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653A -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653A
KR20150063653A KR1020130148259A KR20130148259A KR20150063653A KR 20150063653 A KR20150063653 A KR 20150063653A KR 1020130148259 A KR1020130148259 A KR 1020130148259A KR 20130148259 A KR20130148259 A KR 20130148259A KR 20150063653 A KR20150063653 A KR 2015006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charcoal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3040B1 (en
Inventor
이혜경
Original Assignee
이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경 filed Critical 이혜경
Priority to KR102013014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04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6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ght weight type loes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wherein charcoal is embedd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new light weight type loes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wherein charcoal is embedded, which are light weight, have more improved strength, and have more beautiful appearance as a micro-crack generated in a dry process or a plastic process is not generated.

Description

숯이 내장된 경량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lightweight yellow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having charcoal,

본 발명은 황토를 주재료로 하며, 혼합된 목분이 소성과정에서 탄화됨으로써 숯이 내장되는 황토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in which charcoal is embedded by carbonizing the mixed wood in the course of fir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판상의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에 있어서, 제조단계, 특히 건조 및 소성단계에서 발생하는 표면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이 생성되지 않고, 또한 강도가 특히 향상된 새로운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arse aggregate of yellow coal having a charcoal in a plate form, which is free of cracks due to surface cracks occurring in the production step, in particular during drying and calcination, And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이 미려하고, 강도가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얇은 판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표면의 굴곡이니 비틀림이 생성되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a new charcoal, which is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because the surface is smooth and the strength is sufficiently strong so that even when it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can do.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일라이트, 고령토 등을 사용하여도 제품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두께와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한편, 평탄도와 평활도를 증강시킴으로써, 바닥/벽체용 보드 뿐만 아니라 천정용 보드 등으로도 활용가능한 친환경적인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product strength even when using Ilite or kaolin,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while enhancing the flatness and smoothness of the produc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and a product thereof.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체 또는 천정 등은 시멘트와 페인트, 벽지, 목재, 석고보드 등을 사용하여 마감한다. 그러나, 시멘트와 페인트, 벽지 등은 각종 독성을 함유하고 있어 호흡기 및 피부과적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습도 조절능력이 없다. 목재의 경우에는 습기에 약하여 쉽게 변형되고 인화성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석고보드 역시 단열성 및 통풍성에 한계가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있다. Typically, the walls or ceilings of a building are finished using cement, paint, wallpaper, wood, gypsum board, and the like. However, cement, paint, wallpaper and the like contain various toxicities, which cause respiratory and dermatological diseases, and have no humidity control ability. In the case of wo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weak in moisture and easily deformed and is highly inflammable. The gypsum board is also limited in heat insulation and ventilation, and has many problems due to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내외장재가 벽체 등의 마감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일례로, 황토몰탈을 이용한 방법은 황토방, 황토찜질방 등의 바닥, 천정 또는 벽면에 반죽 형태의 황토를 칠하여 건조하는 방법이 있고, 또는 소정 형상으로 압출성형하여 자연상태 또는 열풍 건조기에서 건조한 보드를 본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방법등이 활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using yellow earth as a main material have been widely used for finishing wall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method using ocher mortar is a method of drying oval-shaped loess on a floor, a ceiling or a wall surface of an ocher, a loess cabin, or the like, or by extrusion mold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like are used.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황토 내의 수분팽창, 수축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강도가 약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101649호에서는 불순물이 제거된 황토에 수분을 함침하고 프레스 압력을 가하여 규격화된 사각 형태를 갖되 10~20mm의 두께로 압축 성형하고, 노 내부에서 소성후 냉각하여 황토보드를 제작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강도 향상을 꾀한 바 있다.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liable to cause cracking due to water expansion and shrinkage in the loess and have a weak strength, which is a limitation in constructio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101649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n ocher board by impregnating an ocher with impurities and impregnating the impurities with a pressurized pressure to form a standardized square shape and compression molding to a thickness of 10 to 20 mm,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trength.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4087호에서는 황토에 목분 등을 혼합하고, 이를 프레스 성형한 다음, 650~900도에서 소성함으로써 목분을 숯으로 탄화시키는 황토숯보드를 개시한 바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74087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a yellow coal charcoal board in which wood powder is carbonized into charcoal by mixing wood powder with yellow powder, pressing it, and then firing at 650 to 900 degrees.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4087호에 따른 황토숯보드는 i)수분함량이 20~40% 수준인 황토몰탈을 이용한 습식-압출 성형방식과는 달리, 수분 함량을 5~12% 수준으로 최소화시킨 건식-프레스 성형방식으로서 건조시간이 대폭 감소하고, ii)수분함유량이 줄어들어 프레스 성형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iii)혼합 후 건조만으로 황토보드를 만드는 방식에서 진일보하여 소성과정을 거쳐 황토보드를 제조하였으며, iv)외부의 숯이 완전 연소됨으로써 황토보드의 표면으로부터 숯때가 묻어날 염려가 없고 외관이 미려하여 심미감이 우수하고, v)내부에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숯으로 인해 황토와 숯의 유용한 효과(원적외선 방출, 공기정화, 탈취, 습도조절 등)들이 동시에 충족되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yellow coal charcoal board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0774087 is characterized in that: i) a dry-type charcoal board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5 to 12% is minimized, unlike the wet-extrusion molding method using ocher mortar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to 40% - As a press molding method, the drying time is greatly reduced, ii) the water content is reduced, and the press molding is easy,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iii) the method of making the ocher board by mixing and drying only, the ocher board is manufactured through the firing process, iv) the external char is completely burned, and there is no fear of the charcoal being buried from the surface of the ocher board, (V) good effect of the loess and charcoal (far-infrared ray emission, air purification, deodorization, humidity control, etc.)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core shell structure charcoal formed inside.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숯을 내장한 황토보드는 통상적으로 300x300x30mm 정도로 규격화하여 사용한다. 이는 원료의 배합 또는 비중 등의 물성치 특성상 보다 대면적의 보드 또는 두께가 얇은 판상형의 보드를 제조하게 될 경우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yellow board containing charcoal is ordinarily used at a size of about 300x300x30 mm. This is because, when a board having a large area or a thin plate having a thin thickness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such as the blend or specific gravity of the raw material, various problems may be caused.

즉,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한 300x300mm 정도의 비교적 소면적의 보드는 두께 8mm 이하로 성형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되어, 프레스 성형이나, 건조 및 소성과정에서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That is, when a board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of about 300 mm x 300 m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is molded to a thickness of 8 mm or less, the strength is lowered, and cracks or cracks are likely to occur during press molding, drying and firing.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황토보드에서 휨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8(a)는 장기 보존과정에서 보드에 휨이 발생한 것을 모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도 8(b)는 시공후 습도의 유출입에 따라 보드에 휨이 발생하여 벽에서 뜨거나, 이탈되어 떨어져 버리는 것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통상적으로 황토보드 등은 벽에 친환경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착하게 된다. FIG.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at a bumpy pattern has occurred in a yellow earth boar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8 (a)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board being warped in a long-term storage process, and FIG. 8 (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ard is warped as moisture flows in and out, FIG. Normally, the loess board is applied after applying an eco-friendly adhesive on the wall.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황토보드 표면의 평탄도(flatness) 또는 평활도(smoothness)의 퀄리티 저하는 심각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마감용 내외장재는 평탄도가 저하되어 휨, 굴곡 등이 발생하거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평활도가 저하되는 경우, 제대로 접착시공이 불가능하며, 외관상 심미성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설령, 시공 당시에는 휨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토 내외장재의 습도유출입 과정에서 휨이 발생하면 접착이탈 현상이 발생하여 벽으로부터 유격이 생기거나 떨어져 나와버려 재시공이 불가피하므로 소비자 불만의 요소가 된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flatness or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the loess board is a serious problem. When the flatnes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finishing is lowered to cause warping, bending, or the surface is uneven and the smoothness is lowered,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adhere and the appearance is considerably reduced. Even if there is no warpi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f warping occurs in the process of humidity outflow of the inner and outer clay materials over time after the construction, adhesion detachment phenomenon occurs, Element.

나아가,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천정 시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다수의 소면적형 보드를 천정에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 시간 및 인력 소모가 크다. 시공 편리성을 위하여 300x600mm 정도의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보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소면적 보드의 경우보다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휨, 균열이 보다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ceiling construction is required. When a large number of small area boards are installed on a ceiling, construction time and manpower consumption are large. When a board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of about 300x600 mm is manufactured for convenience of installation, the thickness of the board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small area board, and bending and cracking occur more frequently as the time elapses.

즉, 종래의 제품들은 두께와 무게가 지나치게 커서 다량의 보드 적층시 운반 및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벽체용으로만 사용될 뿐, 천정 시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휨발생 등의 평탄도, 표면의 평활도가 저하되어 시공 및 사후관리상 한계점이 존재하며, 심미적 만족도, 강도면에서 우수하지 못하고 미세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산재되어 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products are too thick and heavy to be difficult to transport and construct when stacking a large number of boards, and they are used only for a wall, and there is a limit to use for ceiling construction. In addition, even if the thickness becomes thin, flatness such as occurrence of warpage and surface smoothness are lowered,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construction and after-care, and there are scattered problems that are not excellent in aesthetic satisfaction and strength, and micro cracks occur.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40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메쉬 등을 내부에 추가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공정상 불필요한 공정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 측면에서도 황토 등의 유익한 효과와는 상관없는 구성에 불과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added a wire mesh or the like to the insid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774087. However, this is not only an unnecessary process in the process, but also a beneficial effect This is nothing but an arrangement that does not matter.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결과, 황토와 더불어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을 동시에 사용하여 경량화와 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판상으로 제조하는 경우라도, 건조단계에서 표면의 미세 크랙이 방지되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소성단계 및 시공후에도 평탄도 및 평활도가 그대로 유지되어 기존 제품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숯이 내장된 코어쉘 구조의 황토 내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es, that even in the case of using lignite, kaolin and wood flour together with yellow loess at the same time to produce a thin plate shape while maintaining weight and strengt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re shell-structured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charcoal, which is remarkably superior to conventional products, by maintaining the flatness and smoothness even after the firing step and after the firing step.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숯이 내장된 황토 내장재가 방출하는 i1)무게와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ii)평탄도 및 평활도가 우수한 황토 내외장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iii)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iv)바닥과 벽체용 뿐만 아니라 천정 시공에 탁월한 용이성을 갖도록 하며, v)제조공정 및 최종 제품이 천연성분만을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method and a product for producing a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having i1) a weight and a thickness significantly reduced and ii) a flatness and a smoothness which are excellent in a conventional loess interior material containing charcoal. Iii) to improv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with charcoal, iv) to have outstanding ease of ceiling construction as well as for floor and wall, and v) It is intended to provid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에 있어서, 제조단계, 특히 건조 및 소성단계에서 발생하는 표면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이 생성되지 않고, 또한 강도가 특히 향상된 새로운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harco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charcoal containing a charcoal of a plate shape, the charcoal containing a charcoal having no cracks generated in the production step,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이 미려하고, 강도가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얇은 판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표면의 굴곡이니 비틀림이 생성되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a new charcoal which is excellent in dimensional stability since the surface is beautiful and the strength is sufficiently strong so that even when it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he surface is curved and not twisted. .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일라이트, 고령토, 목분 등을 사용하여도 제품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두께와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한편, 평탄도와 평활도를 증강시킴으로써, 바닥/벽체용 보드 뿐만 아니라 천정용 보드 등으로도 활용가능한 친환경적인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duct strength even when using Ilite, kaolin, wood powder, etc.,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thickness and weight, while enhancing the flatness and smoothness, Board and the like, and a product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와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제조할 경우에, 강도가 향상된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green sheet, comprising drying and fi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ilite,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 It was possible to provide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having the charcoal having improved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는 상기 조성물에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중량부의 락테이트계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표면의 갈라짐이 없는 매우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지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0001 to 1 part by weight of a lactate-based bind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the mixture of the loess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s with charcoal . ≪ / RTI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양태에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상기 락타이트계 결합제와 수산화알루미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표면의 미세 크랙이나 소성시 휨 및 비틀림이 방지되는 것을 알게 되어 매우 우수한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urther contains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especially when the above-mentioned lactite-based binder and aluminum hydroxide are used together, It was found that warpage and twisting were prevented during firing, and thus it was possible to provide a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having excellent charcoa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with the charcoal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과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단계(S10); 상기 조성물을 성형체로 생성하는 성형단계(S40); 상기 성형체의 건조단계(S50); 및 상기 건조된 성형체를 650~890℃로 가열하는 소성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 의하여 외부의 목분은 완전 연소되고, 내부의 목분은 숯으로 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의 목분이 완전히 연소되고 내부의 목분이 숯으로 제조하는 것은 온도와 두께 및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That is, a composition mixing step (S10) of mixing a composition containing loess, ilite, kaolin and wood and water; A forming step (S40) of forming the composition into a molded body; Drying the molded body (S50); And a sintering step (S60) of heating the dried formed body to a temperature of 650 to 890 DEG C, wherein the external wood powder is completely burned by the above step, and the wood powder therein is charcoal-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wood is completely burnt and the internal wood is made of char,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thickness and time.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의 배합비로 물과 혼합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에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중량부의 락테이트계 결합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동시에 또는 별도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comprises mixing charcoal mixed with water at a blending ratio of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daily light,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laye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which comprises adding 0.0001 to 1 part by weight of a lactate-based bin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layeye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or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from 0.001 to 2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containing aluminum hydrox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스 성형단계(S40) 전에, 상기 조성물을 수분 함량이 5~12중량%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성형전 건조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필요에 의해 볼밀을 이용하여 교반, 분쇄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 후 압력여과단계(S2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압력여과단계(S20)는, 분쇄된 상기 조성물을 필터프레스로 가압하여 여과케이크를 형성하는 여과케이크 형성단계(S21); 상기 여과케이크를 건조하는 분쇄전 숙성단계(S22); 및 상기 여과케이크를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하는 분쇄단계(S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e-forming drying step (S30) of drying the composition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s 5 to 12 wt% before the press forming step (S40) And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may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charcoal which is stirred and pulverized by using a ball mill if necessary.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after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wherein the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includes a filtration cake formation step of forming a filtration cake by pressurizing the pulverized composition with a filter press Step S21; Aging step (S22) before crushing to dry the filter cake; And a pulverizing step (S23) of pulverizing the filter cake to form a powder.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블록형태,원반형태, 판상형태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건축물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 판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좋게는 3~10mm, 더욱 좋게는 프레스 금형기를 이용하여 5~8mm 두께의 보드 형상이 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얇은 판상의 경우에도 표면에 크랙이나 갈라짐이 없고 또한 소성한 후에도 휨이나 굴곡이 발생하지 않는 매우 우수한 품질의 판상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lded articles can be produced. For example, the molded articles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block, a disc, a plate, or the lik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roducing a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thickness of 3 to 10 mm, more preferably,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5 to 8 mm by using a press mold machine. Even in such a thin plate, cracks or crack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late-shaped molded article of excellent quality which does not cause warping or bending even after firing.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는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목분 10~4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001 내지 2중량부 및 락타이트계 결합제 0.001 내지 1중량부와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들 수 있다.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sunlight,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and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And 1 part by weight of water, and water, and drying and firing the composition.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본 발명은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을 물과 함께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단계; 상기 조성물을 성형체로 생성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체의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된 성형체를 650~890℃로 가열하는 소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성단계에 의하여 외부의 상기 목분은 완전 연소되고, 내부의 목분은 숯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mixing a composition comprising yellow loess, ilite, kaolin and wood flour together with water; A molding step of producing the composition as a molded body; Drying the molded body; And a firing step of heating the dried formed body to a temperature of 650 to 890 캜, wherein the external wood powder is completely burned by the firing step, and the wood powder inside is made of charcoal. A manufacturing method is discl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는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의 배합비로 물과 혼합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composition is mixed with water at a blending ratio of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daily light,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에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중량부의 락테이트계 결합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동시에 혹은 별도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결합제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락타이트계 결합제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나 소성시에 표면의 갈라짐이 더욱 현저히 개선되고, 산화알루미늄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더욱 그러한 효과가 개선되고, 보다 더 표면의 휨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락타이트계 이외의 통상의 결합제를 사용한 경우와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상기 락타이트계 결합제는 락타이트계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젖산과 C2~C5의 모노, 디 또는 트리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민화합물의 젖산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락테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젖산과 알킬렌옥시드와 C2~C5의 모노, 디 또는 트리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민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폴리락테이트 또는 폴리락테이트와 C2~C5의 모노, 디 또는 트리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민화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예로들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actate-based binder in an amount of 0.0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yellow clay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or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from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t-in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Particularly, the reason is not known as a bonding agent. However, when a lactite type binder is used, surface cracking is more remarkably improved at the time of drying or firing, and the effect is further improved when used with aluminum oxide, It was possible to obtain a very excellent effect that no phenomenon such as cracks and the like occurred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case of using a usual binder other than the lactite system. The lactate-based binde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lactite-based binder, but lactate-based binde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lactate-based, for example, lactate produced by a lactic acid esterification reaction of any one of amine compounds selected from lactic acid and C 2 to C 5 mono-, di- or trialkanolamines A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which i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a compound having a unit of the formula: ## STR2 ## or an isomer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or an amine compound selected from lactic acid, an alkylene oxide and a C2 to C5 mono-, di- or trialkanolamine , An isomer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or a compound prepared by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a polylactate or a polylactate and any one of amine compounds selected from a C2 to C5 mono-, di- or trialkanolamine, an isomer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의 경우, 음이온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제조과정 또는 시공후에 제품의 평탄도 또는 평활도가 저하됨으로써 휨이나 미세 크랙 발생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두께나 무게가 커서 바닥과 벽체용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lay charcoal-embedded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e amount of generated negative ions is relatively small and the strength is weak. Furthermore, since the flatness or smoothness of the product is lowered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after the construction, defects such as warping and micro cracks have been pointed out, and th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product have been limited to floor and wall.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일라이트를 구성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음이온 발생량은 증가시키되, 보드 성형시 종래보다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by using the ilite as a constituent material, the negative ion generation amount is increased, but the strength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oard in the case of forming a board.

둘째, 본 발명의 소정 배합비로 혼합, 건조, 성형 및 소성단계를 거친 결과, 평탄도와 평활도가 종래 제품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퀄리티를 갖춤으로써 건조, 소성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 시에도 불량품 발생율이 현격하게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시공후에도 지속적으로 평탄도, 평활도를 유지함으로써 황토 내외장재가 접착후 탈리되거나 미세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함으로써 사후 관리면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구비하게 되었다. Second, as a result of the mixing, drying, molding and firing steps at a predetermined blending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ness and smooth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arkably superior to those of conventional products. As a result, not only in the drying and firing stages, Respectively.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flatness and smoothness continuously after th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oblems that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re peeled off after being bonded or micro cracks are formed.

셋째, 무게와 비중을 낮추면서도 내구성, 평탄도 및 평활성이 향상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얇은 판상의 보드를 벽체 뿐만 아니라 천정 시공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게 되었고, 종래의 소면적용 보드 뿐만 아니라 대면적용 보드를 제조하더라도 휨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having improved durability, flatness and smoothness while reducing the weight and specific gravity, it has become possible to utilize a thin plate board not only as a wall but also as a ceiling construction appl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ccurrence of warpage is remarkably reduced even when the applicable board is manufactured.

넷째, 목분이 탄화되어 숯(검탄)으로 잔존함으로써 황토, 일라이트 및 숯의 본연의 기능이 동시에 충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친환경적이며 표면 평활도, 광택성, 촉감이 뛰어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wood is carbonized and remains as charcoal (charcoal),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core functions of yellow loess, ilite and char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of manufacturing a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glossiness, and feel, and a product thereof.

또한, 표면의 갈라짐이 없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여주는 놀라운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addition, by producing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with charcoal-free surface cracking, a remark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wa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부적인 제조방법 흐름도.
도 5는 성형단계에 의한 성형체를 나타내는 황토 내외장재의 참고도.
도 6은 소성단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황토 내외장재의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방형의 황토 내외장재의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황토보드에서 휨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참고도.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벽돌형상 황토 내외장재의 예시도.
1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howing the formed body by the molding step.
6 is a reference view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howing the state after the firing step.
Fig. 7 is an illustration of an oblong interior or exterior material of a rectangular shap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은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을 포함하여 물과 함께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단계(S10); 상기 조성물을 성형체로 생성하는 성형단계(S40); 상기 성형체의 건조단계(S50); 및 상기 건조된 성형체를 650~890℃ 무산소 분위기에서 가열하는 소성단계(S60)를 포함하고,상기 소성단계에 의하여 외부의 상기 목분은 완전 연소되고, 내부의 목분은 숯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producing a clay-containing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osition mixing step (S10) for mixing together with water including loess, ilite, kaolin and wood powder; A forming step (S40) of forming the composition into a molded body; Drying the molded body (S50); And a firing step (S60) of heating the dried formed body in an oxygen-free atmosphere at 650 to 890 ° C, wherein the external wood powder is completely burned by the firing step, and the wood powder inside is charcoal.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에서는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을 물과 함께 혼합하는 과정이다. 황토는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탄산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광물 구성되어 있고, 철분이 산화과정에서 황색 또는 적색 등의 색깔을 띄게 된다. 황토에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독소 제거, 분해력, 정화 작용 등의 기능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출됨으로써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온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yellow ocher, sunlight, kaolin and wood powder are mixed with water. The loess is composed of minerals such as silica, alumina, iron powder, calcium carbonate, magnesium, and sodium, and the iron has a color such as yellow or red in the oxidation process. Hwangto contains enzymes such as catalase, diphenol oxidase, saccharase and protease, and has the function of removing toxins, decomposing power and purifying action.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far infrared rays are emitted to activate the physiological action of the cells and have excellent heat effects.

아울러, 표면적이 넓은 분자구조(4면체와 8면체가 1:1로 형성되어 이층 구조)로 인해 습도조절능력이 우수하고, 무기질 불연재로 내화성 물질이다.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humidity control ability due to its wide surface area (double-layered structure of tetrahedron and octahedron formed 1: 1) and is a refractory material with inorganic incombustible material.

한편, 황토에 함유된 탄산칼슘으로 인해 황토는 점력이 있고, 물과 반응하여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으나, 건조후에는 압축강도가 떨어져 표면에 균열이 쉽게 생기고, 표면마감이 거칠어져 벽체의 미장재보다는 바닥 및 다짐재로서 널리 쓰여왔다. On the other hand, ocher has a property of being viscous due to the calcium carbonate contained in the loess, and has a property of reacting with water to change into clay. However, after drying, the compressive strength is lowered so that the surface is easily cracked and the surface finish is coarse. Have been widely used as flooring and compaction materials.

또한, 황토는 원료채취시 황토속에 휴민산과 같은 유기물(R.COOH, R.OH)의 활성막이 유리상태의 Ca이온을 흡착하기때문에 소일시멘트(soil cemet)공법에 있어 수화반응을 방해하여 흙입자사이의 응결효과를 정지시키거나 저해하기 때문에 황토를 주재로 하여 내외장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물의 유출입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yellow clay (Ca) is adsorbed on the activated CaO in organic soil (R. COOH, R.OH), such as humic acid, in the loess soil during harvesting of raw materials, The effect of condensation between the particles is stopped or inhibited, so that shrinkage or expansion due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water may occur when the inside / outside material is manufactured using mainly yellow clay.

일라이트(Illite)는 암석의 풍화변질 혈암중의 주성분으로 존재하고 판상의 결정형태를 가지는 광물로서 무수한 기공을 갖고 있어 흡착성이 우수한 항균성 광물이다. Illite is a major component of weathered metamorphic rocks of rocks, and has a plate-like crystal form. It is an antimicrobial mineral with high pore size and numerous pores.

고령토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가 주성분으로 장석류가 탄산, 물에 의한 화학적 풍화작용을 거쳐 생성된다. 맑은 백색을 원하는 도자기 원료에 주로 쓰인다. Kaolin is mainly composed of kaolinite and halloysite, and feldspars are formed by chemical weathering with carbonic acid and water. It is mainly used for ceramics raw materials which want clear white.

목분은 후술할 소성단계(S60)에 의하여 숯으로 탄화되는데, 통상적으로 참나무 목분 등을 사용하여 탄화시킨다. 숯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제습, 공기정화, 탈취, 여과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wood flour is carbonized by charcoal in a firing step (S60), which is usually carbonized by using oak wood powder or the like. Charcoal releases anions and far-infrared rays, and is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dehumidification, air purification, deodorization, and filtration.

한편, 황토 등이 미세한 입자들을 많이 함유하면, 물 입자가 둘러싸는 수화반응으로 인해 팽창하게 되며, 인접한 입자가 분리되면 잠재 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yellow loess or the like contains a lot of fine particles, the water particles expand due to the surrounding hydration reaction, and when adjacent particles are separated, potential expansion may occur.

본 발명에서는 다른 성분들간의 결합을 강화하여 수축/팽창을 최소화하며, 강도를 향상하는 새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는 각 성분들간의 결합에 의해 오히려 결합력이 증가하고, 또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표면의 갈라짐 현상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것은 일라이트에 의한 유기적 결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having charcoal which exhibits a new effect of strengthening bonding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to minimize shrinkage / swelling and improve strength. It is believed that the bonding between each component increases the binding force, and the cause of the binding is not known.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organic bonding due to the light is affected by the reduction or disappearance of the surface crack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배합비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의 배합비가 되도록 하여 물과 혼합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is performed such that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composition excluding water is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daily light,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Mix well with water.

일라이트를 2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단계에서 표면의 크랙이 일부 나타날 수 있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황토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일 뿐만 아니라, 소성단계에서 표면의 크랙이 다소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서 피하는 것이 좋다. When sunlight is used in an amount of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cracks on the surface may appear partially in the drying step, and when the amount of sunlight is more than 100 parts by weight, it is relatively more expensive than yellow clay, It is better to avoid this.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에서 물을 혼합할 때에는 조성물의 입자크기를 고려하여 함침한다. 황토, 일라이트, 목분 및 고령토가 미리 분쇄된 다음 혼합되는 경우라면 물의 함량을 상기 혼합된 조성물 85~95중량%에 대하여 5~15중량% 정도로 투입할 수 있으나, 미리 분쇄되지 아니한 경우라면,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 볼밀(ball mill) 등의 공지된 분쇄 수단에 의해 분쇄 및 교반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mixing the water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the composition is impregnated considering the particle size of the composition. When the mixture is preliminarily pulverized and then mixed, the content of water may be about 5 to 15% by weight based on 85 to 95% by weight of the mixed composition. However, if it is not pulverized beforehand, It is preferable to feed it sufficiently and grind and stir it by a known grinding means such as a ball mill.

볼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분쇄가 쉽지 않은 황토나 목분을 먼저 투입하고, 일라이트, 고령토 등을 투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볼의 장입량과 물을 제외한 조성물의 양을 대략 1 : 1 정도가 되도록 하되, 물을 제외한 조성물이 대략 65~75중량%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를 25~35중량%의 물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을 위해서는 후술할 성형전 건조단계(S30)에 의해 소정 수치로 물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볼밀을 통한 조성물 혼합단계는 대략 10~12시간 정도로 분쇄, 교반하고, 샘플링하여 50~300 메쉬의 체를 통과하여 호가인한다. When using a ball mill, it is advisable to introduce yellow clay or wood flour, which is relatively difficult to crush, first, and then to put in the sunlight and kaolin.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amount of the ball and the amount of the composition other than water be about 1: 1, the composition excluding water is about 65 to 75% by weight, and the balance is filled with 25 to 35% by weight of water . The molding may include a step of reducing the water content to a predetermined value by a pre-forming drying step (S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osition mixing step through the ball mill is pulverized, agitated for about 10 to 12 hours, sampled and passed through a sieve of 50 to 300 mesh.

조성물 혼합단계(S10) 이후에는 성형단계(S40)에 의하여 소정 형상의 성형체로 조성물을 성형하게 된다. 성형방식은 물의 함유량이 5~15중량% 정도인 경우에는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성형이 가능하며, 물의 함유량이 15~35중량% 정도인 경우에는 압출 성형법이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the composition is formed into a mold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a molding step (S40). When the content of water is about 5 to 15% by weight, the molding method can be performed by press molding with a press mold. If the content of water is about 15 to 35% by weight,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can be carried ou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물의 함유량을 5~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이내가 되도록 하여 금형틀에 의한 프레스 성형 방식을 채택하였다. 프레스 성형에서는 물의 함유량이 15중량%이상인 경우는, 금형에 조성물이 달라붙거나 제대로 형상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 molding method using a mold frame is adopted so that the content of water is 5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10%. In press molding, when the content of water is 15% by weight or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osition sticks to the mold or the shape is not maintained properly.

프레스 성형의 경우에는 프레스 금형틀에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에서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적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체를 형성한다. 이 때, 추후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 무늬 등이 표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case of press molding, the composition mixed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is applied to a press mold die, and then the molding is pressed by an appropriate pressure. At this tim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a hole for facilitating the later construction or to form a pattern, a pattern or the like on the surface for improving the sense of beauty.

상기 성형체는 사용 용도에 따라 바닥용 보드인 경우에는 가로x세로의 넓이를 대략 300x300mm 로 하고, 두께를 대략 20~30mm 로 하며, 벽체용 보드인 경우에는 넓이를 대략 300x300mm 로 하고, 두께를 대략 3~10mm 로 하도록 하여 규격화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는 기존 제품에 비하여 경량화된 것으로, 두께를 3~8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6mm로 프레스 성형할 경우 천정용 보드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In the case of a floor board, the molded body may have a width of about 300 mm x 30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20 mm to about 30 mm, a width of about 300 mm x 300 mm for a wall board, a thickness of about 3 mm To 10 mm. Particularly, the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with charco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its utilization as a ceiling board is very high when the thickness is 3 to 8 mm, more preferably 5 to 6 mm.

다음으로, 건조단계(S50)에서는 상기 성형단계(S40)를 거친 성형체를 소정 시간 건조하는 단계로서, 후술할 소성단계(S60)를 거치기 전에 완전 건조시킴으로써 소성단계(S60)에서 성형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Next, in the drying step (S50), the step of drying the molded body after the molding step (S40)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molded body is completely dried in the sintering step (S60) before the firing step (S60) .

상기 성형체는 자연 건조의 경우에는 대략 2~3일 정도 건조시키거나, 또는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70~85℃의 온도의 대형 건조기를 이용한 인공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건조기를 통한 건조시간은 성형체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보드 형상인 경우에는 대략 12~24시간 건조시키도록 한다. In the case of natural drying, the molded body may be dried for about 2 to 3 days or artificial drying may be performed using a large-sized dryer at a temperature of 70 to 85 ° C to shorten the drying time. The drying time through the dryer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olded article, but if it is a board, the drying time is about 12 to 24 hours.

건조된 성형체는 소성로(또는 가마)에 적재된 후 650~890℃의 온도로 가열상태를 유지하는 소성단계(S60)를 거치게 된다. 이 때, 산소가 거의 공급되지 않는 무산소 분위기로 가열하여야 목분이 숯으로 탄화될 수 있으며, 승온속도는 1.5~5.0 ℃/min 정도로 서서히 가열하고 승온후 대략 0.1~5시간의 최적 유지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ed formed article is placed on a sintering furnace (or kiln) and then subjected to a sintering step (S60) in which the heated state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650 to 890 ° C. In this case, when the furnace is heated in an oxygen-free atmosphere in which oxygen is hardly supplied, the wood can be carbonized with charcoal. The heating rate is gradually heated to about 1.5 to 5.0 ° C / min and the optimum holding time is about 0.1 to 5 hours .

소성온도가 650℃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을 만큼의 소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890℃ 를 초과할 경우에는 황토의 강도는 향상되나 황토의 물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소성단계(S60)를 거친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는 서서히 자연 냉각시킨 후에 보관장소로 옮겨진다. When the firing temperature is less than 650 ° C., firing is not performed to have a sufficient strength.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890 ° C., the strength of the loess is improved, bu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oess are lost. . After the sintering step (S60), the charcoal-embedded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re slowly cooled down to the storage place.

도 5는 성형단계(S40)에 의한 성형체를 나타내는 황토 내외장재의 참고도이며,도 6은 소성단계(S60)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황토 내외장재의 참고도이다. Fig. 5 is a reference view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howing the formed body by the molding step (S40), and Fig. 6 is a reference view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howing the state after the firing step (S60).

도 5(a)는 소성전 보드형 성형체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A-A'선의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조성물 혼합단계 및 프레스 성형에 의해 비교적 균일하게 각 성분들이 혼합,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orm board-shaped molded article, and FIG. 5 (b)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The components are mixed and compressed relatively uniformly by the composition mixing step and the press molding.

도 6(a)는 소성후 보드형 성형체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B-B'선의 단면도로서 소성단계(S60)에 의하여 목분이 탄화되어 내부에 코어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and FIG. 6 (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core is carbonized by the firing step (S60) to form a core- to be.

즉, 상기 소성단계(S60)를 거치게 되면, 건조된 성형체의 외부(표면)에 위치하는 목분은 완전 연소되어 1~3mm 두께의 황토층이 형성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목분은 소실되지 않고 탄화 성형물로 흑연화되어 숯으로 존재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sintering step S60 is performed, the wood powder located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dried molded article is completely burned to form an och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3 mm, and the wood powder located therein is not lost, It becomes graphitized and becomes charcoal.

황토 내외장재의 심부에 숯이 잔존하는 코어쉘 구조로 인해서 표면을 만지더라도 숯이 뭍어나지 않고, 황토 본연의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숯과 황토, 일라이트의 효과를 동시에 구비하는 황토 내외장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일라이트의 첨가로 인하여 평활도 및 평탄도가 우수하여 미려한 표면 질감의 구현이 가능하다.
The core shell structure in which the charcoal remains in the deep part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does not cause the charcoal to come on even if it touches the surface. It can realize the original color of the horticulture and the production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which simultaneously has the effect of charcoal,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due to the addition of Ilright, smoothness and flatness are excellent, and an excellent surface texture can be realiz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형전 건조단계(S30)를 제외한 나머지 제조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추가되는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2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remaining manufacturing process except for the drying step (S30) before mold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o that only addition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선 및 분쇄된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을 물과 함께 혼합하는 경우라면 물을 제외한 조성물과 대비하여 물의 함량이 5~15중량% 이므로 상기 성형단계(S40) 중에서 프레스 방식을 취하는데 문제가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mixing preliminarily cleaned and ground yellow loam, ilite, kaolin and wood flour together with water, the content of water is 5 to 15% by weight in comparison with the composition excluding water, There is no problem in taking the method.

그러나, 미리 정선 및 분쇄하지 않고, 각각의 조성물을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경우에는, 볼밀의 동력 성능과 물의 함침을 위해 필요한 물의 함량이 25~35중량% 수준이므로 상기 성형단계(S40) 중에서 프레스 방식으로 가압하기 전에 물의 함량이 5~15중량% 이내가 되도록 성형전 건조단계(S30)가 필요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pulverizing each composition using a ball mill without preliminarily grinding and pulverizing, since the power performance of the ball mill and the water content required for water impregnation are in the range of 25 to 35% by weight, S40), a drying step (S30) before molding is necessary so that the content of water is within 5 to 15% by weight before pressurization in a press method.

물론, 상기 성형단계(S40)를 압출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물의 함량이 다소 많더라도 압출 성형이 가능하지만, 황토 내외장재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가압을 통해 조성물의 흙다짐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방식이 보다 유리하므로 물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Of course, when the extrusion method is adopted in the molding step (S40), extrusion molding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water content is somewhat high.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to compaction the soil through pressuriz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ater content.

상기 성형전 건조단계(S30)는 수분이 입자내에 충분히 침투되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성형단계를 위한 적정 함수율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과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자연 건조일 경우 1~2일 동안 건조하거나, 대형 건조기에서 70~85℃ 분위기에서 12~24시간 건조시킨다. 건조기의 경우, 건조기의 온도가 70℃ 미만일 경우는 건조시간이 지연되고, 85℃를 초과할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건조시간은 성형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보다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e-molding drying step (S30) is a process of sufficiently penetrating and dispersing moisture in the particles and drying the material so as to have a proper moisture content for the molding step. Preferably, Dry for 12 to 24 hours at 70 ~ 85 ℃ in a large dryer. In the case of a dryer, the drying time is delay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yer is lower than 70 ° C, and cracks may occur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85 ° C.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rying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when the molded article is thin.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이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력여과단계(S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 3 is a flow ch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of a more detaile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ferring to FIG. 3, 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is included.

상기 압력여과단계(S20)는 공지의 필터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함수율을 적정비율로 저감시켜 조성물을 분말 형태로 형성하는 과정으로서, 볼밀기에서 투입되는 최초 물의 함량이 물을 제외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대략 15중량% 이상인 경우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이다. The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is a process of forcibly decreasing the water content to a proper ratio by using a known filter press to form the composition in the form of powd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itial water introduced in the ball pusher Is additionally carried out when it is at least about 15% by weight based on the entire composition.

필터프레스는 여과기의 일종으로 볼밀기로부터 이송된 조성물을 스퀴징(squeezing)하여 탈수하고 필터판으로부터 여과케이크를 형성하는 공지된 장치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필터프레스 자체에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압력여과단계(S20)에서도 어느 정도 건조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후속하는 성형전 건조단계(S30)의 건조시간이 그만큼 단축될 수 있다. A filter press is a type of filter that is a known device for squeezing and dewatering a composition transferred from a ball mill to form a filter cake from the filter plate. In some cases, since the hot press dryer is provided in the filter press itself,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to some extent in the pressure filtering step (S20), and the drying time of the subsequent drying step (S30) hav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일련의 조성물 배합단계(S11), 조성물 분쇄단계(S12), 조성물 교반단계(S13) 및 조성물 이송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여과단계(S20)는 여과케이크 형성단계(S21), 분쇄전 숙성단계(S22) 및 여과케이크 분쇄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 10 may include a series of composition mixing step S 11, a composition pulverization step S 12, a composition stirring step S 13, and a composition transferring step S 14. Meanwhile, the pressure filtering step S20 may include a filtering cake forming step S21, a pre-crushing step S22, and a filtering cake crushing step S23.

상기 조성물 분쇄단계(S12) 및 조성물 교반단계(S13) 과정은 상술한 볼밀(ball mill)에 의해 일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볼밀을 구비하여, 각각의 볼밀로부터 이송된 조성물을 교반기가 구비된 저장탱크에 취합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성물 교반단계(S13)에서는 조성물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소정 시간 교반하여 보관토록 한다. 조성물의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하여 조성물을 펌핑하여 상기 필터프레스로 이송하는 조성물 이송단계(S14) 가 수행된다. The composition pulverization step (S12) and the composition stirring step (S13) may be carried out integrally with the ball mil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all mill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all mills, And may be designed to be integrated into a storage tank. In the composition stirring step (S13), the composition is kept stirr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composition is evenly mixed. When sufficient agitation of the composition is achieved, a composition transfer step (S14) is performed in which the composition is pumped from the storage tank by a pump and transferred to the filter press.

상기 여과케이크 형성단계(S21)에서는 필터프레스를 적정 압력(대략 60~80 psi)으로 스퀴징하고, 필터로부터 여과케이크를 탈리시킨다. 탈리된 여과케이크는 물의 함량이 8~15중량%가 되도록 1~2일간 분쇄전 숙성단계(S22)를 거친다. 이는 여과케이크 내의 수분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분쇄전 숙성단계(S22) 후에는 여과케이크를 분쇄기에 넣어 곱게 갈아 분말로 형성하는 여과케이크 분쇄단계(S23)를 수행하고, 체갈음하여 보관한다. 분쇄된 조성물 분말은 상기 성형단계(S40), 건조단계(S50) 및 소성단계(S60)를 수행함으로써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로 제조될 수 있다.
In the filtering cake forming step S21, the filter press is squeezed to an appropriate pressure (approximately 60 to 80 psi), and the filter cake is removed from the filter. The separated filter cake is subjected to the aging step (S22) before pulverization for 1 to 2 days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8 to 15% by weight. This i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oldability by allowing water in the filter cake to be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After the pulp aging step (S22), the filter cake is finely ground into a pulverizer and pulverized (S23), and sieved and stored. The pulverized powder of the composition may be produced as a clay interior / exterior material having charcoal by performing the molding step (S40), the drying step (S50) and the firing step (S60).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 의하면, 황토 50중량%, 일라이트 15중량%, 고령토 15중량%, 및 목분 20중량% 을 배합(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일라이트 30중량부, 고령토 30중량부, 및 목분 40중량부)하여 300x300mm 넓이의 7~8mm 두께 황토숯보드로 제작할 경우, 동일한 부피의 황토만으로 구성된 기존 제품의 무게에 비하여 일라이트 첨가로 인해 10~20% 의 경량화를 관찰하였다. According to on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xture of 50 wt% of yellow clay, 15 wt% of ilite, 15 wt% of kaolin, and 20 wt% of wood powder (about 30 parts by weight of sunlight, 3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40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the light weight of 10 ~ 20% was observed due to the addition of sunlight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composed of the same volume of yellow clay.

또한, 황토 40중량%, 일라이트 25중량%, 고령토 10중량%, 목분 25중량% 를 배합(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일라이트 63중량부, 고령토 25중량부 및 목분 63중량부)하여 300x300mm 넓이의 5~6mm 두께 황토숯보드로 제작할 경우에는 두께가 7~8mm인 경우에 비하여 두께 감소로 인한 20~30% 정도의 경량화 효과와 더불어, 일라이트의 첨가로 인한 비중 감소로 10~20%의 추가적인 경량화 효과가 발생하여, 총 30~50%의 현격한 경량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The mixture was blended with 40 wt% of yellow clay, 25 wt% of ilite, 10 wt% of kaolin and 25 wt% of wood powder (about 63 parts of sunlight, 63 parts of kaolin and 25 parts of kaolin) In the case of making a hallow charcoal board with a thickness of 300x300mm and a thickness of 5 ~ 6mm, the weight is reduced by about 20 ~ 30% due to the reduction in thicknes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is 7 ~ 8mm, %, And a remarkable weight reduction of 30 to 50% was observed.

아울러, 종래의 황토숯보드는 300x600x8mm 의 규격을 구비할 경우, 보관과정 또는 시공후에 휨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는 그러한 문제점이 현저히 줄어듬을 관찰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loess charcoal board has a size of 300x600x8 mm,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warping or cracking occurs during the storage process or after the install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ess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s with charco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70중량부, 고령토 25중량부, 목분 4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1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300x300mm 넓이의 5mm 두께 황토숯보드로 제작할 경우에는 두께가 7mm인 경우에 비하여 두께 감소로 인한 20~30% 정도의 경량화 효과와 더불어, 일라이트의 첨가로 비중 감소로 10~20%의 추가적인 경량화 효과가 발생하여, 총 30~50%의 현격한 경량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건조단계 및 소성한 후에 표면의 미세 갈라짐 현상이 거의 해소됨을 알 수 있었다.       In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ion containing 70 parts by weight of ilite, 25 parts by weight of kaolin, 40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and 0.1 part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i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yellow clay to prepare a 5 mm thick loess charcoal boar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weight reduction of about 20 ~ 30% due to the reduction in thickness compared with the case of 7mm thickness, and the addition of light to reduce the specific gravity of 10 ~ 20% , And it was found that the micro - cracking phenomenon of the surface was almost solved after drying and firing.

또 다른 일 실시예로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70중량부, 고령토 25중량부, 및 목분 40중량부, 락타이트계 결합제로 중량평균분자량 55,000의 폴리락테이트 0.1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300x300mm 넓이의 5mm 두께 황토숯보드로 제작할 경우에는 건조단계 및 소성한 후에 표면의 미세 갈라짐 현상이 거의 해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0.5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사용한 경우에는 미세 갈라짐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표면의 평활성으로서 20장을 쌓아놓아도 높낮이의 편차가 거의 없는 매우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수치안정성을 가지는 제품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In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ion containing 70 parts by weight of ilite, 25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40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and 0.1 part by weight of polylactat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5,000 as a lactite binder, It was found that the fine cracking phenomenon of the surface was substantially eliminated after drying and firing in the case of using a 5 mm thick loess charcoal board having a width of 300x300 mm. When 0.5 weight part of aluminum hydroxide was further used in this example, fine cracking And 20 sheets were stacked as the surface smoothness, it was found that a product having numerical stability was obtained with very excellent strength with little difference in height and height.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방형의 황토 내외장재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00x600mm의 면적을 갖는 보다 큰 면적의 보드를 제조하더라도 휨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심부에만 숯의 성분이 내장되어 있게 된다.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tangular oblong inner and outer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Referring to FIG. 7, even if a board having a large area having an area of 300 x 600 mm is manufactured, no warping occurs, and only charcoal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deep portion.

따라서, 천정 시공의 경우, 종래의 보드는 휨발생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대략 300x300x10mm 규격의 판을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시간, 공임 등이 지나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무게가 큰 한계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규격을 보다 크게 하더라도 휨,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고, 현격하게 경량화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ceiling construction, a conventional board requires a plate having a size of about 300 x 300 x 10 mm due to a problem such as warpage, so that a construction time and labor are excessively caused, Even when the standard is larger, warpage, cracks, and the like do not occur, and the weight is remarkably reduced, so that convenience of construction can be increased.

특히, 황토와 함께 일라이트, 고령토, 목분 및 물을 혼합, 성형, 건조 및 소성단계를 거침으로써 표면의 평활도와 평탄도를 증대시킴으로써 황토 내외장재의 제조 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에서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더라도 휨 발생이 없어 시공이 우수하다. 나아가, 장기 보존 또는 시공후에도 평활도와 평탄도의 지속성이 탁월하여 사후 휨 발생, 미세 크랙 발생의 문제점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휨으로 인한 보드의 접착 이탈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상 트러블 발생이 없으며 유지면에서 탁월하다.
Particularly, by adding smoothness and flatness of the surface by blending, molding, drying and baking of ilite with kaolin, kaolin, wood powder and wat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moothness and flatness of the surface, Even if it does not cause warpage, the construction is excellent. Further, even after long-term preservation or construction, the smoothness and flatness persistence is excellent, and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post-warpage and fine cracks is remarkably reduced. In addition, it prevents sticking and separation of board due to warpage, so it does not cause troubles on appearance and is excellent on the holding surface.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벽돌형상 황토 내외장재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드 형태 뿐만 아니라 벽돌 등의 내외장재로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벽돌 제작시에는 성형단계(S40)에서 도 8(a)과 같이 체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는 황토숯 벽돌의 내부에 숯이 코어쉘 구조로 형성된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9 is an exemplary view of a brick-like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boards as well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uch as bricks. When the brick is manufactur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astening hole in the forming step S40 as shown in Fig. 8 (a). 8 (b) schematically shows that charcoal is formed in the core shell structure in the interior of the loess charcoal bric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 및 목분 외에도 천연경화제인 알긴산을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알긴산은 미역, 다시마, 우뭇가사리, 해조류 등에서 추출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lginic acid, which is a natural hardening agent,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in addition to yellow loess, ilite, kaolin and wood flour. The alginic acid may be extracted from seaweed, kelp, mugwort, seaweed, and the like.

천연경화제인 알긴산의 첨가로 인해 상기 성형단계(S40) 내지 소성단계(S60)에서 부서지지 않고 성형체의 형상을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The addition of alginic acid which is a natural hardening agent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ormed body more easily without breaking in the molding step S40 to the firing step S60.

아울러, 알긴산을 첨가할 경우, 건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 크랙을 줄일 수 있으며, 황토 내외장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 표면감촉, 평활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lginic acid is added, fine cracks that may occur during the drying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surface of the inner and outer coverings of the clay is smoothly maintained, so that the surface texture, smoothness and gloss are excellent.

특히, 천연경화제의 경우, 상기 소성단계(S60)에서 대부분 소실되므로 통상적인 시멘트 경화제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다. 시멘트 경화제의 경우, 650~890℃의 소성단계(S60)후에도 잔존하게 되어 황토 본연의 효과인 습도조절능력과 통기성 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지만, 천연경화제는 그러한 부작용이 없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natural hardener, since it is mostly lost in the sintering step (S60), it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a conventional cement hardener. In the case of the cement hardener, it remains after the sintering step (S60) at 650 to 890 ° C, which adversely affects the humidity control ability and air permeability, which are the original effects of the yellow loam, but the natural hardener has no such side effects.

한편,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에서 보다 다양한 효과 창출을 위하여 맥반석,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등이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향발산을 위하여 허브추출물, 한방재, 율토(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의 흙내음을 유발시키는 흙성분) 등을 적정 비율로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order to produce more various effects 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quartz, zeolite, and tourmaline can be added. In addition, herbal extracts, herbal materials, yuuto And the like) can be added at an appropriate ratio.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10 : 조성물 혼합단계
S11 : 조성물 배합단계 S12 : 조성물 분쇄단계
S13 : 조성물 교반단계 S14 : 조성물 이송단계
S20 : 압력여과단계
S21 : 여과케이크 형성단계 S22 : 분쇄전 숙성단계
S23 : 여과케이크 분쇄단계
S30 : 성형전 건조단계
S40 : 성형단계
S50 : 건조단계
S60 : 소성단계
S10: composition mixing step
S11: composition mixing step S12: composition grinding step
S13: Composition stirring step S14: Composition transferring step
S20: Pressure filtration step
S21: Filtration cake forming step S22: Aging step before crushing
S23: Filtration cake crushing step
S30: Drying step before molding
S40: Molding step
S50: drying step
S60: Firing step

Claims (13)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5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와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Wherein the charcoal is built up by drying and fi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ilite, 5 to 25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and wat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중량부의 락테이트계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3]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0.0001 to 1 part by weight of a lactate-based bind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황토, 일라이트, 고령토,목분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단계(S10); 상기 조성물을 성형체로 생성하는 성형단계(S40);
상기 성형체의 건조단계(S50); 및 상기 건조된 성형체를 650~890℃로 가열하는 소성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 의하여 외부의 목분은 완전 연소되고, 내부의 목분은 숯으로 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A composition mixing step (S10) of mixing a composition containing loess, ilite, kaolin, wood flour and water; A forming step (S40) of forming the composition into a molded body;
Drying the molded body (S50); And a sintering step (S60) of heating the dried formed body to a temperature of 650 to 890 DEG C, wherein the external wood powder is completely burned by the above step, and the wood powder therein is charcoal-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및 목분 10~45중량부의 배합비로 물과 혼합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comprises mixing charcoal mixed with water at a blending ratio of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ilite,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and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t-in cla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중량부의 락테이트계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0001 to 1 part by weight of a lactate-based bind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제 4항 내지 제 6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부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lo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성형단계(S40) 전에, 상기 조성물을 수분 함량이 5~12중량%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성형전 건조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e-forming step (S30) for drying the composition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s 5 to 12% by weight before the press forming step (S40) W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는 볼밀을 이용하여 교반, 분쇄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comprises mixing charcoal with stirring using a ball mi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10) 후 압력여과단계(S2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압력여과단계(S20)는, 분쇄된 상기 조성물을 필터프레스로 가압하여 여과케이크를 형성하는 여과케이크 형성단계(S21); 상기 여과케이크를 건조하는 분쇄전 숙성단계(S22); 및 상기 여과케이크를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하는 분쇄단계(S23)를 포함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after the composition mixing step (S10), wherein the pressure filtration step (S20) comprises: filtration to pressurize the pulverized composition with a filter press to form a filtration cake A cake forming step (S21); Aging step (S22) before crushing to dry the filter cake; And a crushing step (S23) of crushing the filter cake to form a pow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40)는 프레스 금형기를 이용하여 5~8mm 두께의 보드 형상이 되도록 가압 성형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olding step (S40) comprises a step of press-molding the steel sheet to form a board having a thickness of 5 to 8 mm using a press mold machine.
황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라이트 20~100중량부, 고령토 5~20중량부, 목분 10~4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0.001 내지 2중량부 및 락타이트계 결합제 0.001 내지 1중량부와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20 to 100 parts by weight of ilite, 5 to 20 parts by weight of kaolin, 10 to 45 parts by weight of wood powder, 0.001 to 2 parts by weight of aluminum hydroxide and 0.001 to 1 part by weight of lactite based binder and wate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yellow loess Wherein the composition is dried and fir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는 3~10mm의 두께의 판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내장된 황토 내외장재
[12]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harcoal-embedded yellow clay inner and outer material is a plate-like type having a thickness of 3 to 10 mm.
KR1020130148259A 2013-12-02 2013-12-02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KR101573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59A KR101573040B1 (en) 2013-12-02 2013-12-02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59A KR101573040B1 (en) 2013-12-02 2013-12-02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653A true KR20150063653A (en) 2015-06-10
KR101573040B1 KR101573040B1 (en) 2015-12-02

Family

ID=5350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259A KR101573040B1 (en) 2013-12-02 2013-12-02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0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40A1 (en) * 2016-10-27 2018-05-03 (주)팀코스파 Sanitary pad containing inorganic composition so that quantum energy is emitte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90100712A (en) * 2018-02-21 2019-08-29 박현조 Environment-friendly yellow soil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902B1 (en) * 2021-03-11 2021-08-11 주식회사 필로세플러스 Loess board having charcoal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87B1 (en) * 2007-02-23 2007-11-06 변광수 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oess-board with inside charcoal
KR100878834B1 (en) * 2008-06-26 2009-01-14 김미영 Ceramics goods having charcoal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128385B1 (en) * 2011-04-05 2012-04-09 유민숙 Composition of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40A1 (en) * 2016-10-27 2018-05-03 (주)팀코스파 Sanitary pad containing inorganic composition so that quantum energy is emitte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90100712A (en) * 2018-02-21 2019-08-29 박현조 Environment-friendly yellow soil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040B1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064B1 (en) Ceramic block and its process
CN101424116A (en) Composite foamed ceramic decorative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73040B1 (en)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KR10085443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tile with basalt
KR100569695B1 (en) Loess mortar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ating method thereof
KR101703903B1 (en) Clay Bricks Using Sawdus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23281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co-friendly healing tile comprising germanium and til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0932182B1 (en) Tile manufacturing process
CN114477982B (en) Preparation method of ceramic tile back texture
KR101278261B1 (en) Method manufacturing of loess forming matter and forming matter composition
KR101071575B1 (en) Loess tile composition and low-temperature-fired, high-strength loess ti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7810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oard of bed
KR10176851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arbonized insulating board using rice husks
KR101891370B1 (en) Porous ceramic tile expressing the apperance of natural ston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311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nel assembly for arranging hot water pipe
KR101417336B1 (en) Noncalcinated red clay tile using natural binde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0674196B1 (en) Yellow earth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22410A (en) A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KR20110052166A (en) A yellow soil plate for the interior ornament of construction
KR100919954B1 (en) Interior materials composition of natural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interior materials using the same
KR100833578B1 (en) Method for producing of loess panel for construction
KR10140918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ceramic ware using the composite for lightweight ceramic ware comprising talc
KR100570829B1 (en) Glaze-free stone t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75934B1 (en) Manufucting method charcoal panel
KR102445964B1 (en)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