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553B1 - 렌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553B1
KR101287553B1 KR1020130032871A KR20130032871A KR101287553B1 KR 101287553 B1 KR101287553 B1 KR 101287553B1 KR 1020130032871 A KR1020130032871 A KR 1020130032871A KR 20130032871 A KR20130032871 A KR 20130032871A KR 101287553 B1 KR101287553 B1 KR 10128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lock
supply rail
seating
sea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철
Original Assignee
정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철 filed Critical 정봉철
Priority to KR102013003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렌즈를 일렬로 공급하는 렌즈공급레일; 상기 렌즈 공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 출구측에 장착되되, 상기 렌즈공급레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 간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안착블록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를 이용하면, 일렬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이 이송경로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번에 다수 개의 렌즈를 픽업하는 경우 렌즈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가 픽업될 때까지 렌즈안착블록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렌즈 공급장치 {Apparatus for supplying lens}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렌즈를 사전에 설정된 개수씩 공급하는 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급 대상 렌즈를 복수 개의 렌즈안착블록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렌즈안착블록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가공 상태의 렌즈를 이송하는 장치는 호퍼(hopper)를 비롯하여 볼 피더(bowl feeder)와 리니어 피더(linear feed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호퍼에 저장된 렌즈들을 볼 피더에 공급하고, 볼 피더에서 렌즈들을 정렬한 다음, 이 볼 피더에 연결된 리니어 피더를 통해 다수 개의 렌즈들을 일렬로 이송시키도록 동작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렌즈가 일렬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렌즈를 가공할 수 없으므로, 일렬로 이송되는 다수 개의 렌즈들을 순차적으로 픽업하여 가공장치 측으로 공급하는 렌즈 자동 공급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6639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렌즈 자동 공급장치는 일렬로 공급되는 다수 개의 렌즈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픽업하여 가공장치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렌즈 공급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렌즈 자동 공급장치는, 한 번에 하나의 렌즈만을 픽업하여 이송하므로, 렌즈 공급 효율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다수 개의 픽업수단을 이용하여 한 번에 여러 개의 렌즈를 이송시키면 렌즈 공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상호 접촉된 상태의 렌즈들을 한 번에 들어 올리면 렌즈들이 서로 충돌되어 손상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픽업된 렌즈가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렌즈 자동 공급장치는 일렬로 이송된 렌즈를 픽업할 수 있도록, 이송경로 중 렌즈를 픽업하는 구간의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이송경로 상부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렌즈를 일렬로 밀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렌즈가 이송경로를 이탈하여 바닥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 개의 렌즈들이 일렬로 이송되더라도 렌즈가 이송경로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번에 다수 개의 렌즈를 픽업하더라도 렌즈 간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렌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렌즈를 일렬로 공급하는 렌즈공급레일; 상기 렌즈 공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 출구측에 장착되되, 상기 렌즈공급레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 간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안착블록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과 복수 개의 제2 프레임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연결된 부위가 서로 다른 렌즈안착블록에 연결되는 절접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어느 하나의 렌즈안착블록을 상기 렌즈공급레일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렌즈공급레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렌즈안착블록과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로 적용된다.
상기 렌즈안착블록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출방향과 90도 미만의 사이각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로드와 멀어질수록 상기 렌즈안착블록과 가까워지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이동방향 전환블록;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와 결합되는 슬라이드돌출부; 상기 이동방향 전환블록과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렌즈안착블록의 상측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들이 가까워졌을 때에는 상기 렌즈공급레일에서의 렌즈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들이 멀어졌을 때에는 상기 렌즈공급레일에서의 렌즈 배출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사전에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의 출구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안착블록이 상기 렌즈공급레일로부터 멀어질 때에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공급레일에서의 렌즈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렌즈안착블록이 상기 렌즈공급레일 측으로 접근할 때에는 상기 렌즈안착블록에 의해 밀려 하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공급레일에서의 렌즈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안착블록 상의 렌즈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렌즈안착블록은 상기 렌즈가 안착되는 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안착블록에 흡착시키는 진공포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를 이용하면, 일렬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렌즈들이 이송경로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한 번에 다수 개의 렌즈를 픽업하는 경우 렌즈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가 픽업될 때까지 렌즈안착블록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렌즈안착블록의 배열구조 및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진공포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절첩링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스토퍼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렌즈안착블록의 배열구조 및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다수 개의 렌즈(10)를 일렬로 정렬하여 공급하되, 공급된 복수 개의 렌즈(10)가 픽업될 때 렌즈(10) 간격을 벌려줌으로써 렌즈(10) 간의 간섭 및 충돌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베이스부(100) 상에 고정 설치되어 복수 개의 렌즈(10)를 일렬로 공급하는 렌즈공급레일(200)과,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의 렌즈(10) 공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200) 출구측에 장착되되 상기 렌즈공급레일(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과, 이웃하는 렌즈안착블록(3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00)과, 렌즈안착블록(300)의 상측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덮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 등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렌즈(10)들은 렌즈공급레일(200)을 통해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되며,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된 렌즈(10)들은 별도의 픽업수단에 의해 픽업된다.
렌즈안착블록(300)으로 렌즈(10)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렌즈(10)가 렌즈안착블록(300)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500)가 렌즈안착블록(300) 상측을 덮으며, 렌즈(10)가 픽업될 때에는 덮개(500)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렌즈안착블록(300)의 상측을 개방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픽업될 렌즈(10)들이 안착되는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들 간격이 상황에 따라 가변되도록 즉,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밀착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은,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렌즈(10)를 공급받는 동안에는 렌즈(10)가 용이하게 렌즈안착블록(300)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렌즈안착블록(300) 상의 렌즈(10)가 픽업될 때에는 픽업되는 렌즈(10)들이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렌즈(10) 픽업 시점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동작되면, 한 번에 다수 개의 렌즈(10)를 픽업하더라도 픽업되는 렌즈(10)들이 서로 충돌되어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매우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각각의 렌즈안착블록(30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이격되기 위해서는,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렌즈공급레일(200)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이한 거리만큼 이동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렌즈안착블록(300) 간의 이격거리가 1cm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렌즈공급레일(200)과 가장 가까운 첫 번째 렌즈안착블록(300)은 1cm 이동하고, 두 번째 렌즈안착블록(300)은 2cm, 세 번째 렌즈안착블록(300)은 3cm, 네 번째 렌즈안착블록(300)은 4cm, 가장 마지막 렌즈안착블록(300)은 5cm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각 렌즈안착블록(300)의 이동거리가 상이한 경우에는 각 렌즈안착블록(300)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각 렌즈안착블록(300)마다 별도의 구동유닛을 설치하게 되면 제품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구동유닛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과 제어프로그램이 요구되는바, 제품의 제조원가 및 운전비용이 현저히 상승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구동수단(400)만으로도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상이한 거리만큼 이동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는 하나의 절첩링크(600)에 의해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400)이 어느 하나의 렌즈안착블록(300)만을 이동시키더라도 모든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모두 이동됨은 물론, 렌즈공급레일(200)과의 거리에 따라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의 이동거리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첩링크(600)에 의해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상이한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렌즈안착블록(300)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0)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구조나,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거리를 직선으로 왕복하는 구동만이 요구되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410)를 구비하는 에어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410)는 어느 하나의 렌즈안착블록(300)과 연결되어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다수 개의 렌즈안착블록(300)들을 이격 또는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410)가 렌즈공급레일(200)과 가까운 렌즈안착블록(300)과 결합되면 인출 및 인입거리가 짧게 요구되지만 렌즈안착블록(300)을 이송시키는데 큰 힘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로드(410)는 인출 및 인입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더라도 렌즈안착블록(300)을 이송시키는데 적은 힘이 요구될 수 있도록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렌즈안착블록(300)과 이송블록(430)을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하나의 구동수단(400)으로 렌즈안착블록(300)을 이동시키고 덮개(5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블록(300)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안착블록(300)의 배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직선 왕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피스톤로드(410)의 인출방향과 90도 미만의 사이각(본 실시예에서는 약 45도)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로드(410)와 멀어질수록 상기 렌즈안착블록(300)과 가까워지는 슬라이드홈(512)을 구비하는 이동방향 전환블록(510)과, 상기 슬라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410)와 결합되는 슬라이드돌출부(420)가 구비되고, 덮개(500)는 상기 이동방향 전환블록(51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500)가 이동방향 전환블록(510)과 슬라이드 돌출부(420)를 통해 피스톤로드(4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0)가 인출되었을 때 슬라이드 돌출부(420)는 슬라이드홈(512)을 따라 끝단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방향 전환블록(510)은 렌즈안착블록(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방향 전환블록(510)에 결합된 덮개(500)는 렌즈안착블록(300)의 상측을 개방시키게 된다. 즉, 피스톤로드(410)가 인출됨에 따라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상호 이격되는 동작과 덮개(500)가 렌즈안착블록(300) 상측을 개방시키는 동작이 한 번에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0)가 인입되면,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은 렌즈공급레일(200)의 출구 측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덮개(500)가 렌즈안착블록(300) 상측을 덮게 되어,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렌즈안착블록(300)으로 공급되는 렌즈(10)는 렌즈안착블록(300)을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덮개(500)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피스톤로드(410)가 가로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때 이동방향 전환블록(510)의 왕복방향이 세로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렌즈안착블록(300)의 배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베이스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레일(530)과, 상기 가이드레일(53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블록(52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방향 전환블록(510)은 슬라이드블록(520)에 고정 결합되는바, 가이드레일(530)의 연장방향 즉, 세로방향으로만 왕복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구성요소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530) 및 슬라이드블록(520)은 여러 종류의 제조장치 및 가공장치에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진공포트(320)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된 렌즈(10)가 의도하지 아니하게 움직이거나 렌즈안착블록(30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렌즈(10)가 안착되는 부위의 렌즈안착블록(300)에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렌즈(10)를 렌즈안착블록(300)에 흡착시키는 진공포트(3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포트(320)가 추가로 구비되면,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된 렌즈(10)는 진공포트(320)의 진공압에 의해 렌즈안착블록(300)의 상면에 흡착되는바, 피스톤로드(410)가 인출됨에 따라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벌어지더라도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아니하고 초기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렌즈(10)가 렌즈안착블록(300)으로 공급되는 과정이나 렌즈(10)를 픽업하는 과정에서는 진공포트(320)의 동작이 중지되어 렌즈(1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피스톤로드(410)의 인출은 모든 렌즈안착블록(300)에 렌즈(10)가 각각 안착된 이후에 구현되어야 하고, 피스톤로드(410)의 인입은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되어 있던 렌즈(10)들이 픽업된 이후에 구현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피스톤로드(410)의 인출 및 인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공급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피스톤로드(410)의 인출 및 인입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렌즈안착블록(300) 상의 렌즈(10)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미도시)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모든 렌즈안착블록(300)에 렌즈(10)가 안착되었을 때 피스톤로드(410) 인출신호를 발생하고,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되었던 렌즈(10)가 픽업되었을 때 피스톤로드(410) 인입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렌즈(10)가 렌즈안착블록(300)으로 공급되는 단계부터,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벌어지고 덮개(500)가 개방되는 단계, 렌즈(10) 픽업이 이루어진 이후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밀착되고 덮개(500)가 닫히는 단계까지를 모두 자동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는, 각각의 렌즈안착블록(300) 내부에 설치되어 관통공(310)을 통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렌즈(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렌즈(10)의 안착면에 설치되어 렌즈(10)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렌즈(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절첩링크(600)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절첩링크(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610)과 복수 개의 제2 프레임(620)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이 연결된 부위(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절곡 부위)들이 서로 다른 렌즈안착블록(3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절첩링크(600) 중 렌즈공급레일(200)과 가까운 측의 끝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끝단)은 베이스부(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절첩링크(600)의 절곡부위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면, 피스톤로드(410)의 인출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좌측에 위치한 렌즈안착블록(300)이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절첩링크(600)는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사이각이 작아지도록 길게 펴지게 된다.
절첩링크(600)가 길게 펴지면 절첩링크(600)의 절곡부위 간격이 벌어지는바, 이에 결합된 렌즈안착블록(300)들도 상호 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링크(600)가 펴지더라도 각 절곡부위 간의 거리는 동일한 비율로 벌어지므로, 렌즈안착블록(300)들 역시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벌어질 때 동일한 비율로 벌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10)가 인입되어 가장 좌측에 위치한 렌즈안착블록(30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절첩링크(600)는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사이각이 커지도록 접히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렌즈안착블록(300)들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호 밀착된다.
이와 같이 각 렌즈안착블록(300)이 지그재그 패턴의 절첩링크(600)로 연결되면, 어느 하나의 렌즈안착블록(300)만을 좌우로 이동시키더라도 모든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동시에 좌우로 이동되며, 각 렌즈안착블록(300)들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한 비율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바, 렌즈안착블록(300)의 조작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수단(400)으로 모든 렌즈안착블록(300)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성이 간단해지고 운전비용이 절감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스토퍼(210)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벌어진 상태에서 렌즈안착블록(300)으로의 렌즈(10) 공급이 지속되면,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되어 있던 렌즈(10)들이 뒤이어 공급되는 렌즈(10)들에 의해 밀려 움직이게 되고, 렌즈안착블록(300)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하는 현상까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는,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렌즈(10) 공급을 차단하고,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렌즈(10) 공급을 차단하지 아니하는 별도의 스토퍼(2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0)는 사전에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의 출구측에 결합되고, 스토퍼(210)가 상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2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별도의 탄성체(2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안착블록(300)이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멀어질 때 즉, 렌즈안착블록(300) 간의 거리가 벌어질 때, 상기 스토퍼(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되어 상측 끝단이 렌즈공급레일(200)에 돌출됨으로써 렌즈(10) 배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렌즈안착블록(300)이 렌즈공급레일(200)에 밀착되면 즉, 렌즈안착블록(300) 간의 거리가 좁아지면, 상기 스토퍼(210)는 렌즈안착블록(300)을 향해 돌출된 돌출단(21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블록(300)(명확하게는 렌즈공급레일(200)의 출구측에 접촉되는 렌즈안착블록(300))에 의해 밀려 하향으로 회전되는바, 렌즈공급레일(200)을 통한 렌즈(10) 배출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의 렌즈(10) 배출을 제어하는 스토퍼(210)가 추가로 구비되면, 렌즈안착블록(300)이 벌어졌을 때 렌즈안착블록(300) 상의 렌즈(10)들이 뒤이어 배출되는 렌즈(10)에 의해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10)가 렌즈안착블록(300)에 의해 밀려 상향 회전되고, 렌즈안착블록(300)이 멀어졌을 때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회전되도록 구성되면, 별도의 감지수단 없이도 렌즈(10) 공급차단 시점이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조원가가 매우 절감되고 내부 구성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렌즈 공급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모든 렌즈안착블록(300)에 렌즈(10)가 모두 공급될 때까지는 피스톤로드(410)가 인입되어 있으므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블록(300)들은 상호 밀착되고 덮개(500)는 렌즈안착블록(300)을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모든 렌즈안착블록(300)에 렌즈(10)가 각각 안착되면 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피스톤로드(410)에 인출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각 렌즈안착블록(300)은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고, 덮개(500)는 렌즈안착블록(300) 상측을 개방시키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토퍼(210)가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의 렌즈(10) 공급을 차단하므로, 렌즈안착블록(300) 측으로 더 이상 렌즈(10)가 공급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안착블록(300)들이 상호 이격되고 덮개(500)가 개방된 상태가 되면, 렌즈픽업수단(700)이 아래로 내려와 렌즈안착블록(300)에 안착된 렌즈(10)를 픽업하게 되는데, 픽업되는 렌즈(10)들은 상호 간에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되므로 한 번에 여러 개의 렌즈(10)를 픽업하더라도 렌즈(10) 간의 간섭 또는 충돌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렌즈안착블록(300) 상의 렌즈(10)들이 모두 픽업되면, 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피스톤로드(410)에 인입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렌즈안착블록(300)들은 다시 렌즈공급레일(200) 측으로 밀착되고, 덮개(500)는 렌즈안착블록(300) 상측을 다시 덮어 도 9에 도시된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아무리 큰 힘으로 렌즈안착블록(300) 측으로 렌즈(10)를 공급하더라도 렌즈(10)가 렌즈안착블록(300)을 벗어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렌즈 100 : 베이스부
200 : 렌즈공급레일 210 : 스토퍼
212 : 돌출단 220 : 탄성체
300 : 렌즈안착블록 310 : 관통공
320 : 진공포트 400 : 구동수단
410 : 피스톤로드 420 : 슬라이드 돌출부
430 : 이송블록 500 : 덮개
510 : 이동방향 전환블록 512 : 슬라이드홈
520 : 슬라이드블록 530 : 가이드레일
600 : 절첩링크 610 : 제1 프레임
620 : 제2 프레임 700 : 렌즈 픽업수단

Claims (7)

  1. 복수 개의 렌즈(10)를 일렬로 공급하는 렌즈공급레일(200);
    상기 렌즈(10) 공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200) 출구측에 장착되되, 상기 렌즈공급레일(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300);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300) 간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400);
    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1 프레임(610)과 복수 개의 제2 프레임(620)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이 연결된 부위가 서로 다른 렌즈안착블록(300)에 연결되는 절철링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어느 하나의 렌즈안착블록(300)을 상기 렌즈공급레일(200)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렌즈안착블록(300)과 연결된 피스톤로드(410)를 구비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의 배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로드(410)의 인출방향과 90도 미만의 사이각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되 상기 피스톤로드(410)와 멀어질수록 상기 렌즈안착블록(300)과 가까워지는 슬라이드홈(512)을 구비하는 이동방향 전환블록(510);
    상기 슬라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410)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돌출부(420);
    상기 이동방향 전환블록(510)과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1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의 상측을 덮는 덮개(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300)들이 가까워졌을 때에는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에서의 렌즈(10)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렌즈안착블록(300)들이 멀어졌을 때에는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에서의 렌즈(10) 배출을 허용하는 스토퍼(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210)는 사전에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의 출구측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이 상기 렌즈공급레일(200)로부터 멀어질 때에는 탄성체(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에서의 렌즈(10)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이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측으로 접근할 때에는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에 의해 밀려 하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렌즈공급레일(200)에서의 렌즈(10) 배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안착블록(300) 상의 렌즈(10)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은 상기 렌즈(10)가 안착되는 부위에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렌즈(10)를 상기 렌즈안착블록(300)에 흡착시키는 진공포트(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공급장치.
KR1020130032871A 2013-03-27 2013-03-27 렌즈 공급장치 KR10128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71A KR101287553B1 (ko) 2013-03-27 2013-03-27 렌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71A KR101287553B1 (ko) 2013-03-27 2013-03-27 렌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553B1 true KR101287553B1 (ko) 2013-07-19

Family

ID=4899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871A KR101287553B1 (ko) 2013-03-27 2013-03-27 렌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89Y1 (ko) 2013-08-22 2013-10-29 정봉철 리니어 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46A (ja) * 1993-05-14 1994-11-22 Sankyo Seiki Mfg Co Ltd 方向転換装置
US20020153735A1 (en) 2000-03-03 2002-10-24 Micron Technology, Inc.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JP2005170622A (ja) * 2003-12-12 2005-06-30 Toyo Glass Kikai Kk 物品整列装置
KR20110001491U (ko) * 2009-08-05 2011-02-11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케이스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46A (ja) * 1993-05-14 1994-11-22 Sankyo Seiki Mfg Co Ltd 方向転換装置
US20020153735A1 (en) 2000-03-03 2002-10-24 Micron Technology, Inc.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JP2005170622A (ja) * 2003-12-12 2005-06-30 Toyo Glass Kikai Kk 物品整列装置
KR20110001491U (ko) * 2009-08-05 2011-02-11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케이스 정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89Y1 (ko) 2013-08-22 2013-10-29 정봉철 리니어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4003B (zh) 供料系统
JP6240047B2 (ja)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US9340308B2 (en) Supply apparatus for spout-equipped bags
KR101633689B1 (ko) 이재 방법, 보유지지 장치 및 이재 시스템
KR101847306B1 (ko) 자동화된 파이프 이송 시스템
CN103171841A (zh) 物品运送设备
CN211520771U (zh) 一种上料装置
RU2555681C1 (ru) Клапанный блок для заполнения угл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каналов массовым потоком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изделий
KR101676795B1 (ko) 웨이퍼 캐리어 반송 로봇
CN105905605A (zh) 一种电子产品物料自动化运输生产线
US20210402531A1 (en) Automated screw driving machine
KR101102566B1 (ko) 부품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CN109941713B (zh) 物件正反面识别与整列自动化设备
GB2555396A (en) A robot for selecting and transferring a flat object
KR101287553B1 (ko) 렌즈 공급장치
CN116081268A (zh) 上料装置及试剂盒组装装置
CN105283061A (zh) 电子部件供给装置
KR20210131247A (ko) 횡편기
KR101984467B1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KR20160097990A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CN110733913A (zh) 一种软板吸附机构及上板机
CN110466999A (zh) 自动收料机
JP6271236B2 (ja) 容器供給装置
JP4274101B2 (ja) 搬送システム
KR102669758B1 (ko) 유리판재 투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