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917A -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917A
KR20230105917A KR1020220001543A KR20220001543A KR20230105917A KR 20230105917 A KR20230105917 A KR 20230105917A KR 1020220001543 A KR1020220001543 A KR 1020220001543A KR 20220001543 A KR20220001543 A KR 20220001543A KR 20230105917 A KR20230105917 A KR 20230105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device
responsive
magnetic
mo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주성현
최원균
김수동
이현지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917A/ko
Publication of KR2023010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9Magnetised or magnetisable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진위 감별용 도구 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위 감별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된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인 자성체;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Motion responsive security device}
본 발명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진위 감별용 도구 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위 감별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된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상품이나 내용물의 진위여부가 요구되는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감별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미세 패턴, 점자, 홀로그램 및 RFID 등의 보안요소를 이용한 기술들이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요소들은 감별사와 같은 전문 인력을 통해 감별이 가능하여, 일반 수요자가 상품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감별하기 쉽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문 인력을 통해서만 감별이 가능하여 감별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선, 보안요소 설계 및 제조가 복잡하여 경제적으로도 많은 비용발생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색이 변하거나 광 투과도가 변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일반 사용자가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는 자기 가변 물질을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진위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부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장치에 의해 가려져 실질적으로 색변화를 통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3320호 '위변조 방지용 자기발생장치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위변조 방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위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부를 포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위변조 방지 장치와 별도로 구비된 자력발생장치를 통해 진위 여부가 결정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반 수요자가 위변조 방지 장치를 통한 진위 감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33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진위 감별용 도구 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위 감별이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된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인 자성체;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 충진되어 상기 자성체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물질은 액상이며, 상기 액상의 점도를 통해 상기 자성체의 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성체는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은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구역은, 서로 상이한 매질로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임의의 k(k는 1 이상 및 n 이하의 자연수)개 분할 구역 각각에 상기 자성체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은 상기 자성체의 자기장에 의해 색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상기 자성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1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본체에 내장된 자성체에 의해, 별도의 진위 감별용 도구 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위 감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위 감별이 가능하여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하고, 중량%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 조성물 내에서 차지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색이 변하거나 광 투과도가 변하는 물질인 자기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는 자기 가변 물질을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위변조 방지 장치와 별도로 구비된 자력발생장치를 통해 진위 여부가 결정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반 수요자가 위변조 방지 장치를 통한 진위 감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인 자성체;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본체 내 자성체가 내장되되, 본체 내부에 자성체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별도의 자력발생장치 없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위조 및 진위여부 감별이 가능하다. 또한,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 요소가 자성체를 통한 자기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동작”이 추가됨에 따라 보안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에 장착될 수 있으며, 크기 및 형상이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인 자성체; 및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외력에 의해 본체가 움직임에 따라, 본체 내 비고정된 자성체가 움직인다. 자성체가 움직임에 따라, 자성체의 자기장에 의해 반응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의 반응영역의 위치가 바뀌며, 이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감별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가질 수 있다.
본체는 자성체가 수용될 수 있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 내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자성체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는 자성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소재, 즉, 비자성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는 위조 및 변조 방지 대상물에 장착 가능한 크기라면 한정되지 않고, 자성체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영역의 크기, 즉, 수용공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형상 및 크기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체 내 수용공간은 자성체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체 내에서 형상 및 크기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가 수용공간 내에서 면방향(x 축 및 y축)으로만 이동가능 하도록 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통해, 자성체가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자성체가 본체 내 수용공간에 내장될 수 있되, 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Lz)는 자성체의 어느 일방향 길이(Lm)에 대하여, Lm과 같거나 크되, Lm의 1.2배, 즉, 1.2Lm 보다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어떠한 방향의 사용자의 동작에도, 자성체의 이동방향이 수용공간의 면방향, 즉, 본체의 면방향으로 유도됨에 따라, 반복적인 위조 및 진위여부 감별에 있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자성체는 상술한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가능 하도록 비고정된 상태로,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자성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사각판형, 구형, 삼각뿔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성체는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크기가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체 내 수용공간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 하도록, 본체 내 수용공간의 전체 부피보다는 작은 크기의 부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체 내 수용공간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자성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1 내지 30%, 상세하게, 3 내지 1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다만 상기 범위에서, 자성체가 원활하게 수용공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후술할 식별부를 통한 위변조 여부 감별에 대한 식별력이 높아질 수 있다.
자성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성체는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를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외력에 의해 본체가 흔들려 자성체가 수용공간 내에서 움직일 시, 서로 다른 자성체가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이에, 각 자성체의 움직임이 보안요소로서 더 추가될 수 있음에 따라, 더욱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 응답형 식별부는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응답형 식별부는 본체 서로 대향하는 본체의 외측 양면, 즉, 본체의 전후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의 전면 혹은 후면 중 어느 일면에만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기 가변 물질은 종래, 자기장 인가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물질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자기 가변 물질은 자성체의 자기장에 의해 색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식별부는 자성체의 자기장 인가 여부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육안으로도 손쉽게 위변조 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자기 가변 물질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7-0184500의 마이크로캡슐일 수 있다.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도 1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 내 충진되어 자성체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수용공간이 자성체 이외에 속도조절물질로 충진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외력에 의해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내 자성체가 움직이더라도, 자성체의 움직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더욱 위조 및 진위여부 감별에 있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속도조절물질은 고상으로, 작은 크기의 입자로 구비되어 수용공간 내 충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상일 수 있다. 액상의 속도조절물질은 액상의 점도를 통해 자성체의 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도조절물질을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속도조절물질의 점도가 보안요소로 추가되어 보안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액상의 속도조절물질은 본체 및 자성체를 부식 또는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속도조절물질은 물 이거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에 첨가제가 추가된 수용액일 수 있다.
도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 수용공간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n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5 이하일 수 있다. 각 분할구역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 구역은 서로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공간 내 분할 구역은 수용공간 내에서 자성체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벽을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자성체의 '이동경로'를 보안 요소로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더욱 보안성이 증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밀폐될 수 있다. 격벽에 의해 밀폐된 어느 한 분할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할구역에 자성체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밀폐된 어느 하나의 분할구역에만 자성체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임의의 k(k는 1 이상 및 n 이하의 자연수)개 분할 구역 각각에 상기 자성체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각 분할구역 내 자성체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자성체의 이동경로, 자성체의 개수, 자성체의 자력, 자성체의 크기 등을 보안요소로, 보안장치의 보안성을 매우 높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 제n 분할구역 중 자성체가 위치하는 분할구역은 상술한 속도조절물질이 충진되어 자성체의 이동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구역은, 서로 상이한 매질로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상이한 매질은 점도가 상이한 상술한 속도조절물질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에 의해 제1 및 제2 분할구역으로 나뉜 수용공간에 있어서, 제1 분할구역 및 제2 분할구역이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제1 분할구역 및 제2 분할구역 각각에 동일한 자성체가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분할구역에는 비교적 저점도의 제1 매질이 충진되고, 제2 분할구역에는 비교적 고점도의 제2 매질이 충진될 수 있다. 즉, 제1 분할구역에는 저점도의 속도조절물질이 충진되고, 제2 분할구역에는 고점도의 속도조절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장치는 각 분할구역 내 자성체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어, 보안성이 더욱 더 증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수용공간
30 : 자성체
50 : 자기 응답형 식별부
70 : 속도조절물질

Claims (11)

  1. 밀폐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비고정된 상태인 자성체; 및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며, 자기 가변 물질을 함유하는 자기 응답형 식별부;를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 충진되어 상기 자성체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물질;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물질은 액상이며, 상기 액상의 점도를 통해 상기 자성체의 이동 속도가 조절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2개 이상 구비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성체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으로 나누어지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은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밀폐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분할구역은, 서로 상이한 매질로 충진된,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분할구역 중 임의의 k(k는 1 이상 및 n 이하의 자연수)개 분할 구역 각각에 상기 자성체가 위치하는,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가변 물질은 상기 자성체의 자기장에 의해 색 변환하는 것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 수용공간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상기 자성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1 내지 30%인,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KR1020220001543A 2022-01-05 2022-01-05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KR20230105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43A KR20230105917A (ko) 2022-01-05 2022-01-05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43A KR20230105917A (ko) 2022-01-05 2022-01-05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917A true KR20230105917A (ko) 2023-07-12

Family

ID=8716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43A KR20230105917A (ko) 2022-01-05 2022-01-05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9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320A (ko)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변조 방지용 자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320A (ko)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변조 방지용 자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2423B1 (en) Moire magnification device
AU2017203551B2 (en) Security Devices
KR101731623B1 (ko) 위변조 방지 장치
ES2434443T3 (es) Sistema de presentación de imágenes y de seguridad micro-óptico
US20110069360A1 (en) Grid image
RU2472627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с переменными опт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ES2770226T3 (es) Aparatos y procesos para producir capas con efecto óptico que comprenden partículas de pigmento no esféricas orientadas magnéticas, o magnetizables
RU2420411C2 (ru) Микрооптическая пленочная структура, которая индивидуально или совместно с защищенным документом или ярлыком проецирует изображ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 скоординированные со статическими изображениями и/или другими проецируемыми изображениями
US9568749B2 (en) Forgery and falsification prevention device
US6924934B2 (en) Diffractive safety element
EP286050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alteration
AU2016208403A1 (en) Security device
JP2018503538A (ja) 動的安全装置
KR20190111076A (ko) 머신 판독가능 광학적 보안 디바이스
KR20230105917A (ko) 동작 반응형 보안장치
CN104662449A (zh) 具有安全特性的光控制薄膜
CA2980234A1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A3092816A1 (en) Security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1529823B2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16011582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변조 장치 인증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