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898A -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 Google Patents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898A
KR20150066898A KR1020130152509A KR20130152509A KR20150066898A KR 20150066898 A KR20150066898 A KR 20150066898A KR 1020130152509 A KR1020130152509 A KR 1020130152509A KR 20130152509 A KR20130152509 A KR 20130152509A KR 20150066898 A KR20150066898 A KR 2015006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uring
heat
cur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지유상
이정기
Original Assignee
한솔라이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라이팅 (주) filed Critical 한솔라이팅 (주)
Priority to KR102013015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898A/ko
Publication of KR2015006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이송부에 경화본체를 설치 구성한 상태에서, 경화본체의 상면 및 양측면에 UV-LED모듈로 이루어진 경화부와 히트파이프(Heat Pipe)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구성하는 한편, 경화시스템을 경화동작모드와 노광동작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경화본체에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으로, 이에 따라 경화부의 UV-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지물에 대한 경화 효율을 높임은 물론, 그 경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송부를 통해 기판(PCB)의 이송시 그 기판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하나의 UV-LED모듈을 이용하여 수지물에 대한 경화 또는 기판에서의 패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경화장치와 노광장치를 별도 구매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Curing system that use UV-LED module}
본 발명은 휴대폰(스마트폰 포함), 태블릿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광학 시트(sheet), 휴대폰 케이스 등에 합착되는 수지물을 UV(자외선)으로 경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부의 상면 및 양측면에 UV-LED모듈로 이루어진 경화부와 히트파이프(Heat Pipe)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구성하여, 경화부의 UV-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지물에 대한 경화 효율을 높임은 물론, 그 경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윈도우 또는 LCD 조립체의 제작을 위해, 윈도우, 글라스 또는 패널 등(이하, '패널'로 통칭함)을 합착하는 것이 요구되며, 상기 합착에 있어서 접착 물질로 이용되는 수지물을 UV 광원으로 경화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경화에 사용되는 UV 경화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 10-894879 호(등록일 2009.04.17)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 UV 경화장치는 본체에 UV 램프 모듈을 적용하게 되는데, 종래 경화장치에 사용되는 UV 램프 모듈은 모두 경화 대상물의 상면에 위치하여 UV 광원을 수지물에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조사 방식은 수지물의 평면 및 측면에 대한 UV광원의 조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수지물의 전체적인 경화작용에 있어서 편차가 발생하여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UV 경화장치의 본체에 UV 램프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UV 램프의 발광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수지물에 대한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종래에는 경화장치의 본체에 덕트 또는 배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UV 램프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였으나, 상기 덕트 또는 배기구를 본체에 설치할 때 그 설치가 복잡하고, 상기 덕트 또는 배기구를 적용한 UV 경화장치를 제작할 경우에는 UV 경화장치의 본체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부에 경화본체를 설치 구성한 상태에서, 경화본체의 상면 및 양측면에 UV-LED모듈로 이루어진 경화부와 히트파이프(Heat Pipe)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구성하여 둠으로써, 경화부의 UV-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지물에 대한 경화 효율을 높임은 물론, 그 경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을 경화동작모드와 노광동작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경화본체에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이송부를 통해 기판(PCB)의 이송시 그 기판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은, 경화 대상물 또는 노광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경화대상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노광대상물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내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의 평면상에 UV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1 UV-LED와 제 1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광원모듈이 탑재된 제 1 광원본체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본체부내의 하단측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의 에지부에 UV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2 UV-LED와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광원모듈이 탑재된 제 2 광원본체를 배치 구성하고, 상기 제 1,2 광원본체에는 각각 UV광원을 조사하는 상기 제 1,2 UV-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광원본체에는 각각 흡기구와 배기구를 형성하되, 상기 흡기구에는 상기 제 1,2 광원본체내에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방열부에 의해 방열되는 열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동하는 제 1 구동팬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제 1 구동팬에 의해 외기 유입으로 상기 방열부에 의해 방열된 열기가 열교환될 때 이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동하는 제 2 구동팬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슬롯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롯부에는 상기 제 1 UV-LED에서 UV 광원을 조사시 그 UV 광원이 선택적으로 본체부를 통과하는 노광대상물에 조사되어 노광대상물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패턴 개구부를 형성한 패턴마스크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광원모듈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컨트롤러에는 유저(USER)에 의해 경화동작모드 또는 노광동작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 1,2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2 UV-LED의 UV광원에 대한 광량을 조절하는 디밍(Dimming)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일측끝단에는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이 본체부를 통과하여 이송될 때, 이송되는 상기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이 감지될 때 상기 이송부의 이송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UV-LED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경화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00∼42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UV-LED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노광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20∼44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UV-LED는 UV광원이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제 1,2 기판에 각각 격자형으로 배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부에 경화본체를 설치 구성한 상태에서, 경화본체의 상면 및 양측면에 UV-LED모듈로 이루어진 경화부와 히트파이프(Heat Pipe)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구성하는 한편, 경화시스템을 경화동작모드와 노광동작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경화본체에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를통해 경화부의 UV-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후 이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지물에 대한 경화 효율을 높임은 물론, 그 경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송부를 통해 기판(PCB)의 이송시 그 기판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하나의 UV-LED모듈을 이용하여 수지물에 대한 경화 또는 기판에서의 패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경화장치와 노광장치를 별도 구매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광원모듈에서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에 UV광원을 조사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V-LED에 대한 격자형 배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광원본체에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경화시스템을 노광동작모드로 사용시 본체부의 슬롯부에 패턴마스크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광원모듈에서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에 UV광원을 조사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V-LED에 대한 격자형 배열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광원본체에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경화시스템을 노광동작모드로 사용시 본체부의 슬롯부에 패턴마스크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은 경사대상물(101) 즉, 휴대폰의 윈도우 또는 LCD 조립체의 제작을 위해 윈도우, 글라스 또는 패널 등을 합착시 접착 물질로 이용되는 수지물을 경화시키는 경화동작모드 또는 노광대상물(102)로서 기판(PCB)에 패턴필름을 올려놓아 상기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 노광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경화동작모드 또는 노광동작모드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송부(10), 본체부(20), 제 1 광원본체(30), 제 2 광원본체(40), 방열부(50), 패턴마스크(60), 컨트롤러(70), 센서(8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10)는 경화대상물(101) 또는 노광대상물(102)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경화대상물(101)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노광대상물(102)에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이송 경로상에 배치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슬롯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슬롯부(21)에는 상기 패턴마스크(6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즉, 경화시스템을 노광동작모드로 선택시, 상기 패턴마스크(60)는 상기 슬롯부(21)를 통해 본체부(20)내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 1 광원본체(3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광원본체(30)는 상기 본체부(20)내의 상면에 배치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20)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101) 또는 노광대상물(102)의 평면상에 UV 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1 UV-LED(31)와 제 1 기판(32)으로 이루어진 제 1 광원모듈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광원본체(40)는 상기 본체부(20)내의 하단측 양측면에 배치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20)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101)의 에지부에 UV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2 UV-LED(41)와 제 2 기판(42)으로 이루어진 제 2 광원모듈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UV-LED(31)(41)는 UV광원이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제 1,2 기판(32)(42)에서 격자형으로 배열되도록 하였다.
상기 방열부(50)는 상기 제 1,2 광원본체(30)(40)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히트파이프로서, UV광원을 조사하는 상기 제 1,2 UV-LED(3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경화시스템에 방열부를 구성시, 종래에는 설치가 복잡한 덕트나 배기구를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트파이프를 배치하여 방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2 광원본체(30)(40)에는 각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에는 상기 제 1,2 광원본체(30)(40)내에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방열부(50)에 의해 방열되는 열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는 제 1 구동팬(F10)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제 1 구동팬(F10)에 의해 외기 유입으로 상기 방열부(50)에 의해 방열된 열기가 열교환될 때 이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기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는 제 2 구동팬(F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패턴마스크(60)는 패턴 개구부(61)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상기 본체부(20)에 형성되는 슬롯부(21)에 장착이 이루어져, 상기 제 1 광원본체(30)의 하단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 1 UV-LED(31)에서 UV 광원을 조사시 그 UV 광원이 선택적으로 본체부(20)를 통과하는 노광대상물(102)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노광대상물(102)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2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2 UV-LED(31)(41)는 물론, 이송부(10)와 제 1,2 구동팬(F10)(F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컨트롤러(70)에는 유저(USER)에 의해 경화동작모드 또는 노광동작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 1,2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2 UV-LED(31)(41)의 UV광원에 대한 광량을 조절하는 디밍(Dimming)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한 것이다.
상기 센서(80)는 상기 이송부(10)의 일측끝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경화대상물(101) 또는 노광대상물(102)이 본체부(20)를 통과하여 이송될 때, 이송되는 상기 경화대상물(101) 또는 노광대상물(102)을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70)에 전송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이에따라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센서(80)에 의해 경화대상물(101) 또는 노광대상물(102)이 감지될 때 상기 이송부(10)의 이송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을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UV-LED(31)(41)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경화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00∼42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경화동작모드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이송부(10)의 선단측에 경화대상물(101)을 올린 후, 상기 이송부(10)의 이송경로상에 배치되는 본체부(20)로 상기 경화대상물(101)을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경화대상물(101)이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상기 본체부(20)를 통화할 때, 상기 본체부(20)내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1 광원모듈과, 상기 본체부(20)내의 하단 양측면에 배치되는 제 2 광원모듈이 일정 파장 범위내의 UV광원을 상기 경화대상물(101)의 평면과 에지부에 조사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광원모듈은 제 1 기판(32)에 격자형으로 제 1 UV-LED(31)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 2 광원모듈은 제 2 기판(42)에 격자형으로 제 2 UV-LED(41)가 배열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UV-LED(31)는 상기 컨트롤러(70)의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경화대상물(101)의 평면상에 일정파장 범위내 즉, UV광원을 조사시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300∼420nm 범위내의 파장을 가지는 UV광원을 조사하고, 상기 제 2 UV-LED(41)는 상기 컨트롤러(70)의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경화대상물(101)의 에지부에 일정파장 범위내 즉, UV광원을 조사시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300∼420nm 범위내의 파장을 가지는 UV광원을 조사하면서, 상기 경화대상물(101)에서 수지물을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 광원본체(30)(40)에는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방열부(50)가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방열부(50)는 상기 제 1,2 UV-LED(31)(41)에서 UV광원을 조사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게 되고, 이와동시에 컨트롤러(70)는 제 1,2 광원본체(30)(40)의 흡기구와 배기구측에 배치되는 제 1,2 구동팬(F10)(F20)을 온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구동팬(F10)은 외기를 상기 제 1,2 광원본체(30)(40)내에 유입시켜, 상기 방열부(50)에 의해 방열되는 열을 열교환시키고, 상기 제 2 구동팬(F20)은 열교환된 열을 상기 본체부(20)의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2 UV-LED(31)(41)는 과열이 방지된 상태에서 경화대상물(101)의 수지물을 경화시키는 최적의 동작조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본체부(20)를 경화대상물(101)이 통과하여 수지물의 경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경화대상물(101)이 이송부(10)의 끝단까지 이송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10)의 끝단에 배치되는 센서(80)는 상기 경화대상물(101)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센서(80)에 의해 경화대상물(101)이 감지될 때 컨트롤러(70)는 상기 이송부(10)의 이송동작을 오프시켜, 상기 경화대상물(101)이 이송부(10)로부터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10)에 노광대상물(102)인 패턴필름이 올려진 기판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유저가 경화시스템을 노광동작모드로 전환시, 상기 본체부(20)내에 마련되는 슬롯부(21)에 패턴개구부(61)를 형성한 패턴마스크(60)를 장착시키면, 상기 패턴마스크(60)는 제 1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 UV-LED(31)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70)가 이송부(10)를 동작시켜 상기 노광대상물(102)을 본체부(20)로 이송시키는 한편, 상기 본체부(20)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1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 UV-LED(31)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UV-LED(31)에서 조사되는 UV광원은 패턴마스크(60)의 패턴 개구부(61)를 통해서만 이송부(10)의 방향으로 조사되고, 이에따라 상기 노광대상물(102)이 본체부(20)를 통과할 때, 상기 노광대상물(102)인 기판의 표면에 올려진 패턴필름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상기 패턴개구부(61)를 통해 조사되는 UV광원에 의해 노광되면서, 상기 노광대상물(102)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본체부(20)를 노광대상물(102)이 통과하여 노광대상물(102)에 패턴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노광대상물(102)이 이송부(10)의 끝단까지 이송되는 경우, 상기 이송부(10)의 끝단에 배치되는 센서(80)는 상기 노광대상물(102)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센서(80)에 의해 노광대상물(102)이 감지될 때 컨트롤러(70)는 상기 이송부(10)의 이송동작을 오프시켜, 상기 노광대상물(102)이 이송부(10)로부터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UV-LED(31)(41)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노광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20∼44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이송부 20; 본체부
21; 슬롯부 30; 제 1 광원본체
31; 제 1 UV-LED 32; 제 1 기판
40; 제 2 광원본체 41; 제 2 UV-LED
42; 제 2 기판 50; 방열부
60; 패턴마스크 61; 패턴 개구부
70; 컨트롤러 80; 센서
F10; 제 1 구동팬 F20; 제 2 구동팬

Claims (8)

  1. 경화 대상물 또는 노광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경로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경화대상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노광대상물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내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의 평면상에 UV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1 UV-LED와 제 1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광원모듈이 탑재된 제 1 광원본체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본체부내의 하단측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경화대상물의 에지부에 UV광원을 조사하도록 제 2 UV-LED와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광원모듈이 탑재된 제 2 광원본체를 배치 구성하고,
    상기 제 1,2 광원본체에는 각각 UV광원을 조사하는 상기 제 1,2 UV-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도록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방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광원본체에는 각각 흡기구와 배기구를 형성하되,
    상기 흡기구에는 상기 제 1,2 광원본체내에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방열부에 의해 방열되는 열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동하는 제 1 구동팬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제 1 구동팬에 의해 외기 유입으로 상기 방열부에 의해 방열된 열기가 열교환될 때 이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동하는 제 2 구동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슬롯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롯부에는 상기 제 1 UV-LED에서 UV 광원을 조사시 그 UV 광원이 선택적으로 본체부를 통과하는 노광대상물에 조사되어 노광대상물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패턴 개구부를 형성한 패턴마스크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광원모듈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컨트롤러에는 유저(USER)에 의해 경화동작모드 또는 노광동작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 1,2 광원모듈에 포함되는 제 1,2 UV-LED의 UV광원에 대한 광량을 조절하는 디밍(Dimming)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끝단에는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이 본체부를 통과하여 이송될 때, 이송되는 상기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경화대상물 또는 노광대상물이 감지될 때 상기 이송부의 이송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UV-LED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경화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00∼42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UV-LED의 UV광원은 공기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노광동작모드에서 상기 디밍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320∼440nm 범위내의 파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UV-LED는 UV광원이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제 1,2 기판에 각각 격자형으로 배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시스템.
KR1020130152509A 2013-12-09 2013-12-09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KR20150066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09A KR20150066898A (ko) 2013-12-09 2013-12-09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09A KR20150066898A (ko) 2013-12-09 2013-12-09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98A true KR20150066898A (ko) 2015-06-17

Family

ID=5351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509A KR20150066898A (ko) 2013-12-09 2013-12-09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89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48A (ko) 2015-09-18 2017-04-03 유버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장치
KR101723806B1 (ko) * 2015-11-04 2017-04-10 유버 주식회사 Uv 경화장치
KR20190129401A (ko) * 2018-05-11 2019-11-20 (주)이티에스 자외선 경화장치
KR20200015195A (ko) * 2018-08-03 2020-02-12 최은지 경화 기능을 갖는 휴대용 레진제품 툴 키트
WO2020096129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덴티스 3차원 적층체의 경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외선 광 경화장치
KR20200071872A (ko) 2018-12-06 2020-06-22 주식회사 덴티스 3차원 적층체의 상태에 따라 자외선 출력 가변이 가능한 자외선 광 경화장치
KR102148811B1 (ko) 2020-04-06 2020-08-27 (주)아름덴티스트리 Uv-led 경화장치
KR20220170777A (ko) 2021-06-23 2022-12-30 (주)엘엑스하우시스 위생 도기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위생 도기 및 위생 도기 제조장치
KR20220170727A (ko) 2021-06-23 2022-12-30 (주)엘엑스하우시스 위생 도기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위생 도기 및 위생 도기 제조장치
EP3867048B1 (en) * 2018-10-16 2023-03-29 Transitions Optical, Ltd. Ultraviolet curing apparatu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48A (ko) 2015-09-18 2017-04-03 유버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장치
KR101723806B1 (ko) * 2015-11-04 2017-04-10 유버 주식회사 Uv 경화장치
KR20190129401A (ko) * 2018-05-11 2019-11-20 (주)이티에스 자외선 경화장치
KR20200015195A (ko) * 2018-08-03 2020-02-12 최은지 경화 기능을 갖는 휴대용 레진제품 툴 키트
EP3867048B1 (en) * 2018-10-16 2023-03-29 Transitions Optical, Ltd. Ultraviolet curing apparatus
WO2020096129A1 (ko) *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덴티스 3차원 적층체의 경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외선 광 경화장치
KR20200071872A (ko) 2018-12-06 2020-06-22 주식회사 덴티스 3차원 적층체의 상태에 따라 자외선 출력 가변이 가능한 자외선 광 경화장치
KR102148811B1 (ko) 2020-04-06 2020-08-27 (주)아름덴티스트리 Uv-led 경화장치
KR20220170777A (ko) 2021-06-23 2022-12-30 (주)엘엑스하우시스 위생 도기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위생 도기 및 위생 도기 제조장치
KR20220170727A (ko) 2021-06-23 2022-12-30 (주)엘엑스하우시스 위생 도기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위생 도기 및 위생 도기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6898A (ko) Uv-led모듈을 이용한 경화 장치
JP5491002B2 (ja) 液体転写装置の液体硬化装置
JP4495019B2 (ja) 周辺露光装置
CN104441954B (zh) 印刷装置
US9565771B1 (en) LED-based UV radiation source machine to process coatings
KR20140114470A (ko) 자외선 경화 시스템
JP5035272B2 (ja) 光照射装置
JP2016066754A (ja) 光源装置
US9669615B2 (en) Energy efficient multi-spectrum screen exposure system
JP2007026517A (ja) 紫外線照射装置
WO2015111858A1 (ko) 코팅과 도장을 위한 엘이디 자외선 경화기
CN107364226B (zh) 光照射装置
JP4946190B2 (ja) Led紫外線照射装置
KR20140128718A (ko) 경화유닛 및 이를 적용한 전자회로 패턴 제조 장치
JP6413570B2 (ja) 光源装置
JP2015058392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WO2016042974A1 (ja) 光照射装置
TW202132737A (zh) 乾燥裝置
JP2011079157A (ja) 光源装置
JP2008168560A (ja) 紫外線照射装置、および同紫外線照射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2010171075A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方法
KR20170008370A (ko) 반도체 장치를 위한 광 조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5279B1 (ko) 자외선 엘이디 경화장치
JP5382373B2 (ja) 光照射装置
JP2011095718A (ja) 近接露光装置及びその近接露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