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753A -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753A
KR20150067753A KR1020157008331A KR20157008331A KR20150067753A KR 20150067753 A KR20150067753 A KR 20150067753A KR 1020157008331 A KR1020157008331 A KR 1020157008331A KR 20157008331 A KR20157008331 A KR 20157008331A KR 20150067753 A KR20150067753 A KR 20150067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rtion
cup member
metal
outer diameter
metal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194B1 (ko
Inventor
다카시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5006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5/00Generation of pressure gas, e.g. for blasting cartridges, starting cartridges,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4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for producing gas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쒸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D3)이 최대이고, 축방향 반대측 부분의 외경(D4)이 최소인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R1,
상기 가이드부의 최소 외경(D4)과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이 R1>D4를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GAS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 등, 차량의 인원 구속 장치 등에 사용되는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 내에 다양한 부품이 수용되어 있고, 그들 부품끼리는 용접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비용의 삭감과 조립의 간편성으로부터,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부품끼리를 압입시킨 상태로 끼워 맞추어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미국 특허 공보 제6139055호 명세서의 가스 발생기(10)는 하우징(12)을 구성하는 베이스(16)의 바닥부에 개구(36, 38)가 형성되고, 거기에 이니시에이터(62)를 보유 지지하는 어댑터 플러그(70)가 고정되어 있다. 어댑터 플러그(70)에 대해 컵 형상의 하우징(52)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52)의 개구부는 어댑터 플러그(7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1599호 공보의 도 3에 개시된 가스 발생기에서는 점화기의 금속제 칼라(collar)에 통 부재가 끼워 넣어져 있는데, 통 부재는 금속제 칼라에 접촉되어 있는 부분의 내경이 확대되고, 또한 내주면에 금속제 칼라를 끼워 넣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제1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지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D3)이 최대이고, 축방향 반대측 부분의 외경(D4)이 최소인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R1,
상기 가이드부의 최소 외경(D4)과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이 R1>D4를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제2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2)이 D1>D2,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이 D1≥R1,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2)과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이 R1>D2를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제3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5)이 D1=D5,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5)이 D1=D5≥R1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제4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원기둥부와 원기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이 D1=D8,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이 D1=D8≥R1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제5 발명은,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경(D6)이 D1=D6,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경(D7)이 D1>D7,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경(D6)이 D1=D6≥R1,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경(D7)이 R1>D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제1 가이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상기 제2 발명, 상기 제3 발명, 상기 제4 발명 및 상기 제5 발명 각각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상기 제2 발명, 상기 제3 발명, 상기 제4 발명 및 상기 제5 발명 각각의 조립 방법으로서,
하우징 바닥면에 고정된 점화기 조립체에 금속제 컵 부재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공정을 갖고 있고,
상기 공정이, 상기 금속제 컵 부재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점화부측으로부터 끼워 넣을 때,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가이드부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이 어긋났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과시키는 동안에 2개의 중심축의 어긋남을 수정하여 일치시키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의 점화기 조립체와 컵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점화기 조립체를 사용했을 때의 점화기 조립체와 컵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화기 조립체를 사용했을 때의 점화기 조립체와 컵 부재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와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화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와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화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미국 특허 공보 제6139055호 명세서의 가스 발생기(10)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어댑터 플러그(70)에 하우징(52)을 압입하도록 하여 끼워 넣는데, 어댑터 플러그(70) 두께(하우징(52)에 대한 끼워 넣기 방향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압입할 때에는 큰 하중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압입 작업 중에 하우징(52)이 어댑터 플러그(70)에 대해 비스듬히 장착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그 상태에서 무리하게 압입을 계속하려고 하면 더욱 큰 하중이 필요해져 하우징(52)이 변형될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압입 작업의 도중에 하우징의 기울기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단 하우징(52)이 어댑터 플러그(70)에 대해 비스듬히 장착된 경우에는, 하우징(52)의 개구부가 어댑터 플러그(70)에 물려 들어간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기울기를 수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1599호 공보의 통 부재는 금속제 칼라에 대해 압입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점화기 조립체에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는 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며,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조립 시에 있어서 컵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의 발생률이 저감된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2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점화기 조립체와 금속제 컵 부재와의 상호 배치 상태(고정 상태)에 특징이 있는 것이고,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공지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금속제 컵 부재는 컵 형상의 것 외에, 통 형상의 것, 통 형상의 것으로 일단부측 개구부가 덮개로 폐색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제 컵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약제 충전실은 전화약 내지는 점화제로서의 가스 발생제를 충전한 전화실 내지는 점화실, 가스원이 되는 가스 발생제를 충전한 연소실이다.
제2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상기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과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끼리가 어긋난 경우라도, 가이드부에 있어서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 시에 있어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리스크가 크게 경감된다.
그 후, 금속제 컵 부재를 고정부에 압입할 때, 가이드부에 의해 금속제 컵 부재가 축을 따른 상태가 되어 금속제 컵 부재의 변형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
그리고,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고정부의 외경(D1)이 D1≥R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이 고정부의 외주벽면으로 압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금속제 컵 부재와 금속제 칼라는 동일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상이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경도(예를 들어, 비커스 경도)에 차가 있는 상이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금속제 컵 부재의 경도가 높아지고 금속제 칼라의 경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고, 경도의 관계가 반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제 컵 부재로서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고, 금속제 칼라로서 알루미늄이나 탄소강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도에 차가 있는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제 컵 부재와 금속제 칼라를 사용하면, 금속제 컵 부재를 압입할 때의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부의 둘레면을 깎아내도록 하여 압입할 수 있으므로 압입 상태가 보다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제1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가이드부의 형상이 제2 발명과는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가이드부는 고정부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D3)이 최대이고, 축방향 반대측 부분의 외경(D4)이 최소인 경사면(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임)을 갖고 있다.
상기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제2 발명과 마찬가지로,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과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끼리가 어긋난 경우라도, 가이드부에 있어서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 시에 있어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리스크가 크게 저감된다.
제3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가이드부의 형상 및 재질이 제2 발명의 것과는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가이드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가이드부가 수지이므로, 제2 발명과 마찬가지로,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과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끼리가 어긋난 경우라도, 가이드부에 있어서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 시에 있어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리스크가 크게 저감된다.
또한, D5>R1이라 하더라도 금속제 컵 부재와 수지의 경도 차가 크기 때문에, 금속제 컵 부재를 가이드부에 끼워 넣을 때에는 가이드부 외주면의 수지를 깎아내면서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은 원활하게 실시된다.
제5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가이드부의 형상 및 재질이 제2 발명의 것과는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가이드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가이드부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제2 발명과 마찬가지로,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과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끼리가 어긋난 경우라도, 제2 가이드부에 있어서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 시에 있어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리스크가 크게 저감된다.
또한, D6>R1이라 하더라도, 금속제 컵 부재와 수지의 경도 차가 크기 때문에, 금속제 컵 부재를 제1 가이드부에 끼워 넣을 때에는 제1 가이드부 외주면의 수지를 깎아내면서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은 원활하게 실시된다.
제4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가이드부의 형상 및 재질이 제2 발명의 것과는 다른 것 외에는 동일한 것이다. 가이드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가이드부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제2 발명과 마찬가지로,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과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끼워 넣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끼리가 어긋난 경우라도, 제2 가이드부에 있어서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 시에 있어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의 리스크가 크게 저감된다.
또한, D8>R1이라 하더라도, 금속제 컵 부재와 수지의 경도 차가 크기 때문에, 금속제 컵 부재를 가이드부에 끼워 넣을 때에는 가이드부 외주면의 수지를 깎아내면서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끼워 넣기 작업은 원활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 의하면, 조립 시에 있어서의 컵 부재나 점화기 조립체의 파손 발생률이 크게 저감된다.
발명 1과 발명 2에서 금속 칼라는 고정부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고정부의 일부가 구멍에 삽입되고, 그 이외의 부분(잔부)이 바닥판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발명 3, 발명 4와 발명 5에서 금속 칼라는 고정부와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수지로 포위되어 있는 부분이 칼라에 포함될 때, 수지로 덮이는 부분은 가이드부가 된다. 고정부의 일부가 구멍에 삽입되고, 그 이외의 고정부가 제1 잔부로서 바닥판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는 수지로 덮인 부분이고, 그 부분을 제1 잔부 이외의 제2 잔부로 한다.
고정부는 구멍에 삽입된 부분과 다른 잔부를 포함한다.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는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이다.
발명 3, 발명 4와 발명 5에서 고정부는 제1 잔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제2 잔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의 제1 잔부(노출부)로 금속성 컵을 고정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1) 도 1, 도 2의 가스 발생기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0)는 점화기 조립체(21)와 점화기 컵 부재(금속제 컵 부재)(32)의 고정 상태가 다른 것 외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5675호 공보의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와 동일한 것이다.
에어백용 가스 발생기(10)는 디퓨저 쉘(diffuser shell)(12)과 클로저 쉘(closure shell)(13)이 접합 일체화된 하우징(11)에 의해 외각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 쉘(12)의 주위벽부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배출구(14)는 내측으로부터 알루미늄제의 시일 테이프(15)로 폐색되어, 하우징(11) 내부가 기밀(氣密)하게 유지되어 있다.
클로저 쉘(13)은 벽면이 되는 바닥면(13a)에 2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각각에 제1 점화 수단(제1 점화기 조립체)(21)과 제2 점화 수단(제2 점화기 조립체)(25)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조립체(21)는 제1 점화기 칼라(22)에 고정된 제1 점화기(23)를 갖고 있고, 제1 점화기 칼라(22)와 제1 점화기(23)는 수지(29)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2 점화기 조립체(25)는 제2 점화기 칼라(26)에 고정된 제2 점화기(27)를 갖고 있고, 제2 점화기 칼라(26)와 제2 점화기(27)는 수지(29)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22)와 제2 점화기 칼라(26)는 탄소강제이다.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1 연소실(31)이고, 환상의 필터(45)의 내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1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소실(31)에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배치되어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는 내경이 균일하고 바닥부(32a)를 갖는 컵인데, 일단의 개구부를 덮개로 폐색한 통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실 컵 부재(32)는 스테인리스제이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주위벽부(32b)에는 점화실(약제 충전실)(33)과 제1 연소실(31)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34)은 제1 가스 발생제를 가능한 한 균등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그의 형성 위치나 수가 조정되어 있고, 작동 전에는 시일 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폐색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는 제1 점화기 조립체(21)에 씌워져 고정되어 있고, 그의 내부의 공간은 점화실(33)이 되어 있다. 점화실(33)은 내부에 제1 점화기(23)와, 그에 의해 착화ㆍ연소되는 공지의 전화약(붕소 초석 등의 흑색 화약이나, 연소 온도가 높은 가스 발생제 등)이 충전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도 2에 의해 점화실 컵 부재(32)의 제1 점화기 조립체(21)에 대한 고정 상태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점화기 칼라(22)는 바닥면(13a)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바닥면(13a)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50)와, 고정부(50)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54)를 갖고 있다. 고정부(50)와 가이드부(54)는 탄소강제이다.
제1 점화기 칼라(22)의 고정부(50)의 외경(D1)과 가이드부(54)의 외경(D2)은 D1>D2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D1과 D2는, 예를 들어 D2/D1=0.96 내지 0.99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경 차가 있으므로, 고정부(50)와 가이드부(54)의 경계 부분에는 환상 면(51)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면(51)의 외주연 부분은 점화실 컵 부재(32)를 끼워 넣을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둥근 형상을 띠도록 모따기 가공을 할 수도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과 고정부(50)의 외경(D1)은 D1≥R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또한, D1>R1의 경우에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전에는 D1이 R1보다도 0.1 ㎜ 정도 크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54)의 외경(D2)과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은 R1>D2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고정부(50)의 축방향 길이(L1)와 가이드부(54)의 축방향 길이(L2)는 도면에서는 L2>L1로 되어 있지만, 반대의 길이 관계일 수도 있고,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 고정부(50)의 축방향 길이(L1)는 3 내지 6 ㎜로 할 수 있고, 가이드부(54)의 축방향 길이(L2)는 3 ㎜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1, 도 2의 (b)의 가스 발생기(10)에 있어서는, 점화실 컵 부재(32)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벽면과 고정부(50)의 외주벽면이 압입되어 있고,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벽면과 가이드부(54)의 외주벽면 사이에는 환상 간극(52)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는 고정부(50)와 가이드부(54)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다.
바닥부(32a)는 하우징(11)의 천장면(12a)에 접촉되어 있다. 개구부(32c)는 하우징(11)의 바닥면(13a)에 배치된 가스킷 시트(18)에 접촉되어 있다. 이 가스킷 시트(18)는 점화실(33) 및 제2 연소실(35)의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가스킷 시트(18)는 생략할 수 있다.
제1 연소실(31) 내부의 점화실 컵 부재(32)에 인접한 위치에는 연소실 컵 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연소실 컵 부재(41)의 내부에는 제2 연소실(35)이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연소실 컵 부재(41)의 내경은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보다도 크다.
연소실 컵 부재(41)는 바닥부(41a)를 갖는 컵 형상이고, 개구부(41c)가 제2 점화기 칼라(26)에 압입되어 있다. 연소실 컵 부재(41)와 제2 점화기 칼라(26)의 고정 상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5675호 공보의 도 1과 동일하지만, 상기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제1 점화기 조립체(21)의 고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연소실 컵 부재(41)의 바닥부(41a)는 하우징(11)의 천장면(12a)에 접촉되어 있다. 개구부(41c)의 주연은 하우징(11)의 바닥면(13a)에 배치한 가스킷 시트(18)에 접촉되어 있다.
연소실 컵 부재(41)의 주위벽부(41b)에는 제2 연소실(35)과 제1 연소실(31)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스테인리스제의 시일 테이프(42a)에 의해 외측(제1 연소실(31)측)으로부터 덮여 있다. 이 시일 테이프(42a)는 제1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었을 때에는 연통 구멍(42)을 개구시키지 않고, 제2 가스 발생제가 작동했을 때에만 연통 구멍(42)을 개구시키는 것이다. 또한, 시일 테이프(42a) 이외에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70073호 공보와 같은 컵형의 부재를 씌워 연통 구멍(42)을 폐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 자체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우징 바닥면(13a)에 고정된 제1 점화기 조립체(21)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공정은 신규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는 제1 점화기 조립체(21)(제1 점화기(23))의 점화부(23a)로부터 씌운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중심축과 점화기 조립체(21)의 중심축(X1)을 일치시킨 상태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로부터 제1 점화기 칼라(22)의 가이드부(54)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50)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화실 컵 부재(32)를 점화기 조립체(21)에 끼워 넣는 공정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기울어져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21)의 중심축(X1)이 어긋난 경우에는, 그대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하면 점화실 컵 부재(32)가 변형되거나, 반대로 제1 점화기 칼라(22)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두번 다시 그들 부재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상기한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가이드부(54)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21)의 중심축(X1)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50)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압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가이드부(54)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축(X1)을 따라서 환상 면(51)까지 도입되는 동안, 축(X1)에 대한 기울기를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수정한 후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함으로써,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50)를 압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가이드부(54)까지 끼웠을 때에는, 자연히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21)의 중심축(X1)을 따른 상태가 되므로, 고정부(50)에 있어서의 압입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다음에, 도 1의 가스 발생기(1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의 가스 발생기는 통상 각각의 점화기(23, 27)가 작동 회로(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크기에 따라서 제1 점화기(23)와 제2 점화기(27)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제1 점화기(23)만이 작동하는 경우, 제1 점화기(23)가 먼저 작동하고 제2 점화기(27)가 늦게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점화기(23)가 먼저 작동하고 제2 점화기(27)가 늦게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차가 충돌하여 충격을 받았을 때,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작동 신호를 받고, 제1 점화기(23)가 작동 점화하여 전화약을 착화 연소시킨다(점화실(33) 내에 연소 생성물을 발생시킨다). 그 후, 연통 구멍(34)을 통해 연소 생성물이 제1 연소실(31) 내에 방출되고, 제1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킨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50)가 압입되어 있으므로, 개구부(32c)측으로부터 연소 생성물이 누설될 가능성이 낮다.
제1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어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하고, 그것이 필터(45)를 통해 여과 및 냉각된 후, 시일 테이프(15)를 찢고, 가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이때, 제2 연소실(35)은 연소실 컵 부재(41)에 형성된 연통 구멍(42)이 스테인리스제의 시일 테이프(42a)로 폐색된 상태이므로, 고온의 연소 가스는 제2 연소실(35)에는 진입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는 일은 없다.
약간 늦게 제2 점화기(27)가 작동하여, 제2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킨다. 그리고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하여, 제2 연소실(35) 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압력 상승에 의해 연통 구멍(42)을 덮는 시일 테이프(42a)는 탈락되는 것처럼 제거되어, 연통 구멍(42)이 개구된다. 그러면, 제2 가스 발생제로부터의 연소 가스는 연통 구멍(42)을 통해 제1 연소실(31)에 유입되고, 필터(45)를 통해 여과 및 냉각된 후, 가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백을 더 팽창시킨다.
(2) 도 3의 가스 발생기
도 3의 (a), (b)는 각각 도 2의 (a), (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가이드부(154)의 형상이 도 2의 가이드부(54)와 다르지만, 그 외의 부분은 도 1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하다.
제1 점화기 조립체(121)는 제1 점화기 칼라(122)에 고정된 제1 점화기(23)를 갖고 있고, 제1 점화기 칼라(122)와 제1 점화기(23)는 수지(129)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122)는 고정부(150)와 가이드부(154)를 갖고 있다.
가이드부(154)는 고정부(150)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D3)이 최대이고, 축방향 반대측 부분의 외경(D4)이 최소인 경사면을 갖고 있다.
가이드부(154)의 최대 외경(D3)과 최소 외경(D4)은, 예를 들어 D4/D3=0.96 내지 0.99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고정부(150)의 외경(D1)과 가이드부(154)의 최대 외경(D3)은 D1=D3이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과 고정부(150)의 외경(D1) 및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은 D1=D3≥R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D1=D3>R1의 경우에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전에는 D1 및 D3이 R1보다도 0.1 ㎜ 크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154)의 최소 외경(D4)과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은 R1>D4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는 고정부(150)와 가이드부(154)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고정부(150)의 축방향 길이(L1)와 가이드부(154)의 축방향 길이(L2)는 L2≥L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고정부(150)의 축방향 길이(L1)는 3 내지 6 ㎜로 할 수 있고, 가이드부(154)의 축방향 길이(L2)는 3 ㎜ 정도이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는 제1 점화기 조립체(121)(제1 점화기(23))의 점화부(23a)로부터 씌운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중심축과 점화기 조립체(121)의 중심축(X1)을 일치시킨 상태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로부터 제1 점화기 칼라(122)의 가이드부(154)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150)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화실 컵 부재(32)를 점화기 조립체(121)에 끼워 넣는 공정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기울어져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121)의 중심축(X1)이 어긋난 경우에는, 그대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하면 점화실 컵 부재(32)가 변형되거나, 반대로 제1 점화기 칼라(122)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두번 다시 그들 부재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상기한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가이드부(154)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121)의 중심축(X1)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150)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압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가이드부(154)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축(X1)을 따라서 도입되는 동안, 축(X1)에 대한 기울기를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수정한 후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함으로써,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150)를 축(X1)을 따라서 압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가이드부(154)까지 끼웠을 때에는, 자연히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121)의 중심축(X1)을 따른 상태가 되므로, 고정부(150)에 있어서의 압입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했을 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벽면과 가이드부(154)의 외주벽면 사이에는 환상 간극(152)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3) 도 4의 가스 발생기
도 4의 (a), (b)는 각각 도 2의 (a), (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 점화기 조립체(221)의 구조가 도 2와는 다르지만, 그 외의 부분은 도 1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하다.
제1 점화기 조립체(221)는 제1 점화기 칼라(222)에 고정된 제1 점화기(23)를 갖고 있고, 제1 점화기 칼라(222)와 제1 점화기(23)는 수지(229)로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점화기 칼라(222)의 대부분은 수지(229)에 매설된 상태이고, 바닥면(13a)측의 일부가 노출되어 고정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점화기 칼라(222)의 대부분은 수지(229)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수지(229)의 외주벽면이 가이드부(254)가 된다.
고정부(250)의 외경(D1)과 가이드부(254)의 외경(D5)은 동일하다.
또한, D1=D5≥R1이고,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전에는 D1 및 D5가 R1보다도 0.1 ㎜ 크게 할 수 있다.
고정부(250)의 축방향 길이(L1)와 가이드부(254)의 축방향 길이(L2)는 도면에서는 L2>L1로 되어 있지만, 반대의 길이 관계일 수도 있고,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 고정부(250)의 축방향 길이(L1)는 3 내지 6 ㎜로 할 수 있고, 가이드부(254)의 축방향 길이(L2)는 3 ㎜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는 고정부(250)와 가이드부(254)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는 제1 점화기 조립체(221)(제1 점화기(23))의 점화부(23a)로부터 씌운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중심축과 제1 점화기 조립체(221)의 중심축(X1)을 일치시킨 상태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로부터 가이드부(254)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250)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화실 컵 부재(32)를 점화기 조립체(221)에 끼워 넣는 공정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기울어져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221)의 중심축(X1)이 어긋난 경우에는, 그대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하면 점화실 컵 부재(32)가 변형되거나, 반대로 제1 점화기 칼라(222)가 크게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그들 부품은 두번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상기한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금속제로 단단하고 가이드부(254)는 수지제로 상대적으로 연하므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가이드부(254)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221)의 중심축(X1)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250)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압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가이드부(254)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끼워 넣어지는 동안에 주위벽면이 깎여도 되고, 점화실 컵 부재(32)가 축(X1)을 따라서 도입되는 동안 축(X1)에 대한 기울기를 규제하고 있다. 가이드부(254)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으면 되고, 고정부(250)와 같이 압입 고정의 기능은 없어도 된다.
그리고 수정한 후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함으로써,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250)를 축(X1)을 따라서 압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가이드부(254)까지 끼웠을 때에는, 수지(229) 부분에서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221)의 중심축(X1)을 따른 상태로 맞추기 쉽고, 압입 과정에서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가이드부(254)의 수지가 깎이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양은 약간이고, 제1 점화기 조립체(221)의 작동이나, 제1 점화기 조립체(221)와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4) 도 5의 가스 발생기
도 5는 도 2의 (a)에 대응하는 도면(단,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제1 점화기 조립체(321)의 구조가 도 2와는 다르지만, 그 외의 부분은 도 1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하다.
제1 점화기 조립체(321)는 제1 점화기 칼라(322)에 고정된 제1 점화기(23)를 갖고 있고, 제1 점화기 칼라(322)와 제1 점화기(23)는 수지(329)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322)는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바닥면(13a)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고정부(350)가 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322)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부(329)는 점화부(23a)에 접하고 있는 제1 가이드부(354a)와, 제1 가이드부(354a)와 고정부(322) 사이의 제2 가이드부(354b)를 갖고 있다. 제1 가이드부(354a)는 제2 가이드부(354b)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돌기가 아니어도, 불연속인 복수의 돌기로 할 수 있다.
고정부(350)의 외경(D1)과 제1 가이드부(354a)의 외경(D6)은 동일하다.
고정부(350)의 외경(D1)과 제2 가이드부(354b)의 외경(D7)은 D1>D7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제1 점화기 조립체(321)에 끼워 넣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과 고정부(350)의 외경(D1) 및 제1 가이드부(354a)의 외경(D6)은, D1 및 D6은 D1=D6≥R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D1>R1의 경우에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전에는 D1 및 D6이 R1보다도 0.1 ㎜ 크게 할 수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과 제2 가이드부(354b)의 외경(D7)은 R1>D7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고정부(350)의 축방향 길이(L1)와 제1 가이드부(354a) 및 제2 가이드부(354b)의 축방향 합계 길이(L2)는 도면에서는 L2>L1로 되어 있지만, 반대의 길의 관계일 수도 있고,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 고정부(350)의 축방향 길이(L1)는 3 내지 6 ㎜이고, 제1 가이드부(354a)와 제2 가이드부(354b)의 축방향의 합계 길이(L2)는 3 ㎜ 정도이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는 고정부(350)와 수지(329)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실 컵 부재(32)는,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점화기 조립체(321)(제1 점화기(23))의 점화부(23a)로부터 씌운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중심축과 제1 점화기 조립체(321)의 중심축(X1)을 일치시킨 상태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로부터 제1 가이드부(354a)와 제2 가이드부(354b)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350)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화실 컵 부재(32)를 점화기 조립체(321)에 끼워 넣는 공정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기울어져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321)의 중심축(X1)이 어긋난 경우에는, 그대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하면 점화실 컵 부재(32)가 변형되거나, 제1 점화기 칼라(322)가 크게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두번 다시 그들 부품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상기한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금속제로 단단하고 제1 가이드부(354a)는 수지제로 상대적으로 연하므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제1 가이드부(354a)와 제2 가이드부(354b)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321)의 중심축(X1)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350)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압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1 가이드부(354a)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끼워 넣어지는 동안에 주위벽면이 깎여도 되고, 점화실 컵 부재(32)가 축(X1)을 따라서 도입되는 동안 축(X1)에 대한 기울기를 규제하고 있다. 제1 가이드부(354a)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고정부(350)와 같이 압입 고정의 기능은 없어도 된다.
그리고 수정한 후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350)를 축(X1)을 따라서 압입시킬 수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를 제2 가이드부(354b)까지 끼웠을 때에는, 수지(329) 부분에서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321)의 중심축(X1)을 따른 상태로 맞추기 쉽고, 고정부(350)에서의 압입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벽면과 제2 가이드부(354b)의 외주벽면 사이에는 환상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가이드부(354a)의 수지가 깎이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양은 약간이고, 제1 점화기 조립체(321)의 작동이나, 제1 점화기 조립체(321)와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5) 도 6의 가스 발생기
도 6은 도 2의 (a)에 대응하는 도면(단,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제1 점화기 조립체(421)의 구조가 도 2와는 다르지만, 그 외의 부분은 도 1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하다.
제1 점화기 조립체(421)는 제1 점화기 칼라(422)에 고정된 제1 점화기(23)를 갖고 있고, 제1 점화기 칼라(422)와 제1 점화기(23)는 수지(429)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422)는,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바닥면(13a)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고정부(450)가 되어 있다.
제1 점화기 칼라(422)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부(429)는 원기둥부(454a)와 원기둥부(454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454b)를 갖고 있다.
돌출부(454b)는 주위 방향으로 균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총 수가 짝수일 수도 있고 홀수일 수도 있다.
고정부(450)의 외경(D1)과 돌출부(454b)의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은 D1=D8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제1 점화기 조립체(421)에 끼워 넣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경(R1)과 고정부(450)의 외경(D1) 및 돌출부(454b)의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은 D1=D8≥R1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D1=D8>R1의 경우에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전에 D1 및 D8이 R1보다도 0.1 ㎜ 정도 크게 할 수 있다.
고정부(450)의 축방향 길이(L1)와 원기둥부(454a)(돌출부(454b))의 축방향 길이(L2)는 도면에서는 L2>L1로 되어 있지만, 반대의 길이 관계일 수도 있고,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 고정부(450)의 축방향 길이(L1)는 3 내지 6 ㎜이고, 원기둥부(454a)(돌출부(454b))의 축방향 합계 길이(L2)는 3 ㎜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는 고정부(450)와 수지(429)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정한 내경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실 컵 부재(32)는 도 2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점화기 조립체(421)(제1 점화기(23))의 점화부(23a)로부터 씌운다.
이때, 점화실 컵 부재(32)의 중심축과 제1 점화기 조립체(421)의 중심축(X1)을 일치시킨 상태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로부터 원기둥부(454a)와 돌출부(454b)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450)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화실 컵 부재(32)를 점화기 조립체(421)에 끼워 넣는 공정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기울어져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421)의 중심축(X1)이 어긋난 경우에는, 그대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하면 점화실 컵 부재(32)가 변형되거나, 제1 점화기 칼라(422)가 크게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이들 부품은 두번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상기한 치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고,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가 금속제로 단단하고 돌출부(454b)는 수지제로 상대적으로 연하므로,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가 원기둥부(454a)와 돌출부(454b)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점화실 컵 부재(32)와 점화기 조립체(421)의 중심축(X1)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450)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압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돌출부(454b)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끼워 넣어지는 동안에 주위벽면이 깎여도 되고, 점화실 컵 부재(32)가 축(X1)을 따라서 도입되는 동안 축(X1)에 대한 기울기를 규제하고 있다. 돌출부(454b)는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으면 되고, 고정부(450)와 같이 압입 고정의 기능은 없어도 된다.
그리고 수정한 후에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함으로써, 도 2의 (b) 내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실 컵 부재(32)와 고정부(450)를 축(X1)을 따라서 압입시킬 수 있다. 점화실 컵 부재(32)를 돌출부(454b)까지 끼웠을 때에는, 수지(429) 부분에서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421)의 중심축(X1)을 따른 상태로 맞추기 쉽고, 고정부(450)에서의 압입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점화실 컵 부재(32)의 내주벽면과 원기둥부(454a)의 외주벽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점화실 컵 부재(32)를 압입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돌출부(454b)의 수지가 깎이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양은 약간이고, 제1 점화기 조립체(421)의 작동이나, 제1 점화기 조립체(421)와 점화실 컵 부재(32)의 압입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점화실 컵 부재(32)가 제1 점화기 조립체에 끼워 넣어지기 쉬워지도록, 점화실 컵 부재(32)의 개구부(32c)의 내주벽면에 테이퍼(개구부(32c)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형상)를 형성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도면이든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고, 실제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듀얼 타입의 가스 발생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8599호 공보의 도 1이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싱글 타입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튜브 형상 부재(30)와 칼라(41)의 고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제2 점화기 칼라(26)와 연소실 컵 부재(41)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나 돌출부 및 고정부의 형상이나 형성 위치, 점화실 컵 부재(32)의 형상 등도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되지 않는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7)

  1.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collar)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지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D3)이 최대이고, 축방향 반대측 부분의 외경(D4)이 최소인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최대 외경(D3)이 D1=D3≥R1,
    상기 가이드부의 최소 외경(D4)과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이 R1>D4를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2.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2)이 D1>D2,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이 D1≥R1,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2)과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이 R1>D2를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3.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5)이 D1=D5,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경(D5)이 D1=D5≥R1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4.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원기둥부와 원기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이 D1=D8,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 선단을 지나는 원의 외경(D8)이 D1=D8≥R1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또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5. 가스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내에 점화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점화기 조립체에 내경이 균일한 금속제 컵 부재가 씌워져 약제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조립체가,
    점화부와 도전 핀을 갖는 점화기 본체가 금속제 칼라에 대해 수지로 일체화된 것이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하우징 바닥면의 구멍에 일부가 끼워 넣어지고, 잔부가 하우징 바닥면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금속 칼라의 잔부를 포위하고 있는 수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과 상기 금속제 칼라가,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경(D6)이 D1=D6,
    상기 고정부의 외경(D1)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경(D7)이 D1>D7,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고정부의 외경(D1)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경(D6)이 D1=D6≥R1,
    상기 금속제 컵의 내경(R1)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경(D7)이 R1>D7을 만족시키고 있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고정부의 외주벽면이 압입되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외주벽면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내주벽면과 제1 가이드부의 외주벽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컵 부재가 스테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칼라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인, 가스 발생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하우징 바닥면에 고정된 점화기 조립체에 금속제 컵 부재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공정을 갖고 있고,
    상기 공정이, 상기 금속제 컵 부재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점화부측으로부터 끼워 넣을 때,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가이드부를 통과시켜 가고, 마지막으로 고정부에 대해 압입하여 고정하는 공정이고,
    상기 금속제 컵 부재의 중심축과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중심축이 어긋났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통과시키는 동안에 2개의 중심축의 어긋남을 수정하여 일치시키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
KR1020157008331A 2012-10-04 2013-09-25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KR102093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1813 2012-10-04
JP2012221813A JP5985950B2 (ja) 2012-10-04 2012-10-04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PCT/JP2013/075782 WO2014054470A1 (ja) 2012-10-04 2013-09-25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753A true KR20150067753A (ko) 2015-06-18
KR102093194B1 KR102093194B1 (ko) 2020-03-25

Family

ID=5043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331A KR102093194B1 (ko) 2012-10-04 2013-09-25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40096697A1 (ko)
EP (1) EP2905186B1 (ko)
JP (1) JP5985950B2 (ko)
KR (1) KR102093194B1 (ko)
CN (2) CN107685707B (ko)
WO (1) WO2014054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8235B2 (en) * 2013-03-18 2017-06-27 Hitachi Systems, Ltd. Igniter, igniter assembly, and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for
JP6483949B2 (ja) * 2014-01-09 2019-03-1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353326B2 (ja) * 2014-09-16 2018-07-0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563825B2 (ja) * 2015-02-09 2019-08-2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543560B2 (ja) * 2015-11-26 2019-07-10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WO2017130735A1 (ja) * 2016-01-26 2018-11-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106270279B (zh) * 2016-08-18 2018-02-09 陕西庆华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气体发生器成型装置和成型方法
JP6706190B2 (ja) * 2016-11-29 2020-06-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852849B2 (ja) * 2017-05-29 2021-03-3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及びデュアルタイプの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
JP6954520B2 (ja) * 2017-12-05 2021-10-27 株式会社ダイセル 点火器組立体、及びガス発生器
CN110270614A (zh) * 2018-03-13 2019-09-24 湖北航鹏化学动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冲压翻边设备
US11484855B2 (en) * 2018-05-29 2022-11-01 Daicel Corporation Gas generator
CN110228440A (zh) * 2019-06-25 2019-09-13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点爆器模块、气体发生器和安全气囊
JP7315410B2 (ja) 2019-08-09 2023-07-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9134899A1 (de) * 2019-12-18 2021-06-24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CN114734228B (zh) * 2022-04-02 2024-04-02 均胜汽车安全系统(湖州)有限公司 一种产品组装间隙控制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366A (ja) * 2005-11-22 2007-06-07 Nippon Kayaku Co Ltd 点火器、点火器の製造方法及びガス発生器
JP2007296891A (ja) * 2006-04-28 2007-11-15 Daicel Chem Ind Ltd インフレータ
JP2012030639A (ja) * 2010-07-29 2012-02-16 Daicel Corp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5836A1 (de) * 1984-07-13 1986-01-23 Bayern-Chemie Gesellschaft für flugchemische Antriebe mbH, 8261 Aschau Gasgenerator
US6135496A (en) * 1997-05-09 2000-10-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system
JP3935245B2 (ja) *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009809A (en) * 1997-12-12 2000-01-0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Bridgewire initiator
JP2963086B1 (ja) * 1997-12-26 1999-10-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139055A (en) 1999-05-10 2000-10-31 Autoliv Asp, Inc. Adaptive heated stage inflator
TW469235B (en) * 1999-10-04 2001-12-21 Daicel Chem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US6659500B2 (en) * 2000-05-11 2003-12-0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inflator
JP4864234B2 (ja) * 2000-06-22 2012-02-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6820556B1 (en) * 2001-11-21 2004-11-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itiator assembly
JP4021178B2 (ja) 2001-11-21 2007-12-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組立体
US20040046373A1 (en) * 2002-09-09 2004-03-11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Dual stage airbag inflator
JP2005001601A (ja) * 2003-06-13 2005-01-06 Takata Corp ガス発生器
US6983956B2 (en) * 2003-08-14 2006-01-10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JP4266344B2 (ja) 2003-12-19 2009-05-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806435B2 (en) 2003-12-19 2010-10-0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JP4335725B2 (ja) * 2004-03-30 2009-09-30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487995B2 (en) * 2005-03-10 2009-02-1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7015675A (ja) 2005-06-08 2007-01-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070057496A1 (en) 2005-06-08 2007-03-1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9500223A (ja) * 2005-06-30 2009-01-08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ィ、 インク. ガス生成装置
JP4967154B2 (ja) * 2005-09-30 2012-07-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CN100379610C (zh) * 2006-03-10 2008-04-09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四研究院第四十二所 正驾驶气体发生器
US20080060541A1 (en) * 2006-08-29 2008-03-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Electric igni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8062685A (ja) * 2006-09-05 2008-03-21 Daicel Chem Ind Ltd 点火器組立体を備えた装置
FR2907892B1 (fr) * 2006-10-26 2009-01-30 Seva Technologies Generateur de gaz
US8444179B2 (en) * 2006-12-06 2013-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JP5101923B2 (ja) * 2007-04-18 2012-12-19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用ガス発生器
FR2932136B1 (fr) * 2008-06-06 2010-08-20 Livbag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 chambres de combustion et de diffusion de sections differentes
JP5255967B2 (ja) 2008-09-19 2013-08-0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08050763A1 (de) * 2008-10-08 2010-04-29 Takata-Petri Ag Gasgenerator für ein Airbagmodul
JP5436021B2 (ja) * 2009-04-23 2014-03-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240709B1 (en) * 2009-05-29 2012-08-14 Tk Holdings, Inc. Multi-chamber gas generating system
US8997655B1 (en) * 2009-06-04 2015-04-07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5541180B2 (ja) * 2011-01-31 2014-07-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
JP5921232B2 (ja) * 2012-02-06 2016-05-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366A (ja) * 2005-11-22 2007-06-07 Nippon Kayaku Co Ltd 点火器、点火器の製造方法及びガス発生器
JP2007296891A (ja) * 2006-04-28 2007-11-15 Daicel Chem Ind Ltd インフレータ
JP2012030639A (ja) * 2010-07-29 2012-02-16 Daicel Corp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31679B2 (en) 2017-08-15
WO2014054470A1 (ja) 2014-04-10
EP2905186A1 (en) 2015-08-12
JP2014073743A (ja) 2014-04-24
CN107685707A (zh) 2018-02-13
KR102093194B1 (ko) 2020-03-25
CN104684766B (zh) 2017-09-15
CN107685707B (zh) 2019-07-05
US20140096697A1 (en) 2014-04-10
US10239483B2 (en) 2019-03-26
US20160200285A1 (en) 2016-07-14
JP5985950B2 (ja) 2016-09-06
EP2905186A4 (en) 2016-05-25
EP2905186B1 (en) 2017-11-22
US20170305384A1 (en) 2017-10-26
CN104684766A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7753A (ko)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JP5450306B2 (ja) ガス発生器
US7614875B2 (en) Gas generator
EP2812645B1 (en) Gas generator
JP4953998B2 (ja)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EP2555951B1 (en) Gas gen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2008062685A (ja) 点火器組立体を備えた装置
KR100272954B1 (ko) 에어백용가스발생기
US20220276030A1 (en) Gas Generator
KR20160068737A (ko) 가스 발생기
US10981535B2 (en) Gas generator
CN113661097A (zh) 气体发生器
CN109476273B (zh) 气体发生器
US20220268558A1 (en) Gas generator
KR102332156B1 (ko) 점화기 조립체와 그것을 사용한 가스 발생기
CN111556829A (zh) 火工装置用的筒状过滤器、所述筒状过滤器的制造方法、使用了所述筒状过滤器的火工装置
EP2987685A1 (en) Gas generator
CN116917167A (zh) 点火器组装体以及气体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