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379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379A
KR20150065379A KR1020130150630A KR20130150630A KR20150065379A KR 20150065379 A KR20150065379 A KR 20150065379A KR 1020130150630 A KR1020130150630 A KR 1020130150630A KR 20130150630 A KR20130150630 A KR 20130150630A KR 20150065379 A KR20150065379 A KR 2015006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block
steel
concre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현
노경범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379A/ko
Publication of KR2015006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시공성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며, 내구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Precast concrete haunch blocks and it's bridge upp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s}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압축저항력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용 콘크리트 헌치블록과 이를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거더에서 바닥판 슬래브 시공시 상부플랜지의 압축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상부플랜지의 강재소요량을 증대시키거나, 콘크리트를 적절하게 합성하여 상부플랜지의 압축저항력을 증대시키곤 한다.
여기서, 전자인 상부플랜지의 강재소요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은 방법으로서 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후자인 콘크리트를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합성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특성상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방법이 어려워 보편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0869568호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는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양측에 설치된 복부인 측면강재(21)와,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바닥강재(22)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와, 상기 U형강재(23)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 상기 L형강재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 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이다.
또한, 종래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제작방법은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양측에 복부로 측면강재(21)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하여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하고, 상기 설치된 U형강재(23)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하고, 상기 설치된 측면강재(2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은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 상부케이션을 합성하여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적시하고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 상부케이션을 현장 타설로 시공하여야 하는 관계로 실제로 그 적용성에 있어서,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워 경제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장 시공성이 간편하면서도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공방법과 그 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 제10-0869568호(등록일 2008.11.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장 시공성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며, 내구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상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상부플랜지 압축저항력 증대용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의 응력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에 흡수되어 강재거더의 강재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시공과정이 단순하여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1c은 종래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대칭 I헌치블록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벽체부(10)와 연결강재(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사각형 판상체로서, 상기 사각형 판상체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I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 형상이며,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의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강재(20)로는 철근, 강봉, 봉강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I자형 벽체부(10)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는 연결강재(20)가 상호 벽체부(10)에 매립되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이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전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벽체부(10) 사이의 연결강재(2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대칭구조이며, 주로 수평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1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I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2실시예] 비대칭 I헌치블록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벽체부(10)와 연결강재(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사각형 판상체로서, 상기 사각형 판상체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I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벽체부(10)를 높이차를 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곡선교의 경우 바닥판 경사가 6% 이상이므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폭 간격에서 발생하는 높이차이에 의해 콘크리트 수량이 늘어나고, 중량이 증가하여 강재거더(G)의 강재량이 상승하는 부정적 요소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벽체부(10)에는 하단부에 절취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강재(20)로는 철근, 강봉, 봉강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I자형 벽체부(10)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는 연결강재(20)가 상호 벽체부(10)에 매립되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이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전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벽체부(10) 사이의 연결강재(2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비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경사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2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I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3실시예] 대칭 L형 헌치블록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벽체부(10)와 연결강재(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L자형 판상체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 형상이며,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강재(20)로는 철근, 강봉, 봉강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L자형 벽체부(10)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는 연결강재(20)가 상호 벽체부(10)에 매립되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이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전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벽체부(10) 사이의 연결강재(2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대칭구조이며, 주로 수평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3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4실시예] 비대칭 L형 헌치블록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벽체부(10)와 연결강재(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한 쌍의 사각형 판상체로서, 상기 사각형 판상체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벽체부(10)를 높이차를 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곡선교의 경우 바닥판 경사가 6% 이상이므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폭 간격에서 발생하는 높이차이에 의해 콘크리트 수량이 늘어나고, 중량이 증가하여 강재거더(G)의 강재량이 상승하는 부정적 요소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벽체부(10)에는 하단부에 절취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강재(20)로는 철근, 강봉, 봉강 등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L자형 벽체부(10)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는 연결강재(20)가 상호 벽체부(10)에 매립되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이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전체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벽체부(10) 사이의 연결강재(2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은 비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경사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4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부(10)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5실시예] 역 U형 대칭 데크플레이트 겸용 헌치블록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벽체부(10), 바닥판(30), 연결강재(40) 및 데크플레이트(5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와 바닥판(30)은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의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강재(40)은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일종의 루프철근으로, 상부플랜지(P) 상에 결합된 전단연결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로서, 파형강판상에 삼각형, 사각형, 제형 형상의 트러스근이 용접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근 상에 길이방향으로 주철근이 용접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역U자형으로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이 강재거더(G)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면에서 연결강재(40)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그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수평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5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상면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6실시예] 역U자형 비대칭 데크플레이트 겸용 헌치블록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벽체부(10), 바닥판(30), 연결강재(40) 및 데크플레이트(5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와 바닥판(30)은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되고,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벽체부(10)에 높이차를 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바닥판(30) 경사로 인해 수평 데크플레이트(50)의 사용시 증가하는 콘크리트 수량과 하중 상승을 배제하고, 바닥판(30)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부를 폐합함으로써, 브레이싱을 최소화시키며, 바닥판(30) 하중에는 데크플레이트(50)와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합성작용으로 단면 강성을 크게 상승시켜, 강재거더(G)의 강재량을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의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강재(40)은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일종의 루프철근으로, 상부플랜지(P) 상에 결합된 전단연결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로서, 파형강판상에 삼각형, 사각형, 제형 형상의 트러스근이 용접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근 상에 길이방향으로 주철근이 용접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역U자형으로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이 강재거더(G)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면에서 연결강재(40)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그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비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경사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6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상면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7실시예] Z형 대칭 데크플레이트 겸용 헌치블록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벽체부(10), 바닥판(30), 연결강재(40) 및 데크플레이트(5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와 바닥판(30)은 전체적으로 Z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강재(40)은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일종의 루프철근으로, 상부플랜지(P) 상에 결합된 전단연결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로서, 파형강판상에 삼각형, 사각형, 제형 형상의 트러스근이 용접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근 상에 길이방향으로 주철근이 용접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Z자형으로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이 강재거더(G)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면에서 연결강재(40)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그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수평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7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Z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상면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제8실시예] L형 비대칭 데크플레이트 겸용 헌치블록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벽체부(10), 바닥판(30), 연결강재(40) 및 데크플레이트(5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와 바닥판(30)은 전체적으로 Z자 형상의 철근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되고,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벽체부(10)를 높이차를 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곡선교의 경우 바닥판 경사가 6% 이상이므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폭 간격에서 발생하는 높이차이에 의해 콘크리트 수량이 늘어나고, 중량이 증가하여 강재거더(G)의 강재량이 상승하는 부정적 요소를 배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절취부(12)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에 벽체부(10)를 긴밀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절취부(12)의 단면형상은 L자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취부(12)의 높이는 상부플랜지(P)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플랜지(P)에 걸쳐지는 절취부(12)의 폭은 벽체부(10)의 폭의 1/2의 길이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강재(40)은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일종의 루프철근으로, 상부플랜지(P) 상에 결합된 전단연결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로서, 파형강판상에 삼각형, 사각형, 제형 형상의 트러스근이 용접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근 상에 길이방향으로 주철근이 용접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Z자형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이 강재거더(G)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면에서 연결강재(40)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그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합성하여 완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은 비대칭 구조이므로 주로 경사바닥판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의 제8실시예가 강재U거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 강재거더(G) 거치단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 슬래브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제작단계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되고, 상기 벽체부(10)는 Z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 거치단계는 기 설치된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거치단계는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한다.
이어서,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합성단계는 상부플랜지(P) 상에 거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슬래브 형성단계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의 상면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5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한다.
10: 벽체부 12: 절취부
20: 연결강재 30: 바닥판
40: 연결강재 50: 데크플레이트
B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B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G: 강재거더 P: 상부플랜지

Claims (10)

  1.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 간을 가로질러 다수개가 매립 연결되는 연결강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는 I자 또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5.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벽체부(10)와; 상기 벽체부(10)의 상부 간을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벽체부(10)의 외측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부분 매립되는 연결강재(40)과;
    상기 바닥판(30)에 일정부분이 매립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데크플레이트(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는 역 U자 또는 Z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는 좌우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의 외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의 절취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1) 상면에 데크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1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제작하는 단계;
    교대 및 교각 상에 강재거더(G)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 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G)의 상부플랜지(P)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B2)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을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30150630A 2013-12-05 2013-12-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KR20150065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630A KR20150065379A (ko) 2013-12-05 2013-12-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630A KR20150065379A (ko) 2013-12-05 2013-12-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86A Division KR20160063300A (ko) 2016-05-16 2016-05-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79A true KR20150065379A (ko) 2015-06-15

Family

ID=5350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630A KR20150065379A (ko) 2013-12-05 2013-12-0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342B1 (ko)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447013B1 (ko) 웨브 홀을 가지는 비대칭 단면 철골 합성보
KR101693256B1 (ko)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KR101030128B1 (ko)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CN110846996A (zh) 一种连续组合梁桥的施工方法及连续组合梁桥
CN111424546A (zh) 中小跨径桥梁的倒t钢梁-混凝土组合梁结构及施工方法
KR20150037786A (ko) Psc거더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703798B1 (ko) 곡선형 구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피에스씨 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482522B1 (ko)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196874B1 (ko)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KR100936944B1 (ko) 연속화 거더 및 거더의 연속화 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80099587A (ko) 연속교량 내부지점부의 하이브리드 단면을 이용한 이중합성 하이브리드 거더의 제작 및 가설방법
KR2012013428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H11222814A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床版を使用した鋼合成複合橋
KR101664997B1 (ko) 프리캐스트 t 타입 모듈형 합성 라멘교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합성 라멘교, 그리고 그 합성 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100990967B1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038714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이용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63300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KR101693266B1 (ko) 하이브리드 거더
KR102327700B1 (ko)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KR2015006537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