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440B1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Google Patents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8440B1 KR101688440B1 KR1020130090627A KR20130090627A KR101688440B1 KR 101688440 B1 KR101688440 B1 KR 101688440B1 KR 1020130090627 A KR1020130090627 A KR 1020130090627A KR 20130090627 A KR20130090627 A KR 20130090627A KR 101688440 B1 KR101688440 B1 KR 101688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asing
- precast block
- connecting member
- upper flange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의 빔의 상부 보강 부재는,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프리캐스트 블록, 및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 설치되며,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구조체의 시공에 있어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빔 구조체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 구조체의 시공에 있어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빔 구조체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은 건설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PSC 빔(10)은 상부의 하중에 따른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로서, 하부 플랜지는 인장 응력에 저항하고, 상부 플랜지(11)는 압축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콘크리트는 압축력이 강하고, 강재(철근)는 인장력이 강한 자재이므로, 인장 응력에 저항해야 하는 PSC 빔(10)의 하부에는 인장 철근 등의 긴장재(30)가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PSC 빔(10)이 부담해야 하는 상부 하중이 커서 상부 플랜지(11)의 콘트리트만으로 압축 응력을 분담하도록 하면 그 단면이 너무 커지게 되는 경우, 효율적인 단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2에서와 같이 PSC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압축 철근과 같은 압축 부재(50)를 배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 2에서의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10)은 압축보강을 위하여 많은 양의 강봉 및 강재 등의 압축 부재(50)가 소요됨으로써, PSC 빔의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10)은 상부 플랜지(11)의 한정된 단면에서 많은 양의 압축 부재(50)를 배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부 플랜지(11)에 다수 설치되는 압축 부재(50)로 인해 PSC 빔의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작업을 어렵게 하는 등의 시공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빔 구조체의 시공에 있어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빔 구조체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는,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은,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는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수평판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의 하부 철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는,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제1 프리캐스트 블록; 및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 설치되며, 상기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은 각각, 양 측면에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외부 케이싱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는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부면은 각각 강판으로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은 각각, 양 측면에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외부 케이싱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기 관통홀이 구비된 측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수평판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의 하부 철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은 타설된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은 하부 플랜지에 긴장재가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인가되는 PSC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빔은 상기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구조물은, 상기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을 사용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구조체의 시공에 있어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빔 구조체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의 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설치 후의 콘트리트 타설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7은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와 슬래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SC 빔의 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설치 후의 콘트리트 타설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7은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와 슬래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빔(10)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기 위해서, 사전 제작된 상부 보강 부재(100)를 빔(10)의 제작 현장에서 빔(10)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10)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프리캐스트 블록(110), 및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부에 결합된 강판 등의 보강재(130)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하부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 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부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 면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프리캐스트 블록(110)은 빔(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측면에는 연결부재(120)로 사용되는 복수의 결합용 철근이 좌,우측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121)는 빔(10)의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200)의 하부 철근(210)과 겹이음(A) 혹은 기계적 이음 등으로 결합되며,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122)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매설된다.
도 3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사전 제작함에 있어서는, 거푸집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도록 제1 연결부재(121) 및 제2 연결부재(122)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거푸집의 하부면을 보강재(130)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에, 측면 거푸집만을 제거하고, 상부 보강 부재(100)를 뒤집어서 보강재(130)가 상부로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부면에 결합된 강판 등의 보강재(130)는 가장 큰 압축 응력에 저항해야 하는 상부 보강 부재(100)의 상단부의 압축 강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세로 중심축이 빔(10)의 단면의 세로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3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한 쌍으로 사전 제작한 후,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평행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10)의 상부 보강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10)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강재로 제작된 외부 케이싱(150), 및 외부 케이싱(150)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형성된 프리캐스트 블록(110)을 포함한다. 한편, 도 4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빔(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하 반전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즉, 도 4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하부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 면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부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 면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프리캐스트 블록(110)은 빔(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아울러, 강재로 제작되는 외부 케이싱(150)은 상부 보강 부재(100)의 사전 제작 단계에서는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빔(10)의 상부에 현장 설치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프리캐스트 블록(110)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부 보강 부재(100)의 압축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외부 케이싱(150)의 양측면에는 연결부재(120)로 사용되는 복수의 결합용 철근이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관통홀(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케이싱(150)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121)는 빔(10)의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200)의 하부 철근(210)과 겹이음(A) 혹은 기계적 이음 등으로 결합되며, 외부 케이싱(150)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122)는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매설된다.
아울러, 도 4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사전 제작함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싱(150)의 관통홀(155)을 통해 외부 케이싱(150)의 좌,우측면을 관통하도록 제1 연결부재(121) 및 제2 연결부재(122)를 설치한 다음 외부 케이싱(1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써, 외부 케이싱(150) 일체형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세로 중심축이 빔(10)의 단면의 세로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4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한 쌍으로 사전 제작한 후,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도 5에서와 같이 평행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나란히 설치함에 있어서는, 빔(10)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연속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앵커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부재(160)를 이용하여 연속된 상부 보강 부재(100)를 결합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속 설치된 상부 보강 부재(100)의 맞닿은 외부 케이싱(150)면을 강재면 용접을 함으로써 결합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빔(10)의 철근(18) 부재에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설치해놓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이격된 공간(즉, 상부 플랜지(11)의 중앙부)을 통해서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단일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단독으로 설치함으로써,
상부 플랜지(11)의 중앙부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못하고 좌,우측 부위만을 통해서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경우보다 콘크리트의 타설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단일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단독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 플랜지(11)의 좌,우측 부위만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되므로, 상부 플랜지(11)의 좌우측에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 보강 부재(100)의 폭을 충분히 늘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는 반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를 이격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 보강 부재(100)의 설치 폭을 충분히 늘릴 수 있음으로 인해, 빔(10)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욱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 기술적 이점이 인정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빔 거푸집(16)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하부 측면을 관통하고 있는 제2 연결부재(122)가 빔(10)의 상부 플랜지(11)에 매설됨으로써 결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이격된 공간까지 메워지도록 추가의 콘트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설치에 의해 증대되는 빔(10)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욱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상부 보강 부재(100)의 하부 측면을 관통하고 있는 제1 연결부재(121)는 빔(10)의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200)의 하부 철근(210)과 겹이음(A) 혹은 기계적 이음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1)에 매립된 제2 연결부재(122)와 함께 상부 보강 부재(100)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빔(10)의 단면의 상단부에서 가장 큰 압축 응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외부 케이싱(150)의 측면판보다 외부 케이싱(150)이 상부면인 수평판을 대략 2배 정도 두꺼운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빔(10)의 상단에서의 압축 강도를 증대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전 제작된 상부 보강 부재(100)를 이용하여 빔(10)의 압축 강도를 보강하고 있어, 사전 제작단계에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으로 인한 초기변형이 모두 완료되기 때문에 시공 중에 발생하는 추가의 유해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전 제작을 통해 고강도를 확보한 상부 보강 부재(100)는 빔(10)의 압축 보강 부재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부 보강 부재(100)는 종래의 압축 보강 재료인 강봉 또는 강판을 대체 또는 절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비용의 재료로 인한 공사비 증감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부 보강 부재(100)는 빔(10)과 슬래브(200)를 구속함으로써, 사전 긴장의 경우 또는 사용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빔(10)과 슬래브(200)의 초기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빔(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빔(10)의 상부로 돌출된 중량만큼 슬래브(200) 콘크리트의 중량을 감소하여 타설할 수 있기 때문에, 빔(10)이 부담하는 슬래브(200)의 하중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빔(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200) 콘크리트의 중량을 감소하여 타설함에 따라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에 설치된 연결부재(120)는 빔(10) 및 슬래브(200)에서 휨 철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빔(10) 및 슬래브(200)에서 발생하는 휨 균열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부 보강 부재(100)는 하부 플랜지(15)에 긴장재(30)가 설치되어 사전 긴장을 통해 긴장력이 인가되는 PSC 빔(10)에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일반 빔(10)에 설치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빔, 11: 상부 플랜지,
13: 웹, 15: 하부 플랜지,
16: 빔 거푸집, 18: 빔 철근,
30: 긴장재, 50: 압축부재,
100: 상부 보강 부재, 110: 프리캐스트 블록,
111: 제1 프리캐스트 블록, 112: 제2 프리캐스트 블록,
120: 연결부재, 121: 제1 연결부재,
122: 제2 연결부재, 130: 보강재,
150: 외부 케이싱, 155: 관통홀,
160: 체결 부재, 200: 슬래브,
210: 하부 철근, 230: 상부 철근.
13: 웹, 15: 하부 플랜지,
16: 빔 거푸집, 18: 빔 철근,
30: 긴장재, 50: 압축부재,
100: 상부 보강 부재, 110: 프리캐스트 블록,
111: 제1 프리캐스트 블록, 112: 제2 프리캐스트 블록,
120: 연결부재, 121: 제1 연결부재,
122: 제2 연결부재, 130: 보강재,
150: 외부 케이싱, 155: 관통홀,
160: 체결 부재, 200: 슬래브,
210: 하부 철근, 230: 상부 철근.
Claims (16)
-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은,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는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수평판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의 하부 철근과 결합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제1 프리캐스트 블록; 및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 설치되며, 상기 빔의 상부 플랜지 면의 아래쪽에 하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면의 위쪽으로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상기 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빔의 상부에서의 압축 응력을 분담하는 제2 프리캐스트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은 각각, 양 측면에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외부 케이싱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에는 측면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부면에는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의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부면은 각각 강판으로 보강된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기 관통홀이 구비된 측면판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수평판보다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측면의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빔 위에 설치되는 슬래브의 하부 철근과 결합되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은 타설된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하부 플랜지에 긴장재가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인가되는 PSC 빔인 것인 빔의 상부 보강 부재.
-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을 사용하여 시공된 건설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627A KR101688440B1 (ko) | 2013-07-31 | 2013-07-31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627A KR101688440B1 (ko) | 2013-07-31 | 2013-07-31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094A KR20150015094A (ko) | 2015-02-10 |
KR101688440B1 true KR101688440B1 (ko) | 2016-12-22 |
Family
ID=5257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0627A KR101688440B1 (ko) | 2013-07-31 | 2013-07-31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84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2430B1 (ko) | 2016-03-24 | 2017-03-07 | 주식회사 태하 |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
KR102135731B1 (ko) * | 2019-12-09 | 2020-07-20 | (주)에이치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프리플렉스 합성보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합성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2402B1 (ko) | 2010-10-12 | 2011-02-09 | (주)다음기술단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0231A (ko) * | 2000-02-14 | 2000-06-05 | 심태영 | 교량용 합성 빔 |
KR20070081812A (ko) * | 2006-02-14 | 2007-08-20 | 송용재 | 에이치 형강이 삽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및 그의제작방법 |
KR101358878B1 (ko) * | 2012-02-06 | 2014-02-06 | 삼표건설 주식회사 |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
2013
- 2013-07-31 KR KR1020130090627A patent/KR1016884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2402B1 (ko) | 2010-10-12 | 2011-02-09 | (주)다음기술단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094A (ko) | 201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KR101084397B1 (ko) | 연속교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 |
KR20090050520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8999B1 (ko) |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 |
KR100483083B1 (ko) |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 |
KR101458434B1 (ko) |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100012404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229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00563B1 (ko) |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 |
KR101688440B1 (ko)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
KR101768056B1 (ko) |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 |
KR101358878B1 (ko) |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
JP2006169730A (ja) | コンクリート橋桁とその成形方法 | |
KR101705002B1 (ko) |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JP2017014713A (ja) |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KR101232329B1 (ko) |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55935A (ko) | 분절형 복합 박스 거더 제작방법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796216B1 (ko) |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 |
KR20150018366A (ko) |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 |
KR101426392B1 (ko) |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
KR20040072147A (ko) | 강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합성형의 제작 및 그의 연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