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282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4282A KR20120134282A KR1020110053076A KR20110053076A KR20120134282A KR 20120134282 A KR20120134282 A KR 20120134282A KR 1020110053076 A KR1020110053076 A KR 1020110053076A KR 20110053076 A KR20110053076 A KR 20110053076A KR 20120134282 A KR20120134282 A KR 201201342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girder
- horizontal
- haunch
- reinforcing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횡방향분배구조가 거더의 측면 공중위에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거더 위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이 효율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위험율을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는 연결용 강판에 의한 횡방향 하중분배와, 전단저항과, 그리고 횡방향 벌어짐 방지가 거더의 측면부에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연결구조 한곳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구조는 간단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이 안전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긴급을 요하는 신속한 교량시공에 적합하고 유용한 기술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는 연결용 강판에 의한 횡방향 하중분배와, 전단저항과, 그리고 횡방향 벌어짐 방지가 거더의 측면부에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연결구조 한곳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구조는 간단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이 안전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긴급을 요하는 신속한 교량시공에 적합하고 유용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횡방향분배구조가 거더의 측면 공중위에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거더 위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이 효율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위험율을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는 연결용 강판에 의한 횡방향 하중분배와, 전단저항과, 그리고 횡방향 벌어짐 방지가 거더의 측면부에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연결구조 한곳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구조는 간단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이 안전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특히 긴급을 요하는 신속한 교량시공에 적합하고 유용한 기술이다.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는 통상 중공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형태의 거더를 말한다.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는 보통 프리캐스트 공장제품으로 제작된다.
요즘은 거더로서의 역할과 슬래브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하는 박스형태의 “슬래브형식의 교량”이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566720호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서 “슬래브형식의 교량”이란 거더이면서 슬래브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교량을 말한다. 박스형태의 형상을 이용하여 거더의 상면부가 슬래브가 되도록 한 교량이다.
다시 말하면 거더로서의 역할만 하던 종래의 거더와는 달리 프리캐스트 중공부 콘크리트 거더의 상면부가 바로 슬래브가 되는 교량이다. 즉 거더의 상면부가 곧바로 슬래브가 되기 때문에 거더위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이 생략된 교량이다.
“슬래브형식의 교량”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생략된 구조이므로 그만큼 교량 형고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부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슬래브형식의 교량”은 거더 위에 슬래브를 타설하는 종래의 거더 교량방식과는 달리 공사기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신속한 교량가설에 적합하다. 여기에다 작업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먼저 등록특허 제10-0566720호의 프리캐스트 중공부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슬래브형식의 교량”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2)는 도1b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는 중공부(4)가 형성되어있고, 그 하부에는 거더(2)의 길이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트 강선(6)이 삽입되어있으며, 일정간격으로 횡방향 긴장재(16)가 삽입되어있는 구성이다.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2)의 상면부는 거더와 슬래브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하므로 그 단면은 구조계산에 의하여 설계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크기 및 두께를 갖도록 설계된다.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2)는 가설 현장으로 운반한 후, 교대 또는 교각(20) 위에 도1b 및 도1c과 같이 병렬로 설치된다.
거더(2)와 거더(2)사이의 걸림턱(10)에 거푸집(12)을 설치한 후, 거더(2) 사이에 현장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횡방향 긴장재(16)를 긴장하면 빔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현장타설 콘크리트(14)는 거더(2)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8)로 인하여 부착력이 증대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14)의 균열을 억제하면서 전단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종래기술의 “슬래브형식의 교량”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공부를 갖는 박스 거더는 I형 거더와는 달리 비틀림 강성이 크기 때문에 비틀림에 대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횡방향으로의 하중분배와, 전단력과, 그리고 병렬로 설치된 거더의 벌어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횡방향으로의 하중분배에 대하여 살펴본다.
예를 들어, 5개의 거더(2)가 병렬로 설치되고, 또 상재하중이 중앙에 설치된 중앙 거더(2)에만 상재된 경우라고 가정한다. 이때, 횡방향으로의 하중분배구조가 없다면 그 상재하중은 중앙 거더가 전적으로 부담하게 된다.
그러나 중앙 거더에 상재된 상재하중이 중앙 거더 양측으로 상재하중의 30~50%를 분배하는 구조라면 중앙 거더의 단면은 30~50% 줄어들게 된다.
상재하중이 횡방향으로 크게 분배될수록 상재하중을 거더 전체가 고르게 분담하게 되어 경제적인 설계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기술의 횡방향하중 분배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횡방향 긴장재(16)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거더(2)와 거더(2)사이를 횡방향 긴장재(16)에 의하여 하나로 일체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횡방향 긴장재(16)가 거더(2)와 거더(2)사이를 일체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거더(2)와 거더(2)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벌어짐 현상은 곡선교량에서 차량의 속도로 인하여 거더가 원심력을 크게 받을 때 크게 일어난다.
그런데 횡방향 긴장재(16)와 관련된 모든 작업이 거더가 교대 또는 교각위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횡방향 긴장재(16)는 거더(2)의 측면부를 관통해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횡방향 긴장재(16)의 삽입ㆍ인장ㆍ고정 작업이 모두 거더(2)의 측면부에서 이루어진다. 거더(2)의 측면부는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는 한 공중뿐이다.
따라서 횡방향 긴장재(16)의 삽입ㆍ인장ㆍ고정 작업을 위해서 거더(2)의 측면부 양측에 작업대를 별도로 반드시 설치해야한다. 작업대의 설치는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어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의 위험성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기술의 거더(2)와 거더(2)사이의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거더(2)와 거더(2)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된 구조이다.
종래기술의 전단력 저항이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부착력에 의존된 구조이기 때문이다.
횡방향 긴장재(16)도 전단력에 대해 저항하기는 하나 띄엄띄엄 설치되어있는데다 그 단면적이 너무 작아 전단력에 대한 저항은 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존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단력에 대한 저항이 현장타설 콘크리트(14)의 부착력에 의존된 구조이기 때문에 거더(2)와 거더(2)사이에는 반드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한다. 그뿐 아니라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거더(2)측면부에 돌기(8)를 형성한 것이다. 돌기(8)의 형성 및 거더(2)와 거더(2)사이의 콘크리트가 타설은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는 사면이 폐쇄된 형태인데다 중공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이므로 중공부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설령 설치된다하더라도 탈형이 무척 어렵다. 거푸집을 중공부로부터 이격ㆍ제거시키는 것도 어렵고, 이격시켜다하더라도 길게 형성된 중공부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마찰력을 극복해가면서 거푸집을 중공부 밖으로 빼낸다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일이다.
이와 같이 거더 중공부내부에 거푸집의 설치ㆍ탈형ㆍ제거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거더 중공부내부에 가벼우면서 거푸집의 기능이 유지되는 스치로폴(EPS)과 같은 거푸집부재가 통상 사용되고 있다. 주로 스치로폴(EPS)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스치로폴(EPS)은 비중이 1이하이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일 뿐 아니라 특히 거더 중공부로부터 빼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스치로폴(EPS)은 중량이 가벼워 거더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도 아니고, 가격이 저렴해서 폐쇄공간의 거푸집으로 적합하다.
스치로폴(EPS)을 사용하여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하는 과정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0666호가 도2a 및 도2b에 도시되어있다.
도2a는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을 위한 거푸집(100)을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거푸집(100)은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의 외부 거푸집이고, 스티로폴(310)은 중공부(300)의 내부거푸집이다.
중공부(300)에 삽입된 스티로폴(310)은 콘크리트(400) 타설시에는 내부거푸집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타설된 거더가 양생ㆍ완성된 후에도 중공부(300)로부터 스티로폴(310)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스티로폴(310)은 중공부(300)의 영구코아이다.
스티로폴(310)은 비중이 작고 가공이 용이한 재질이므로 영구코아로서 적합하다.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는 스티로폴(310)이 영구코아로서 중공부(300)에 남아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거더의 길이는 통상 20-30m이고, 중공부(300)내의 영구코아의 길이도 이와 같다.
철근조립체(200)는 콘크리트 거더내에 일정간격으로 보강된 수직철근, 수평철근 및 스트럽철근 등을 총칭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연결구(500)는 부력으로 인해 내부 거푸집인 스티로폴(310)이 부력을 받아 위로 뜨는 것을 방지하는 중량부재이다. 콘크리트 몰탈 위에 설치된 스티로폴(310)은 부력을 받게 된다.
⒜ 본 발명은 횡방향분배구조가 거더의 측면 공중위에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일정간격으로 거더의 측면부에 형성된 수직 연결구조에 의하여 거더위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이 효율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위험율을 최소화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또한 수직 연결구조에 의한 횡방향분배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횡방향 하중분배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 전단저항이 클 뿐만 아니라 거더의 횡방향 벌어짐이 방지되면서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거더의 측면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단키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오로지 콘크리트만을 타설하는 종래기술의 전단구조와는 달리 거더의 측면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수직연결 관통구조가 형성되어있고, 또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이 돌출된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횡방향분배구조의 역할과, 그리고 전단력 저항구조 및 횡방향거더의 벌어짐 방지구조의 역할이 수직연결 관통구조 한 곳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ㆍ하부(10)(20)와, 그리고 측면부(S)에 의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있으면서 중공부내에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내장되어있고, 또 중공부의 모서리에 상ㆍ하부 헌치부(P1Q1)(P2Q2)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20)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에 있어서,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와, 그리고 하부헌치수평부(L)에 의하여 거더(100)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에다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관통되어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노출되어있되 시계방향으로 상부수직부(U)는 상부헌치부(P1Q1)의 P1점에서 거더(100)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관통되어있고, 상부헌치수직부(H)는 상부수직부(U)에 직각되게 측면부(S)끝단까지 관통되어있으며, 측면부(S)의 하단은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까지 관통되어있으면서 상기 측면부(S)의 Q2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하부헌치수평부(L)가 관통되어있고, 다시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에서 직각 상 방향으로 상기 측면부(S)와 대칭되게 측면부(S)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평철근(42)은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에서 돌출되어있고, 수직철근(44)은 하부헌치수평부(L)와 하부 헌치부(P2Q2)에서 돌출되어있으며, 상기 수직철근(44)의 상단부는 수직 절곡되어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과 연결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이다.
여기에다 하부 헌치부(P2Q2)의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돌출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이다.
또한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에는 커플러(42b)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부(42a)가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는 수직연결 관통구조(40)는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충진된 상태에서 거더의 상부(10)의 일부분과, 상부헌치부(P1Q1)(P1Q1)와, 측면부와, 그리고 하부헌치부(P2Q2)(P2Q2)의 일부가 관통된 구조다.
수직연결 관통구조(40)에는 수평철근(42)과 수직철근(44)이 노출되어있다.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은 커플러(42b)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부(42a)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수평철근(42)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에서 돌출되어있다.
수직철근(44)은 하부헌치수평부(L)와 하부 헌치부(P2Q2)에서 돌출되어있다.
수직철근(44)과 수평철근(42)의 연결은 통상적이 방법에 따라 연결한다.
상부수직부(U)의 관통시점은 P1점이다. 만약 상부수직부(U)의 관통시점이 Q1점이 되면 작업공간이 비좁아 수평철근(42)끼리의 연결 작업 및 콘크리트 몰탈(M) 타설 작업이 어렵게 된다. P1점이 상부수직부(U)의 관통시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헌치부(P2Q2)에서 제일 안쪽에 돌출된 수직철근(44)의 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피복두께를 감안할 때 가장 바람직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수직연결 관통구조의 벽 두께를 측면부(S)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기위해서다. 벽 두께가 두꺼워지면 강성이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몰탈(M)이 타설된 2개의 수직연결 관통구조의 강성도 두꺼워진 벽두께만큼 커지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의하여 횡방향분배구조와 전단력 저항구조 및 횡방향거더의 벌어짐 방지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수직연결 관통구조가 거더의 측면부에 위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수평철근의 연결 작업 및 콘크리트 몰탈 타설 작업이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이 효율적이며, 작업자의 위험율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연결구조에 의한 횡방향분배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횡방향 하중분배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 전단저항이 클 뿐만 아니라 거더의 횡방향 벌어짐이 방지되면서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거더의 측면 가로방향으로 길게 전단키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오로지 콘크리트만을 타설하는 종래기술의 전단구조와는 달리 거더의 측면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수직연결 관통구조가 형성되어있고, 또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이 돌출된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횡방향분배구조의 역할과, 그리고 전단력 저항구조 및 횡방향거더의 벌어짐 방지구조의 역할이 수직연결 관통구조 한 곳에서 모두 수행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이 시공된 사시도
[도1b] 도1a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c] 도1b의 단면도
[도2a] 스티로폴 영구코아에 의해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상태 단면도
[도2b] 스티로폴 영구코아에 의한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상태 비교사시도
[도3a]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별도의 보강 수평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의 사시도
[도3b]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별도의 보강 수평철근을 배근한 상태의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의 사시도
[도3c]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접면시키고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d]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도3c의 수직연결 관통구조에다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b] 도1a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c] 도1b의 단면도
[도2a] 스티로폴 영구코아에 의해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상태 단면도
[도2b] 스티로폴 영구코아에 의한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상태 비교사시도
[도3a]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별도의 보강 수평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의 사시도
[도3b]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별도의 보강 수평철근을 배근한 상태의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의 사시도
[도3c]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접면시키고 수직연결 관통구조에 수평철근 및 수직철근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d]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도3c의 수직연결 관통구조에다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상ㆍ하부(10)(20)와, 그리고 측면부(S)에 의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있으면서 중공부내에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내장되어있고, 또 중공부의 모서리에 상ㆍ하부 헌치부(P1Q1)(P2Q2)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20)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측면부(S)에다 위에서 아래로 수직되게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형성되어있되 시계방향으로 상부수직부(U)는 상부헌치부(P1Q1)의 P1점에서 거더(100)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관통되어있고, 상부헌치수직부(H)는 상부수직부(U)에 직각되게 측면부(S)끝단까지 관통되어있으며, 측면부(S)의 하단은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까지 관통되어있으면서 상기 측면부(S)의 Q2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하부헌치수평부(L)가 관통되어있고, 다시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에서 직각 상 방향으로 상기 측면부(S)와 대칭되게 측면부(S)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평철근(42)은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에서 돌출되어있고, 수직철근(44)은 하부헌치수평부(L)와 하부 헌치부(P2Q2)에서 돌출되어있으며, 상기 수직철근(44)의 상단부는 수직 절곡되어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과 연결되어있는 2개 이상의 거더(100)를 교각 또는 교대위에 병렬로 거치하는 단계;
⒝ 2개의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서로 접면되면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철근(42)과 수평철근(42), 그리고 수평철근(42)과 수직철근(44)을 통상의 연결방법으로 서로 연결하되 측면부(S)와 측면부(S)의 관통된 공간사이에 수평철근을 별도로 배근 보강하면서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의 나선부(42a)에 커플러(42b)로 결합하는 단계;
⒞ 수직연결 관통구조(40)에 콘크리트 몰탈(M)을 충진하되 거더(100)의 상부(10)면과 동일한 레벨로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하부 헌치부(P2Q2)의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돌출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이다.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피복두께를 감안할 때 하부 헌치부(P2Q2)에서 제일 안쪽에 돌출된 수직철근(44)의 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에는 커플러(42b)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부(42a)가 형성되어있기는 하지만 수직연결 관통구조(40)로 형성되어있으면서 수직연결 관통구조(40)의 개념이 동일하다면 커플러(42b)이외의 방식, 즉 철근을 절곡해서 결합시키는 통상의 방식도 이에 포함된다.
100; 거더
10; 상부, P1Q1; 상부 헌치부,
20; 하부, P2Q2; 하부 헌치부,
40; 수직연결 관통구조, U; 상부수직부, H; 상부헌치수직부, S; 측면부,
L; 하부헌치수평부, 42; 수평철근, 42a; 나선부, 42b; 커플러, 44; 수직철근
C; 스티로폴 영구코아
M; 콘크리트 몰탈
10; 상부, P1Q1; 상부 헌치부,
20; 하부, P2Q2; 하부 헌치부,
40; 수직연결 관통구조, U; 상부수직부, H; 상부헌치수직부, S; 측면부,
L; 하부헌치수평부, 42; 수평철근, 42a; 나선부, 42b; 커플러, 44; 수직철근
C; 스티로폴 영구코아
M; 콘크리트 몰탈
Claims (5)
- 상ㆍ하부(10)(20)와, 그리고 측면부(S)에 의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있으면서 중공부내에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내장되어있고, 또 중공부의 모서리에 상ㆍ하부 헌치부(P1Q1)(P2Q2)가 형성되어있고, 하부(20)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에 있어서,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와, 그리고 하부헌치수평부(L)에 의하여 거더(100)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에다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관통되어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노출되어있되 시계방향으로 상부수직부(U)는 상부헌치부(P1Q1)의 P1점에서 거더(100)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관통되어있고, 상부헌치수직부(H)는 상부수직부(U)에 직각되게 측면부(S)끝단까지 관통되어있으며, 측면부(S)의 하단은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까지 관통되어있으면서 상기 측면부(S)의 Q2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하부헌치수평부(L)가 관통되어있고, 다시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에서 직각 상 방향으로 상기 측면부(S)와 대칭되게 측면부(S)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평철근(42)은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에서 돌출되어있고, 수직철근(44)은 하부헌치수평부(L)와 하부 헌치부(P2Q2)에서 돌출되어있으며, 상기 수직철근(44)의 상단부는 수직 절곡되어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과 연결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헌치부(P2Q2)의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돌출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에는 커플러(42b)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부(42a)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 ⒜ 상ㆍ하부(10)(20)와, 그리고 측면부(S)에 의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있으면서 중공부내에 스티로폴 영구코아(C)가 내장되어있고, 또 중공부의 모서리에 상ㆍ하부 헌치부(P1Q1)(P2Q2)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20)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의 측면부(S)에다 위에서 아래로 수직되게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형성되어있되 시계방향으로 상부수직부(U)는 상부헌치부(P1Q1)의 P1점에서 거더(100)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관통되어있고, 상부헌치수직부(H)는 상부수직부(U)에 직각되게 측면부(S)끝단까지 관통되어있으며, 측면부(S)의 하단은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까지 관통되어있으면서 상기 측면부(S)의 Q2점에서 직각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ℓ의 길이에 걸쳐 하부헌치수평부(L)가 관통되어있고, 다시 하부헌치수평부(L)의 Q2점에서 직각 상 방향으로 상기 측면부(S)와 대칭되게 측면부(S)가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평철근(42)은 상부수직부(U)와, 상부헌치수직부(H)와, 양측이 대칭인 측면부(S)에서 돌출되어있고, 수직철근(44)은 하부헌치수평부(L)와 하부 헌치부(P2Q2)에서 돌출되어있으며, 상기 수직철근(44)의 상단부는 수직 절곡되어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과 연결되어있는 2개 이상의 거더(100)를 교각 또는 교대위에 병렬로 거치하는 단계;
⒝ 2개의 수직연결 관통구조(40)가 서로 접면되면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철근(42)과 수평철근(42), 그리고 수평철근(42)과 수직철근(44)을 통상의 연결방법으로 서로 연결하되 측면부(S)와 측면부(S)의 관통된 공간사이에 수평철근을 별도로 배근 보강하면서 상부수직부(U)에서 돌출된 수평철근(42)근의 나선부(42a)에 커플러(42b)로 결합하는 단계;
⒞ 수직연결 관통구조(40)에 콘크리트 몰탈(M)을 충진하되 거더(100)의 상부(10)면과 동일한 레벨로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하부 헌치부(P2Q2)의 제일 안쪽에 위치된 수직철근(44)의 돌출위치는 P2점을 기준으로 Q2까지의 거리(d)의 1/4~1/2에 위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3076A KR101229263B1 (ko) | 2011-06-02 | 2011-06-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3076A KR101229263B1 (ko) | 2011-06-02 | 2011-06-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4282A true KR20120134282A (ko) | 2012-12-12 |
KR101229263B1 KR101229263B1 (ko) | 2013-02-04 |
Family
ID=4790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3076A KR101229263B1 (ko) | 2011-06-02 | 2011-06-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926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267B1 (ko) * | 2018-12-19 | 2020-03-09 | (주)피티씨 | 요철이 형성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
CN110877408A (zh) * | 2019-12-12 | 2020-03-13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预制箱梁顶板钢筋绑扎支架 |
KR102086932B1 (ko) * | 2018-12-19 | 2020-04-20 | (주)피티씨 |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
CN111962373A (zh) * | 2020-09-01 | 2020-11-20 |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 现浇rc与预制uhpc组合箱拱结构及施工方法 |
CN113235385A (zh) * | 2021-03-27 | 2021-08-10 | 天津市泽琪水泥构件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空心板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229B1 (ko) * | 2014-08-28 | 2015-05-26 | 김윤기 | 비돌출 단부 정착 거더식 교량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0666A (ko) * | 2008-01-22 | 2009-07-27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교량시공방법 |
-
2011
- 2011-06-02 KR KR1020110053076A patent/KR10122926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267B1 (ko) * | 2018-12-19 | 2020-03-09 | (주)피티씨 | 요철이 형성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
KR102086932B1 (ko) * | 2018-12-19 | 2020-04-20 | (주)피티씨 |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티드 역티형 거더 |
CN110877408A (zh) * | 2019-12-12 | 2020-03-13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预制箱梁顶板钢筋绑扎支架 |
CN111962373A (zh) * | 2020-09-01 | 2020-11-20 |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 现浇rc与预制uhpc组合箱拱结构及施工方法 |
CN113235385A (zh) * | 2021-03-27 | 2021-08-10 | 天津市泽琪水泥构件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空心板梁 |
CN113235385B (zh) * | 2021-03-27 | 2022-02-18 | 天津市泽琪水泥构件有限公司 | 一种装配式空心板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9263B1 (ko) | 2013-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9305B1 (ko) |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 |
KR101229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0778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 |
KR101228593B1 (ko) |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20100012404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 |
KR20090068536A (ko) |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
KR100812132B1 (ko) |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 |
KR101196874B1 (ko) |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 |
KR101030128B1 (ko) |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 |
KR101458434B1 (ko) |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80004835U (ko) |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 |
KR101705002B1 (ko) |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68056B1 (ko) |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593664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20090075484A (ko) | 프리플렉스 합성형 중ㆍ하로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83489Y1 (ko) |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 |
KR100727683B1 (ko) |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 |
KR101350797B1 (ko) |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2327700B1 (ko) | 거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지점부 연속화 시공방법 | |
KR20100045740A (ko) |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 부분 시공을 위한 지지 조립체,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부분의 시공방법, 이러한 캔틸레버 부분을 구비한 교량 및 교량의 시공방법 및 교량 최외측 거더 외부의 반두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
CN214272076U (zh) | 一种格构梁 | |
KR101834423B1 (ko) |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 |
KR101688440B1 (ko)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