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468A -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 Google Patents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468A
KR20150059468A KR1020130143100A KR20130143100A KR20150059468A KR 20150059468 A KR20150059468 A KR 20150059468A KR 1020130143100 A KR1020130143100 A KR 1020130143100A KR 20130143100 A KR20130143100 A KR 20130143100A KR 20150059468 A KR20150059468 A KR 2015005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adon
porcelain
pottery
white
white porcel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316B1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3014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for moulded articles undergoing a thermal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s, such as burning, afte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도자기에서 청자와 백자 그리고 분청이 3분할 형태로 동시에 구현되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자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청자소지를 이용하여 도자기의 형상을 성형하는 도자기 성형단계와;(ST 1) 상기 성형된 도자기 표면을 3등분 했을 때 그중 1/3 부위에 백자소지를 덫칠하는 백자소지 덫칠단계와;(ST 2) 상기 백자소지가 덫칠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1/3 부위에 분청소지를 덫칠하는 분청소지 덫칠단계와;(ST 3) 상기 분청소지 및 백자소지 덫칠부위를 포함하여 청자소지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단계와;(ST 4) 상기 도자기를 자연건조 상온에서 10일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ST 5)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900~940℃에서 8시간동안 구워주는 초벌구이 단계와;(ST 6) 상기 초벌구이가 이루어진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코팅 형성하되, 청자소지 표면에는 청자유를 형성시키고, 백자소지 표면에는 백자유를 형성시키며, 분청소지 표면에는 분청유를 형성시키는 시유단계와;(ST 7) 상기 3가지 유약의 개별 코팅이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에서 10~11시간동안 구워주는 재벌구이 단계;(ST 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PRODUCTION METHOD OF EMBODY AS THE CELADON AND THE WHITE PORCELAIN AND GRAYISH-BLUE-POWDERED CELADON}
본 발명은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도자기에서 청자와 백자 그리고 분청사기가 동시에 표현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도자기 표면에 얇은 유리 코팅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유약을 도포한다.
이러한 유약층은 자기의 흡수성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표출시킴은 물론 도자기에 대해 튼튼한 강도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유약은 도자기나 옹기류 등의 표면에 칠해지고 열처리 융착되어 그 표면에 광택 또는 무광택의 표면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제로서, 투수성을 없애고 미적 효과를 크게 하고 아울러 도자기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를 부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자기류의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에 의해 광택을 띄게 하는 유약은 통상 장석, 규석, 석회석, 광명단, 활석, 형석, 골분,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량의 안료가 첨가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청자가 아닌 백자 분야에서는 기물의 바탕색채가 백색이므로 예를 들면 백자주전자의 토출구 입구 부분이나 또는 뚜껑 주연부, 백자 접시, 밥그릇의 경우에는 그릇 상단 테두리에 단순하게 금띠모양의 수금띠를 원형으로 피복하여 제조하고 있으나 백자의 바탕색인 백색과 금의 색채가 서로 어우러져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류는 외관에서 풍기는 예술적 가치가 단조로워 격조 높은 예술성을 갖는 황금도자기를 제조하는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로서 일본특공 소 제38-2991호에서는 밀납과 기름의 혼합액으로 그림을 그려 넣은 다음 주연에 유약을 칠한 후 재벌구이하고 그림의 상부에 수금을 시공하여 다시 삼벌구이하고 그림이 표출되도록 그림과 유약의 경계부위에 수금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수금을 시공함에 따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고, 단순히 수금을 사용한 표출 기법이 사용되므로 보다 다양한 외관을 표출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도자기 제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도자기에서 청자소지를 기본으로 하여 백자와 분청이 함께 구현되어질 수 있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도자기의 외관을 보다 다양하고 미려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청자소지를 이용하여 도자기의 형상을 성형하는 도자기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 표면을 3등분 했을 때 그중 1/3 부위에 백자소지를 덫칠하는 백자소지 덫칠단계와; 상기 백자소지가 덫칠 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1/3 부위에 분청소지를 덫칠하는 분청소지 덫칠단계와; 상기 분청소지 및 백자소지 덫칠부위를 포함하여 청자소지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단계와; 상기 도자기를 자연건조 상온에서 10일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900~940℃에서 8시간 동안 구워주는 초벌구이 단계와; 상기 초벌구이가 이루어진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코팅 형성하되, 청자소지 표면에는 청자유를 형성시키고, 백자소지 표면에는 백자유를 형성시키며, 분청소지 표면에는 분청유를 형성시키는 시유단계와; 상기 3가지 유약의 개별 코팅이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에서 10~11시간동안 구워주는 재벌구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하나의 도자기에서 청자와 백자 그리고 분청이 3분할 형태로 동시에 구현되어 질 수 있게 되므로 도자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된 도자기 평면 구조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도자기 측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과정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자기 성형단계>(ST 1)
먼저, 청자소지(10)인 청자토(고령토)를 반죽하여 통상의 청자 도자기를 성형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자기의 형상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도자기 성형 후 소지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고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도자기 표면 둘레를 따라 3등분하여 각 경계가 되는 부위에 경계띠(40)를 수직방향으로 부착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경계띠(40)는 청자소지로 만들어서 형성시킴으로써, 이후 재벌 과정 이후에 상온에서 수축률 차이로 인한 크랙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띠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챔버 내에서 약 1~5분동안 자외선을 방사시킴으로서 소지가 고온상태에서 활성화 되면서 도자기 표면과 밀착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자외선 방사가 진공챔버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서 공정 과정에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주변 압력 변화로 인한 경계띠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약 200nm의 자외선을 방사하게 되면 복사열 발생으로 인해 청자소지 입자의 활성화에 따른 입자간 밀착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백자소지 덫칠단계>(ST 2)
이후, 상기 경계띠에 의해 3개로 나뉘어진 부위 중 1/3 부위에 백자소지(20) 덫바름 작업을 하여 덫칠되어지도록 하는 백자소지 덫칠단계를 실시한다.
이때의 백자소지(20)는 통상의 백자 도자기 제작용 소지(백토)를 사용할 경우 재벌과정에서 재벌온도 및 재벌 후 상온에서 수축율이 청자소지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융화가 되지않고 크랙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청자소지와 수축률을 동등하게 하기 위해 백토 100중량%를 기준으로 와목과 규석을 각각 5중량%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분청소지 덫칠단계>(ST 3)
그리고, 상기 백자소지(20)가 덫칠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1/3 부위에 분청토를 재료로 하는 분청소지(30)를 덫칠하는 분청소지 덫칠단계가 실시된다.
이때의 분청소지(30) 역시 수축률을 청자소지와 유사하게 맞추기 위해 분청토 100중량% 기준으로 청자토를 40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나의 도자기에 경계띠(40)를 기준으로 청자소지(10)와 백자소지(20) 그리고 분청소지(30)가 균등하게 3개로 분할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문양 형성단계>(ST 4)
이후, 청자소지(10) 부위를 비롯하여 상기 분청소지(30) 및 백자소지(20) 덫칠부위 표면에 특정 문양을 수작업으로 형성시키는 문양 형성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건조단계>(ST 5)
그리고,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를 자연건조 상온에서 10일 동안 건조시킨다.
<초벌구이 단계>(ST 6)
이후,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900~940℃에서 8시간 동안 구워주는 초벌구이 단계가 실시되어 진다.
<시유단계>(ST 7)
한편, 시유단계에서는 상기 초벌구이가 이루어진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코팅 형성하게 되는데, 청자소지(10) 표면에는 청자유를 형성시키고, 백자소지(20) 표면에는 백자유를 형성시키며, 분청소지(30) 표면에는 분청유가 도포되어지도록 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먼저 백자소지(20) 및 분청소지(30) 부분에 라텍스재질의 1차가림막을 접착 필름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자기를 청자유에 침지킴으로서 청자소지(10) 부위에만 청자유가 도포되도록 하고, 청자유가 건조되면 1차가림막 제거 후 2차가림막을 청자소지(10) 및 분청소지(30) 부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자기를 백자유에 침지시킴으로서 백자소지(20)부분에만 백자유가 도포되도록 하며, 백자유가 건조되면 2차가림막 제거 후 3차가림막을 청자소지(10) 및 백자소지(20) 부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분청유에 도자기를 침지시킴으로써 분청소지(30) 부분에만 분청유가 도포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3차가림막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게 되면 개별 유약이 도포 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각 과정에서의 가림막은 양측의 경계띠(40) 부위까지 덮여지도록 하여 경계띠(40) 부위에는 시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자유와 분청유에는 각각 떡갈나무재를 유약 총중량 대비 15~17중량%로 첨가함으로써, 유약의 시유온도를 청자유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과정에서의 가림막 부착 후에는 전자렌지에서 30초~1분 동안 가열하여 라텍스 재질의 가림막의 안정적인 부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재벌구이 단계>(ST 8)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3가지 유약의 개별 코팅이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에서 10~11시간동안 구워주는 재벌구이를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자기가 완성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도자기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청자소지(10)와 백자소지(20) 그리고 분청소지(30) 부분이 경계띠(40)를 기준으로 3등분 형태로 분할된 형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하나의 도자기에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어 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과정에서 청자유, 백유, 분청유 유약의 시유온도가 상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백유 및 분청유에 떡갈나무재를 첨가하여 시유온도를 청자유의 기준에 맞추고, 또한, 재벌구이 이후의 상온 건조시 각 소지의 수축율 차이로 인한 크랙 및 변형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자소지에는 와목과 규석을 첨가하고 분청소지에는 청자소지를 배합하여 수축율을 청자소지 기준에 맞추어 상기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도자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청자소지나 백자소지 및 분청소지가 통상의 소지재료를 사용함으로 인해 구체적인 혼합성분을 기재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청자소지 20 : 백자소지
30 : 분청소지 40 : 경계띠

Claims (8)

  1. 청자소지를 이용하여 도자기의 형상을 성형하는 도자기 성형단계와;(ST 1)
    상기 성형된 도자기 표면을 3등분 했을 때 그중 1/3 부위에 백자소지를 덫칠하는 백자소지 덫칠단계와;(ST 2)
    상기 백자소지가 덫칠 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1/3 부위에 분청소지를 덫칠하는 분청소지 덫칠단계와;(ST 3)
    상기 분청소지 및 백자소지 덫칠부위를 포함하여 청자소지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 형성단계와;(ST 4)
    상기 도자기를 자연건조 상온에서 10일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ST 5)
    상기 건조가 이루어진 도자기를 900~940℃에서 8시간 동안 구워주는 초벌구이 단계와;(ST 6)
    상기 초벌구이가 이루어진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코팅 형성하되, 청자소지 표면에는 청자유를 도포하고, 백자소지 표면에는 백자유를 도포하며, 분청소지 표면에는 분청유를 도포하는 시유단계와;(ST 7)
    상기 3가지 유약의 개별 코팅이 이루어진 도자기를 1200~1300℃에서 10~11시간 동안 구워주는 재벌구이 단계;(ST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성형단계(ST 1)에서는 도자기 성형 후 도자기 표면 둘레를 따라 3등분하여 각 경계가 되는 부위에 청자소지로 제작된 경계띠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계띠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챔버 내에서 자외선을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자소지 덫칠단계(ST 2)에서는 재벌과정 이후에 상온에서 건조시 수축률을 낮추기 위해 와목과 규석이 첨가된 백자소지가 사용되어지고, 분청소지 덫칠단계(ST 3)에서는 청자소지와 혼합이 이루어진 분청소지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ST 7)에서는 백자유와 분청유에 각각 떡갈나무재를 첨가하여 시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ST 7)에서는 백자소지 및 분청소지 부분에 라텍스 재질의 1차가림막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자기를 청자유에 침지시키고, 청자유가 건조되면 1차가림막 제거 후 라텍스 재질의 2차가림막을 청자소지 및 분청소지 부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자기를 백자유에 침지시키며, 백자유가 건조되면 2차가림막 제거 후 라텍스 재질의 3차가림막을 청자소지 및 백자소지 부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분청유에 도자기를 침지시킴으로써 3가지 종류의 유약이 균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ST 7)에서 부착되는 가림막은 경계띠 부위까지 덮여지도록 하여 경계띠 부위의 시유를 방지하며, 가림막 부착 후에는 전자렌지에서 30초~1분 동안 가열하여 라텍스 재질의 가림막의 안정적인 부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항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KR1020130143100A 2013-11-22 2013-11-22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154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100A KR101543316B1 (ko) 2013-11-22 2013-11-22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100A KR101543316B1 (ko) 2013-11-22 2013-11-22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468A true KR20150059468A (ko) 2015-06-01
KR101543316B1 KR101543316B1 (ko) 2015-08-11

Family

ID=5349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100A KR101543316B1 (ko) 2013-11-22 2013-11-22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8688A (zh) * 2020-11-30 2021-02-05 禹州市国粹钧窑有限责任公司 一种瓷器生产用贴花设备及其工作方法
KR20240009083A (ko) 2022-07-13 2024-01-22 이호영 평면 청자, 그 평면 청자 제조방법 및 그 평면 청자 제조용 균일 건조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31B1 (ko) 2012-09-21 2013-07-01 (주)에릭스 하면, 측면 및 내면의 세가지 부위별 색상이 다른 요변 도자기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요변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결착식 밀폐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8688A (zh) * 2020-11-30 2021-02-05 禹州市国粹钧窑有限责任公司 一种瓷器生产用贴花设备及其工作方法
KR20240009083A (ko) 2022-07-13 2024-01-22 이호영 평면 청자, 그 평면 청자 제조방법 및 그 평면 청자 제조용 균일 건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316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7599B (zh) 一种牡丹瓷的制作工艺
KR101466965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CN104193417B (zh) 哥釉与弟釉相结合的青瓷烧制工艺方法
KR101094718B1 (ko)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24594B1 (ko)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332966A (zh) 一种复合乳浊釉的制备方法
KR101588556B1 (ko) 황금 재 유약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160126704A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3367A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KR101543316B1 (ko) 청자, 백자, 분청이 동시에 구현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090075140A (ko)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CN102001866B (zh) 一种仿芝麻石凹凸网纹陶瓷的制造方法
KR101138008B1 (ko) 도자기의 유약도포방법
KR100953797B1 (ko) 도자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CN102161598A (zh) 一种仿印度红石头凹凸网纹陶瓷的制造方法
KR101308525B1 (ko)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CN102001865B (zh) 一种仿古蜡石网纹陶瓷的制造方法
KR100975114B1 (ko) 황토백자의 제조방법
KR101634383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KR100387920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940006436B1 (ko)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342996B1 (ko) 다중분장칠에 의한 자기 제조방법
KR101500989B1 (ko) 자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KR100927053B1 (ko) 수금 빗살무늬의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