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317A -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317A
KR20150063317A KR1020150034931A KR20150034931A KR20150063317A KR 20150063317 A KR20150063317 A KR 20150063317A KR 1020150034931 A KR1020150034931 A KR 1020150034931A KR 20150034931 A KR20150034931 A KR 20150034931A KR 20150063317 A KR20150063317 A KR 2015006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ing portion
light
variable
adhesive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914B1 (ko
Inventor
장보승
이동진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CN201510175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157426B/zh
Publication of KR2015006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absorption or magneto-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3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 B42D25/435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9Magnetised or magnetisable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12Magnetic reco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접착력은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ANTI-COUNTERFEIT APPARATUS}
본 발명은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있어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 부분과 나머지 부분에 접착력의 차이를 두어, 외력이 작용할 경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 부분만이 분리되어 파기됨에 따라,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상품이나 내용물의 진정성이 요구되는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종래에는 주로 미세 패턴, 점자, 홀로그램, RFID 등을 이용한 기술들이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반 사용자가 상품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감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거나 위조 및 변조 방지 수단을 제조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색이 변하거나 광 투과도가 변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가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상품에 부착되는 스티커, 카드, 필름 등의 형태를 가지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추후에 상품으로부터 깨끗하게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접착된 접착부의 일부 부분의 접착력이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과 상이하여, 외력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접착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 부분만이 분리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력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접착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가 파기되어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접착력은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절취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커버부와의 접착력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임의의 상대물과의 접착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는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 사이에 복수의 캡슐로 캡슐화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복수의 캡슐 중 일부 캡슐의 내구성은 상기 일부 캡슐을 제외한 나머지 캡슐의 내구성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의의 상대물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이형력은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이형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접착된 접착부의 일부 부분의 접착력이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과 상이하여, 외력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접착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 부분만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접착부로부터 분리시킬 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부가 파기되어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파장을 조절하는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세기의 자기장이 인가될 때 나타나는 자기 가변 물질의 컬러 변화를 촬영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을 구성하는 자성 입자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을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캡슐로 캡슐화 한 후, 자기장을 인가하여 초록색 계열의 광이 반사되도록 한 것을 촬영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상부에 나비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고, 자기 가변 물질 하부에 서로 다른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극을 줄무늬 모양으로 교대로 형성시킨 자석을 위치시킨 후, 자석을 회전시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의 색상 및 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의 광 투과도가 변화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자기 가변 물질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에 포함되는 입자는 자기장에 의하여 자기력을 받아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니켈(Ni), 철(Fe), 코발트(Co) 등의 자성 물질이 입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자성을 갖게 되는, 즉, 자화되는 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자성을 지닌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화(magnetization)가 일어나지만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자화(remnant magnetization)가 일어나지 않는 초상자성(superparamagnetic)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가 용매에 잘 분산되고 응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동일한 부호의 전하로 코팅할 수 있고, 입자가 용매 내에서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로 코팅하거나 용매에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즉, 특정 컬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산화수 조절 또는 무기 안료, 안료 등의 코팅을 통하여 특정 컬러를 갖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무기 안료로는 발색단을 포함하는 Zn, Pb, Ti, Cd, Fe, As, Co, Mg, Al 등이 산화물, 유화물, 유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염료로는 형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매염 염료, 황화 염료, 배트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에 포함되는 입자는 형광 물질, 인광 물질, 양자점(Quantum Dot) 물질, 시온(Temperature Indicating) 물질, 시변각 안료(OVP, Optically Variable Pigment) 물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가 용매 내에서 높은 분산성과 안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카, 고분자, 고분자 단량체 등을 입자의 표면에 코팅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직경은 수십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에 포함되는 용매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매는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입자의 비중과 비슷한 비중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용매 내에서의 입자가 안정적으로 분산되는 데에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저유전율을 갖는 할로겐 카본 오일, 디메틸 실리콘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매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즉, 특정 컬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매는 무기 안료, 염료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광결정에 의한 구조색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입자를 지용성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캡슐화 과정에서 입자끼리 서로 뭉치거나 캡슐 내벽에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및 용매의 구성이 상기 열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에 포함되는 입자 및 용매가 캡슐화 또는 구획화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는 용매 내에서 분산된 상태로 광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캡슐로 캡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 및 용매를 캡슐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캡슐 간의 혼입 등의 직접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에 포함되는 입자를 각 캡슐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다양한 패턴의 광 투과 조절이 가능해지고, 광 투과도 제어 특성이 보다 우수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을 구성하는 물질에는 젤라틴, 아카시아, 멜라민, 우레아, 프로틴, 폴리사카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캡슐을 고정시키기 위한 물질(즉, 바인더)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구성이 반드시 상기 열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투과성이고 물리적으로 강하고 딱딱하지 않고 탄성을 가지고 다공성이지 않고 외부의 열과 압력에 강한 재료라면 어느 물질이든지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는 용매 내에서 분산된 상태로 구획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에 의하여 나누어진 서로 다른 셀 사이에 혼입 등의 직접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포함되는 입자를 각 캡슐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1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파장을 조절하는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을 갖고 표면에 전하를 갖는 복수의 입자(11)에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각 입자(11)가 갖는 자성으로 인하여 입자(11)에는 소정의 방향의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쪽으로 치우쳐진 입자(11)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됨과 동시에, 입자(11) 사이에는 쿨롱의 법칙에 의한 전기적 척력이 작용하거나(입자가 동일한 표면 전하를 갖는 경우) 입체장애효과에 의한 물리적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검출 기능기로 인하여 입자의 유체역학적 크기가 큰 경우). 따라서, 자기장으로 인한 인력과 전하로 인한 입자 사이의 척력의 상대적인 세기에 따라 입자(11)들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입자(11)들은 광결정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Bragg 법칙에 의하면 입자(11)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입자(11)들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입자(11)들의 간격을 제어함에 따라 입자(11)들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의 패턴은 자기장의 세기 및 방향, 입자의 크기 및 질량, 입자 및 용매의 굴절률, 입자의 자화값, 입자의 전하량, 용매 내의 분산된 입자의 농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캡슐(13) 내의 입자(11)는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자(11)로부터 별다른 색이 표출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소정의 자기장이 인가되면, 자기장으로 인한 인력과 전하로 인한 입자(11) 사이의 척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입자(1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간격이 제어된 복수의 입자(11)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자(11)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면 자기장으로 인한 인력도 커지기 때문에 입자(11)의 간격이 더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11)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은 더 짧아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자(11)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입자(11)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자기장의 세기가 더 커짐에 따라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가시광선 대역을 넘어 자외선 대역에 해당하게 되면 입자가 가시광선을 반사하지 않고 투과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광 투과도가 증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자(11)와 용매(12)로 구성되는 자기 가변 물질은 광 투과성 물질로 구성되는 캡슐(13)에 의하여 캡슐화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세기의 자기장이 인가될 때 나타나는 자기 가변 물질의 컬러 변화를 촬영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입자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적색에서 초록색, 그리고 보라색까지 가시광선 파장대의 모든 영역에서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광에서 점차 파장이 짧은 푸른색 계열의 광으로 이동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을 구성하는 자성 입자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입자로서 50m ~ 300nm 사이의 초상자성체 Fe3O4 입자가 사용되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을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캡슐로 캡슐화 한 후, 자기장을 인가하여 초록색 계열의 광이 반사되도록 한 것을 촬영한 도면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캡슐 내의 입자가 자기장에 따라 특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특정 파장 범위인 초록색 계열의 광이 주로 반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의 상부에 나비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고, 자기 가변 물질의 하부에 서로 다른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극을 줄무늬 모양으로 교대로 형성시킨 자석을 위치시킨 후, 자석을 회전시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의 색상 및 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은 자기 영동 특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에 자기장이 인가되면, 자성을 갖는 입자가 자기장의 방향과 같은 방향 혹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자가 갖는 고유의 색 또는 용매가 갖는 고유의 색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은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광 투과도가 변화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의 광 투과도가 변화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는 자성을 갖는 복수의 입자(11), 용매(12) 및 캡슐(13)을 포함할 수 있고, 캡슐(13) 내에는 자성을 갖는 복수의 입자(11)가 용매(12)에 분산된 채로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자성을 갖는 복수의 입자(11)는 캡슐(13) 내에서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는 특별히 제어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자기 가변 물질에 입사되는 광은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입자(11)에 의하여 산란 또는 반사되게 되며, 이에 따라 광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캡슐(13) 내의 자성을 갖는 복수의 입자(11)는 자기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 원래부터 자성을 가지고 있거나 자기장에 의하여 자화되는 복수의 입자(11)의 S극으로부터 N극으로의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과 같아지도록 복수의 입자(11) 각각이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하거나 이동된 각각의 입자(11)의 N극 및 S극은 주변의 입자(11)의 S극 및 N극과 각각 가까워지기 때문에 복수의 입자들(11) 사이에 자기적 인력 혹은 척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입자(11)가 자기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입자(11)가 상하 방향으로 인가되는 자기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입자(11)에 의하여 산란 또는 반사되는 정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광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구성]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태그, 카드, 필름 및 스티커와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형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두께는 1㎛ 에서 수 cm 일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부착되는 임의의 상대물(300)[또는, 임의의 대상물(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는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 포함되는 자기 가변 물질은 특정 세기와 방향의 자기장이 인가될 때 특정 파장의 광의 반사시키거나 특정 광 투과도를 나타내도록(L) 구성 (또는 설정)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이러한 자기 가변 물질은 일반 사용자가 육안으로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시각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는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이 개봉되는 경우에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이 개봉된 이후에는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자기장이 인가되어도 자기 가변 물질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이 기설정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거나 기설정된 광의 투과도를 나타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200)는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인가될 수 있는 자기장(B)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 발생부(200)는 자기 가변 물질이 기설정된 색이나 기설정된 광 투과도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패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부는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로고, 문자, 바코드, 도형 등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세기와 방향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상대물(300)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부착되는 상품, 종이, 카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임의의 상대물(300)의 후면에서 자기장 발생부(200)가 접근함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자기 가변 물질에 자기장(B)을 인가할 수 있다. 임의의 상대물(300)은 자기장 발생부(200)에서 인가되는 자기장(B)에 의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두께가 너무 두껍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자기장(B)이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인가되는 상태(즉, 자기장의 세기, 방향 또는 패턴)를 변화시킴으로써 자기 가변 물질의 표시 상태(L)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가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에 가해지는 외부 자극은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을 개봉하고자 하는 사용자,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는,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또는 휘어짐으로써,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자기장 발생부(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B)이 인가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는,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휘어지거나 또는 파괴됨으로써,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 포함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자기장 발생부(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B)이 인가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는,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또는 휘어짐으로써, 자기장 발생부(200)를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자기장(B)을 인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광흡수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광흡수층(400)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후술할 접착부(600)[도 10 참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광흡수층(400)은 블랙, 레드, 블루 등의 소정의 색을 가지는 필름층일 수 있다. 소정의 색을 가지는 필름층을 광흡수층(400)으로 사용한 경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투과하고 광흡수층(400)에서 반사되는 광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서 반사되는 광이 서로 중첩되거나, 간섭되는 등으로 변화하여, 컬러, 시인성 등이 향상된 광(L')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흡수층(400)에서 특정 파장대를 흡수하므로, 광흡수층(400)에서 반사되는 광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서 반사되는 광이 서로 중첩되거나 간섭되어 선명한 컬러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이점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랙 필름을 광흡수층(400)으로 사용하면, 광흡수층(400)에서 넓은 파장대의 광을 흡수하므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서 반사되는 광과의 중첩, 간섭 문제를 대폭 줄여, 결과적으로 시인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흡수층(400)의 두께를 조절하여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인가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흡수층(400)은 이른바 스페이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자기 가변 물질의 특성 외에 광흡수층(400)의 두께 요소만을 조절하여 자기 가변 물질에 인가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예를 들어, 광흡수층(400)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면, 자기장 발생부(200)에서 자기 가변 물질에 강한 자기장을 인가하므로, 입자(11)간의 간격이 작아져서, 적색에 가까운 파장이 반사되고, 반대로 광흡수층(400)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면, 자기장 발생부(200)에서 자기 가변 물질에 약한 자기장을 인가하므로, 입자(11)간의 간격이 커져서, 청색에 가까운 파장이 반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층(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광흡수층(500)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후술할 접착부(600)[도 10 참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광투과층(500)은, 적어도 일면에 패턴(510), 이미지, 문자, 도형, 바코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510)은 상대물(300)이 정품임을 나타낼 수 있는 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510) 등이 형성된 부분에서 반사하는 광(L')과 패턴(510) 등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반사하는 파장대의 광(L)이 상이하므로, 결과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통해, 소정의 컬러 외에 패턴(510) 등의 형태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가변 포함부(100)에 외력을 가하여 임의의 상대물(300)로부터 분리시킬 때, 광투과층(500)도 같이 분리되면서 파기되어, 패턴(510)이 손상됨에 따라서,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광투과층(500)의 두께를 조절하여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인가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투과층(500)은 이른바 스페이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자기 가변 물질의 특성 외에 광흡수층(500)의 두께 요소만을 조절하여 자기 가변 물질에 인가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광흡수층(400) 또는 광투과층(500) 의 투자율을 조절함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200)에서 자기 가변 물질에 대하여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L)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층은 상기 층 외에도, 에어(air)층, 박막층, 필름층, 시트층, 접착층, 패턴과 같은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층, 열, 습도 pH, 전기, 빛과 같은 인자에 의해 상(phase)[또는, 부피]이 변화하는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s)층, 탄성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 및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임의의 상대물[또는, 상품](300)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600)의 접착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이 부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착부(600)의 일부 부분(610)의 접착력은 나머지 부분(620)의 접착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부 부분(610)의 접착력은 나머지 부분(620)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일부 부분(610)과 나머지 부분(620)에 사용되는 접착 물질은, 상기 접착력의 차이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는 공지의 접착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외력(F)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일부 부분(610)에 접착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부분(120)은 상대물(300)과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일부 부분(6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620)에 접착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부분(110)만이 상대물(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부분(610)의 접착력이 나머지 부분(620)의 접착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외력(F)을 통해 강제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분리하려고 하면, 일부의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20)가 접착부(600)의 일부 부분(610) 상에 강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상대물(300) 상에 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한번 떼어내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120)가 파손되기 때문에,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일부 부분(610)은 패턴화되어 이미지, 문자, 도형, 바코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의 (c)에서는 "正" 모양의 패턴을 가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외력(F)을 통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분리한 경우에도,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10)는 파손되어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패턴화된 일부 부분(610) 상에는 여전히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20)가 "正" 모양으로 붙어 있기 때문에, 상대물(300)이 정품이라는 정보를 계속 남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 및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임의의 상대물[또는, 상품](300)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600)의 접착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이 부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 절취 패턴(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취 패턴(P)은 도 11의 일부 부분(610)과 동일하게, 패턴화되어 이미지, 문자, 도형, 바코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외력(F)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절취 패턴(P)에 해당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부분(140)은 상대물(300)과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절취 패턴(P)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130)만이 상대물(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절취 패턴(P)에 의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가 절취되어 있으므로, 외력(F)에 의해 일부는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일부는 상대물(300) 상에 남게 되는 것이다.
접착부(600)의 전 부분에서 접착력이 동일하여도 절취 패턴(P)에 의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분리될 수 있으나, 절취 패턴(P)에 대응하는 접착부(600)의 부분의 접착력이 상이하다면, 보다 쉽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분리될 수 있다. 절취 패턴(P)에 대응하는 접착부(600)의 부분의 접착력이 약하다면 절취 패턴(P)에 해당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부분이 분리될 것이고, 절취 패턴(P)에 대응하는 접착부(600)의 부분의 접착력이 강하다면, 절취 패턴(P)에 해당하지 않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부분이 분리될 것이다.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한번 떼어내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절취 패턴(P)을 따라 분리(130)되어 파손되기 때문에,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절취 패턴(P)이 "正" 모양의 패턴을 가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외력(F)을 통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분리한 경우에도,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30)는 파손되어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40)는 상대물(300)에 "正" 모양으로 붙어 있기 때문에, 상대물(300)이 정품이라는 정보를 계속 남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임의의 상대물[또는, 상품](300)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600) 및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200)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커버/보호하는 커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600)의 접착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커버부(700)에 의해 커버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이 부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커버부(700)와의 접착력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과의 접착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커버부(700)와의 접착력은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과의 접착력보다 약할 수 있다.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커버부(700) 사이에 사용되는 접착 물질과 접착부(600)에 사용되는 접착물질은, 상기 접착력의 차이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는 공지의 접착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외력(F)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커버부(700)만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과의 접착력[접착부(600)의 접착력]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커버부(700)와의 접착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외력(F)을 통해 강제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분리하려고 하면, 커버부(700)만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커버부(700)와 같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160)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떼어내려고 하면, 커버부(700)만 분리되면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150, 160)가 파손되기 때문에,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커버부(700)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외부의 열, 공기,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커버부(700)의 일면에 이미지, 패턴,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되어, 도 9의 광투과층(500)과 유사하게,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임의의 상대물[또는, 상품](300)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600)를 포함하고,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는 상부 필름(170), 하부 필름(180) 및 상부 필름(170)과 하부 필름(180) 사이에 코팅된 복수의 캡슐(191, 195)로 캡슐화된 자기 가변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600)의 접착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와 상대물(300)이 부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캡슐(191, 195) 중 일부 캡슐(191)의 내구성은 일부 캡슐(191)을 제외한 나머지 캡슐(195)의 내구성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부 캡슐(191)의 내구성은 나머지 캡슐(195)의 내구성보다 강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외력(F)을 가하여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상부 필름(170)만을 분리시킬 경우, 일부 캡슐(191)은 하부 필름(180) 상에서 코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나머지 캡슐(195)은 파괴(195')될 수 있다. 일부 캡슐(191)의 내구성이 나머지 캡슐(195)보다 강하기 때문에, 외력(F)을 통해 강제적으로 상부 필름(170)을 분리하려고 하면, 일부 캡슐(191)은 상부 필름(170)과 하부 필름(180) 사이에 코팅된 힘[명확히는 하부 필름(180)에 코팅되어 접착된 힘]과 외력(F) 사이에서 견디고 그대로 남아있는 반면, 나머지 캡슐(195)은 상부 필름(170)과 하부 필름(180) 사이에 코팅된 힘과, 외력(F) 사이에서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을 상대물(300)로부터 떼어내려고 하면, 상부 필름(170)이 분리되면서 나머지 캡슐(195)이 파손되기 때문에,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일부 캡슐(191)은 상부 필름(170)과 하부 필름(170) 사이에 패턴을 가지고 코팅될 수 있다. 도 13의 (c)에서는 "正" 모양의 패턴을 가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부 캡슐(191)에서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은, 나머지 캡슐(195)에서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과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필름(170)을 분리하기 전[도 13의 (c)의 왼쪽 도면]에도 일부 캡슐(191)과 나머지 캡슐(195)에서의 색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외력(F)을 통해 상부 필름(170)을 분리한 후[도 13의 (c)의 오른쪽 도면]에는 상부 필름(170)이 분리되면서 나머지 캡슐(195)은 파손되어 색을 나타내지 않지만, "正" 모양의 패턴을 가지고 코팅된 일부 캡슐(191)에서는 색을 나타내므로, 상대물(300)이 정품이라는 정보를 계속 남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의 (d)를 참조하면,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도 13의 (c)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다만 상부 필름(170)은 불투명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품을 개봉하기 전 또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는 불투명한 상부 필름(170)에 의해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없지만[도 13의 (d)의 왼쪽 도면], 상부 필름(170)을 분리, 제거함에 따라 제품을 개봉한 후 또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사용한 후[도 13의 (d)의 오른쪽 도면]에는, "正" 모양의 패턴을 가지고 코팅된 일부 캡슐(191)에서 색을 나타내므로, 상대물(300)이 정품이라는 정보를 계속 남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을 방지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 및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가 임의의 상대물[또는, 상품](300)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600)를 포함하며, 임의의 상대물(300)의 적어도 일부 부분(미도시)의 이형력은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미도시)의 이형력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를 상대물(300)로부터 떼어내려고 하면,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 부분은 상대물(300)로부터 분리되고,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대물(300)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100)의 일부가 파손되어,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홀로그램,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생체 정보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추가적인 위조 및 변조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대상물에 대한 위조 및 변조 방지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자기 가변 물질
11: 입자
12: 용매
13: 캡슐
100: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170, 상부 필름
180, 하부 필름
191, 195: 캡슐
200: 자기장 발생부
300: 임의의 상대물
400: 광흡수층
500: 광투과층
600: 접착부
B: 자기장
F: 외력
L: 광

Claims (22)

  1.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접착력은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상기 임의의 상대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일부 부분에 접착된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부분은 상기 임의의 상대물과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접착된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부분만이 상기 임의의 상대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부분은 패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상대물과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부분에 의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5.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 절취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상기 접착부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절취 패턴에 해당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부분은 상기 임의의 상대물과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절취 패턴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만이 상기 임의의 상대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접착부의 부분의 접착력은, 나머지 부분의 접착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8.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커버부와의 접착력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임의의 상대물과의 접착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맞닿는 상기 커버부의 일면에 이미지, 패턴,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0.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및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는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 사이에 복수의 캡슐로 캡슐화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복수의 캡슐 중 일부 캡슐의 내구성은 상기 일부 캡슐을 제외한 나머지 캡슐의 내구성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상기 상부 필름을 분리시킬 경우, 상기 일부 캡슐은 상기 하부 필름 상에 코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일부 캡슐을 제외한 나머지 캡슐은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캡슐은 상기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 사이에 패턴을 가지고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캡슐과 상기 입부 캡슐을 제외한 나머지 캡슐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름은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5. 인가되는 자기장이 변화하면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 변화되는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가 임의의 상대물에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임의의 상대물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이형력은 상기 일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이형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6.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광흡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7.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층의 적어도 일면에 이미지, 패턴,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되어, 상기 자기 가변 물질 포함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8.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은 상기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기설정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거나 기설정된 투과도로 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19.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는 카드, 필름 및 스티커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20.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에는, 인가되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자성 입자가 분산된 용액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21.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에는, 형광 물질, 인광 물질, 양자점(Quantum Dot) 물질, 시온(Temperature Indicating) 물질 및 시변각 안료(OVP, Optically Variable Pigment)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22. 제1항, 제5항, 제8항, 제10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은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캡슐로 캡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34931A 2014-12-03 2015-03-1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70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75994.5A CN106157426B (zh) 2014-12-03 2015-04-14 防伪造变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854 2014-12-03
KR1020140171854A KR20150063309A (ko) 2014-12-03 2014-12-0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17A true KR20150063317A (ko) 2015-06-09
KR101703914B1 KR101703914B1 (ko) 2017-02-22

Family

ID=53503878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854A KR20150063309A (ko) 2014-12-03 2014-12-0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34931A KR101703914B1 (ko) 2014-12-03 2015-03-1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44452A KR101689393B1 (ko) 2014-12-03 2015-03-30 광결정 표시 장치 및 광결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46070A KR101622379B1 (ko) 2014-12-03 2015-04-01 위변조 방지용 자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
KR1020150047555A KR101655374B1 (ko) 2014-12-03 2015-04-03 무선 충전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0150055187A KR101731623B1 (ko) 2014-12-03 2015-04-20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58901A KR20150063327A (ko) 2014-12-03 2015-04-27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72948A KR20150066498A (ko) 2014-12-03 2015-05-26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171649A KR20160067057A (ko) 2014-12-03 2015-12-0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854A KR20150063309A (ko) 2014-12-03 2014-12-0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52A KR101689393B1 (ko) 2014-12-03 2015-03-30 광결정 표시 장치 및 광결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46070A KR101622379B1 (ko) 2014-12-03 2015-04-01 위변조 방지용 자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
KR1020150047555A KR101655374B1 (ko) 2014-12-03 2015-04-03 무선 충전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0150055187A KR101731623B1 (ko) 2014-12-03 2015-04-20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58901A KR20150063327A (ko) 2014-12-03 2015-04-27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072948A KR20150066498A (ko) 2014-12-03 2015-05-26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50171649A KR20160067057A (ko) 2014-12-03 2015-12-03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9) KR20150063309A (ko)
CN (11) CN106157426B (ko)
WO (1) WO201709517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1A1 (ko) * 2015-11-27 2017-06-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판별방법
KR20180065140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나노브릭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1715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조폐공사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KR20200039154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852B1 (ko) * 2015-06-26 2021-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그네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9091B1 (ko) * 2016-04-29 2023-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닉 크리스탈 광학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08761849B (zh) 2018-01-24 2021-10-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磁致变色显示器
US11256971B2 (en) * 2018-02-06 2022-02-22 Xerox Corporation Authentication tag
KR200490792Y1 (ko) * 2018-06-08 2020-01-03 (주)나노브릭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20190022302A (ko) * 2018-06-14 2019-03-06 주식회사 나노브릭 컬러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
CN108986641A (zh) * 2018-06-28 2018-12-11 新乡市李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防转移特磁材料防伪标签及其制作方法
EP3854602A4 (en) 2018-10-31 2022-07-0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STRUCTURAL COLORING SUBSTRATE, METHOD OF PREPARING A STRUCTURAL COLORING SUBSTRATE AND SAFETY TESTING SYSTEM USING A STRUCTURAL COLORING SUBSTRATE MANUFACTURED THEREFORE
KR102218675B1 (ko) 2018-10-31 2021-02-22 한국기계연구원 광변환 구조체를 포함한 구조색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검증시스템
KR102159085B1 (ko) 2018-10-31 2020-09-23 한국기계연구원 구조색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색 기판을 이용한 보안 검증시스템
KR20200059561A (ko)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KR102358505B1 (ko) * 2019-10-23 2022-02-04 엔비에스티(주) 광결정물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N111330461B (zh) * 2020-04-08 2021-08-03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磁响应油水分离膜及其制备方法和自清洁方法
KR102296087B1 (ko) * 2020-05-13 2021-09-01 주식회사 인큐스타 가변 표시 소자 및 색 가변 포장재
KR102358512B1 (ko) * 2020-05-13 2022-02-04 엔비에스티(주) 탈자기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수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522644B1 (ko) * 2020-08-13 2023-04-18 (주)오리온엔이에스 코어-쉘 구조의 변색 복합체가 분산된 광감응 변색소자
USD1015350S1 (en) 2021-10-2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30105917A (ko) 2022-01-05 2023-07-12 한국조폐공사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562A (ja) * 1996-04-12 1998-04-07 Konica Corp 認証識別媒体、その作成方法、作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82380A (ko) * 2012-06-08 2012-07-23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물질을 이용한 위조 방지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206A (ja) * 1993-06-18 1995-01-17 Tokyo Jiki Insatsu Kk 書換え可能型表示媒体
AU685830B2 (en) * 1993-10-06 1998-01-29 3M Australia Pty Limited Security reader for automatic detection of tampering and alteration
CN1169030C (zh) * 1996-04-12 2004-09-29 柯尼卡株式会社 认证识别媒体及制作方法以及图像生成装置
JP3307243B2 (ja) * 1996-10-11 2002-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可逆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方法
DE10217632A1 (de) * 2002-04-19 2003-11-06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dokument
JP5158921B2 (ja) * 2005-12-28 2013-03-06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
JP4925003B2 (ja) * 2006-03-20 2012-04-25 株式会社ビーエフ 手書き込みが可能な表示媒体、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20090061222A1 (en) * 2007-08-31 2009-03-05 Tesa Aktiengesellschaft Multi-layer adhesive closure
GB0720550D0 (en) * 2007-10-19 2007-11-28 Rue De Int Ltd Photonic crystal security device multiple optical effects
CN101441382B (zh) * 2007-11-19 2010-08-0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电子纸微杯的一步封盖方法及封盖材料
DE102007059550A1 (de) * 2007-12-11 2009-06-25 Giesecke & Devrient Gmbh Optisch variables Sicherheitselement
KR101068206B1 (ko) * 2009-09-21 2011-09-28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성 태양전지
EP2491456B1 (en) * 2009-10-21 2017-06-21 Sun Chemical Corporation Piezochromic device
KR20100101549A (ko) * 2010-08-16 2010-09-17 주식회사 나노브릭 반사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방법
US8970943B2 (en) * 2010-08-02 2015-03-03 Nanobrick Co., Ltd. Composite film for preventing forgery, and composite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DE102011015837A1 (de) * 2011-04-01 2012-10-04 Giesecke & Devrient Gmbh Optisch variabeles Sicherheitselement mit optisch variabeler Farbschicht
WO2012162095A2 (en) * 2011-05-21 2012-11-29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KR101267943B1 (ko) * 2011-07-14 2013-05-2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접촉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20035170A (ko) * 2012-02-07 2012-04-13 주식회사 나노브릭 자기 표시 소자 구조 및 장치
JP2013235022A (ja) 2012-05-02 2013-11-21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769488B (zh) * 2012-11-14 2019-06-04 纳诺布雷克株式会社 防伪造变造装置
CN103268657A (zh) * 2013-03-13 2013-08-28 上海印钞有限公司 一种可动态感应磁场位置变化的防伪元件及其制作方法
CN104098955A (zh) * 2014-05-28 2014-10-15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具有磁场可控的光变效果的防伪元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562A (ja) * 1996-04-12 1998-04-07 Konica Corp 認証識別媒体、その作成方法、作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82380A (ko) * 2012-06-08 2012-07-23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물질을 이용한 위조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30138149A (ko) *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831A1 (ko) * 2015-11-27 2017-06-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판별방법
KR20180065140A (ko)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나노브릭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1715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조폐공사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KR20200039154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0200B (zh) 2019-07-09
KR20150063309A (ko) 2015-06-09
KR101731623B1 (ko) 2017-05-02
KR20160067057A (ko) 2016-06-13
KR20150063325A (ko) 2015-06-09
CN205416814U (zh) 2016-08-03
KR20150063319A (ko) 2015-06-09
CN106200201B (zh) 2019-09-24
CN106157426B (zh) 2019-03-01
KR20150063321A (ko) 2015-06-09
CN205281974U (zh) 2016-06-01
CN105676486B (zh) 2019-01-22
WO2017095178A1 (ko) 2017-06-08
CN105676486A (zh) 2016-06-15
CN205644606U (zh) 2016-10-12
CN205281973U (zh) 2016-06-01
CN205416819U (zh) 2016-08-03
CN205451663U (zh) 2016-08-10
KR101703914B1 (ko) 2017-02-22
KR20150066498A (ko) 2015-06-16
KR101655374B1 (ko) 2016-09-08
KR101622379B1 (ko) 2016-05-19
KR20150063327A (ko) 2015-06-09
CN205594249U (zh) 2016-09-21
CN106200200A (zh) 2016-12-07
CN106157426A (zh) 2016-11-23
KR101689393B1 (ko) 2016-12-23
KR20150063320A (ko) 2015-06-09
CN106200201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914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476412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470615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RU2472627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с переменными оп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US8970943B2 (en) Composite film for preventing forgery, and composite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RU2497198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магнитную текучую среду
KR101340360B1 (ko) 색 가변 물질 또는 광 투과도 가변 물질을 이용한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4903009A (zh) 显示依赖于视角的光学效应的光学效应层、其生产过程和装置、带有光学效应层的物品及其使用
KR101335719B1 (ko) 복합 위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복합 위조 방지 방법 및 복합 위조 방지용 세트
KR102586123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방법.
KR20180032387A (ko) 다중 자성체를 갖는 마이크로캡슐층을 이용한 보안요소
KR20150063318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변조 장치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