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263A - 자동부품분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부품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263A
KR20150066263A KR1020130151608A KR20130151608A KR20150066263A KR 20150066263 A KR20150066263 A KR 20150066263A KR 1020130151608 A KR1020130151608 A KR 1020130151608A KR 20130151608 A KR20130151608 A KR 20130151608A KR 20150066263 A KR20150066263 A KR 2015006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moving
wall
moving part
main inclin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597B1 (ko
Inventor
황명수
김도엽
신승우
Original Assignee
황명수
신승우
김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수, 신승우, 김도엽 filed Critical 황명수
Priority to KR102013015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07C5/065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with multiple measuring appliances adjust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example length or thickness, which detect the shape of an object so that if it conforms to the standard set by the measuring appliance, it is removed from the conveyor, e.g. by means of a number of differently calibrat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부품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선형의 트랙을 구비하는 진동식 피더; 상기 진동식 피더의 상부에 배치된 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 경사이동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선별 경사이동부; 및,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까지 연장 형성되며, 부품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 센서나 제어부 등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부품분류장치{AUTOMATIC PART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부품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의 두께별로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자동부품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규격을 가지는 너트와 같은 기계부품이나 전자부품이 동시에 공급될 때 이를 적절히 분류하여 보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공급되는 부품을 각종 센서로 감지하거나 촬영하여 분류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부품분류장치는 오동작하는 경우가 많았고, 감지하는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했으므로 작업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진동식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의 치수에 따라 바로 분류되는 시스템이 개시된 바 없다.
-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8231호 (2013.06.04) 부품 선별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와 같이 두께에 따라 규격이 정해지는 부품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자동부품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 센서나 제어부 등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도 줄일 수 있는 자동부품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는,
나선형의 트랙을 구비하는 진동식 피더;
상기 진동식 피더의 상부에 배치된 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 경사이동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선별 경사이동부; 및,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까지 연장 형성되며, 부품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 지점은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하벽과 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만큼 이격되며 일단이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과 접한 상태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타단이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까지 연장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대의 이격된 높이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입구 외벽에는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을 향해 연장되되, 선단이 상기 내벽과 이격되는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부품 진행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바닥면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으로부터 내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와 선별 경사이동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 경사이동부와 선별 경사이동부에는 각각 상기 필터부가 결합하는 설치홈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이 끼워지는 삽입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너트와 같이 두께에 따라 규격이 정해지는 부품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 센서나 제어부 등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 및 필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의 주 경사이동부를 길이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1000)는, 나선형의 트랙(110)을 구비하는 진동식 피더(100), 상기 진동식 피더(100)의 상부에 배치된 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 경사이동부(200),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외벽(210)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선별 경사이동부(300) 및,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입구측 하벽(320)까지 연장 형성되며 부품이 통과하는 통과홈(450)이 형성되는 필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부(400)가 설치되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 지점은 상기 필터부(400)가 설치되는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입구측 하벽(3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400)를 통과하지 못하는 부품이 상기 경사이동부(200)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400)의 일단이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의 타단이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하벽(320)과 접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400)를 통과하지 못하는 부품이 상기 경사이동부(200) 쪽으로 걸림없이 한층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만큼 이격되며 일단이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과 접한 상태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타단이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입구측 하벽(320)까지 연장되는 가로대(410)와, 상기 가로대(41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기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로대(410)와 기둥부(420)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과 함께 상기 통과홈(450)을 형성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경사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 이상의 가로대(410)의 각각의 이격된 높이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입구 외벽(210)에는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을 향해 연장되되, 선단이 상기 내벽(220)과 이격되는 가이드편(500)이 설치된다.
부품은 상기 가이드편(500)을 따라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을 향해 이동하여 근접한 상태에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편(500)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부품 진행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는 곡면을 형성하고 있어 부품을 최대한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부품이 의도하지 않게 선별 경사이동부(300)를 통해 미리 빠져나감으로써 잘못 분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면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외벽(210)으로부터 내벽(20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품이 의도하지 않게 선별 경사이동부(300)를 통해 미리 빠져나감으로써 잘못 선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면의 경사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면의 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도 되나, 분류되는 가장 큰 너트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폭만큼만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필터부(400)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와 선별 경사이동부(300)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와 선별 경사이동부(300)에는 상기 필터부(40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설치홈(250)과 결합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둥부(420)의 하단이 끼워지는 삽입공(411)이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400)가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300)에 한층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되지 않은 구성부호 310은 선별 경사이동부(300)의 입구측 상벽을 가리킨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5개의 선별 경사이동부(300)가 마련되어 있어서 5 종류의 부품을 분류할 수 있다.
분류되는 대상은 너트와 같이 두께에 따라 규격이 정해지는 부품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하 분류되는 부품을 "너트"로 칭하도록 한다.
먼저, 다수의 너트가 진동식 피더(100) 내에 공급되면 진동장치에 의해 각각의 너트가 나선형의 트랙(110)을 따라 차례로 상승 이동한다.
상승을 완료한 너트는 진동식 피더(100)의 출구를 통해 주 경사이동부(200)로 향한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입구 외벽(210)에 설치된 가이드편(500)에 의해 너트의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너트가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에 근접한 상태로 주 경사이동부(200)에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면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외벽(210)으로부터 내벽(200)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너트가 주 경사이동부(200)의 내벽(2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경사방향을 따라 형성된 5개 가로대(410)의 각각의 이격된 높이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너트를 그 두께별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즉, 두께가 가장 큰 너트는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필터부(400)에 의해 가로막히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400)를 따라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선별 경사이동부(300)로 이동하며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바닥면이 약간 상기 주 경사이동부(200)의 외벽(210)으로부터 내벽(200)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고 하더라도, 진동과 상기 필터부(400)의 안내에 의해 너트는 용이하게 선별 경사이동부(300)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2번째로 두께가 큰 너트는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필터부(400)의 통과홈(450)은 통과하지만 2번째로 높은 필터부(400)에는 가로막혀서 2번째로 높은 곳에 위치한 선별 경사이동부(300)로 이동하며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의 두께별로 5종류 규격의 너트가 원활하게 분류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부품분류장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부품을 감지할 필요가 없어 센서나 제어부 등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진동식 피더
200... 주 경사이동부
210...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
220...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
300... 선별 경사이동부
320...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
400... 필터부
450... 통과홈
500... 가이드편

Claims (10)

  1. 나선형의 트랙을 구비하는 진동식 피더;
    상기 진동식 피더의 상부에 배치된 출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 경사이동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분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선별 경사이동부; 및,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까지 연장 형성되며, 부품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 지점은 상기 필터부가 설치되는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하벽과 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만큼 이격되며 일단이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과 접한 상태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타단이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입구측 하벽까지 연장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이격된 높이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하향 경사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입구 외벽에는 주 경사이동부의 내벽을 향해 연장되되, 선단이 상기 내벽과 이격되는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부품 진행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바닥면은 상기 주 경사이동부의 외벽으로부터 내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주 경사이동부와 선별 경사이동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 경사이동부와 선별 경사이동부에는 각각 상기 필터부가 결합하는 설치홈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경사이동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이 끼워지는 삽입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품분류장치.
KR1020130151608A 2013-12-06 2013-12-06 자동부품분류장치 KR10156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08A KR101561597B1 (ko) 2013-12-06 2013-12-06 자동부품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08A KR101561597B1 (ko) 2013-12-06 2013-12-06 자동부품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63A true KR20150066263A (ko) 2015-06-16
KR101561597B1 KR101561597B1 (ko) 2015-10-19

Family

ID=5351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608A KR101561597B1 (ko) 2013-12-06 2013-12-06 자동부품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7424A (zh) * 2018-10-10 2019-02-12 唐兴云 一种芯片批量快速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08B1 (ko) 2018-04-27 2018-08-08 주식회사 씨엠코이엔지 원료의 다지점 분배 장치
KR101975163B1 (ko) * 2019-01-22 2019-05-03 고민수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86B1 (ko) * 2006-03-16 2007-01-17 이명섭 공기 순환식 골재 분리장치
US8137551B1 (en) * 2008-08-08 2012-03-20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7424A (zh) * 2018-10-10 2019-02-12 唐兴云 一种芯片批量快速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597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597B1 (ko) 자동부품분류장치
US20170196319A1 (en) Bead tray
EP1675114A3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c apparatus
EP3309098A1 (en) Carrier distributing device
WO2017073339A1 (ja) 硬貨選別装置
US4977998A (en) Device for ejecting wrongly oriented covers from a continuous flow
KR102590296B1 (ko) 부품 선별장치
TWI523803B (zh) 零件供給裝置
JP3873343B2 (ja) 部品整送装置
JP4972223B1 (ja) 家禽用給餌装置
KR102626824B1 (ko)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이송장치
JP6566792B2 (ja) 補給シュート及び遊技媒体供給装置
JPH0413744Y2 (ko)
KR101567578B1 (ko) 다리가 있는 회로소자의 정렬·공급장치
JPH0848425A (ja) 部品規定数量取出し装置
KR101287553B1 (ko) 렌즈 공급장치
KR200440138Y1 (ko) 휴대폰용 부품 정렬 공급장치
JP5238966B2 (ja) ゲーム装置
JP5577554B2 (ja) メダル投出装置
JP3584632B2 (ja) 部品整送装置
JPH0798568B2 (ja) つる巻きばね状部品用供給装置
JP3177573U (ja) 固定具自動検出機
JP4589891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エレメント検査装置
JP6754234B2 (ja) 供給ユニット及び供給装置
JP3145497U (ja) コイン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