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120A -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몰드 - Google Patents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120A
KR20150059120A KR1020140162747A KR20140162747A KR20150059120A KR 20150059120 A KR20150059120 A KR 20150059120A KR 1020140162747 A KR1020140162747 A KR 1020140162747A KR 20140162747 A KR20140162747 A KR 20140162747A KR 20150059120 A KR20150059120 A KR 2015005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e amount
trace
hrc
plastic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871B1 (ko
Inventor
요헨 페르코
질비아 친너
호르스트 준코
Original Assignee
뵐러 에델슈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뵐러 에델슈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뵐러 에델슈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5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몰드에 관한 것이다. 몰드 제작 재료의 균일하게 높은 품질 값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C = 0.22 내지 0.26
Si = 0.01 내지 0.35
Mn = 0.15 내지 0.60
P = 최대 0.025
S = 최대 0.003
Cr = 12.0 내지 14.0
Mo = 0.10 내지 0.18
Ni = 0.35 내지 0.50
V = 0.15 내지 0.25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2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2 내지 0.02
Nb = 미량 내지 0.04
B = 미량 내지 0.001
N = 0.08 내지 0.15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5 내지 0.95
Mo+W/2 = 0.11 내지 0.20
Ti+Hf+Zr = 미량 내지 0.008
V+Nb+Ta = 0.15 내지 0.30
Nb+Ta = 미량 내지 0.04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이며,
14.5 초과 내지 약 15.7의 내식성에 대한 PRE(N)-값을 갖는 강철 블록이 제조되고, 1050℃보다 높은 온도에서 2.5배보다 높은 변형 정도로 1차 변형된 다음에, 경우에 따라 중간 냉각 후에, 1050℃ 미만의 온도에서 미가공 원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몰드 바닥부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이 바닥부로부터 경우에 따라 절단 제거 가공 후에 플라스틱 몰드가 제조되고, 이 플라스틱 몰드 또는 상기 몰드 바닥부가 오스테나이트화 되고 24보다 작은 값(λ)의 냉각 속도로 경화되며, 그 후에 510 내지 550℃의 범위 안에 있는 온도에서 두 번 이상 어닐링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48 내지 52 HRC의 제작 재료 경도 및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했을 때 적어도 60 J의 제작 재료 점성에 도달하며,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절단 방식의 최종 가공 및 설계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몰드의 폴리싱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Description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몰드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MOULDS OUT OF MARTENSITIC CHROME STEEL AND PLASTIC MOULD}
본 발명은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몰드와도 관련이 있다.
플라스틱 몰드는 제작 재료가 각각 장시간 작동 중에 견뎌야만 하는 수많은 하중을 생산 작업 중에 경험한다.
주로 상기와 같은 제작 재료의 하중은 특히 상승된 온도에서 사용되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 몰딩 재료에 의해서 야기되는 부식 화학적인 하중, 연삭 방식으로 작용을 하는 몰딩 재료 첨가물에 의해서 야기되는 성형 작업면의 마모 하중 그리고 개별 생성 과정의 틀 안에서 충격 방식으로 작용을 하는 기계적인 교번 하중이다.
또한, 생성물의 보기 좋은 표면을 얻기 위하여 몰드의 작업 면에서는 종종 높은 폴리싱 품질이 요구되기도 한다.
막대, 블록 등과 같이 변형되고 열적으로 템퍼링(tempering) 된 성형 부재로부터 절단 제거 방식에 의해서 특히 높은 치수 정확성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가 제조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예비 재료는 전체 내부 횡단면에 걸쳐서 동일한 재료 특성을 지녀야만 하고, 동일한 형태의 균일한 구조, 높은 강철 순도 그리고 동일한 기계적인 재료 특성 값을 가져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 프로필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를 위한 제작 재료로서는 현재 대부분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이 사용된다. 플라스틱 몰드는 AT 407 647에 따른 합금으로부터도 다양하게 제조되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개별 합금 원소의 제조 방법 및 제시된 농도와 관련해서, 마르텐사이트계의 내식성 크롬 강의 특성 프로필이 제조 때마다 원하는 모든 값에 완전하게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승된 온도에서도 균일하게 높은 내식성, 성형 작업면의 내마모성, 특히 균열 개시를 최소화하기 위한 그리고 제조 안전을 위한 점성(viscosity)의 높은 기계적인 값, 높은 교번 응력에 대한 강도 및 경도, 최고의 폴리싱 품질 및 정밀하고도 몰드의 전체 횡단면에 걸쳐서 균일한 제작 재료의 구조적인 상태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동류의 방법에서,
C = 0.22 내지 0.26
Si = 0.01 내지 0.35
Mn = 0.15 내지 0.60
P = 최대 0.025
S = 최대 0.003
Cr = 12.0 내지 14.0
Mo = 0.10 내지 0.18
Ni = 0.35 내지 0.50
V = 0.15 내지 0.25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2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2 내지 0.02
Nb = 미량 내지 0.04
B = 미량 내지 0.001
N = 0.08 내지 0.15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5 내지 0.95
Mo+W/2 = 0.11 내지 0.20
Ti+Hf+Zr = 미량 내지 0.05
V+Nb+Ta = 0.15 내지 0.30
Nb+Ta = 미량 내지 0.04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이며,
14.5 초과 내지 약 15.7의 내식성에 대한 PRE(N)-값을 갖는 강철 블록이 제조되고, 1050℃보다 높은 온도에서 2.5배보다 높은 변형 정도로 1차 변형된 다음에, 경우에 따라 중간 냉각 후에, 1050℃ 미만의 온도에서 미가공 원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몰드 바닥부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이 바닥부로부터 경우에 따라 절단 제거 가공 후에 플라스틱 몰드가 제조되고, 이 플라스틱 몰드 또는 상기 몰드 바닥부가 오스테나이트화 되고 24보다 작은 값(λ)의 냉각 속도로 경화되며, 그 후에 510 내지 550℃의 범위 안에 있는 온도에서 두 번 이상 어닐링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48 내지 52 HRC의 제작 재료 경도 및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했을 때 적어도 60 J의 제작 재료 점성에 도달하며,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절단 방식의 최종 가공 및 설계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몰드의 폴리싱이 이루어짐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 장점들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플라스틱 몰드가 모든 경우에 상승된 온도에서도 원하는 내식성 및 양호한 내마모성, 높은 기계적인 특성 값, 특히 높은 제작 재료의 점성 및 최고의 폴리싱 품질에서 횡단면에 걸쳐 정밀하고도 균일한 구조적인 상태를 갖는다는 것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몰드의 바람직한 제작 재료 특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통해 발견된 바와 같이 원소들의 반응 운동 역학을 기초로 하는 강철의 화학적인 조성이 중요하다.
0.22 내지 0.26 중량-%의 함량을 갖는 좁은 한계 안에 있는 탄소 및 0.08 내지 0.15 중량-%의 농도 범위 안에 있는 질소는 궁극적으로 경도 및 구조적인 상태를 결정하는 원소들이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한 카본 질화물 형성에 도달할 수 있다. 0.15 중량-%보다 높은 질소 함량 그리고 특히 그와 동시에 0.26 중량-%보다 높은 탄소 함량은 탄화물을 형성하는 그리고 질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들에 의해서 구조 내에 굵은 질화물, 탄화물 또는 카본 질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한 편으로는 기계적인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내식성을 감소시키는 강철의 폴리싱 능력을 저하시키는데, 그 이유는 크롬을 함유하는 굵은 혼합 탄화물이 표면 영역에 있는 매트릭스로부터 크롬을 제거하거나 크롬 함량이 줄어들어서 부식 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탄화물을 형성하거나 카본 질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들, 즉 크롬, 몰리브덴, 바나듐, 텅스텐, 티타늄, 하프늄, 지르코늄, 니오븀 및 탄탈륨의 개별적인 활성 그리고 탄소 함량 및 질소 함량과 관련된 이들의 상호 작용은 실험을 통해 발견된 바와 같이 주어진 범위 안에서 원하는 반응 생성물의 크기, 형태 및 분포에 맞추어 조절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중요한 것은 각각 중량-%로 나타낸 총 함량이
Mo+W/2 = 0.11 내지 0.20
Ti+Hf+Zr 미량 내지 0.05
V+Nb+Ta 0.15 내지 0.30
Nb+Ta 미량 내지 0.04라는 것이다.
소수의 탄화물 형성제에 대한 상기 총합 식은 본 발명에 따라 탄화물의 반응 운동 역학 및 결정 구조를 고려하고 있다. (Hf, Zr 및 Ta에 대한 값은 화합물의 자유로운 형성 엔탈피를 통해서 산출되었다).
경화를 위해 균질화된 제작 재료를 오스테나이트화 할 때에는 전술된 농도 조건을 고려해서 Cr-Mo-W-결합의 그리고 대부분은 (C 및 N)과의 V-결합의 전반적인 해체가 이루어진다. 오로지 복수의 원소로 이루어진 금속 부분을 단지 극소량만 포함하는 Nb 및/또는 Ta의 카본 질화물 및/또는 바나듐과의 극미세한 혼합-카본 질화물만 매트릭스 내에 나노-미터-범위의 직경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남아서 1050℃ 미만의 주어진 경화 온도에서 입자 성장을 방해하며, 이와 같은 상황은 결국 플라스틱 몰드 제작 재료의 기계적인 특성의 개선을 위해서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몰드 바닥부의 크기가 큰 경우 열적인 템퍼링에 충분한 내부 경화 깊이 혹은 완전한 경화를 얻기 위하여, 각각 중량-%로 나타낸 0.15 내지 0.60의 망간 농도 및 0.30 내지 0.60의 니켈 농도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이들 원소의 작용을 통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Mn+Ni)의 함량은 0.55 내지 0.95 중량-%로 제한적으로 제시되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조 형성의 경우에는 카본 질화물 침전의 결정립 조대화(coarsening)가 방해를 받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이들의 표면에서는 Cr의 눈에 띌만한 감소(depletion)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합금이 14.4 초과 내지 약 15.7의 PRE(N)-값을 갖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부식 작용을 방해한다. 이 PREN-값은 (%Cr+3.3x%Mo+16x%N)으로부터 얻어진다.
주조품 내에 있는 미소 편석(microsegregation)을 분해하거나 재료 균질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10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2.5배보다 높은 변형 정도로 미가공 블록의 변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형 정도는 최종 횡단면에 의해 나누어진 출발 횡단면의 몫이다).
자체 화학적인 조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특징 지워진 제작 재료를 경화할 때에는, 몰드 바닥부 또는 몰드의 전체 횡단면에 걸쳐 마르텐사이트계 구조 상태가 설정되어야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의 가속화된 냉각은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느린 냉각 속도는 입자 경계에서 경우에 따라 적은 양이지만 펄라이트 구조 또는 중간 단계의 구조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재료의 점성 값을 결정적으로 악화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냉각 속도는 24보다 작은 값(λ)을 갖는 강철의 오스테나이트 온도로부터 출발할 수 있다. (상기 값(λ)은 초(second)로 나타낸 800℃로부터 500℃로의 냉각 시간을 100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경화된 미가공 몰드 혹은 몰드의 어닐링은, 48 내지 52 HRC의 범위 안에서 제작 재료의 경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의 완전한 변환을 위해 이 부분을 510 내지 550℃의 범위 안에 있는 온도까지 두 번 이상 가열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후에 제작 재료의 점성은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했을 때 적어도 60 J에 달한다. (ASTM, E23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청구항 2 및 3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높은 기계적인 및 부식 화학적인 부하 수용 능력 그리고 높은 수준의 폴리싱 품질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와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몰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화학적인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몰드의 바람직한 일 개선 예를 제시한다.
전술된 조성을 갖는 제작 재료는 플라스틱 몰드의 열 처리 후에 ASTM, E23에 따라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된 적어도 60 J의 재료 점성과 48 내지 52 HRC의 경도를 서로 연관시킨다.
사용 준비된 상태에서 몰드 재료의 연성(ductility)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EN 10002-1에 따른 인장 테스트에서 파괴 연신 부분(A)은 적어도 5%이고 수축 부분은 적어도 10%이다.
상기 기계적인 값들은 모든 경우에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합금 층에서도 대부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최솟값들이다. 파괴 연신 부분(A)이 10%이고 수축 부분(Z)이 적어도 40%인 경우에 적어도 190 J의 점성 값은 지속적으로 도달 가능한 값이다.
본 발명은 개발 작업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표 1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합금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작 재료가 비교되고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합금 1은 AISI 420 혹은 X42Cr13 강철에 상응하며, 이들 물질은 다양하게 몰딩 재료가 마모 작용을 하는 첨가제와 화학적으로 작용을 할 때에 몰드로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추가의 합금 2로서는 EP 1 052 304호에 따른 제작 재료가 검사되었다.
종래 기술에는 또한 높은 완전 경화 능력을 갖는 합금 3도 속한다.
합금 4합금 5는 플라스틱 몰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합금(micro alloyed) 제작 재료이다.
도 1도 2는 큰 입자(ASTM 5) 및 입자 경계에 펄라이트- 또는 중간 단계 영역을 갖는 합금 2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8개 내지 10개의 합금 4합금 5의 ASTM-입자 크기를 갖는 섬세한 미세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검사된 합금들의 측정 결과들을 비교한 것이다.
도 6합금 2 및 본 발명에 따른 합금 4의 장력 테스트에서 파괴 연신 부분과 파괴 수축 부분의 비교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된 미세 합금 원소(V 및 Nb)의 작용은 구조 사진을 참조해서 도시되었다.
도 1도 2는 큰 입자(ASTM 5) 및 입자 경계에 펄라이트- 또는 중간 단계 영역을 갖는 합금 2의 구조를 보여주며, 이들 영역은 제작 재료의 기계적인 특성을 높은 정도로 악화시킨다.
그와 달리 도 3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8개 내지 10개의 합금 4합금 5의 ASTM-입자 크기를 갖는 섬세한 미세 구조를 보여준다.
모따기(chamfering) 되지 않은 재료 샘플에서 이루어지는 충격 휨 작업은 냉각 속도의 오스테나이트화 온도 및 어닐링 조건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 2합금 5를 구별하기 위하여 동일한 템퍼링 조건들이 선택되었다.
도 5에는 검사된 합금들의 측정 결과들이 비교되어 있으며, 이 검사에서는 경화 온도가 강하한 상태에서 제작 재료의 점성의 개선이 확연하게 검출되었다.
도 6합금 2 및 본 발명에 따른 합금 4의 장력 테스트에서 파괴 연신 부분과 파괴 수축 부분의 비교 상태를 보여준다.
샘플을 경화할 때에는 냉각이 λ = 20의 정도로 이루어졌다.
합금 2의 상대적으로 적은 값은 특히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자 경계에 펄라이트-상이 형성되는 것이 그 원인이다.

Claims (6)

  1. 각각 높은 기계적인 및 부식 화학적인 부하 수용 능력 그리고 폴리싱 품질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C = 0.22 내지 0.26
    Si = 0.01 내지 0.35
    Mn = 0.15 내지 0.60
    P = 최대 0.025
    S = 최대 0.003
    Cr = 12.0 내지 14.0
    Mo = 0.10 내지 0.18
    Ni = 0.35 내지 0.50
    V = 0.15 내지 0.25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2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2 내지 0.02
    Nb = 미량 내지 0.04
    B = 미량 내지 0.001
    N = 0.08 내지 0.15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5 내지 0.95
    Mo+W/2 = 0.11 내지 0.20
    Ti+Hf+Zr = 미량 내지 0.05
    V+Nb+Ta = 0.15 내지 0.30
    Nb+Ta = 미량 내지 0.04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이며,
    14.5 초과 내지 약 15.7의 내식성에 대한 PRE(N)-값을 갖는 강철 블록이 제조되고, 1050℃보다 높은 온도에서 2.5배보다 높은 변형 정도로 1차 변형된 다음에, 경우에 따라 중간 냉각 후에, 1050℃ 미만의 온도에서 미가공 원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몰드 바닥부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경우에 따라 절단 제거 가공 후에 플라스틱 몰드가 제조되고, 상기 플라스틱 몰드 또는 상기 몰드 바닥부가 오스테나이트화 되고 24보다 작은 값(λ)의 냉각 속도로 경화되며, 그 후에 510 내지 550℃의 범위 안에 있는 온도에서 두 번 이상 어닐링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48 내지 52 HRC의 제작 재료 경도 및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했을 때 적어도 60 J의 제작 재료 점성(viscosity)에 도달하며,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절단 방식의 최종 가공 및 설계에 따라 플라스틱 몰드의 폴리싱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강철 블록은
    C = 0.23 내지 0.25
    Si = 0.20 내지 0.30
    Mn = 0.32 내지 0.5 미만
    P = 최대 0.022
    S = 최대 0.0008
    Cr = 13.0 내지 13.60
    Mo = 0.12 내지 0.16
    Ni = 0.38 내지 0.48
    V = 0.18 내지 0.21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08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6 내지 0.018
    Nb = 미량 내지 0.03
    B = 미량 내지 0.001
    N = 0.10 내지 0.13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0 내지 0.9
    Mo+W/2 = 0.14 내지 0.18
    Ti+Hf+Zr = 미량 내지 0.006
    V+Nb+Ta = 0.18 내지 0.25
    Nb+Ta = 0.005 내지 0.03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인,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절단 제거 가공 후에 플라스틱 몰드가 965 내지 995℃의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화 되고 20 또는 그보다 작은 값(λ)의 냉각 속도로 경화되며, 그 후에 어닐링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48 HRC보다는 높지만 50 HRC 미만(< 50 HRC)인 제작 재료 경도 및 적어도 190 J의 제작 재료 점성에 도달하는, 플라스틱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높은 기계적인 및 부식 화학적인 부하 수용 능력 그리고 폴리싱 품질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로서,
    C = 0.22 내지 0.26
    Si = 0.01 내지 0.35
    Mn = 0.15 내지 0.60
    P = 최대 0.025
    S = 최대 0.003
    Cr = 12.0 내지 14.0
    Mo = 0.10 내지 0.18
    Ni = 0.35 내지 0.50
    V = 0.15 내지 0.25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2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2 내지 0.02
    Nb = 미량 내지 0.04
    B = 미량 내지 0.001
    N = 0.08 내지 0.15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5 내지 0.95
    Mo+W/2 = 0.11 내지 0.20
    Ti+Hf+Zr = 미량 내지 0.05
    V+Nb+Ta = 0.15 내지 0.30
    Nb+Ta = 미량 내지 0.04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인 변형된 합금으로부터 형성되며,
    이때 제작 재료는 48 HRC 내지 52 HRC의 경도, 충격 휨 실험에서 측정된 적어도 60 J의 점성 및 수축 부분(Z)이 적어도 10%인 상태에서 파괴 연신 부분(A)이 적어도 5%인 연성(ductility)을 가지며, 내식성에 대한 PRE(N)-값은 14.5 초과 내지 약 15.7의 범위 안에 놓이는, 플라스틱 몰드.
  5. 제 3 항에 있어서,
    C = 0.23 내지 0.25
    Si = 0.20 내지 0.30
    Mn = 0.32 내지 0.5 미만
    P = 최대 0.022
    S = 최대 0.0008
    Cr = 13.0 내지 13.60
    Mo = 0.12 내지 0.16
    Ni = 0.35 내지 0.48
    V = 0.18 내지 0.21
    W = 미량 내지 0.20
    Cu = 미량 내지 0.30
    Co = 미량 내지 0.20
    Ti = 미량 내지 0.008
    Hf = 미량 내지 0.02
    Zr = 미량 내지 0.02
    Al = 0.006 내지 0.018
    Nb = 미량 내지 0.03
    B = 미량 내지 0.001
    N = 0.10 내지 0.13
    Ta = 미량 내지 0.04
    As = 미량 내지 0.005 중량-%의 조성을 갖고, 이때 비율은
    Mn+Ni = 0.50 내지 0.90
    Mo+W/2 = 0.14 내지 0.18
    Ti+Hf+Zr = 미량 내지 0.006
    V+Nb+Ta = 0.18 내지 0.25
    Nb+Ta = 0.005 내지 0.03
    Fe 및 불순물 원소 = 나머지인 합금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몰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작 재료는 48 HRC보다는 높지만 50 HRC 미만인 경도, 적어도 190 J의 점성 및 수축 부분(Z)이 적어도 40%인 상태에서 10%의 파괴 연신 부분(A)을 갖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몰드.
KR1020140162747A 2013-11-21 2014-11-20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금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금형 KR10171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774/2013 2013-11-21
ATA50774/2013A AT515157B1 (de) 2013-11-21 2013-11-21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formen aus martensitischem Chromstahl und Kunststoff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120A true KR20150059120A (ko) 2015-05-29
KR101718871B1 KR101718871B1 (ko) 2017-03-22

Family

ID=5190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47A KR101718871B1 (ko) 2013-11-21 2014-11-20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금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금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2875926B1 (ko)
JP (1) JP6122415B2 (ko)
KR (1) KR101718871B1 (ko)
CN (1) CN104651745B (ko)
AT (1) AT515157B1 (ko)
CA (1) CA2869798C (ko)
DK (1) DK2875926T3 (ko)
ES (1) ES2669970T3 (ko)
HU (1) HUE037406T2 (ko)
IN (1) IN2014DE03139A (ko)
NO (1) NO2875926T3 (ko)
PL (1) PL2875926T3 (ko)
PT (1) PT2875926T (ko)
SI (1) SI2875926T1 (ko)
TR (1) TR201806922T4 (ko)
TW (1) TWI541119B (ko)
ZA (1) ZA2014084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455A (ko) * 2016-04-22 2018-12-24 아뻬랑 시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 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8327B2 (en) 2016-03-11 2019-12-17 Daido Steel Co., Ltd. Mold steel and mold
KR102279421B1 (ko) 2017-06-30 2021-07-20 아뻬랑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스폿 용접 방법
CN110273112A (zh) * 2018-03-16 2019-09-24 天津普信模具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用汽车模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467999B (zh) * 2018-04-27 2019-10-29 天长市协正塑业有限公司 一种高韧性塑料模具钢及其生产方法
CN108866444B (zh) * 2018-07-26 2021-01-26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耐腐蚀镜面模具钢及其制备方法
CN110541124B (zh) * 2019-09-10 2021-05-25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含氮塑料模具扁钢锭及其工艺方法
CN111321345B (zh) * 2020-03-05 2021-11-1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调质型高品质连续管及其制造方法
CN113217603B (zh) * 2021-04-30 2023-02-24 四川固锐德科技有限公司 用于重载车主减系统的圆柱轮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703A (ja) * 2002-04-03 2005-09-15 アンドウステイール・フランス プラスチック材料用の射出金型を製造するための、または金属加工用の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大きな鋼
JP2007515553A (ja) * 2003-12-05 2007-06-14 エラスティール クロスター アクチボラグ マルテンサイトのクロム−窒素鋼およびその使用
US20100276038A1 (en) * 2007-09-10 2010-11-04 Aubert & Duval Martensitic stainless steel, method for making parts from said steel and parts thus ma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633A (en) * 1997-05-16 2000-04-04 Edro Engineering, Inc. Steel holder block for plastic molding
DE19821797C1 (de) * 1998-05-15 1999-07-08 Skf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härteten Teilen aus Stahl
AT407647B (de) 1999-05-10 2001-05-25 Boehler Edelstahl Martensitischer korrosionsbeständiger chromstahl
SE516622C2 (sv) * 2000-06-15 2002-02-05 Uddeholm Tooling Ab Stållegering, plastformningsverktyg och seghärdat ämne för plastformningsverktyg
AT409636B9 (de) * 2001-02-14 2002-12-27 Boehler Edelstahl Gmbh & Co Kg Stahl für kunststoffformen und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desselben
JP4624783B2 (ja) * 2002-06-13 2011-02-02 ウッデホルムス アーベー 鋼及びこの鋼でつくられたプラスチック物質用の成型工具
FR2847272B1 (fr) * 2002-11-19 2004-12-24 Usinor Procede pour fabriquer une tole en acier resistant a l'abrasion et tole obtenue
JP2007009321A (ja) * 2005-06-02 2007-01-18 Daido Steel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
JP4952888B2 (ja) * 2006-04-07 2012-06-13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鋼
US20080073006A1 (en) * 2006-09-27 2008-03-27 Henn Eric D Low alloy steel plastic injection mold base p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5904409B2 (ja) * 2011-09-28 2016-04-13 日立金属株式会社 靭性に優れた金型用鋼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703A (ja) * 2002-04-03 2005-09-15 アンドウステイール・フランス プラスチック材料用の射出金型を製造するための、または金属加工用の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大きな鋼
JP2009024260A (ja) * 2002-04-03 2009-02-05 Industeel France プラスチック材料用の射出金型を製造するための、または金属加工用の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大きな鋼
JP2007515553A (ja) * 2003-12-05 2007-06-14 エラスティール クロスター アクチボラグ マルテンサイトのクロム−窒素鋼およびその使用
US20100276038A1 (en) * 2007-09-10 2010-11-04 Aubert & Duval Martensitic stainless steel, method for making parts from said steel and parts thus ma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455A (ko) * 2016-04-22 2018-12-24 아뻬랑 시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 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5926B1 (de) 2018-02-21
PT2875926T (pt) 2018-05-22
EP2875926A1 (de) 2015-05-27
HUE037406T2 (hu) 2018-08-28
TWI541119B (zh) 2016-07-11
DK2875926T3 (en) 2018-06-06
AT515157B1 (de) 2016-12-15
ZA201408482B (en) 2015-11-25
TW201529270A (zh) 2015-08-01
NO2875926T3 (ko) 2018-07-21
ES2669970T3 (es) 2018-05-29
JP2015101789A (ja) 2015-06-04
PL2875926T3 (pl) 2019-01-31
CN104651745B (zh) 2017-10-24
AT515157A1 (de) 2015-06-15
IN2014DE03139A (ko) 2015-07-03
SI2875926T1 (en) 2018-08-31
JP6122415B2 (ja) 2017-04-26
KR101718871B1 (ko) 2017-03-22
CN104651745A (zh) 2015-05-27
CA2869798C (en) 2017-05-09
TR201806922T4 (tr) 2018-06-21
CA2869798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71B1 (ko) 마르텐사이트계 크롬 강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금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라스틱 금형
KR101928106B1 (ko) 우수한 열 전도도, 경면 연마성 및 인성을 갖는 금형 다이용 강철
KR20100135205A (ko) 열간가공 공구강 및 이를 이용한 철강제품
EP2660348B1 (en) Die steel having superior rusting resist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586884A2 (en) Ultra-high-strength steel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00135206A (ko) 열간가공 공구강 및 이를 이용한 철강제품
KR20150121155A (ko) 높은 열 확산도, 높은 인성 및 열처리 도중 균열 위험이 낮은 공구강
JP2007009321A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
KR102062180B1 (ko) 몰드용 프리하든 강재, 몰드, 및 몰드 부품
EP2963137B1 (en) Die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WI435938B (zh) 用於堅實零件的高特性鋼
KR20140110720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다이케스팅 및 핫스템핑용 자동차용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JP5713195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プリハードン鋼
KR20160041869A (ko) 열전도도가 향상된 다이케스팅 및 핫스템핑용 자동차용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JP5641298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の製造方法
JP2010242147A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および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
CN105642675B (zh) 防止磷非平衡晶界偏聚热轧工艺控制方法
JP2012149277A (ja) 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鋼の製造方法
KR101463312B1 (ko) 충격 인성 및 절삭 가공성이 우수한 석출 경화형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75884B1 (ko) 금형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94195A (ja) 耐食性に優れた非磁性高強度ステンレス鋼ナット
JP2018070963A (ja) 軸受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79358A1 (en) Heat-treated steel wire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