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64B1 -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 Google Patents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64B1
KR102445964B1 KR1020200084551A KR20200084551A KR102445964B1 KR 102445964 B1 KR102445964 B1 KR 102445964B1 KR 1020200084551 A KR1020200084551 A KR 1020200084551A KR 20200084551 A KR20200084551 A KR 20200084551A KR 102445964 B1 KR102445964 B1 KR 10244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ia
gudeuljang
powder
mixed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6762A (en
Inventor
강기병
Original Assignee
강기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병 filed Critical 강기병
Priority to KR102020008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964B1/en
Publication of KR2022000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92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webs, sheets or the like, e.g. of pape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6Minerals of vulcanic origin porous, e.g. pum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2Natural resins, e.g. ro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코리아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50~15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제1원료 준비단계와
황토를 50~10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제2원료준비단계와 금속 메쉬망을 준비하는 제3원료준비단계와 압착공정으로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 압착홈 형태로 원하는 규격의 구들장 크기 오목홈이 마련되고 200~3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수행된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금속 메쉬망 상부로 50~1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된 후 프레스 압착이 진행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deulja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 / pressing scoria and loess,
The first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pulverizing and pulverizing the Scoria rough stone and separating it by 50-15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The second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separating loess by 50-10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the third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metal mesh network, and the pressing process, After a concave groove of the standard gudeuljang size is prepare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a natural plant binder of 5-15% by weight of the mixture is mixed.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of first filling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nd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metal mesh network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50 to 150 mesh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etal mesh network of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natural plant binder of 5 to 15% by weight of the mixture is mixed, and then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It is a technology characterized by a manufacturing method of Scoria Gudeuljang, which includes a process of press-pressing after secondary filling.

Description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Gudeuljang and Gudeuljang manufacturing method provided by mixing/pressing scoria and ocher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본 발명은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이 적정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 금형의 오목홈에서 압착될 때 오목홈 금형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재로 채워진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다시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 및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되어 2차 채움재가 채워진 후 프레스 압착이 수행되어 견고한 결합력 및 경감된 무게를 갖는 스코리아 구들장 관련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deuljang and a gudeuljang manufacturing method provided by mixing/compressing scoria and loess soil, wherein scoria raw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n appropriate weight ratio, a natural plant binder is mixed, and then compressed in a concave groove of a press mold. When the concave groove is filled with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mold height, a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Scoria Gudeuljang that has a strong bonding force and reduced weight by performing press compression after filling.

온돌은 따듯하게 데운 돌이란 뜻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 방식으로 온돌을 빼고는 우리 역사 속 주거문화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의 주거문화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Ondol means warm stone. It is a unique heating method in Korea, and it is so closely connected with our residential culture that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 residential culture in our history except for the ondol.

온돌은 방바닥에 돌을 깔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돌(구들)을 달구어 방을 데워 난방하는 구조를 뜻하며 장갱(長坑), 화갱(火坑), 난돌(暖?), 연돌(烟?), 구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19세기 이후 온돌이란 이름으로 정착되었으며 온돌은 불을 때는 아궁이, 아궁이에서 나온 열을 전달받은 구들장, 그리고 열기가 빨리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 개자리, 연기가 통하는 연도,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되는데 옛 당나라에는 고구려시대로부터 온돌문화가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다.Ondol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stones are laid on the floor of a room and a fire is made to heat the stones (gudeul) to heat the room. It wa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Gudeul, but since the 19th century, it has been settled as Ondol. When it is lit, Ondol emits a fire, a gudeuljang that receives the heat from the fire, a dogjari that prevents the heat from escaping quickly, a smoke flue, and a smoke. It is composed of a chimney, and it is recorded that there was an ondol culture from the Goguryeo period in the old Tang dynasty.

본원에서는 제주도의 화산분출물로 인해 생성된 스코리아(Scoria)라고 불리우는 물질을 이용한 구들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코리아란 화산의 마그마분출 시 700도에서 1200도까지 높은 온도로 올라가며 폭발하였을 때 분출된 여러 물질 가운데서 다공질의 화산암 및 화산 모래, 기타 화산회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화산성토로 전세계 화산지역에서 산출되고 있는 광물을 말하는 것으로, 스코리아는 입자가 수 cm 정도의 조립질이 주를 이루며, 기공이 많고 가벼우며 광물 금속 성분의 함량에 따라 색깔은 적갈색을 비롯한 여러가지의 색깔을 띤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provide a gudeuljang using a material called Scoria, which is produced by volcanic eruptions on Jeju Island. When the magma of Scoria erupts, it rises to a high temperature from 700 to 1200 degrees, and various substances ejected when it exploded. In the middle, porous volcanic rock, volcanic sand, and other volcanic ash are mixed and it refers to minerals produced in volcanic regions around the worl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mineral or metal component, the color takes on various colors including reddish-brown.

특히 제주도에서만 나오는 스코리아는 일부의 오름 지역에 산재되어 있으며, 제주도 방언으로 "제주화산송이"라 지칭되고 있으며 제주도에서 나는 스코리아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나는 스코리와는 달리 황성분이 없고,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친환경 소재라는 특징을 갖는다.In particular, scoria, which is produced only in Jeju Island, is scattered in some oreum areas and is referred to as “Jeju volcanic cone” in the Jeju dialect. It is characterized as an eco-friendly material.

아래 표 1은 "제주화산송이"의 구성비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SiO2, Al2O3, Fe2O3의 함량이 75%에 달하며 유기 불순물의 함량이 비교적 적게 나타나는 안정된 화학 조성을 갖고 있는 광물로 알려져 있다.(제주도 제공자료)Table 1 below shows the composition ratio of "Jeju Volcanic Cluster", and the content of SiO 2 , Al 2 O 3 , Fe 2 O 3 reaches 75% and the content of organic impurities is relatively low. It is known. (Data provided by Jeju Island)

화학적 조성(중량%) Chemical composition (wt%) pH pH 표면적
(㎡/g)
surface area
(m2/g)
SiO2 SiO 2 Al2O3 Al 2 O 3 Fe2O3 Fe 2 O 3 CaO CaO MgO MgO 기타 Etc 47.48 47.48 16.93 16.93 13.0 13.0 7.45 7.45 4.37 4.37 잔량 remaining amount 7.16 7.16 63 63

"제주화산송이"의 물리적 특성으로, 흡수율은 제주도 지역 산지에 따라 17%에서 32%의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마모율은 조직의 치밀, 강약, 균질, 기공의 과다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하여 47%에서 67%로 자갈이나 모래보다 높고, 비중은 0.65g/㎤에서 0.65g/㎤로 가벼우며, "제주화산송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기공 내의 수분의 함유량과 연관되는 절대 건조 비중(기공 내부의 빈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전부 제거한 상태이 비중)은 1.31g/㎤에서 1.9g/㎤을 보이고 있으며, 표면 건조 비중(스코리아의 기공 표면에는 수분이 없으나 기공 내부에 수분이 차 있는 상태의 비중)은 1.85g/㎤에서 2.45g/㎤ 로 낮은 특성을 나타낸다.As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Jeju Volcanic Cluster", the absorption rate is high from 17% to 32% depending on the production area of Jeju Island, and the abrasion rate is 47%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ensity of the tissue, strength, homogeneity, and excessive pores. at 67%, higher than gravel or sand, the specific gravity is light from 0.65g/cm3 to 0.65g/cm3, and the absolute dry specific gravity (inside the pores) is related to the moisture content in the pores, which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eju Volcanic Cluster”. The specific gravity after removing all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pores) is 1.31 g/cm3 to 1.9 g/cm3, and the surface dry specific gravity (the specific gravity in the state where there is no water on the surface of the pores of Scoria but the inside of the pores is filled with moisture) shows a low characteristic from 1.85 g/cm 3 to 2.45 g/cm 3 .

또한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는 원적외선 방사율은 92~93%(5~20㎛), 방사에너지는 3.74x102 W/㎡, 암모니아 탈취율 84~89%, 항균성은 99.97%로써 다른 광물보다 우수한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변의 수분의 양을 조절해주는 친환경 기능을 가지고 있다.(제주도 제공자료)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2 below, "Jeju volcanic cone" has a far-infrared emissivity of 92~93% (5~20㎛), a radiant energy of 3.74x10 2 W/m2, an ammonia deodorization rate of 84~89%, and an antibacterial property of 99.97%. As a result, it has superior characteristics than other minerals. And it has an eco-friendly function that regulates the amount of moisture around it. (Data provided by Jeju Island)

구 분 division pH pH porosity
(%)
porosity
(%)
흡수성(%) Absorbency (%) 원적외선 방사율 Far Infrared Emissivity 방사에너지( W/㎡)radiant energy ( W/m2) 암모니아탈취율(%)Ammonia deodorization rate (%) 향균성(%)Antibacterial (%)
스코리아 s Korea 7.1~7.3 7.1~7.3 44~46 44-46 25.3 25.3 92~93 92~93 374 374 84~89 84-89 99.07 99.07 맥반석 elvan stone 7.0~9.0 7.0~9.0 90 90 85 85 85 85 비취 jade - - 91 91 57~72 57-72 황토 ocher 8.5~9.5 8.5~9.5 50~55 50-55 20~25 20-25 93 93 355 355 - - - - charcoal - - 97.6 97.6 353 353 - - - - 시멘트 cement 9.0~13.0 9.0 to 13.0 84 84 35 35 - -

특히, 대한민국의 제주도에서 나오는 스코리아인 "제주화산송이"의 경우 타지역의 스코리아와 달리 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어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는바 제주화산송이는 전세계 어떤 지역의 스코리아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적절한 가공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인체 무해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eju volcanic scoria," a scoria from Jeju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unlike scoria from other regions,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does not contain sulfur, so it can be said that its useful value is very high. It has superior propertie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co-friendly and harmless material through proper processing.

특히, 대한민국의 제주도에서 나오는 스코리아인 "제주화산송이"의 경우 타지역의 스코리아와 달리 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어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eju Volcanic Pine", a scoria from Jeju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unlike scoria from other regions, it does not contain sulfur, so it can be said that its utility value is very high.

즉, 제주화산송이는 전세계 어떤 지역의 스코리아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적절한 가공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인체 무해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동안 제주화산석인 스코리아(Scoria)를 이용하는 기술로 등록특허 10-0791053에서 스코리아를 주재료로 이용하는 필터와 그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관련 기술과 등록특허 10-0567122호에서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와 같은 제주화산송이의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가치를 찾지 못하는 것은 화산의 마그마 분출 시 700도에서 1200도에 이르는 높은 온도까지 올라갔던 화산재가 타 물질과의 결합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Jeju volcanic cluster has superior characteristics than scoria in any region of the world and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co-friendly and harmless material through appropriate processing. In -0791053, a filter using scoria as a main material and a technology related to an air purifier using the same,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Jeju scoria as a main ingredient are presented in Registered Patent No. 10-0567122. The reason why it cannot find its useful value is because volcanic ash, which rose to a high temperature of 700 to 1200 degrees during the eruption of volcanic magma, does not have binding power with other materials.

본원에서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제주화산석 스코리아를 활용하여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고 유해 가스의 발생우려가 없는 상태로 스코리아 + 황토 + 금속메쉬망 형태로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Here, by using Jeju volcanic stone scoria with excellent properties, i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viral effects and there is no risk of generating harmful gases. have a purpose

또한 본원은 결합력을 갖지 못하는 제주화산석 스코리아를 구들장으로 활용하되 높은 결합력을 확보하면서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한 구성을 이루기 위해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을 특정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 금형에서 압착될 때 2단계의 채움구조를 이루고 제1채움재와 제2채움재 중간 위치에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높은 결합력과 강도를 확보하는 스코리아 구들장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 composition to reduce the weight while securing high bonding strength while using Jeju volcanic stone scoria, which does not have binding force, as a gudeuljang, scoria raw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specific weight ratio, and a natural plant binder is mixed and then pressed. The purpose of provi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scoria gudeuljang that forms a two-step filling structure when pressed in a mold and secures high bonding strength and strength by placing a metal mesh net on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llers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have

본 발명은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이 높은 결합강도를 확보하는 제조수단을 강구하는 기술로서, 스코리아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굵은입도로 50~150메쉬 통과 규격과 미세입도로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1)준비단계와 구운황토를 분쇄하여 50~15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2)준비단계와 금속 메쉬망을 준비하는 원료(3)준비단계를 이루고,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 압착홈 형태로 원하는 규격의 구들장 크기 오목홈이 마련되고 200~3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수행된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금속 메쉬망 상부로 50~1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된 후 프레스 압착이 진행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에 의해 본원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obtaining a manufacturing means to secure high bonding strength of scoria and loess, which is provided by mixing/compressing scoria and loess, by pulverizing and pulverizing scoria rough, passing 50-150 mesh in coarse particle size, and fine particle size. Prepare the raw material (1) preparation step of separating by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and the raw material (2) preparation step of grinding baked ocher and separating it by 50-15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The raw material (3) preparation stage is completed, and a concave groove of the desired size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 mold, and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are 7±2 : 3±2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the pretreatment process of first filling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fter mixing in a weight ratio of 5 to 15% by weight of the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The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the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the standard 50 to 150 mesh pas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etal mesh network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5 to 15% by weight of the natural After the plant binder is mixed, 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can be achiev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coria Gudeuljang, which includes the process of pressing the press after filling the second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It is an invention that has been confirmed and completed.

본원의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금속메쉬망은 일반 금속메쉬망이 사용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각형 구조를 이루는 철재 매쉬망의 4각형 구조의 좌측부는 저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우측은 인접한 측면 4각형 구조의 철재 매쉬망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경사연결면을 형성하도록 압착된 메쉬망이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외부에서 해머망치로 해체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높은 결합력 및 강도를 확보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coria Gudeulja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etal mesh may be a general metal mesh, but more preferably, the left side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of the steel mesh forming the rectangular structur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ght side is the adjacent side 4 When the compressed mesh is configured to be used to continuously form an inclined connection surface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smatic mes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high bonding strength and strength that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trying to dismantle it with a hammer hammer from the outside. This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Scoria Gudeuljang can be obtained.

또한 본원의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는 70~90℃ 범위의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바닥면이 제공되는 경우 작업의 원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물품이 사람의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구들장이므로 유해한 접착제가 사용되어서는 아니되므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천연접착제로는 아교나 셀락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 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coria Gudeulja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 mold is provided with a heating structure in the range of 70 to 90 ° C. Since it is a gudeuljang installed in the residential space of a person, it is desirable to use a natural adhesive harmless to the human body because harmful adhesives should not be used.

또한 본원 기술사상은 스코리아와 황토만을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화산의 마그마 분출 시 700도에서 1200도까지 높은 온도로 올라가며 폭발하여 생성된 "제주화산송이"는 원적외선 방사율은 92~93%(5~20㎛), 방사에너지는 3.74x102 W/㎡, 암모니아 탈취율 84~89%, 항균성은 99.97%의 특성을 갖고 또한 황토원료도 대표적인 원적외선 방사물질로써, 본원에서 적용되는 스코리아 + 황토로 이루어진 구들장은 스코리아의 사용량을 가능한 많게 사용하여 구들장 자체의 무게를 가능한 경감시키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황토의 중량비가 30중량% 미만이 되면 결합력이 떨어지고 황토의 중량비가 50중량% 이상이 되면 구들장 자체의 무게가 너무 중량화 되는 경우에는 구들장의 취급, 운반, 현장 설치 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is application is a technology to provide scoria gudeuljang, which is provided by mixing/pressing only scoria and loess soil. When magma of a volcano erupts, it rises to a high temperature from 700 degrees to 1200 degrees, and "Jeju volcanic clusters" generated by exploding are far-infrared rays. The emissivity is 92~93% (5~20㎛), the radiation energy is 3.74x102 W/m2, the ammonia deodorization rate is 84~89%, and the antibacterial property is 99.97%. Gudeuljang consisting of scoria + loess is preferably applied to reduce the weight of gudeuljang itself by using as much of the amount of scoria as possible. If the weight of the gudeuljang itself becomes too heavy,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transport, and install the gudeuljang on site, so it is preferable to mix it in the above composition ratio.

따라서 본원은 스코리아 및 황토가 혼합/압착되어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에 있어서,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 금형의 오목홈에서 압착될 때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재로 채워진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재가 채워진 후 프레스 압착이 수행되어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 / pressing scoria and loess, scoria raw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5 to 15% by weight of the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is added. After mixing, when pressed in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mold, it is filled with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and then a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fter mixing at a weight ratio of 7±2: 3±2, and natural plant binder of 5 to 15% by weight of the mixture, the press is filled with secondary filler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It features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performing compression.

상기의 스코리아 구들장을 얻을 때 상기 1차 채움재는 200~350메쉬 통과의 미세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의 표면부로 사용되고 상기 2차 채움재는 50~150메쉬 통과의 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 저부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방바닥 기준에서 외부로 들어나면 표면부는 말끔하고 깨끗하며 외부로 들어나지 않는 바닥면 또는 측면부 하부부분은 꺼실꺼실한 부분으로 바닥면 및 측면부와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When obtaining the scoria gudeuljang,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is a fine powder passing through 200 to 350 mesh is used as the surface part of the gudeuljang,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is a powder having 50 to 150 mesh passing and is applied to be used as the bottom of the gudeuljang. In this case, when it comes out from the standard of the room floor, the surface part is neat and clean, and the lower part of the floor or side part that does not come out is a smooth part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high bonding strength with the floor and side parts.

본 발명은 스코리아와 황토만을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스코리아 + 황토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위 스코리아 구들장이 가로 * 세로 * 높이가 400㎜ * 400㎜ * 30㎜ 규격으로 제공되는 경우 그 중량이 7.5~7.8 kg 정도의 무게로 운반에 큰 부담이 없는 가벼운 중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compressing only scoria and loess, and one unit scoria gudeuljang made of scoria + loess provided herein has a width * length * height of 400 mm * 400 mm * 30 mm. If it is provided as a standard, it can be provided with a light weight that does not have a large burden on transportation with a weight of about 7.5 to 7.8 kg.

더욱 본원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원료인 스코리아와 황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4각형 구조를 이루는 철재 매쉬망을 기준으로 4각형 구조의 좌측부는 저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우측은 인접한 측면 4각형 구조의 철재 매쉬망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경사연결면을 형성하도록 압착좌측은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우측은 측면 4각형 구조의 철재 매쉬망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인 경사연결면을 형성하도록 압착된 메쉬망이 사용되는 경우 서로 다른 입도크기의 스코리아및 황토조성물 사이에 본원 구조의 메쉬망이 중간에 개제되어 100~300톤 규격의 프레스로 압착되어 제공되는 경우 외부에서 해머망치로 해체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높은 결합력 및 강도를 확보하는 스코리아 구들장으로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scoria and loess, which are heterogeneous raw materials, the left side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based on the iron mesh network forming a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right side is adjacent to the side. To form a continuous inclined connection surface so as to be located at In case the mesh network of this structure is interposed between the scoria and loess compositions of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provided by pressing with a press of 100 to 300 tons, it is high enough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you try to dismantle it with a hammer from the outside. It has the effect of being provided as a scoria gudeuljang that secures bonding strength and strength.

따라서 본원기술로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은 국민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거공간의 바닥면에 항균성 및 탈취효과를 제공하며 동시에 쾌적한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누리며 삶의 웰빙을 누리는 구들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coria Gudeuljang provided with this technology provides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on the floor of a residential space so that people can lead a healthier life, and at the same time enjoys a pleasant far-infrared radiation effect and provides the well-being of life. have.

또한, 본원 발명은 현재 제주 화산석의 우수한 물성에도 그 활용처를 찾지 못해 방치되고 있는 황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세계 유일의 스코리아인 제주화산송이의 활용도를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Jeju volcanic cones, which is the world's only scoria that does not contain sulfur components, which are left unattended because of th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Jeju volcanic stone, and can create added valu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코리아 및 황토를 이용한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기술에 적용되는 철재매쉬망의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기술에 적용되어 건물의 구들장 상태로 적용가공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scoria gudeuljang using scoria and lo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hotograph of the iron mesh network applied to the present technology.
Figure 3 is applied to the present technology shows a field photograph for confirming the application processability in the state of the building Gudeuljang.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단, 본원에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도출 가능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시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본원 기재 실시양태나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However, since the specific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merely show one possible example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r drawing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코리아 및 황토, 철재 매쉬망을 이용한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scoria gudeuljang using scoria, loess, and iron mesh 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제주산 스코리아 원석을 이용하여 건물의 온돌로 사용되는 구들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주산 스코리아 원석(화산송이)는 원적외선 방사율은 92~93%(5~20㎛), 방사에너지는 3.74x102 W/㎡, 암모니아 탈취율 84~89%, 항균성은 99.97% 범위로 다른 광물에서는 찾기 힘든 우수한 물성의 특징을 활용하되 제주화산의 마그마분출 시 700도에서 1200도까지 높은 온도로 올라가며 폭발하였을 때 분출된 여러 물질 가운데서 다공질의 화산암 및 화산 모래 화산회 등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화산석이 결합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역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대표적 물질인 구운황토와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이 높은 결합력 및 결합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래와 같은 준비 및 제조공정이 필요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deuljang that is used as an ondol for a building using Jeju scoria raw stone. x102 W/m2, ammonia deodorization rate of 84~89%, and antibacterial property of 99.97% range, utilizing the excellent properties that are hard to find in other minerals. Since volcanic stone made of a mixture of porous volcanic rock and volcanic sand and ash among the various materials used does not provide bonding strength, the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compressing with baked ocher, a representative material that also has a far-infrared radiation function, has high bonding strength and bonding strength. As a means to secure

제1단계로 스코리아 원석을 먼저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제1분말화단계(S 10)가 필요하고 분말화된 스코리아 원석을 미세입도 규격으로 200~350 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규격과 굵은 입도 규격으로 50~150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규격으로 분리하는 제2선별단계(S 20)가 필요하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 제품이 준비되고 입도별로 분류된 1차채움재와 2차채움재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금속메쉬망이 준비되는 제3단계(S 30)의 준비공정이 필요하다.As a first step, the first powdering step (S10) of pulverizing and pulverizing the scoria ore is required, and the powdered scoria ore is passed through a sieve in the range of 200 to 350 mesh as a fine particle size standard and a coarse particle size specification As a result, a second screening step (S 20) of separating into a standard that has passed through a sieve in the range of 50 to 150 mesh is required.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third step (S 30) in which a metal mesh network is prepared for increasing the .

상기와 같이 원료가 준비되면 압착공정이 수행되는데, 스코리아 원석이나 황토를 미세입도 및 굵은입도 규격으로 분리하여 적용하고자 함은 최종제품인 구들장의 표면돌출부에 미세입도 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 표면부가 매끈하고 예쁘게 만들어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굵은입도로 이루어진 부분은 외면이 꺼실꺼실한 상태로 인접한 측면의 구들장 및 바닥면과의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나 아무리 스코리아와 황토를 동일한 입도별로 분류하여 혼합한다 하더라도 이미 700~1200℃의 높은 온도에서 분화된 스크리아 분말과 350~550℃ 범위를 유지하는 소성로에서 소성시킨 구운황토가 용이하게 결합되지 않으므로 바인더가 필요하게 되며, 화학제품으로 제공되는 바인더류는 인체에 위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천연접착제로 아교나 셀락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 제품이 본원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의 접착력을 제공하게 된다.When the raw material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process is performed. If you want to separate and apply Scoria rough stone or loess into fine and coarse particle size standards, fine particle size powder is used in the surface protrusion of the final product, Gudeuljang, so that the surface of Gudeuljang is smooth and beautiful. It is intended to be made and provided, and the coarse-grained part has a rough outer surface and is intended to provide high bonding strength with the adjacent side gudeuljang and bottom surface. Since the scria powder differenti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1200°C and the baked loess fired in a kiln maintained at 350-550°C are not easily combined, a binder is required, and the binders provided as chemical products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s a natural adhesive, a natural adhesive product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glue or shellac, provides the adhesion between the Scoria powder and ocher powder.

또한 스코리아와 혼합되는 황토도 생황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화산재인 스코리아 원석과 이질감으로 인해 완전한 결합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인해 350~550℃ 범위를 유지하는 소성로에서 소성시킨 구운황토를 스코리아분말과 같이 미세입도 규격으로 200~350 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규격과 굵은 입도 규격으로 50~150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규격으로 분리시켜 적용하는 것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상태로 1차채움재가 만들어져 먼저 프레스 금형의 오목홈에서 적치되는 단계(S 40)에서 금형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재로 채워진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S 50) 그 상부에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재가 채워지는 적치단계(S 60)를 거친 후 프레스 압착공정(S 70)이 수행되고 40~70℃ 범위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3~4일 건조(S 80)된 후 스코리아 구들장 완제품(S 90)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when raw ocher mixed with scoria is used as it is, it does not provide complete bonding strength due to the foreignness with the volcanic ash, scoria raw ston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apply the standard that passed a sieve in the range of 200 to 350 mesh as a particle size standard and a standard that passed a sieve in the range of 50 to 150 mesh as a coarse particle size standard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7±2: Mixed in a weight ratio of 3±2, and in a state where 5 to 15% by weight of the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is mixed,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is made and first placed in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mold (S 40). After filling with the primary filler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After mixing in a weight ratio of 5 to 15% by weight of the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the secondary filling material is filled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S 60). It shows that after the press compression process (S 70) is performed and dried (S 80) for 3 to 4 days in an aging room maintained in the range of 40 to 70 ° C., the finished product (S 90) of Scoria Gudeuljang can be obtained.

본원의 제조공정에서 상기와 같이 스코리아 원석이나 황토를 미세입도 및 굵은입도 규격으로 분리하여 적용하는 것은 최종제품이 구들장의 표면돌출부에 미세입도 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 표면부가 매끈하고 예쁘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고 굵은입도로 이루어진 부분은 외면이 꺼실꺼실한 상태로 인접한 측면의 구들장 및 바닥면과의 높은 결합력을 이루기 위함이나 아무리 스코리아와 황토를 동일한 입도별로 분류하여 혼합한다 하더라도 이미 700~1200℃의 높은 온도에서 분화된 스크리아 분말과 350~550℃ 범위를 유지하는 소성로에서 소성시킨 구운황토가 용이하게 결합되지 않으므로 바인더가 필요하게 되며, 화학제품으로 제공되는 바인더류는 인체에 위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천연접착제로 아교나 셀락 등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 제품이 본원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의 접착력을 제공하게 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to separate and apply scoria rough stone or loess into fine grain size and coarse grain size standard, fine grain size powder is used in the surface protrusion of Gudeuljang in the final product to make the surface of Gudeuljang smooth and beautiful. The part made of scoria and loess is to achieve high bonding strength with the gudeuljang and bottom surface of the adjacent side with a rough outer surface. A binder is required because scria powder and baked loess fired in a kiln maintained at 350~550℃ are not easily combined. Binders provided as chemical products can cause harm to the human body. Natural adhesive product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shellac, provide the adhesive strength of our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더욱, 입도별로 분류된 1차채움재와 2차채움재 사이에 금속메쉬망이 개제되어 100톤 내지 300톤 범위의 높은 프레스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높은 결합력 및 강도를 확보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얻을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단위 스코리아 구들장 크기가 가로 * 세로 * 높이 400㎜ * 400㎜ * 30㎜ 규격으로 제공되기 원할 경우 내경기준으로 가로 * 세로 * 높이 400㎜ * 400㎜ * 30㎜ 크기의 오목홈 형태의 성형틀 내부에 먼저 미세입도의 1차채움재를 12㎜ 높이로 적치하고 그 상부에 가로 * 세로 * 두께(높이) 400㎜ * 400㎜ * 3.5㎜ 크기의 금속메쉬망을 1차채움재 상부로 적치하고 그 상부에 다시 굵은입도의 2차채움재를 24㎜ 높이로 적치하고 100톤 이상의 고압프레스로 압착하여 5분정도 숙성시켜 꺼내는 경우 가로 * 세로 * 높이 400㎜ * 400㎜ * 30㎜ 규격으로 중량이 7.5~7.8 kg 정도의 무게로 운반에 큰 부담이 없는 구들장을 얻을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metal mesh network is interposed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fillers classified by particle size and a high pressing pressure in the range of 100 to 300 tons is applied, a scoria gudeuljang that secures high bonding strength and strength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f the unit scoria Gudeuljang size is to be provided in the dimensions of width * length * height 400 mm * 400 mm * 30 mm,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with the size of width * length * height 400 mm * 400 mm * 30 mm based on the inner diameter. First, place the primary filler with a fine particle size at a height of 12 mm inside the frame, and place a metal mesh with dimensions of width * length * thickness (height) 400 mm * 400 mm * 3.5 mm on top of the primary filler. Secondary filling material of coarse particle size is placed on the top again at a height of 24 mm, compressed with a high-pressure press of 100 tons or more, aged for 5 minutes, and then taken out. With a weight of about 7.8 kg, you can get a Gudeuljang that is not too burdensome to transport.

따라서 본원 기술은 스코리아 원석이나 황토분말이 입도별로 분리된 것은 1차채움재로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수행된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금속 메쉬망 상부로 50~1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된 후 프레스 압착이 진행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technology, scoria raw stone or loess powder separated by particle size is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and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a natural plant binder of 5 to 15% by weight of the mixture is added. After mixing, the pre-treatment process of first filling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nd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50 to 150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mesh passing standard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after mixing 5~15% by weight of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1/2~2/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scoria gudeuljang including a process in which press compression is performed after secondary filling to a depth of 3 can be implemented.

도 2는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하나의 단위 구들장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구운황토와 스코리아분말을 분쇄하여 300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미세입도 규격의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을 7 : 3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10 중량% 비율로 셀락을 넣고 혼합하여 얻은 1차채움재(10)를 약 90℃ 가온상태를 유지하는 금형의 오목홈 바닥면에 넣고 1차채움재(10) 상부에 약 2.5㎜ 직경의 철재매쉬망(20)을 재치하고 그 상부에 50 메쉬 범위의 체를 통과한 굵은입도 규격의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이 7 : 3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10 중량% 비율로 셀락을 넣고 혼합하여 얻은 2차채움재(30)를 넣고 200톤 압력으로 압착시켜 본원에서 원하는 스코리아 구들장(100)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the stacked structure of one unit gudeuljang provided by appl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rst, roasted ocher and scoria powder are pulverized and passed through a sieve in the 300 mesh range. Scoria raw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The primary filler (10) obtained by mixing in a 7:3 weight ratio and adding shellac in a ratio of 10% by weight of the mixture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mold that is kept heated at about 90°C, and the primary filler (10) An iron mesh 20 with a diameter of about 2.5 mm is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Scoria rough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of coarse particle size passed through a sieve of 50 mesh on the upper part are mixed in a 7: 3 weight ratio and 10 weight of the mixture It shows that the desired Scoria Gudeuljang (100) can be obtained here by putting the secondary filling material (30) obtained by adding and mixing shellac in a % ratio and pressing it with a pressure of 200 tons.

도 3은 본원의 스코리아 구들장(100)의 중간재로 사용되는 철재매쉬망(20)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철재매쉬망(20)이 가로*세로 규격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본원에서 스코리아분말과 구운황토 및 천연접착재와 혼합하여 100 톤 범위의 고압프레스로 압착공정을 수행하고 40℃ 범위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건조하여 완제품을 얻은 후 실험을 위하여 귀통이 부분을 망치로 두드렸을 때 크랙이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더욱 완전한 제품을 얻기 위해 연구하는 과정 중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4각형 구조를 이루는 철재 매쉬망의 4각형 구조의 좌측부는 저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우측은 인접한 측면 4각형 구조의 철재 매쉬망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경사연결면을 형성한 철재메쉬망이 사용되고 프레스 압력을 200톤 이상의 압력을 적용하고 40℃ 범위를 유지하는 숙성실에서 건조하여 완제품을 얻은 후 실험하는 과정에서는 해머망치로 해체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높은 결합력 및 강도를 확보하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3 show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of the iron mesh network 20 used as an intermediate material of the Scoria Gudeuljang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most of the iron mesh networks 20 are provided with the same horizontal * vertical standard, but in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mixing with scoria powder, baked ocher and natural adhesive, performing the compression process with a high-pressure press in the range of 100 tons, and drying it in a maturation room maintaining the range of 40℃ to obtain the finished product As shown in Fig. 3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is occurrence and researching to obtain a more complete product, the left side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of the steel mesh mesh forming the rectangular structur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right side is the adjacent side rectangle. A process of experimenting after obtaining a finished product by drying in a maturation room maintained at 40°C, applying a press pressure of 200 tons or more, using a steel mesh network with a continuous inclined connection surface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mesh network of the structure has confirmed the fact that it has high bonding strength and strength that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trying to dismantle it with a hammer hammer.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기술에서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스코리아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50~15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1)준비단계와 구운황토를 50~10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2)준비단계와 금속 메쉬망을 준비하는 원료(3)준비단계로 사전준비가 이루어지고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 압착홈 형태로 원하는 규격의 구들장 크기 오목홈이 마련되고 200~3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수행된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금속 메쉬망 상부로 50~1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된 후 프레스 압착이 진행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정을 통하여 스코리아 구들장을 얻고자 할 때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 것으로, 기존의 구들장 제조공정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들이 얼마든지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As a means for obtaining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compressing scoria and loess in this technology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raw scoria raw materials are crushed and powdered and separated by 50-15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1)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raw material that separates the baked ocher by 50-10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2)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raw material (3) preparation stage for preparing the metal mes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 mold, a concave groove of the desired siz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groove, and the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the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the mixture is mixed with 5~ After 15% by weight of natural plant binder is mixed, the pretreatment process is first filled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nd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metal mesh network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Scoria powder and ocher powder of 50~150 mesh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metal mesh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 3±2, and 5~15% by weight of natural plant binder of the mixture is mixed, and then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This is a description focusing on the newly started part when trying to obtain Scoria Gudeuljang through a process including the process of press-pressing after filling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It can be said that i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ny number of device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cess can be added and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 해석은 균등론에 입각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doctrine of equivalents, and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 스코리아 및 황토의 분말화단계
S20 : 입도별 선별단계
S30 : 철재매쉬망 준비단계
S40 : 금형의 성형홈에 1차채움재 적치단계
S50 : 철재매쉬망 적치단계
S60 : 금형의 성형홈에 2차채움재 적치단계
S70 : 압착단계
S80 : 건조단계
S90 : 스코리아 구들장
10 : 1차채움재 20 : 철재매쉬망
30 : 2차채움재 100 : 구들장
S10: Powdering step of scoria and loess
S20: Selection step by particle size
S30: Steel mesh network preparation stage
S40: Step of placing the first filling material in the molding groove of the mold
S50: Steel mesh net stacking stage
S60: Step of placing the secondary filling material in the molding groove of the mold
S70: Compression step
S80: Drying step
S90 : Scoria Gudeuljang
10: primary filling material 20: iron mesh network
30: Secondary filling material 100: Gudeuljang

Claims (5)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스코리아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50~15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1)준비단계;
황토를 50~100메쉬 통과 규격과 200~350메쉬 통과 규격 별로 분리하는 원료(2)준비단계;
금속 메쉬망으로 4각 연결면을 기준으로 일측은 저부로 타측은 상부로 연속적인 경사연결면을 형성하도록 압착된 구조의 금속메쉬망을 준비하는 원료(3)준비단계;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 압착홈 형태로 원하는 규격의 구들장 크기 오목홈이 마련되고 200~3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되는 전처리 공정과
상기 전처리공정이 수행된 후 금속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금속메쉬망 상부로 50~150메쉬 통과 규격의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된 후 프레스 압착이 진행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 / pressing scoria and loess soil,
Raw material (1) preparation step of pulverizing and pulverizing scoria rough stones and separating them by 50-15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Raw material (2) preparation step of separating loess by 50-100 mesh passing standard and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A raw material (3)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metal mesh network of a compressed structure so as to form a continuous inclined connection surface with one side as the bottom and the other side as the top on the basis of the rectangular connection surface of the metal mesh networ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 mold, a concave groove of the desired siz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groove, and the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the 200-350 mesh passing standard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the mixture is mixed with 5~ A pretreatment process in which 15% by weight of natural plant binder is mixed and then filled first to a depth of 1/2 to 1/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fter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he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the scoria powder and loess powder of the 50 to 150 mesh passing standard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to the upper part of the metal mesh network, and the mixture of Scoria Gudeulja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cess in which 5 to 15% by weight of a natural plant binder is mixed and then filled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금형의 바닥면에는 70~90℃ 범위의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구들장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Scoria Gudeuljang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form a heating structure in the range of 70 ~ 90 ℃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 mold.
스코리아 및 황토가 혼합/압착되어 제공되는 스코리아 구들장에 있어서,
스코리아 원석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 금형의 오목홈에서 압착될 때 오목홈 높이의 1/2 ~ 1/3 깊이로 1차 채움재로 채워진 후 금속 메쉬망이 올려져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스코리아 분말과 황토분말이 7±2 : 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혼합물의 5~15 중량%의 천연식물바인더가 혼합된 후 프레스의 오목홈 높이의 1/2 ~ 2/3 깊이로 2차 채움재가 채워진 후 프레스 압착이 수행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구들장.
In the scoria gudeuljang provided by mixing / pressing scoria and loess,
When Scoria raw stone powder and loess powd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2: 3±2, and natural plant binder of 5 to 15% by weight of the mixture is mixed and pressed in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mold,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is 1/ After filling with the primary filler to a depth of 2 to 1/3, a metal mesh net is raised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Scoria Gudeuljang,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natural plant binder of weight % is mixed, the secondary filling material is filled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heigh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press, and then press compression is per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채움재는 200~350메쉬 통과의 미세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의 표면부로 사용되고 상기 2차 채움재는 50~150메쉬 통과의 분말이 사용되어 구들장 저부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구들장.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imary filling material is 200 to 350 mesh passing fine powder is used as the surface portion of the goodeuljang,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is 50 to 150 mesh passing powder is used to be used as the bottom of the goodeuljang Scoria Gudeuljang.
KR1020200084551A 2020-07-09 2020-07-09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KR102445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51A KR102445964B1 (en) 2020-07-09 2020-07-09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51A KR102445964B1 (en) 2020-07-09 2020-07-09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62A KR20220006762A (en) 2022-01-18
KR102445964B1 true KR102445964B1 (en) 2022-09-20

Family

ID=8005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51A KR102445964B1 (en) 2020-07-09 2020-07-09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96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02B1 (en) * 2009-10-16 2012-07-02 나라앤텍 주식회사 Yellow earth panel
KR101132971B1 (en) * 2009-11-10 2012-04-09 양춘도 Manufacturing method of loess brick for interior
KR20150048524A (en) * 2013-10-28 2015-05-07 (주)한국지에이티 Bulk type composite molding radiating for a sink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00051501A (en) * 2018-11-02 2020-05-13 주식회사 스코리아랜드 Manufacturing method of antibacterial filter using scoria, antibacterial filter and antibacterial filt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62A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73B1 (en) Forming material including charco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37850B1 (en) Soil ceramic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314115B1 (en) a method of producing a in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KR102445964B1 (en)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and yellow soil
KR102445965B1 (en) Korean ondolefloor heating system made of scoria powder
KR100495571B1 (en) Humidity controlling healthy ti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ile
KR101573040B1 (en) Method of Light Charcoal-embedded Loess Board Production
KR101415088B1 (en) Composition of pulp spray having a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thermal insulation flame retardant, humidity contro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interior material using it
KR10137810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oard of bed
KR101128385B1 (en) Composition of plate
KR10244897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oria gypsum board and scoria gypsum board
KR101193231B1 (en) Environment friendly Hwang-To t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03121B1 (en) well-being heat ch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851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arbonized insulating board using rice husks
KR100402182B1 (en) Loess solution for construction and tile, brick, mortar and korean hypocaust made from the sam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62047B1 (en) Eco-friendly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and frame
KR20010105067A (en) Porous panel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964956B1 (en) Forming material including charcoal with thermal 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29992B1 (en) Far infrared ray and anion radiating ceramic mural painting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427360B1 (en) Chaff charcoal board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89016A (en) Yellow soil ceramic material which can be sintered at high temperature
KR100490593B1 (en) Ceramic roast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it
KR10153517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co-friendly loess ceiling plate and eco-friendly loess ceiling plate using the same
KR20220037057A (en) coffeebakbrick
KR100973509B1 (en) An antibacterial yellow earth plate using vib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