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571A - 진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571A
KR20150063571A KR1020157012122A KR20157012122A KR20150063571A KR 20150063571 A KR20150063571 A KR 20150063571A KR 1020157012122 A KR1020157012122 A KR 1020157012122A KR 20157012122 A KR20157012122 A KR 20157012122A KR 20150063571 A KR20150063571 A KR 2015006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r
bar material
axi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867B1 (ko
Inventor
기요시 히로사와
에이지 소네
고지 나카사토
Original Assignee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8Arrangements for reducing vibrations in feeding-passages or for damp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6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재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봉재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는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30)는 봉재 가공기(10) 또는 봉재 공급기(20)에 사용된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봉재(B)의 회전축선(11)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선(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40)에 지지되는 통 형상 요소(42)와, 봉재(B)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50a)와 봉재(B)에 접촉하는 제2 위치(50b)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롤러(52)와, 롤러(52)를 제1 위치(50a)로부터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키는 접촉 아암(62) 및 내측 링(63)과, 내측 링(6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 요소(60)를 갖는다. 구동 요소(60)는 내측 링(63)을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회전축선 방향(11)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진동 방지 장치{BRACING DEVICE}
본 발명은,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를 밀대로 밀어냄으로써 봉재를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에 사용되는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봉재 또는 밀대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재를 봉재 공급기로부터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여 봉재를 가공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봉재 가공기로 급송된 봉재는,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봉재의 선단 부분이, 주축의 척에 유지된다.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봉재의 선단 부분을 봉재 가공기의 가공부(예를 들어, 바이트)에서 가공할 수 있다. 봉재의 선단 부분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가공품을 절단한 후, 봉재를 가공부를 향해 급송하여, 다음의 가공품을 형성, 절단한다.
긴 봉재의 선단 부분을 가공할 때, 봉재의 나머지 부분은, 주축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봉재 공급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축을 회전시킬 때, 봉재 공급기까지 연장되는 봉재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재 가공기 및/또는 봉재 공급기는, 진동 방지 장치를 갖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진동 방지 장치에서는, 회전하는 봉재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끼움 지지 부품에 의해, 봉재 및 밀대의 진동을 규제한다. 끼움 지지 부품은, 예를 들어, V자형의 홈을 갖는 부품 또는 봉재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42018호 공보
봉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봉재가 회전할 때, 상기 끼움 지지 부품과 봉재 사이의 간극은 변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봉재의 단면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인 경우, 끼움 지지 부재의 간격을, 봉재의 단면의 최대 직경에 스토퍼에 의해 맞추므로, 봉재가 회전할 때, 상기 끼움 지지 부품과 봉재 사이의 간극이 변화된다. 따라서, 봉재의 진동을 충분히 규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봉재에 연결되어 있는 밀대의 진동을 규제하는 요망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재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봉재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는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재에 연결된 밀대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는 진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는,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를 밀대로 밀어냄으로써 봉재를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에 사용되는, 봉재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이며, 봉재의 회전축선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는 통 형상 요소와, 봉재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봉재를 회전축선 상에 유지하도록 봉재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부에 결합되어,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통 형상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요소와,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고, 이동 요소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요소를 통 형상 요소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 요소를 갖고, 접촉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접촉부, 이동 요소 및 통 형상 요소는 봉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구동 요소는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방지 장치에서는, 통 형상 요소에 지지된 이동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접촉부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봉재에 접촉하고, 봉재를 회전축선 상에 유지한다. 한편, 이동 요소를 이동시키는 구동 요소는, 이동 요소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접촉부, 이동 요소 및 통 형상 요소는, 봉재를 회전축선 상에 유지하면서 봉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된 구동 요소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접촉부와 봉재 사이의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봉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뿐만 아니라,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에 있어서도, 봉재의 진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부와 봉재 사이에 상대 회전이 없으므로, 회전 중, 봉재를 접촉부에 의해 강한 힘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진동 방지 장치를 밀대에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는,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를 밀대로 밀어냄으로써 봉재를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에 사용되는, 밀대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이며, 봉재의 회전축선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는 통 형상 요소와, 밀대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밀대를 회전축선 상에 유지하도록 밀대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부에 결합되어,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통 형상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요소와,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고, 이동 요소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요소를 통 형상 요소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는 롤러에 의해 구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회전축선은, 봉재 및 밀대가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봉재 또는 밀대에 접촉되어 있는 롤러가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회전하고 있는 봉재 또는 회전하지 않는 밀대를 파지하면서, 봉재 및 밀대의 회전축선의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예를 들어, 봉재 가공기가 주축 이동형일 때에 유리하다.
이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척이 봉재를 파지할 때, 롤러는 봉재 또는 밀대에 접촉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방지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주축의 척이 봉재를 해방한 후, 봉재를 이송하고, 계속해서 척이 봉재를 파지할 때, 봉재 또는 밀대가 롤러에 접촉한 상태이므로, 봉재 또는 밀대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회전축선 상에 유지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봉재 또는 밀대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동 요소는 에어 실린더와, 에어 실린더에 공급되는 에어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를 갖고,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압력에 따른 힘으로, 접촉부가 봉재 또는 밀대를 파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요소는, 통 형상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 요소를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동 요소는 피봇 요소를 피봇시키도록 통 형상 요소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 이동 요소를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끄럼 이동 요소는 통 형상 요소에 대해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미끄럼 이동 요소를 갖는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동 요소는 베어링을 통해 미끄럼 이동 요소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는 이동 요소와 통 형상 요소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제1 위치로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의해, 봉재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봉재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에 의해, 봉재에 연결된 밀대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다.
도 1은 봉재 가공기 및 봉재 공급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봉재 가공 시스템(1)은, 봉재(B)를 가공하는 봉재 가공기(10)(예를 들어, NC 선반)와, 봉재 가공기(10)의 상류측(후방측이라고도 함)에 배치되어, 봉재(B)를 그 길이 방향 축선(B1)과 일치하는 급송축선(21)을 따라 봉재 가공기(10)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20)를 갖고 있다.
봉재 가공기(10)는, 개략적으로는, 회전축선(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축(12)과, 가공부(13)(예를 들어, 바이트)를 갖고, 주축(12)은, 회전축선(11)을 따른 관통 구멍(14)과, 관통 구멍(14)에 통과된 봉재(B)의 전단부 부분(Bb)의 근방을 해방 가능하게 파지하는 척(15)(예를 들어, 콜렛 척)을 갖고 있다. 주축(12)에 파지된 봉재(B)를 회전시키면서, 주축(12)을 이동시키거나(주축 이동형) 가공부(13)를 이동시킴(주축 고정형)으로써, 봉재(B)를 가공부(13)에 의해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재(B)가 긴 경우, 주축(12)의 척(15)에 파지된 봉재(B)는, 관통 구멍(14)을 통과하여 상류측의 봉재 공급기(20) 안까지 연장되어 있다.
봉재 공급기(20)는, 봉재(B)를 1개씩 재료 선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급송축선(21)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로 취출되고, 봉재(B)의 후단부 부분(Ba)을 밀대(22)로 밀어냄으로써, 봉재(B)를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봉재 가공기(10)로 급송하는 장치이다. 그 구조는, 종래 기술의 것이어도 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봉재 가공 시스템(1)은, 주축(12)에 의해 회전되는 봉재(B)의 진동을 규제하는 진동 방지 장치(30)를 갖고 있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예를 들어 주축(12)의 상류측에 또한 그 근처에 배치된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봉재 가공기(1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되고, 봉재 공급기(2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방지 장치(30)는, 봉재 가공기(10) 또는 봉재 공급기(20)에 고정되는 프레임(40)과, 봉재(B)의 회전축선(11)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축선(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40)에 지지된 통 형상 요소(42)를 갖고 있다. 통 형상 요소(42)는, 베어링(43)을 통해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통 형상 요소(42)는, 봉재(B)의 직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복수의 접촉부(50)를 더 갖고 있다. 각 접촉부(50)는, 봉재(B)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50a)와, 봉재(B)를 회전축선(11) 상에 유지하도록 봉재(B)에 접촉하는 제2 위치(50b)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50)는 롤러(52)에 의해 구성되고, 3개의 롤러(52)가 봉재(B)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롤러(52)의 회전축선(53)은, 봉재(B)가 회전축선(11)의 방향(A)으로 이동할 때에 봉재가 접촉되어 있는 롤러(52)가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접촉부(50)[롤러(52)]에 결합된 이동 요소(60)를 더 갖고 있다. 이동 요소(60)는, 롤러(52)를 제1 위치(50a)로부터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키도록 통 형상 요소(4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요소(60)는, 통 형상 요소(42)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 요소인 접촉 아암(62)과, 접촉 아암(62)을 피봇시키도록 통 형상 요소(4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 이동 요소인 내측 링(63)을 갖고 있다.
접촉 아암(62)은, 통 형상 요소(42)에 설치된 축(44)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고, 통 형상 요소(42)에 형성된 구멍(45)을 관통하고 있다. 축(44)은, 회전축선(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 아암(62)은, 롤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단부(64)와, 그 반대측의 제2 단부(65)를 갖고 있다. 롤러(52)는, 접촉 아암(62)과 통 형상 요소(4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6)에 의해, 제1 위치(50a)로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링(63)은,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회전축선(11)의 방향(A)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주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내측 링(63)은, 접촉 아암(62)의 제2 단부(64)에 결합되어 있다.
진동 방지 장치(30)는, 프레임(40)에 지지된 구동 요소(70)를 더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요소(70)는, 프레임(40)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72)와, 에어 실린더의 로드(72a)에 설치된 슬라이드 캠(73)과, 내측 링(63)에 베어링(74)을 통해 결합된 외측 링(75)을 갖고 있다. 베어링(74)에 의해, 구동 요소(70)는, 내측 링(6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구동 요소(70)는, 에어 실린더(72)에 공급되는 에어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72b)를 더 갖는 것이 좋다.
외측 링(75)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76)을 갖고, 프레임(40)은, 회전축선(11)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77)을 갖고 있다. 핀(76)은, 홈(77)에 끼워 맞추고 또한 홈(77)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드 캠(73)은, 외측 링(75)과 프레임(40) 사이에 위치하고, 핀(76)에 결합 가능한 경사면(73a)을 갖고 있다. 경사면(73a)은, 에어 실린더(72)의 로드(72a)가 신장했을 때에 핀(76)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누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어 실린더(72), 슬라이드 캠(73) 및 외측 링(75)은, 접촉부(50)를 제1 위치(50a)로부터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키므로, 내측 링(63)을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접촉 아암(62)을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피봇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B)를 봉재 공급기로부터 봉재 가공기로 급송할 때, 롤러(52)는 제1 위치(50a)에 있다. 봉재(B)를 주축(12)의 척(15)으로 파지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52)를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키고, 봉재(B)를 회전축선(11) 상에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실린더(72)를 작동시킴으로써, 로드(72a)를 신장시켜, 슬라이드 캠(73)을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캠(73)의 경사면(73)에 의해, 외측 링(75)에 설치되어 있는 핀(76)을 하류측을 향해 누른다. 외측 링(75)은, 베어링(74)을 통해 내측 링(63)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내측 링(63)은, 통 형상 요소(42)를 따라 하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로 인해, 내측 링(63)에 결합되어 있는 3개의 접촉 아암(62)의 제2 단부(65)를 하류측을 향해 누르고, 접촉 아암(62)을, 스프링(66)에 저항하여 피봇시킨다. 그 결과, 3개의 롤러(52)를 제1 위치(50a)로부터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키고, 그들을 봉재(B)에 접촉시켜, 봉재(B)를 회전축선(11) 상에 유지한다. 롤러(52)는, 레귤레이터(72b)에 의해 조정된 압력에 따른 힘으로, 봉재(B)를 파지한다.
롤러(52)가 제2 위치(50b)에 있는 상태에서 주축(12)을 회전시키면, 봉재(B)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롤러(52), 접촉 아암(62), 내측 링(63)이 봉재(B)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이에 대해, 외측 링(75), 슬라이드 캠(73), 에어 실린더(72), 및 프레임(40)은 회전하지 않는다.
롤러(52)를 제2 위치(50b)로부터 제1 위치(50a)로 이동시킬 때, 에어 실린더(72)를 작동시켜, 로드(72a)를 인입하면, 슬라이드 캠(73)이, 롤러(52)를 제1 위치(50a)로부터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킬 때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촉 아암(62)은, 스프링(66)의 힘에 의해 피봇하고, 외측 링(75) 및 내측 링(63)을 상류측을 향해 이동시킴과 함께, 롤러(52)를 제2 위치(50b)로부터 제1 위치(50a)로 이동시킨다.
봉재(B)는, 에어 실린더(72)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롤러(52)에 의해 확실히 유지되면서 회전하므로, 봉재(B)의 진동이 규제된다. 그로 인해, 봉재(B)의 가공 정밀도가 높아진다. 봉재(B)와 롤러(52) 사이에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이 없으므로, 봉재(B)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원형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봉재(B)의 진동이 규제된다. 또한, 봉재(B)와 롤러(52) 사이에 상대 회전이 없으므로, 종래의 진동 방지 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회전 중, 봉재(B)를 롤러(52)로 강한 힘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롤러(52)의 회전축선(53)이, 봉재(B)가 회전축선(11)의 방향(A)으로 이동할 때에 롤러(52)가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봉재(B)의 가공을 위해 봉재(B)가 회전하면서 회전축선(11)의 방향(A)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도, 봉재(B)와 롤러(52) 사이의 저항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봉재(B)의 진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롤러(52)를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봉재(B)를 봉재 공급기(20)로부터 봉재 가공기(10)로 급송하고, 그 후, 봉재(B)를 주축(12)의 척(15)으로 파지함으로써, 봉재(B)를 회전축선(11) 상에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봉재(B)가 긴 경우, 최초에 척(15)으로 봉재(B)의 전단부 부분(Bb)을 파지하면, 봉재(B)가 회전축선(11)에 대해 비스듬해진 상태로 척(15)에 파지되는 경우가 있다. 롤러(52)를 제2 위치(50b)로 이동시킨 상태로 봉재(B)를 척(15)으로 파지하면, 봉재(B)가 회전축선(11)에 일치한 상태에서 척(15)에 파지되는 것이 확보된다. 그 결과, 봉재(B)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그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 장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촉부(50)가 봉재(B)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부(50) 및 통 형상 요소(42)가 봉재(B)와 함께 회전하면, 이동 요소(60) 및 구동 요소(70)의 형태는 임의이다. 이동 요소 및 구동 요소의 형태는, 하기의 변형예에 따라 임의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요소(60)의 일부는, 통 형상 요소(42)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접촉 아암(62)이지만,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또는 미끄럼 이동하도록 지지된 요소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아암(62)은, 회전축선(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44)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지만, 그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촉 아암(62)은, 회전축선(1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요소(60)의 일부는, 축선 방향(11)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통 형상 요소(42)에 지지된 내측 링(63)이지만,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요소(60)는, 2개의 요소[접촉 아암(62) 및 내측 링(63)]를 갖고 있었지만, 1개의 요소로 구성되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요소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요소(70)는, 베어링(74)을 동해 이동 요소(60)에 결합되어 있었지만, 구동 요소(70)와 이동 요소(60)가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50)는 롤러(52)이지만, 봉재(B)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요소여도 된다. 이 요소는, 이동 요소(60)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별도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52)는, 회전축선(11)의 방향(A)으로 이동하는 봉재(B)를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었지만(제1 배치), 롤러(52)의 회전축선(53)과 봉재(B)의 회전축선(11)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제2 배치). 롤러(52)의 제2 배치는, 봉재(B)에 의해 이동 요소(60) 및 통 형상 요소(42)를 회전시키는 힘이 비교적 작을 때[예를 들어, 봉재(B)의 외경이 가늘 때]에 유리하다. 또한, 제1 배치의 롤러(52)를 갖는 접촉 아암(62)과, 제2 배치의 롤러(52)를 갖는 접촉 아암(62)을 준비하여, 접촉 아암(62)이 통 형상 요소(42)에 대해 제거 가능하고, 접촉 아암(62)을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실형태에서는, 3개의 접촉부(50)가 설치되었지만, 2개의 접촉부가 설치되어도 되고, 4개 이상의 접촉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진동 방지 장치(30)는, 봉재 공급기(10) 지지되어 있지만, 봉재 가공기(20)에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진동 방지 장치(30)는, 회전하는 봉재(B)의 진동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봉재(B)의 후방측의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봉재(B)를 봉재 가공기(10)를 향해 밀어내는 밀대(22)의 진동을 규제해도 된다. 또한, 레귤레이터(72b)에 의해, 실린더(52)에 작용하는 에어 압력을 변화시켜, 봉재(B)를 파지하는 압력과, 밀대(22)를 파지하는 압력을 조정해도 된다.
10 : 봉재 가공기
11 : 회전축선
20 : 봉재 공급기
22 : 밀대
30 : 진동 방지 장치
42 : 통 형상 요소
50 : 접촉부
50a : 제1 위치
50b : 제2 위치
52 : 롤러
60 : 이동 요소
62 : 접촉 아암(피봇 요소)
63 : 내측 링(미끄럼 이동 요소)
66 : 스프링
70 : 구동 요소
72 : 에어 실린더
72b : 레귤레이터
73 : 슬라이드 캠
74 : 베어링
75 : 외측 링
76 : 핀
77 : 홈
A : 회전축선의 방향
B : 봉재

Claims (11)

  1.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를 밀대로 밀어냄으로써 봉재를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에 사용되는, 봉재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이며,
    봉재의 회전축선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는 통 형상 요소와,
    봉재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봉재를 상기 회전축선 상에 유지하도록 봉재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통 형상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요소와,
    상기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요소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요소를 상기 통 형상 요소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 요소를 갖고,
    상기 접촉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 상기 이동 요소 및 상기 통 형상 요소는 봉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 요소는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2.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를 밀대로 밀어냄으로써 봉재를 봉재 가공기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에 사용되는, 밀대를 위한 진동 방지 장치이며,
    봉재의 회전축선과 동축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는 통 형상 요소와,
    밀대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밀대를 상기 회전축선 상에 유지하도록 봉재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통 형상 요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요소와,
    상기 봉재 가공기 또는 봉재 공급기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요소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요소를 상기 통 형상 요소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회전축선은 봉재 및 상기 밀대가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봉재 또는 상기 밀대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롤러가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척이 봉재를 파지할 때, 상기 롤러는 봉재 또는 상기 밀대에 접촉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에어 실린더에 공급되는 에어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를 갖고, 상기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압력에 따른 힘으로, 상기 접촉부가 봉재 또는 상기 밀대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요소는 상기 통 형상 요소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 피봇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요소는 상기 피봇 요소를 피봇시키도록 상기 통 형상 요소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 이동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이동 요소는 상기 통 형상 요소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미끄럼 이동 요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이동 요소와 상기 통 형상 요소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제1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 장치.
KR1020157012122A 2012-10-11 2012-10-11 진동 방지 장치 KR101722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6296 WO2014057556A1 (ja) 2012-10-11 2012-10-11 振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571A true KR20150063571A (ko) 2015-06-09
KR101722867B1 KR101722867B1 (ko) 2017-04-05

Family

ID=5047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122A KR101722867B1 (ko) 2012-10-11 2012-10-11 진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95176B2 (ko)
KR (1) KR101722867B1 (ko)
WO (1) WO2014057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587B2 (ja) * 2015-03-05 2019-08-21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振止装置
IT201900008016A1 (it) * 2019-06-04 2020-12-04 Cucchi Giovanni & C Srl Dispositivo-centratore per l'alimentazione di barre a macchine utensil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797A (en) * 1975-06-02 1977-01-04 Paul Ducanis Noise-absorbing bar stock guide for screw machine
JPH04217403A (ja) * 1990-06-29 1992-08-07 Alps Tool:Kk 棒材供給機の振止め装置
JP2004142018A (ja) 2002-10-24 2004-05-20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振止め装置
JP2010524705A (ja) * 2007-04-27 2010-07-22 モーゼル・メハニーク 棒材を芯出しするための芯出しチ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5277U (ko) * 1971-11-15 1973-10-16
DE4019283A1 (de) * 1990-06-16 1991-12-19 Kieserling & Albrecht Fuehrung zum spitzenlosen, radialen fuehren von axial bewegten staeben
JPH07106483B2 (ja) * 1991-10-21 1995-11-15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の棒材振止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797A (en) * 1975-06-02 1977-01-04 Paul Ducanis Noise-absorbing bar stock guide for screw machine
JPH04217403A (ja) * 1990-06-29 1992-08-07 Alps Tool:Kk 棒材供給機の振止め装置
JP2004142018A (ja) 2002-10-24 2004-05-20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振止め装置
JP2010524705A (ja) * 2007-04-27 2010-07-22 モーゼル・メハニーク 棒材を芯出しするための芯出しチ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7556A1 (ja) 2014-04-17
JP5995176B2 (ja) 2016-09-21
KR101722867B1 (ko) 2017-04-05
JPWO2014057556A1 (ja)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9909A1 (en) Machine for cutting logs with grinding wheels and method
KR101722867B1 (ko) 진동 방지 장치
CS170691A3 (en)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workpieces of different size
CN103962840A (zh) 曲轴车铣机床及其刀具转塔
JP6433350B2 (ja) クランプ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スピニング加工装置
US7461577B2 (en) Bar material supply device of numerically controlled automatic lathe
CN110177640B (zh) 用于管切割框架的切割工具
WO2015041084A1 (ja) 棒材供給装置および棒材供給装置付きの数値制御工作機械
US20220234112A1 (en)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CN108136507B (zh) 包括导向衬套的车床
JP2015058528A (ja) 引き込みチャック
JP4375870B2 (ja) 回転型ガイドブッシュ
JP6913654B2 (ja) 鋼管端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6278640B2 (ja) ガイドブッシュ装置
EP3135409A1 (en) Peeling machine
JP6021123B2 (ja) 棒材供給機
CN207953319U (zh) 一种可伸缩的棒料机加工连续送料夹头
RU2516202C2 (ru) Быстрозажимной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EP3894119B1 (en) Gripper and guide for bar stock
JP2017170570A (ja) ガイドブッシュ装置
US20210276101A1 (en) Lathe
US20230405745A1 (en) Apparatus for centering, guiding and advancing bars to be fed to machine tools
US2366810A (en) Tool and holder for turret lathes, screw machines, and the like
JP2021003793A (ja) 工作機械および加工方法
JP3021188U (ja) 棒材の振れ回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