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63B1 -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63B1
KR101975163B1 KR1020190008014A KR20190008014A KR101975163B1 KR 101975163 B1 KR101975163 B1 KR 101975163B1 KR 1020190008014 A KR1020190008014 A KR 1020190008014A KR 20190008014 A KR20190008014 A KR 20190008014A KR 101975163 B1 KR101975163 B1 KR 10197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yoke
ring
support
rail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수
Original Assignee
고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수 filed Critical 고민수
Priority to KR102019000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는, 서포트 요크가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가도록 경사진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를 통과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외관 검사파트, 및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의 오링 결합 불량을 검출하는 오링 검사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 검사파트는,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가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제2 레일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정렬된 상기 서포트 요크를 밀어주는 푸쉬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쉬부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대한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검사부, 및 상기 전기검사부를 통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오링 결합 불량이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외관 검출파트와 오링 검사파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신속/정밀하게 서포트 요크의 외관과 오링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Inspecting device of support yoke fo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운전석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과, 그 하측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샤프트, 그리고 이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결되어 동력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기억박스 등을 구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기억박스는 워엄 섹터 타입, 워엄 섹터 롤러 타입, 볼 앤 너트 타입, 랙 앤 피니언 타입 등이 있는데, 이 중에 랙 앤 피니언 타입의 기어박스는 운전자가 발생시킨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외주 일측에 밀착되는 랙 기어를 통해 차륜에 조향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랙 앤 피니언 타입의 기어박스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박스는 하단측에 마련된 랙 하우징(1)과 랙 하우징(1)에 결합되도록 상단측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3)으로서 외형이 이루어지며, 밸브 하우징(3) 내부에는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입력축(4)이 설치되고, 입력축(4)의 하단측에는 입력축(4)과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외주면에 피니언 기어(4a)가 형성된 피니언축이 설치된다. 또한, 랙 하우징(1)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원봉으로서 그 중간 일측에 피니언 기어(4a)와 치합되도록 랙 기어(2a)가 형성된 랙바(2)가 설치되고, 이 랙바(2)의 후방측에는 랙바(2)를 피니언 기어(4a)측으로 탄발성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랙바 지지장치가 마련된다.
이때, 랙바 지지장치는 랙 기어(2a) 후방측에 랙 하우징(1)과 일체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 실린더(5)와, 요크 실린더(5)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일단이 랙바(2)의 배면과 밀착되도록 반원형의 홈(6a)이 형성된 서포트 요크(6)를 구비한다. 또한, 서포트 요크(6) 후방에는 서포트 요크(6)가 랙바(2)에 탄력있게 밀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7)이 설치되고, 스프링(7) 일단을 지지토록 하기 위한 요크 플러그(8)가 요크 실린더(5)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랙바 지지장치는 랙 기어(2a)가 스프링(7)에 의해 피니언 기어(4a)에 탄발성 있게 밀착되어 서로 치합되므로, 효과적인 동력전달과 동시에 랙바(2)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요크(6)는 요크 실린더(5)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이어야 하는바, 서포트 요크(6)의 외경과 요크 실린더(5) 내경 사이에는 일정한 공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차가 너무 클 경우 서포트 요크(6)가 요크 실린더(5) 내부에서 완벽히 지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공차가 거의 없는 경우 서포트 요크(6)의 슬라이딩 동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차 치수는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서포트 요크(6)의 치수 안정성도 매우 중요한 이슈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서포트 요크(6)를 제조, 운반 또는 조립할 때 서포트 요크(6)가 다른 부품이나 장비에 부딪혀 외관에 찍힘 자국이 발생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며, 이에 따라 서포트 요크(6)의 외관이 변형되어 불량이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서포트 요크(6)의 조립 전 서포트 요크(6)의 외관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스티어링 휠의 빈번한 조작으로 인해 랙 기어(2a)와 피니언 기어(4a)가 마모되면 치합된 기어들 간에 불규칙한 면접촉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서포트 요크(6)와 요크 실린더(5) 사이의 공차로 인해 서포트 요크(6)가 좌·우 방향으로 요크 실린더(5)의 내경과 충돌을 일으켜 스티어링 휠 조작 시 덜그럭 소리(Lattle)와 같은 잡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잡음은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포트 요크(6)에 오링(6b)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서포트 요크(6)의 측면에 위치한 오링(6b)은 서포트 요크(6)의 반경방향 래틀(rattle) 이음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고 서포트 요크(6)의 측면과 수직한 일면에 위치한 오링(6b)은 서포트 요크(6)의 직선방향 래틀 이음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링(6b)은 서포트 요크(6)의 이음 발생 방지와 신뢰성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품이라 볼 수 있으며, 서포트 요크(6)의 조립 전 오링(6b)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지 검사하는 것 또한 서포트 요크(6)의 외관 검사와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서포트 요크(6)의 외관과 오링(6b) 불량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된 바 없고 수작업에 의하고 있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포트 요크의 외관과 오링 불량을 연속적으로 신속/정밀하게 검사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는 서포트 요크가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가도록 경사진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를 통과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외관 검사파트, 및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의 오링 결합 불량을 검출하는 오링 검사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 검사파트는,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가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제2 레일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정렬된 상기 서포트 요크를 밀어주는 푸쉬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쉬부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대한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검사부, 및 상기 전기검사부를 통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오링 결합 불량이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걸림부의 내부 천장면까지의 높이인 걸림높이는 상기 서포트 요크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지름보다 소정 높이 더 크며, 외관 불량으로 인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걸림높이보다 지름이 더 큰 서포트 요크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려 상기 제2 레일부로 진입하지 못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레일부에는 상기 서포트 요크의 오링이 안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요크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되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 및 상기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링의 결합이 정상인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링의 결합이 불량인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서포트 요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재, 및 상기 제1 감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서포트 요크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감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2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재, 및 상기 제2 감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서포트 요크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2 감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수직한 일면에 형성된 제3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3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3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3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링 검사파트는, 상기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인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쉬부는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 중 상기 제1 레일부에 가장 인접한 서포트 요크를 밀어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의 전체가 밀리도록 하여 상기 제1 레일부로부터 가장 먼 서포트 요크가 상기 전기검사부를 통과하여 상기 오링 검사파트로부터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레일부로부터 두 번째로 먼 서포트 요크가 상기 전기검사부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쉬부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인가부재, 및 상기 회전인가부재에 연결되되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분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 중 상기 제1 레일부에 가장 인접한 서포트 요크를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는 제1 레일부와 걸림부를 포함하는 외관 검출파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신속/정밀하게 서포트 요크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레일부, 푸쉬부, 전기검사부 및 알림부를 포함하는 오링 검출파트를 통해 서포트 요크의 오링 결합 불량 여부를 연속적으로 신속/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랙 앤 피니언 타입의 기어박스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의 검사대상인 서포트 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의 외관 검사파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의 오링 검사파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의 전기검사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검사대상인 서포트 요크(1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에 대한 설명에 앞서, 검사대상인 서포트 요크(10)의 구조와 형상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100)의 검사대상인 서포트 요크(10)는 크게 본체(20)와 오링(30)을 포함한다. 이때, 본체(2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져 경사면에서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갈 수 있는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져 전기적 도체로 통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는 곡면을 이루는 측면(21)과 측면(21)에 수직한 2면인 일면(22) 및 타면(2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면(22)에는 서포트 요크(10)를 랙바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위치되는 스프링홈(28)이 형성되고, 타면(23)에는 랙바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랙바홈(27)이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오링(30)은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부도체일 수 있으며, 본체(20)의 안착홈(24, 25, 26)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오링(30)은 예를 들어 제1 오링(31), 제2 오링(32) 및 제3 오링(3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오링(31)은 본체(20)의 측면(21)에 위치한 제1 안착홈(24)에 안착되고, 제2 오링(32)은 본체(20)의 측면(21)에 위치한 제2 안착홈(25)에 안착되며, 제3 오링(33)은 본체(20)의 일면(22)에 위치한 제3 안착홈(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30)은 요크 실린더와의 래틀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오링(30)이 3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만으로 구성되거나 3개를 초과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는 크게 서포트 요크(10)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 검사파트(200)와 외관 검사파트(200)를 통과한 서포트 요크(10)의 오링(30) 결합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오링 검사파트(300)를 포함하여,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서포트 요크(10)의 외관과 오링 결합 불량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외관 검사파트(2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외관 검사파트(2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외관 검사파트(200)는 서포트 요크(10)가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가도록 경사진 제1 레일부(210)와 제1 레일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서포트 요크(10)의 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10)를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걸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일부(210)는 오링 검사파트(300)를 향해 하향되도록 경사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레일부(210)의 초입에서 원통 형상을 갖는 서포트 요크(10)를 옆으로 뉘이면, 즉 서포트 요크(10)의 측면(21)이 제1 레일부(210)의 상면(211)에 접촉되도록 눕히면 서포트 요크(10)가 경사진 제1 레일부(210)를 따라 중력에 의해 오링 검사파트(3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요크(10)의 외관에 찍힘 등이 있는 경우 서포트 요크(10)가 구르다가 찍힘 자국에 의해 제1 레일부(210) 상에서 멈출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관이 불량한 서포트 요크(10)를 1차적으로 걸러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1 레일부(210)의 상면(211)에는 가이드홈(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212)은 서포트 요크(10)의 오링(30), 더욱 상세하게는 서포트 요크(10)의 측면(21)에 위치한 제1 오링(31) 또는 제2 오링(32)이 안착되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212)에 의해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보다 외면이 튀어나온 오링(30)에 의해 서포트 요크(10)가 잘못된 방향으로 구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서포트 요크(10)가 제1 레일부(210) 상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굴러내려 갈 수 있다.
걸림부(220)는 제1 레일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관에 불량이 있는 서포트 요크(10)는 걸리게 하고 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10)는 통과시키는 부재이다. 여기서, 제1 레일부(210)의 상면(211)에서부터 걸림부(220)의 내부 천장면(221)까지의 높이인 걸림높이(L)는 정상적인 서포트 요크(1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이보다는 소정 높이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10)는 제1 레일부(210) 상에서 걸림부(220)에 걸리지 않고 통과될 수 있지만, 외관에 찍힘 등이 있거나 설계 오류 등으로 인하여 지름이 균일하지 않거나 또는 지름이 비정상적으로 큰 외관 불량의 서포트 요크(10)는 어느 일부에서의 지름이 걸림높이(L)보다 크게 되므로 걸림부(220)에 의해 걸려 불량으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찍힘 자국이 작아 제1 레일부(210)를 따라 잘 굴러 내려가는 서포트 요크(10)라 하더라도 지름 불균일성이 있다면 걸림부(220)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외관이 불량한 서포트 요크(10)는 외관 검사파트(200)를 통과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오링 검사파트(300)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제1 레일부(210)의 상면(211)에서부터 걸림부(220)의 내부 천장면(221)까지의 높이인 걸림높이(L)를 걸림부(220)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설계하지 않고 오링 검사파트(300)에 인접해질수록 걸림높이(L)가 작아지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외관 검사파트(200)의 초입에서는 걸림높이(L)를 비교적 높게 설정하고, 오링 검사파트(300)에 인접해질수록 걸림높이(L)를 비교적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관이 불량한 서포트 요크(10)라 하더라도 걸림부(220)의 초입에서는 진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점차 걸림높이(L)가 작아지므로 외관이 덜 불량한 서포트 요크(10)일수록 걸림부(220)의 깊숙한 곳에서 걸리고 외관이 더 불량한 서포트 요크(10)일수록 걸림부(220)의 얕은 곳, 즉 진입 초기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검사장치(100)의 사용자는 서포트 요크(10)가 걸리는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서 서포트 요크(10)의 외관 불량 정도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는 외관 검사파트(200)의 제1 레일부(210)를 따라 연속적으로 서포트 요크(10)를 굴려 외관이 불량한 서포트 요크(10)를 신속하게 걸러낼 수 있는바, 기존보다 검사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품에 따라 지름이 다른 다양한 서포트 요크(10)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걸림높이(L)를 조정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걸림부(220)와 제1 레일부(210) 사이에 예를 들어 나사결합 등의 구성을 가진 높이조절부(230)를 두어, 걸림부(220)의 제1 레일부(210)에 대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걸림높이(L)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오링 검사파트(3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오링 검사파트(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오링 검사파트(300)는 제1 레일부(210)를 따라 굴러 내려온 서포트 요크(10)가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제2 레일부(320), 제2 레일부(320)에 정렬된 서포트 요크(10)를 밀어주는 푸쉬부(330), 서포트 요크(10)에 접촉되어 서포트 요크(10)에 대한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검사부(340), 및 서포트 요크(10)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포트 요크에 오링(30) 불량이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부(210)를 따라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오는 서포트 요크(10)는 외관이 정상적인 경우 걸림부(220)를 통과하여 제2 레일부(3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레일부(320)로 전달된 서포트 요크(10)는 순차적으로 제2 레일부(320) 상에 복수 개가 정렬될 수 있다.
푸쉬부(330)는 제2 레일부(320)에 정렬되어 있는 서포트 요크(10)를 전기검사부(340)의 방향으로 밀어주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푸쉬부(330)는 예를 들어 모터 등과 같이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인가부재(331)와 회전인가부재(331)에 연결되되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분기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인가부재(331)가 회전력을 인가하면 복수의 분기부재(332)는 예를 들어 풍차나 선풍기의 날개와 같이 회전될 수 있는데, 서포트 요크(10)가 제2 레일부(320) 상에 복수 개, 예를 들어 5개 정렬되면, 분기부재(332)의 끝단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일부(320)에 정렬된 서포트 요크(10) 중 가장 늦게 도착한 서포트 요크(10a), 즉 현재 가장 제1 레일부(210)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2 레일부(320) 상의 서포트 요크(10a)를 전기검사부(34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때, 제2 레일부(320) 상에는 복수의 서포트 요크(10)가 정렬되어 있으므로, 끝 부분의 서포트 요크(10a)를 분기부재(332)가 밀어주면 제2 레일부(320) 상에 위치한 복수의 서포트 요크(10) 전체가 굴러 도 5(b)와 같이 전기검사부(340)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며, 이에 따라 가장 앞단에 위치한 서포트 요크(10b)는 전기검사부(340)를 통과하여 오링 검사파트(300)에서부터 토출되고, 앞단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던 서포트 요크(10c)가 전기검사부(340)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기부재(332)를 동일한 각도로 복수 개 배치하는 경우 서포트 요크(10)를 동일한 소정 거리로 동일한 시간마다 밀어주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부재(332)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만일 분기부재(332)를 2개로 구성하는 경우 한 번 밀어주고 대기하는 시간을 3개인 경우에 비하여 늘릴 수 있으며, 만일 분기부재(332)를 4개로 구성하는 경우 밀어준 후 대기하는 시간을 3개인 경우에 비하여 짧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보다 신속한 검사를 하고 싶은 경우 분기부재(332)의 개수를 늘려 연속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천천히 검사를 하더라도 정밀한 검사를 하고 싶은 경우 분기부재(332)의 개수를 줄여 여유를 갖고 검사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한 번 밀었을 때 서포트 요크(10)가 이동되는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고 싶은 경우, 분기부재(332)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전기검사부(340)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100)의 오링 검사파트(300)에 있어서 전기검사부(3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부(330)가 서포트 요크(10)를 밀게 되면 가장 앞단에 위치한, 즉 외관 검사파트(10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서포트 요크(10b)는 전기검사부(340)에서의 검사를 마치고 오링 검사파트(300)로부터 토출되고 두 번째로 앞단에 위치한, 즉 외관 검사파트(100)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위치한 서포트 요크(10c)가 전기검사부(340)에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검사부(340)는 제2 레일부(320)의 앞단에 위치한 서포트 요크(1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접촉된 서포트 요크(10)에 대한 통전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오링(30) 연결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검사부(340)는 제2 레일부(320)의 적어도 일부 상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도체인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341), 서포트 요크(10)의 오링(30)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본체(20) 또는 오링(30)에 접촉되어 인가부(341)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부(341)는 서포트 요크(10)의 랙바홈(27)이 형성된 타면(23)에 접촉되어 도체인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지부(342)가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에 접촉되었느냐 또는 부도체인 오링(30)에 접촉되었느냐에 따라 통전 여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요크(10)가 정상적이면 감지부(342)가 서포트 요크(10)의 오링(30)에 접촉되는데, 이러한 경우 감지부(342)는 부도체인 오링(30)에 의해 인가부(341)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서포트 요크(1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링(30) 결합이 불량하면 감지부(342)는 서포트 요크(10)의 오링(30)이 아닌 본체(20)에 접촉되며, 이러한 경우 감지부(342)는 도체인 본체(20)를 통해 인가부(341)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여 서포트 요크(10)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342)는 서포트 요크(10)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로서 오링(30) 결합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서포트 요크(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알림부(350)는 예를 들어 빛, 소리 또는 단말기 상의 알람 등을 통해 서포트 요크(10)에 오링(30) 불량이 존재함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예시적인 구성으로 감지부(342)는 지지부재(343), 제1 감지부재(344a) 및 제1 탄성부재(345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343)는 서포트 요크(10)를 사이에 두고 인가부(34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 감지부재(344a)는 지지부재(343)로부터 연장되어 서포트 요크(10)의 제1 오링(31)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 측면(21) 또는 제1 오링(3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푸쉬부(330)가 맨 끝의 서포트 요크(10a; 도 5 참조)를 밀어내면 맨 앞의 서포트 요크(10b; 도 5 참조)가 전기감지부(342)로부터 토출되는데, 이때 필연적으로 제1 감지부재(344a)가 위로 들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음 서포트 요크(10c; 도 5 참조)가 전기검사부(340)에 위치하였을 때 제1 감지부재(344a)가 서포트 요크(10)에 접촉될 수 없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42)는 제1 탄성부재(345a)를 포함하는데, 제1 탄성부재(345a)는 제1 감지부재(344a)와 지지부재(343) 사이에 위치되어 제1 감지부재(344a)의 선단이 서포트 요크(10)의 측면(21)을 향하도록 제1 감지부재(344a)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 서포트 요크(10)가 전기검사부(340)에 위치하였을 때 이전 서포트 요크(10)의 토출에 의해 들린 제1 감지부재(344a)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서포트 요크(10)의 측면(21)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서포트 요크(10) 측면(21)에 제1 오링(31)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1 감지부재(344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링(31)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 부도체인 제1 오링(31)에 의하여 전기적 폐루프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부재(344a) 및 인가부(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알림부(35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요크(10)에 제1 오링(31)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감지부재(344a)는 제1 오링(31)이 아닌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인가부(341), 본체(20) 및 제1 감지부재(344a)를 통과하는 전기적 폐루프가 형성되어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가 외부로 제1 오링(31) 불량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342)는 추가적으로 제2 감지부재(344b)와 제2 탄성부재(34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감지부재(344b)는 지지부재(343)로부터 연장되어 서포트 요크(10)의 제2 오링(32)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서포트 요크(10)의 본체(20) 측면(21) 또는 제2 오링(32)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345b)는 제1 탄성부재(345a)와 유사하게 제2 감지부재(344b)의 선단이 지속적으로 서포트 요크(10)의 측면을 향하도록 제2 탄성부재(345b)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서포트 요크(10) 측면의 제2 안착홈(25)에 제2 오링(32)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2 감지부재(344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오링(32)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 부도체인 제2 오링(32)에 의하여 전기적 폐루프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감지부재(344b) 및 인가부(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알림부(35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요크(10)에 제2 오링(32)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감지부재(344b)는 제2 오링(32)이 아닌 본체(20) 측면(21)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인가부(341), 본체(20) 및 제2 감지부재(344b)를 통과하는 전기적 폐루프가 형성되어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가 외부로 제2 오링(32) 불량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342)는 추가적으로 서포트 요크(10)의 측면(21)과 수직한 일면(22)의 제3 안착홈(26)에 안착된 제3 오링(33)의 결합 불량 여부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343)는 서포트 요크(10)의 제3 오링(33)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서포트 요크(10)의 일면(22) 또는 제3 오링(33)에 접촉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요크(10)의 제3 안착홈(26)에 제3 오링(33)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지지부재(343)는 제3 오링(33)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 부도체인 제3 오링(33)에 의하여 전기적 폐루프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43) 및 인가부(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알림부(35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요크(10)에 제3 오링(33)이 제대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지부재(343)는 제3 오링(33)이 아닌 본체(20) 일면(22)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인가부(341), 본체(20) 및 지지부재(343)를 통과하는 전기적 폐루프가 형성되어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알림부(350)가 외부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43)와 인가부(341)는 모두 제2 레일부(320)의 적어도 일부 상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우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된 제2 레일부(320)를 통해 인가부(341)로부터의 전류가 다이렉트로 지지부재(343) 내지는 제1 감지부재(344a) 또는 제2 감지부재(344b)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레일부(320)와 인가부(341) 사이에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재질의 제1 절연부(346)를 두고, 제2 레일부(320)와 지지부재(343) 사이에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재질의 제2 절연부(347)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절연부(346, 347)는 제2 레일부(320)와 지지부재(343)를 서로 연결하는 스크류를 수용하는 홈과 제2 레일부(320)와 인가부(341)를 서로 연결하는 스크류를 수용하는 홈 내부까지 연장하여 확실한 절연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인가부(341)는 예시적으로 전원인가부재(341a)와 접촉부재(3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인가부재(341a)는 전원을 공급받아 연결부재(341c)를 통해 접촉부재(341b)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접촉부재(341b)는 직접 서포트 요크(10)의 타면(23)에 접촉되어 본체(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적용 제품에 따라 폭과 지름이 다른 서포트 요크(10)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접촉부재(341b)는 전원인가부재(341a)로부터 도 6 내지 도 9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인가부재(341a)와 제2 레일부(320) 사이에 앞서 설명한 제1 절연부(346)를 두고 전원인가부재(341a)와 접촉부재(341b)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제3 절연부(348)를 두어 전원인가부재(341a)와 접촉부재(341b)가 연결부재(341c)를 통한 전기적 연결 외에 원치 않게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서포트 요크
20 : 본체
30 : 오링
31 : 제1 오링
32 : 제2 오링
33 : 제3 오링
100 :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200 : 외관 검사파트
210 : 제1 레일부
220 : 걸림부
300 : 오링 검사파트
320 : 제2 레일부
330 : 푸쉬부
340 : 전기검사부
341 : 인가부
342 : 감지부
350 : 알림부

Claims (10)

  1. 서포트 요크가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가도록 경사진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관에 불량이 없는 서포트 요크를 통과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외관 검사파트; 및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의 오링 결합 불량을 검출하는 오링 검사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 검사파트는, 상기 외관 검사파트를 통과한 상기 서포트 요크가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제2 레일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정렬된 상기 서포트 요크를 밀어주는 푸쉬부, 상기 제2 레일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푸쉬부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대한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전기검사부, 및 상기 전기검사부를 통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오링 결합 불량이 존재함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요크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되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인가부, 및 상기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링의 결합이 정상인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오링의 결합이 불량인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상기 서포트 요크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서포트 요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재, 및 상기 제1 감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서포트 요크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감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걸림부의 내부 천장면까지의 높이인 걸림높이는 상기 서포트 요크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기 지름보다 소정 높이 더 크며,
    외관 불량으로 인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걸림높이보다 지름이 더 큰 서포트 요크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걸려 상기 제2 레일부로 진입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에는 상기 서포트 요크의 오링이 안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2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재, 및 상기 제2 감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서포트 요크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2 감지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본체의 측면과 수직한 일면에 형성된 제3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3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3 오링의 결합 불량 여부에 따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3 오링에 접촉되어 상기 인가부가 인가한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 검사파트는,
    상기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인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간을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 중 상기 제1 레일부에 가장 인접한 서포트 요크를 밀어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의 전체가 밀리도록 하여 상기 제1 레일부로부터 가장 먼 서포트 요크가 상기 전기검사부를 통과하여 상기 오링 검사파트로부터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레일부로부터 두 번째로 먼 서포트 요크가 상기 전기검사부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회전인가부재; 및
    상기 회전인가부재에 연결되되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분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레일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서포트 요크 중 상기 제1 레일부에 가장 인접한 서포트 요크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KR1020190008014A 2019-01-22 2019-01-22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KR101975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4A KR101975163B1 (ko) 2019-01-22 2019-01-22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14A KR101975163B1 (ko) 2019-01-22 2019-01-22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163B1 true KR101975163B1 (ko) 2019-05-03

Family

ID=6658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14A KR101975163B1 (ko) 2019-01-22 2019-01-22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409B1 (ko) * 1996-12-31 1999-09-15 전주범 리튬전지의 가스켓유무검사장치
KR101561597B1 (ko) * 2013-12-06 2015-10-19 황명수 자동부품분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409B1 (ko) * 1996-12-31 1999-09-15 전주범 리튬전지의 가스켓유무검사장치
KR101561597B1 (ko) * 2013-12-06 2015-10-19 황명수 자동부품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73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ble conductor shield fault detection
CA3023776C (en) Plug contact set and method for testing the latching of the plug contact set
KR101750243B1 (ko)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단자 검사장치
CN104919326A (zh) 具有测量电阻的测量装置
KR101975163B1 (ko) 스티어링 장치용 서포트 요크 검사장치
CN100348942C (zh) 带有导向传动装置的接触探测器
JP5653324B2 (ja) スプリングプローブ、スプリングプローブの摩耗検出装置及びスプリングプローブの摩耗検出方法
US6703831B1 (en) Dual eddy current probe for detecting geometrical differences especially as related to threaded apertures and studs
CN102866268A (zh) 检测夹具
EP288170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vality of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a heat-exchanger tube
JP2017090088A (ja) 導通検査治具、導通検査装置及び導通検査方法
KR101237292B1 (ko) 전자기기용 하네스 케이블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JP2009012140A (ja) 組立体検査装置及び組立体検査方法
CN220367403U (zh) 一种用于端子压接后单端电性能检测装置
CN203869678U (zh) 一种焊接螺栓防错检测装置
JP4069321B2 (ja) 端子の挿入量検査装置
KR20170064384A (ko) 차량용 스피드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1578805B (zh) 一种音叉端子检测装置
JP5886587B2 (ja) 鉄道信号機器電圧測定用電線用補助具および測定方法
CN215725517U (zh) 通止检测工具
JP2007309763A (ja) 電線の表面欠陥検出装置
CN218445656U (zh) 检测端子的电测机构
WO2022269783A1 (ja) 検査装置
CN215297637U (zh) 连接器端子检测工装
CN219009525U (zh) 可检测次品的绞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