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417A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417A
KR20150071417A KR1020130158444A KR20130158444A KR20150071417A KR 20150071417 A KR20150071417 A KR 20150071417A KR 1020130158444 A KR1020130158444 A KR 1020130158444A KR 20130158444 A KR20130158444 A KR 20130158444A KR 20150071417 A KR20150071417 A KR 2015007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oncrete
pair
fix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159B1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102013015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1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과 수직되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근되는 1쌍의 제 2 철근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이 각각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1쌍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수직면 하부 단부를 구부려진 부분을 갖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게 배치된 상기 제 2 철근을 수용하는 철근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체결 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철근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고정하도록 체결하는 클램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움 안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 레벨봉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평하는 제 1 철근 상에서 작업하므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수직하는 제 2 철근의 일정한 높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낮은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배열되는 제 2 철근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의해 이 제 2 철근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Concrete placing leveler and installing jig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하는 철근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균일한 높이로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주택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施工)함에 있어서는, 초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내부와 바닥면에 필요한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충진시켜서 건축물 축조(築造)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초기에 상층의 바닥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이 콘크리트면 위에 실내의 크기 및 수평을 맞추기 위한 먹줄 표시선을 표시한다. 그리고 각재 및 합판 등을 먹줄 표시선을 따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를 고정수단 예컨대 못등을 통해 고정 설치한 다음 각재에 맞추어 미리 짜여진 수평 및 수직의 거푸집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거푸집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는 바닥 콘크리트가 고르지 못하여 정밀하게 평면을 맞추기 어려운데, 특히 수평과 높이 조절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고도의 숙련을 요하는 인력이 필요로 하였다. 또한 건축시공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과 거푸집의 설치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공사지연 원인의 요인이 되어왔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제거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특허 등록 제 10-0794617 호(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슬래브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철근에 끼워 몸체를 고정되게 하는 끼움부와, 끼움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끼움부가 자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부에 회동방지부를 설치하고, 표시부에 충격흡수부를 형성시키며, 표시부가 나사막대와 이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표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표지에 구멍을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즉, 슬래브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격자 형태로 배근한 철근을 끼워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구멍이 형성된 표지를 나사체결로 승,하강시켜 콘크리트의 적정한 타설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많은 갯수가 고정되게 체결되는데 이를 일일이 작업자가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나사 체결되는 표지의 높이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은 숙련된 작업자의 필요로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철근에 올라가 작업을 하므로 이 철근의 상하로 움직이거나 변형되어 표지의 높이를 정밀하게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배열되는 철근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에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인건비가 낮은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 배열되는 철근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철근 상에서 작업을 하여도 타설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표시부의 높이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배열되는 철근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배열되는 철근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표시부가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도록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건축물 시공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과 수직되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근되는 1쌍의 제 2 철근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이 각각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1쌍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수직면 하부 단부를 구부려진 부분을 갖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게 배치된 상기 제 2 철근을 수용하는 철근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체결 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철근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고정하도록 체결하는 클램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움 안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 레벨봉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1쌍의 볼트공은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의 간격 변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레벨봉은 직경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과 나머지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 동일한 직경을 갖거나 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이 상기 나머지 노출된 부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또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설치 지그는 건축물 시공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과 수직되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근되는 1쌍의 제 2 철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양측 끝 부분에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과 이 제 1 관통홀 사이에 제 2 관통홀을 갖는 사각봉으로 형성된 고정 블럭과, 상기 제 1 관통홀에 끼워져 하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끝단이 상기 수평 거푸집의 표면에 접촉되어 고정 블럭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 볼트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끼워져 상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높이 조절 볼트와, 상기 1쌍의 제 2 철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노출된 끝단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 표면이 수평되게 실장되는 기준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 및 기준 블럭의 상기 "┗┛"자 형상을 갖는 홈의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준 블럭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수준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고정 블럭 및 기준 블럭이 자석에 붙는 철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높이 조절 볼트의 노출된 헤드 부분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평하는 제 1 철근 상에서 작업하므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는 수직하는 제 2 철근의 일정한 높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낮은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 배열되는 제 2 철근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의해 이 제 2 철근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수직 배열된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가 수직 배열된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는 1쌍의 볼트공(15)을 갖는 고정 브라켓(13), 클램프(17) 및 레벨봉(18)을 포함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21)에 대응되게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23)이 아닌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 거푸집(25) 내에 수직으로 배근된 제 2 철근(27)에 고정되게 체결된다.
고정 브라켓(13)은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과 접촉되게 가로 방향이 길게 형성되어 1쌍의 볼트공(15)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1쌍의 볼트공(15)은 고정 브라켓(13)에 접촉되는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이 중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데,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의 사이의 간격이 넓거나 좁아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볼트공(15)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13)은 아래 방향을 향하는 하부 단부는 레벨봉(18)을 감싸 고정시키도록 구부려지게 형성된다.
클램프(17)는 1쌍이 각각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에 고정 브라켓(13)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에서 클램프(17)는 중간 부분에 제 2 철근(27)을 각각 삽입 수용하는 부분을 가지며 양측 부분은 고정 브라켓(13)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1쌍의 볼트공(15)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19) 및 너트(도 2의 참조 번호 20)에 의해 고정 브라켓(13)을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에서 클램프(17)에 의해 제 2 철근(27)에 체결되어 고정된 고정 브라켓(13)은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이 변형되어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클램프(17)에 의해 수직 배근된 제 2 철근(27)에 고정 브라켓(13)을 고정되게 체결되므로 작업자 등에 의해 제 1 철근(23)의 높이가 변형되어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의 높이는 변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레벨봉(18)은 고정 브라켓(13)의 아래 방향을 향하는 일측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에서 레벨봉(18)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3)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레벨봉(18)은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과 나머지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고정 브라켓(13)의 일측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타설 작업시 움직이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수직 거푸집(25) 내에 수직으로 제 2 철근(27)이 배근되고 수평 거푸집(21)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철근(27)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의 레벨봉(18)을 기준으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에, 콘크리트는 수직 거푸집(25) 내에 타설되어 벽체(31)를 형성하고, 수평 거푸집(21) 상에 레벨봉(18)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상부가 노출되도록 묻히도록 하여 슬라브(29)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의 콘크리트에 묻히지 않고 노출되는 고정 브라켓(13)은 다음 층의 벽체(도시되지 않음)에 묻힌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지그(33)는 고정 블럭(35), 기준 블럭(37), 고정 볼트(43), 높이 조절 볼트(45), 제 1 및 제 2 자석(47)(48)과 수준기(49)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고정 블럭(35)은 사각봉으로 일측면의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제 2 철근(27)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을 가지며 자석에 붙는 금속, 즉, 철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블럭(35)은 양측 끝 부분에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39)과, 이 제 1 관통홀(39) 사이에 제 2 관통홀(41)이 형성된다.
기준 블럭(37)은 사각봉으로 일측면의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제 2 철근(27)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을 가지며 자석에 붙는 금속, 즉, 철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준 블럭(37)은 고정 블럭(35)과 수평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다. 기준 블럭(37)은 상부 표면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고정 브라켓(13)의 하부가 접촉되게 실장한 상태에서 클램프(17)로 제 2 철근(27)을 감싼 후 체결 볼트(19) 및 너트(20)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한다.
고정 볼트(43)는 제 1 관통홀(39)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져 하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 볼트(43)의 제 1 관통홀(39)의 하부의 노출된 끝단은 노출된 끝단이 도 2에 도시된 수평 거푸집(21)의 표면에 접촉되어 고정 블럭(35)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 조절 볼트(45)는 제 2 관통홀(41)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져 상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높이 조절 볼트(45)는 상부에 노출된 끝단의 헤드 부분은 제 2 철근(27)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기준 블럭(37)이 실장되어 체결 높이를 일정하고 빠르게 한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높이 조절 볼트(45)의 상부에 노출된 헤드 부분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자석(47)(48)은 고정 블럭(35) 및 기준 블럭(37)의 각각에 형성된 "┗┛"자 형상을 갖는 홈에 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 자석(47)(48)은 제 2 철근(27)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 블럭(35) 및 기준 블럭(37)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지 않아도 고정시킨다. 즉, 제 2 철근(27)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고정 블럭(35)을 고정 볼트(43)가 수평 거푸집(21)의 표면에 접촉되게 위치시키고 기준 블럭(37)을 높이 조절 볼트(45)의 헤드에 실장하면 제 2 자석(48)의 자력에 의해 제 2 철근(27)에 부착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수준기(49)는 기준 블럭(37)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기포관(도시되지 않음)을 갖추어 기포가 중앙에 위치할 때 이 기준 블럭(37)이 수평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준 블럭(37)이 수평하지 않으면 제 2 철근(27)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가 수평하지 않게 고정 체결되어 레벨봉(18) 양끝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콘크리트는 타설 높이가 변하거나 평탄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수준기(49)의 기포 위치가 중앙에 위치하는 가를 판단하여 기준 블럭(37)의 수평을 확인한 후 제 2 철근(27)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수평하게 고정 체결한다. 이에, 레벨봉(18) 양끝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므로 콘크리트가 동일한 높이로 평탄하게 타설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지그(3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고정되게 체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설치 지그(33)를 수직으로 배근된 제 2 철근(27)에 제 2 철근(27)에 부착시킨다. 상기에서 설치 지그(33)는 고정 블럭(35)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관통홀(39)(41) 각각에 고정 볼트(43)와 높이 조절 볼트(45)를 끼운다. 그리고, 고정 볼트(43)의 하부를 수평 거푸집(21)의 표면에 접촉되어 고정 블럭(35)을 제 2 철근(27)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 블럭(35)은 제 1 자석(47)의 자력에 의해 제 2 철근(27)에 부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유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준 블럭(37)을 높이 조절 볼트(45)의 헤드에 실장하고 수준기(49)의 기포가 기포관(도시되지 않음)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고정 블럭(35)의 높이를 조절하여 기준 블럭(37)이 수평이루도록 한다. 이때, 기준 블럭(37)도 제 2 자석(48)의 자력에 의해 제 2 철근(27)에 부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지 않아도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고정 블럭 및 기준 블럭(37)이 작업자가 손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제 1 및 제 2 자석(47)(48)에 의해 제 2 철근(27)으로부터 유동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그 다음, 아래 방향을 향하는 일측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레벨봉(18)이 끼워져 고정된 고정 브라켓(13)을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2개의 볼트공(15)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을 1쌍의 클램프(17)의 각각 삽입 수용하는 부분에 수용하면서 양측 부분이 고정 브라켓(13)에 접촉시킨다. 그 후 볼트공(15)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19) 및 너트(20)에 의해 고정 브라켓(13)을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에서 고정 브라켓(13)은 서로 인접되게 배근된 1쌍의 제 2 철근(27)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하게 하는 스페이서의 기능도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설치 지그(3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연속해서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는데, 이 후에는 높이가 조절된 고정 블럭(35)과 기준 블럭(37)을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일정한높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수준기(49)의 기포 위치를 확인하여 기준 블럭(37)의 수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기준 블럭(37)이 수평을 이루지 않은 경우에는 높이 조절 볼트(45)를 미세 조정하여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일정한 높이에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감소할 수 있으며, 특히, 인건비가 낮은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11)를 수직 배열되는 제 2 철근(27)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철근(23) 상에서 작업을 하여도 일정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13 : 고정 브라켓
17 : 클램프 18 : 레벨봉
23 : 제 1 철근 27 : 제 2 철근
33 : 설치 지그 35 : 고정 블럭
37 : 기준 블럭 43 : 고정 볼트
45 : 높이 조절 볼트 47, 48 : 제 1 및 제 2 자석
49 : 수준기

Claims (7)

  1. 건축물 시공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과 수직되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근되는 1쌍의 제 2 철근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이 각각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1쌍의 볼트공이 형성되며 수직면 하부 단부를 구부려진 부분을 갖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게 배치된 상기 제 2 철근을 수용하는 철근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체결 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철근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고정하도록 체결하는 클램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움 안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 레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볼트공은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의 간격 변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벨봉은 직경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단부의 구부려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과 나머지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 동일한 직경을 갖거나 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에 끼워지는 부분이 상기 나머지 노출된 부분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4. 건축물 시공시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거푸집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근된 제 1 철근과 수직되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배근되는 1쌍의 제 2 철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양측 끝 부분에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과 이 제 1 관통홀 사이에 제 2 관통홀을 갖는 사각봉으로 형성된 고정 블럭과,
    상기 제 1 관통홀에 끼워져 하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끝단이 상기 수평 거푸집의 표면에 접촉되어 고정 블럭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 볼트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끼워져 상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된 높이 조절 볼트와,
    상기 1쌍의 제 2 철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자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노출된 끝단에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상기 1쌍의 제 2 철근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 표면이 수평되게 실장되는 기준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 및 기준 블럭의 상기 "┗┛"자 형상을 갖는 홈의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자석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블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준 블럭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수준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블럭.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 및 기준 블럭이 자석에 붙는 철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블럭.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노출된 헤드 부분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설치 블럭.
KR1020130158444A 2013-12-18 2013-12-18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KR101627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44A KR101627159B1 (ko) 2013-12-18 2013-12-18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44A KR101627159B1 (ko) 2013-12-18 2013-12-18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17A true KR20150071417A (ko) 2015-06-26
KR101627159B1 KR101627159B1 (ko) 2016-06-03

Family

ID=5351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44A KR101627159B1 (ko) 2013-12-18 2013-12-18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271A (zh) * 2015-09-09 2015-11-25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机械式预埋螺栓定位安装组件
KR20220008003A (ko) * 2020-07-13 2022-01-20 노희아 건축용 레벨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053A (ja) * 1995-09-29 1997-04-08 Akoo:Kk 鉄筋用保持具
KR100680250B1 (ko) * 2004-12-31 2007-02-07 김진선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JP2009266409A (ja) * 2008-04-22 2009-11-12 Hokumei Denki Kogyo Kk 導光板面発光方式表示装置の導光板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053A (ja) * 1995-09-29 1997-04-08 Akoo:Kk 鉄筋用保持具
KR100680250B1 (ko) * 2004-12-31 2007-02-07 김진선 콘크리트 수평 인식부재
JP2009266409A (ja) * 2008-04-22 2009-11-12 Hokumei Denki Kogyo Kk 導光板面発光方式表示装置の導光板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271A (zh) * 2015-09-09 2015-11-25 成都蒲江珂贤科技有限公司 机械式预埋螺栓定位安装组件
KR20220008003A (ko) * 2020-07-13 2022-01-20 노희아 건축용 레벨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159B1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56B1 (ko) 거푸집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및 방법
JP4738886B2 (ja) 設備用基礎
RU2011135194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тонной платформы, бет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101627159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및 그 설치 지그
JP4523869B2 (ja) 鋼管基礎杭の柱固定用部材設置方法及び柱固定用部材設置装置
JP2008081980A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出し治具
EP2414604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20100117288A (ko)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200900881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JP3673108B2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EP2337910B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ncrete cover of reinforcements during casting
CN112096096B (zh) 预埋钢板的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JP4723920B2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装置
JP3118630U (ja) 床面コンクリートレベルのグリップ装着用案内具
JP5706182B2 (ja) 免震ベースプレート取付治具と取付方法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CN215671162U (zh) 一种可拆卸混凝土板厚控制装置
KR101426650B1 (ko) 건축물 골조 형성 구조
CN219138157U (zh) 插筋定位施工装置
JPH0138947B2 (ko)
KR102202853B1 (ko) 수평 레벨 조정이 용이한 콘크리트 매립형 선설치 레일 앵커 시공공법
KR200215935Y1 (ko) 거푸집 설치용 프레임 셋팅장치
CN219011521U (zh) 一种混凝土钢结构预埋组件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JP2012067441A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