방지하여 광학 성능 및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상 장치는 촬상소자와 영상광을 촬상소자에 결상시키는 렌즈부를 지지하기 위한 경통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경통 조립체 내에 적층 결합된 렌즈와 촬상 소자의 광축을 일치시켜 정확한 화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다수의 광학 부품을 이용한 경통 조립체의 조립시에 각 부품별 공차나 조립 공차 등으로 인해 이미지센서와 렌즈 간의 광축이 틀어지는 틸트(tilt)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종 제품에서 해상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광학 부품이라도 광축이 틀어진 상태로 조립되면, 경통 조립체의 전체 광축이 틀어지게 되며, 조립 완료 후 광축 검사에서 틸트가 발생된 경통 조립체는 폐기 처분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통 조립체에 틸트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형상이 마련되었으나, 광학 부품의 위치가 고정되면 틸트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광학 부품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면 광학 부품의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 광학 부품 사이의 결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틸트 조정이 필요한 경우와 틸트 조정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따라 경통 조립체에 마련된 틸트 조정을 위한 구조/형상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렌즈부가 배치되고 정확하게 틸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통 조립체 및 이러한 경통 조립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 유형에 따른 경통 조립체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된 띠 형상의 복수의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경통;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촬상소자에 결상시키는 렌즈부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렌즈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결합편은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부면 중 일부에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보는 하부면 중 일부에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경통과 상기 렌즈 지지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편에 걸쳐 띠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돌출부가 서로 지지되는 지점이 3개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이 상기 렌즈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O이상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합편은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부면 중 일부에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보는 하부면 중 일부에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부가 틸팅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와 2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과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이 상기 렌즈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O이상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에 따라 틸팅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가 제1 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개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경통 조립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경통 조립체를 촬상장치에 마련한 경우, 틸트 조정을 위한 구조/형상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렌즈부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학 성능 및 제품 생산 수율을 높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개시에 따른 경통 조립체에 의하면, 틸트 조정을 위한 구조/형상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추가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경통 조립체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 내지 방식으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렌즈 지지부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렌즈 지지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경통부에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가 배치된 렌즈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경통부에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가 배치된 렌즈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를 A-A'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를 B-B'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6b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를 C-C'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모바일 기기(1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장치(10)는 경통 조립체(20)와 경통 조립체(20)가 장착될 수 있는 본체(15)를 구비한다. 경통 조립체(20)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렌즈부(도 3 참조; 25) 및 경통부(도 3 참조; 200)를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도 3 참조; 30)를 포함하며, 본체(15)의 내부에는 렌즈부(25)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영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촬상 소자,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통 조립체(20)를 구비한 촬상장치(10)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동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캠코더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모바일 기기(11)에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2)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3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조립체(30)는 경통부(200),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를 포함하는 렌즈부(25) 및 렌즈 지지부(100)를 포함한다.
렌즈부(25)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과시키며, 광이 통과될 때 회전대칭성을 갖는 대칭축인 광학적 중심, 즉 광축(G1)을 구비한다. 렌즈부(25)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L1, L2)들은 광축(G1)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복수의 렌즈(L1, L2)들의 광축(G1)은 서로 일치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장의 렌즈(L1, L2)가 광축(G1)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광을 촬상소자(미도시)에 결상시킬 수 있다.
경통부(200)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 영역에 렌즈부(25)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통부(200)는 원통 형상의 중심에 기구학적 중심(G2)을 구비한다.
렌즈 지지부(100)는 렌즈부(25)를 지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지지부재로서 중심부에 렌즈부(25)가 배치된다. 렌즈 지지부(100)는 경통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렌즈 지지부(100)가 경통부(20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렌즈 지지부(100)의 경통부(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를 비롯한 다수의 광학 부품을 이용한 경통 조립체의 조립시에 이미지센서와 렌즈 간의 광축이 틀어지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제품에 해상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부(25)를 통과한 광을 촬상소자(미도시)에 정확히 결상시킬 수 있도록 렌즈부(25)의 광축(G1)과 렌즈부(25)를 지지하는 경통부(200)의 기구학적 중심(G2)을 일치시켜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렌즈 지지부(100)에 틸트 조정을 위한 구조/형상이 마련되었으나,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면 틸트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면 광학 부품의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없으므로, 경우에 따라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 사이의 결합 방식을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후술하게 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틸트 조정이 필요한 경우와 틸트 조정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따라 렌즈 조립체(30)에 마련된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 사이의 결합 방식을 조정할 수 있는 경통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통부(200)는 외벽부(201)와 상부면(202)을 포함하고, 상부면의 중심부에는 렌즈부(25)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부(203)가 형성된다. 상부면(202)에는 중공부(203)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는 중공부(203)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는 광축(G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이격구간(261, 262, 263, 264)은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지지부(100)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렌즈 지지부(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는 링 형상의 주변부(105)와 주변부(105)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띠 형상의 렌즈 배치부(106) 및 주변부(105)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편(101, 102, 103, 104)을 포함한다.
주변부(105)는, 광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렌즈부(25)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경통부(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통부(200)의 중공부(203)에 따라 직경이 결정된다. 렌즈 배치부(106)는 렌즈부(25)의 광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띠 형상의 지지부로서, 중심부에 렌즈부(25)가 배치된다. 주변부(105)와 렌즈 배치부(106)에 렌즈부(25)가 지지됨에 따라, 렌즈부(25)는 렌즈 지지부(100)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지지부(100)에 대한 렌즈부(25)의 상대적 이동이 제한되므로, 렌즈 지지부(100)의 위치에 따라 렌즈부(25)의 위치 또한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편(101, 102, 103, 104)은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경통부(200)의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 사이에서 슬라이딩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편(101, 102, 103, 104)의 두께(T1; 도 7a 참조)는 복수의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와 복수의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경통부(200)에 렌즈 지지부(100)를 삽입시키기 위해 복수의 결합편(101, 102, 103, 104)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복수의 결합편(101, 103, 104) 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단차를 갖는 제1 돌출부(161, 162, 163)가 형성된다. 렌즈 지지부(100)를 경통부(200)에 배치시키고 슬라이딩 회전시킴으로써 제1 돌출부(161, 162, 163)는 경통부(200)의 제1 지지부(210, 220, 24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결합편(102)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범위에 걸쳐 단차를 갖는 제2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경통부의 기구학적 중심(G2)과 렌즈부(25)의 광축(G1)이 일치하여 틸팅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2 돌출부(150)는 복수의 이격구간(261, 262, 263, 264) 중 일부에 위치하여 제 2 지지부(250, 260, 270, 280)에 지지되지 않는다. 경통부(200)의 기구학적 중심(G2)과 렌즈부(25)의 광축(G1)이 틀어져 틸팅 조정이 필요한 경우, 경통부(200)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된 렌즈 지지부(100)를 추가적으로 슬라이딩 회전시킴으로써 제2 돌출부(150)가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 중 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틸트 조정이 필요한 경우와 틸트 조정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따른 경통부(200)와 렌즈 지지부(100)의 배치 및 결합관계에 관하여 검토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부(200)에 렌즈부(25)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100)가 배치된 렌즈 조립체(30)의 정면도로서, 렌즈부(25)의 광축(G1)과 경통부(200)의 기구학적 중심(G2)이 일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30)를 A-A'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경통부(200) 내에 적층 결합된 렌즈부(25)의 광축(G1)과 경통부(200)의 기구학적 중심(G2)을 일치시켜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렌즈부(25)의 광축(G1)과 경통부(200)의 기구학적 중심(G2)이 일치되어 있는 렌즈 조립체(30)의 부품 즉,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경통부(200)에는 시계 방향으로 제1 회전 각도(α1)만큼 슬라이딩 회전된 렌즈 지지부(100)가 배치된다. 도 4, 도 5b 및 도 6a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가 시계 방향으로 제1 회전 각도(α1)만큼 슬라이딩됨에 따라, 결합편(10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150)는 제2 지지부의 이격 구간(263)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돌출부(150)는 제2 지지부(250, 260, 270, 280)에 지지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틸팅 조정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가 시계 방향으로 제1 회전 각도(α1)만큼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돌출부(161, 162, 163)는 제1 지지부(210, 220, 24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161, 162, 163)는 제1 지지부(210, 220, 24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편(105)의 상부면에 제1 돌출부(163)가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부(163)는 결합편(105)의 두께(T1)에 제1 돌출부(163)의 두께(H)를 더한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63)는 제1 지지부(240)에 지지될 수 있으며,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제1 돌출부(161, 162)가 지지되어 있는 또 다른 제1 지지부(210, 2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1, 162, 163)가 제1 지지부(210, 220, 240)에 지지되어 3점 지지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렌즈 지지부(100)의 제1 돌출부와 경통부(200)의 제1 지지부가 접하는 영역이 3지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지지부(100)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된 범위에 경통부(200)의 3개 이상의 제1 지지부가 배치된다면, 3지점 이상의 영역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제1 돌출부(161, 162, 163)는 제1 배치 각도(β1)에 걸쳐 복수의 결합편(103, 104, 105)상에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배치 각도(β1)의 범위는 180o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61, 162, 163)가 제1 지지부(210, 220, 240)에 180o 이상의 범위에서 지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부(200)에 렌즈부(25)를 포함하는 렌즈 지지부(100)가 배치된 렌즈 조립체(30)의 정면도로서, 틸팅 조정이 이루어진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30)를 B-B'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6b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30)를 C-C'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가 시계 방향으로 제2 회전 각도(α2)만큼 슬라이딩 회전됨에 따라, 결합편(10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150)는 경통부의 제2 지지부(260)에 지지된다. 제2 돌출부(150)가 제2 지지부(260)에 지지됨에 따라 렌즈 지지부(100)는 경통부(200)에 대하여 틸팅되며, 렌즈 지지부(100)의 틸팅 정도는 제2 돌출부(150)의 높이(T2; 도 7b 참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돌출부(150)가 제2 지지부(260)에 지지됨으로써 렌즈 지지부(100)는 경통부(200)에 대하여 틸팅 각도(θ)만큼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렌즈 지지부(100)에 고정된 렌즈부의 광축(G1) 또한 시계 방향으로 틸팅 각도(θ)만큼 기울어져 렌즈부의 광축(G1)이 경통부의 기하학적 중심(G2)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다.
틸팅 조정이 이루어질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61, 162, 163)가 3지점에서 지지되어 경통부(200)와 렌즈 지지부(1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면, 틸팅 조정 과정에서 렌즈 지지부(100)가 경통부(200)에 대하여 틸팅 각도(θ)만큼 기울어질 때 렌즈 지지부(100)가 변형 및 파손될 수 있다. 렌즈 지지부(1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경통부(200)에 삽입된 렌즈 지지부(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돌출부(161, 162, 163)가 제1 지지부(210, 220, 230, 240)에 지지되는 지지점의 수를 제한해야 한다.
도 4, 도 5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가 시계 방향으로 제2 회전 각도(α2)만큼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와 제1 지지부(230) 사이에서 제2 돌출부(150)가 제2 지지부(260)에 지지된다. 또한, 제1 돌출부(161)와 제1 지지부(220)의 결합이 해제되어 제1 돌출부(162, 163)는 총 2개의 지점에서만 제1 지지부(210, 240)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렌즈 지지부(100)가 변형되지 않은 채 틸팅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100)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질 때, 제1 지지부(240)는 제1 돌출부(163)의 사다리꼴 형상의 빗변부(170)에 지지되는 반면, 제1 지지부(220)와 결합편(103)의 상부면이 접하지 않는다. 제2 돌출부(150)의 두께(T2)가 제1 돌출부의 두께(H)보다 얇기 때문에 제1 지지부(220)와 결합편(103)의 상부면 사이에 충분한 공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220)와 결합편(103)의 상부면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렌즈 지지부(10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채 틸팅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제1 지지부(230)와 결합편(10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와 제2 지지부(260)의 지지점 외에 제1 돌출부(162, 163)와 제1 지지부(210, 240)의 지지점을 통해 안정적인 3점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틸팅 조정이 이루어진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50)와 제2 지지부(260)가 지지되는 지지점 및 제1 돌출부(162, 163)와 제1 지지부(210, 240)가 지지되는 지지점이 180o 이상의 범위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렌즈 지지부(100)와 경통부(20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촬상장치
25: 렌즈부
30: 렌즈 조립체
100: 렌즈 지지부
200: 경통부
210, 220, 230, 240: 제1 지지부
G1: 광축
G2: 경통부의 기하학적 중심
250, 260, 270, 280: 제2 지지부
261, 262, 263, 264: 이격 구간
101, 102, 103, 104: 결합편
161, 162, 163: 제1 돌출부
150: 제2 돌출부
T1: 결합편의 두께
T2: 제2 돌출부의 두께
H: 제1 돌출부의 두께
α1: 제1 회전 각도
α2: 제2 회전 각도
β1: 제1 배치 각도
θ: 틸팅 각도

Claims (8)

  1.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된 띠 형상의 복수의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경통;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편을 구비하며,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촬상소자에 결상시키는 렌즈부를 지지하는 링 형상의 렌즈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편은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부면 중 일부에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보는 하부면 중 일부에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경통과 상기 렌즈 지지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경통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돌출부가 서로 지지되는 지점이 3개 이상인,
    경통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이 상기 렌즈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O이상에 걸쳐 배치되는,
    경통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틸팅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결합편은 상기 복수의 제1 지지부와 마주보는 상부면 중 일부에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마주보는 하부면 중 일부에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부가 틸팅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와 2지점에서 지지되는,
    경통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과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점이 상기 렌즈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180O이상에 걸쳐 배치되는,
    경통 조립체.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에 따라 틸팅 정도가 결정되는,
    경통 조립체.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가 제1 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은,
    경통 조립체.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통 조립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130161784A 2013-12-23 2013-12-23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50073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84A KR20150073746A (ko) 2013-12-23 2013-12-23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84A KR20150073746A (ko) 2013-12-23 2013-12-23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46A true KR20150073746A (ko) 2015-07-01

Family

ID=5378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784A KR20150073746A (ko) 2013-12-23 2013-12-23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7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3763A1 (zh) * 2018-10-11 2020-04-16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成像模组和电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3763A1 (zh) * 2018-10-11 2020-04-16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成像模组和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6960B2 (en) Miniature lens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435545B2 (en) Camera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230777B2 (en) Lens unit and compact image pickup module
US8432477B2 (en) Cam frame structure, lens barrel structure, shake compensation device and imaging element unit
KR101425788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US9664877B2 (en) Prism-based focal plane adjustment for thermal compensation in a lens assembly
CN210954387U (zh) 成像镜头、相机模块与电子装置
JP5573425B2 (ja) ねじマウントレンズ鏡筒
JP2009139705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8018013A (ja) 光学ユニット
TW202101100A (zh)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JP2020109481A (ja)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140036648A (ko)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9465186B2 (en) Lens module
KR20150073746A (ko)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11156795B2 (en) Lens module
JP2019105791A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211003A (ja) 鏡筒装置及び撮像ユニット
US9726853B2 (en) Auto-focu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2208279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ユニット
US7542216B2 (en) Zoom lens system
US11204537B2 (en) Lens module
US10893180B2 (en) Imaging device
JPWO2015115351A1 (ja) 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光学素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9876947B2 (en) Optical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