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165A -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 Google Patents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165A
KR20150058165A KR1020157004537A KR20157004537A KR20150058165A KR 20150058165 A KR20150058165 A KR 20150058165A KR 1020157004537 A KR1020157004537 A KR 1020157004537A KR 20157004537 A KR20157004537 A KR 20157004537A KR 20150058165 A KR20150058165 A KR 20150058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il
dual
ring
symme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 장
Original Assignee
판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 장 filed Critical 판 장
Publication of KR2015005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41Voice coil arrangements comprising more than one voice coil unit on the same bobb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에 있어서, 1개 혹은 1개 이상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원형 혹은 링형 칸막이를 이용하여 2조 혹은 2조이상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브 유니트(01 혹은 02)를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접착한다. 1개 혹은 2개가 상기 브라캣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에 삽입되는 튜브형 자기 요크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과 상기 자기 코어의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4개 혹은 4개 이상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4개 혹은 4개 이상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코일을 삽입하고, 코일의 와인딩 방향, 연결방식 및 필요한 기술특징을 설정하여,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전기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상기 변환기는 작업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 및 유도 용량이 상호 상쇄되고, 상기 변환기는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초민감도, 고해상도와 하이 파이 품질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브 변환기{MULTI-DRIVER TRANSDUCER HAVING SYMMETRICAL MAGNETIC CIRCUIT AND SYMMETRICAL COIL CIRCUIT}
본 발명은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드라이브 변환기에 관한 것이며, 전기 기술 분야의 전기 음향 변환기 및 전기 기계 변환기 영역에 속한다.
주류를 이룬 통상적인 전기 음향 변환기와 전기 기계 변환기는 단 1개의 자기 갭, 1개의 코일로 1개의 가동 코일형 드라이버를 구성한다. 반발형 자석을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2개 혹은 2개 이상의 자기 갭, 2개 혹은 2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여 2개 혹은 2개 이상의 가동 코일형 드라이버를 구성한다.
반발형 자석을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기존 기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자가 제출한 PCT/CN98/00306, PCT/CN2008/072668, PCT/CN2009/070507, CN99114781.2 및 TW88109796 등의 기술 방안에는 모두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을 가진 가동 코일식 멀티 드라이버 다이나믹 스피커가 개시되어 있다. JP09322294A에서도 한 쌍의 반발형 자석, 3개의 자기 갭과 3개의 코일을 포함한 트라이 스테이트 드라이버(tri-state driver)의 기술 방안을 제출했다. 상술한 기술 방안의 장점은 변환기가 높은 효율과 강력한 구동력을 갖는다는 것이나, 부족한 점은 이런 변환기는 여전히 유도성 부하(Inductive Load) 특성과 역기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변환기 특히는 우퍼와 서브 우퍼의 총고조파 왜율(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이 매우 크다. 1W/1m 시의 총고조파 왜율(THD+N)은 ≤6%의 중국 국가 표준에 도달하기 매우 어렵고 심지어 10% - 13% 내지 보다 높은 데이터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기존 기술의 단점과 기존 전기 음향적 기술 영역의 기술적 편견을 극복하고자 하여, 본 발명자가 제출한 CN200610020317.7, PCT/CN2008/072668, US2005/0099255A1, CN200510091936.0, CN200810169693.1, PCT/CN2009/070507 등의 기술 방안 중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변환기 혹은 스피커의 2조 대칭 자기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를 이용하여 한 쌍의 반발형 자석과 4개의 드라이버를 가진 변환기를 구성하게 한다. 상기 변환기의 4조 대칭 자기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 중 매 2조별 대칭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는 상기 변환기 코일 회로 중 자체 유도 용량과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을 상호 상쇄할 수 있어서 상기 4-드라이버 변환기가 거대한 구동력과 초고효율을 확보하는 동시에 변환기의 총고조파의 왜율이 전례없는 개선을 가져오게 되고, THD+N는 ≤3%이며 스피커의 Hi-Fi 표준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기존 기술의 단점 및 전기 음향적 기술 영역의 기술적 편견을 극복하고자 하여, 본 발명자가 이미 제출한 상기 기술 방안 중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변환기 혹은 스피커의 6개 혹은 6개 이상 독립적으로 설치한 2조의 대칭 자기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를 이용하여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6-드라이버 혹은 보다 많은 짝수개의 드라이버를 가진 변환기를 구성하여, 상기 6개/혹은 8개/혹은 10개 드라이버 변환기가 보다 거대한 구동력과 초고효율을 취득하는 동시에 변환기의 총고조파 왜율이 전례없이 개선되게 하고, THD+N 기대치가 ≤3%, 스피커의 Hi-Fi 음향 표준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기존 기술의 단점 및 전기 음향적 기술 영역에서 형성된 기술적 편견을 극복하고자 하여, 스피커의 리니어 스트로크를 증가하는 동시에 큰 구동력를 제공하는 기술 방안을 통해 소구경 스피커, 예를 들면 2-3 인치의 구경인 스피커의 Fo가 보다 낮은 주파까지 내려가게 되고 우수한 저음 재생 효과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자기 회로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코일 프레임 워크, 그 위에 상호 절연된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고,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 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의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자기 회로는 동축으로 장착되는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되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1개/혹은 1개 이상의 동일한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되는(magnetizing)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킨다.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 내부로 돌출되는 원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며,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며, 상기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의 대응한 축방향 높이 혹은 그의 선단부에는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평 위치 결정면과 수직 위치 결정면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더 설치된다.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은 상기 브라캣의 상기 원형 플랫폼면의 축심 부위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수직 위치 결정면과 수평 위치 결정면에 의해 접착 고정되거나 혹은 결합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되 상기 프레임에 결합 혹은 접착 고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의 H 값을 초과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의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며,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 순간에 동일 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한다.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 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이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의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內磁式,inner magnet) 드라이버 유니트(01)을 구성한다.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는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을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상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는 상기 동일한 중심의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는,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미디어 드라이버 변환기는 자기 회로 및 그에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코일 프레임 워크가 포함되고, 그 위에 상호 절연된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며,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 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을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자기 회로는 동축으로 장착되는 2개의 적어도 1개의 중앙 축 공을 가지는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되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중앙 축공이 형성되는 링형/ 혹은 1개 이상의 같은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킨다.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원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 플랫폼에는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에 결합되는 중앙 축공을 가지며 상기 원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상기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의 대응한 축방향 높이 혹은 그의 선단부에는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평 위치 결정면과 수직 위치 결정면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더 설치된다.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패스너(Fastener)는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적어도 1개의 중앙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캣의 상기 원형 플랫폼의 축심 부위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 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수직 위치결정면과 수평 위치 결정면에 의해 접착 고정되거나 혹은 결합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거나 혹은 접착 고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되,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시간에 동일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한다.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축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 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의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를 구성한다.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 외측 평면에는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 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 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의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을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과 다시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는 동일한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고,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자기 회로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코일 프레임 워크, 그 위에 상호 절연되는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고,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 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의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 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자기 회로는 동축으로 장착되는 2개의 링형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고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1개의 링형 혹은 1개 이상의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되는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킨다.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링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링형 플랫폼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가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의 수평 위치 결정면과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상기 튜브형 박벽 내주면의 대응된 축방향 높이에 수직 위치 결정면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은 상기 브라캣의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의 내부 돌출 기둥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링형 플랫폼면에 의하여 수평 위치 결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의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되,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순간에 동일한 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한다.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 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게 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의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를 구성한다.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 성능을 가진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를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상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는 동일한 중심의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고,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대칭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상기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 혹은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는 그 두께를 반발형 자기 성능을 가진 상기 2세트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 혹은 유니트(02)가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수직 대칭축 Y-Y 축선으로 동축 및 동일 지름인 2단/혹은 2단이상의 축방향 높이가 동일한 튜브형 자기 요크 및 1개 혹은 1개 이상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상기 브라캣 링형 홈에는 자기 회로 및 코일 회로가 방출한 열에너지를 배출시키고 상기 변환기 진동 시스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관통 기공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캣의 기하 사이즈 및 구조 강도가 허용시 각각의 상기 관통 기공은 될수록 큰 투영 면적을 가지게 하되 서로 동일하게 하며, 상기 관통 기공의 원심 혹은 중심선은 각각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혹은 상기 동축 동일 지름 코일의 투영원의 원주선에 위치되고, 상기 변환기 진동 시스템이 상, 하 진동시 상기 코일 회로가 한결같이 상기 좌우 대칭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대칭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는 상기 브라캣의 하부에는 1개의 플랜지가 설치되고,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한일단은 상기 플랜지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댐퍼 지름보다 큰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보다 큰 플랜지의 축심선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플랫폼이 설치되고, 그 축심선 부위에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가 상기 플랜지의 상기 내부 돌출 기둥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어, 이로부터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상기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1개의 댐퍼는 상기 프레임의 링형 플랫폼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랜지에는 각각 균일하게 분포되는 산열(散熱) 공기 통풍 공간이 설치된다.
1. 우수한 고효율적 에너지 절약 특성. 본 발명의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 멀티 드라이버 원리를 이용하여 거대한 축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변환기의 역기전력을 동시에 제거하여, 스피커 특히는 저음 혹은 서브 우퍼 스피커가 초고효율의 출력 음압 레벨(SPL)을 얻게 한다.
2. 본 발명이 제공한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 원리를 이용하여, 스피커 대칭 코일 회로 내부의 유도 용량과 역기전력을 제거하고, 저음 스피커와 서브 우퍼 스피커의 초고조파 왜율(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이 전례없이 개선되게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 원리에 따라 제조한 1개 4-드라이버 5.25인치 저음 스피커는 공진 주파수 Fo = 50Hz일 경우, SPL≥90.2dB/1w/1m, THD+N≤1.8%이다.
3. 2.1 채널 혹은 4.1 채널 오디오 시스템이 처음으로 Hi-Fi 오디오의 0을 돌파할 수 있다.
4. 변환기는 관통(transparent)되는 자기 회로 앞, 뒤 챔버 및 우수한 방열 배출 시스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과도응답 특성과 출력 압축 현상을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멀티 드라이버 원리를 이용하여 제공한 거대한 축방향의 추진력은 가동 코일 기계전기 변환기의 기능 특성이 새로운 돌파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1. 도 1은 기존 기술 실시예 1 및 그의 개선 방안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2. 도 2는 기존 기술 실시예 2 및 그의 개선 방안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3. 도 3은 본 발명의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1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4. 도 4는 본 발명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2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5. 도 5는 본 발명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3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6. 도 6은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外磁式,outer magnet)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1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7. 도 7은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2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8. 도 8은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3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9. 도 9는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4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은 기존 기술 실시예 1 및 그의 개선 방안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본 발명자가 이미 공개한 PCT/CN2008/072668에서 공개한 도 6 실시예의 자기 코어 부분의 단면도(코일(109) 및 코일 프레임 워크(107)를 포함)이다.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은 두 극판의 두께와 투영 면적이 동일한 동축으로 장착되는 원편형 평판이고, 그에 결합되는 1개의 네오디움 자석(102)은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 사이에 부착되고…, 튜브형 자기 요크(113)를 상기 자기 코어의 축심 부위에 끼워 장착시키고…, 이때 컴포넌트(113)의 내주면은 컴포넌트(103A, 103B)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110A, 110B)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에 코일 프레임 워크(107)와 동축으로 장착된 2개의 코일(109A, 109B)을 삽입시키고, 코일(109A)을 시계 바늘 방향으로 와인딩하고, 코일(109B)을 시계 바늘 역방향으로 와인딩하도록 설정한다(반대될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코일(109A)과 코일(109B)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고, 직렬 연결 후 PCT/CN2008/072668 도 12의 1개의 코일로 구성되고, 이로부터 상부 극판(103A), 하부 극판(103B)과 코일 와인딩 폭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를 구성한 후 등분선 Z-Z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상기 영구 자석(102)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컴포넌트(103A), 컴포넌트(102)와 컴포넌트(103B)의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2조는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에서 상하 좌우로 대칭되는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에서 상하, 좌우로 대칭되는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의 2개 코일(109A, 109B)의 유도 용량 절대치 및 그가 왕복 운동 과정에서 감지하여 얻은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 위상각이 있어서 상호 상쇄된다. 본 실시예는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는 초고민감도와 하이파이 품질을 가진 1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자기 코일 내장형 자기식 변환기 드라이버 유니트(01)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자가 이미 공개한 PCT/CN2008/072668 도 6, 도 9 내지 도 12, 도 20, 도 21과 CN200510091936.0과 US2005/0099255A1명세서의 설명을 참조하고,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변환기가 동적인 작업과정에서 역시 PCT/CN2008/072668 등 기존 기술에서 기술한 대칭 자기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 특성을 얻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존 기술에 대하여 새로운 개선 방안을 제출한다: 상기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 및 코일(109A)과 코일(109B) 와인딩의 폭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Z-Z 축선을 동일한 수평 대칭축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적의 상하, 좌우 대칭 자기 회로와 상하, 좌우 대칭 코일 회로 특성을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기존 기술 실시예 2 및 개선 방안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본 발명자가 이미 공개한 PCT/CN2008/072668에서 개시된 도 5 실시예의 자기 코어 부분의 단면도이다(코일(209) 및 코일 프레임 워크(207)를 포함). 상부 극판(203A)과 하부 극판(203B)은 두께와 투영 면적이 동일하며, 동축으로 장착되는 원편형 평판이고, 그와 결합되는 네오디움 자석(202)은 상부 극판(203A)과 하부 극판(203B) 사이에 부착되며…, 튜브형 자기 요크(213)를 상기 자기 코어의 축심 부위에 끼워 장작시키고…, 이때 컴포넌트(213)의 외주면은 컴포넌트(203A, 203B)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210A, 210B)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에 코일 프레임 워크(207)와 동축으로 장착된 2개의 코일(209A, 209B)을 삽입시키고, 코일(209A)을 시계바늘 방향으로 와인딩하고, 코일(209B)을 시계바늘 역방향으로 와인딩하도록 설정한다(반대될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코일(209A)과 코일(209B)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고, 직렬 연결 후 PCT/CN2008/072668 도 12의 1개의 코일로 구성되고, 이로부터 상부 극판(203A), 하부 극판(203B)과 코일 와인딩 폭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Z-Z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상기 영구 자석(202)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컴포넌트(203A), 컴포넌트(202)와 컴포넌트(203B)의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2조는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에서 상하, 좌우 대칭되는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 성능에서 상하, 좌우 대칭되는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의 2개 코일(209A, 209B)의 유도 용량의 절대치 및 그가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하여 얻은 역기전력은 180도 위상각이 있어서 상호 상쇄된다. 본 실시예는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는 초고민감도와 하이파이 품질을 가진 1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자기 코일 외장형 자기식 변환기 드라이버 유니트(02)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자가 이미 공개한 PCT/CN2008/072668 도 5, 도 9 내지 도 12, 도 20, 도 21과 CN200610020317.7 명세서의 설명을 참조하고,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변환기가 동적인 작업 과정에서 역시 PCT/CN2008/072668 등 기존 기술에서 기술한 대칭 자기 회로와 대칭 코일 회로 특성을 얻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존 기술에 대하여 새로운 개선 방안을 제출한다: 상기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 및 코일(109A)과 코일(109B) 와인딩 폭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Z-Z 축선을 동일한 수평 대칭축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적의 상하, 좌우 대칭 자기 회로와 상하, 좌우 대칭 코일 회로 특성을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1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내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의 실시예이다. 2개의 동축으로 장착되는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 상기 두개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영구 자석(102)과 결합되고, 1개/혹은 1개 이상의 동일 두께로 균일 분포되는 축방향 자화 네오디움 자석(102)은 1개의 전체적인 자기 코어를 구성하도록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을 부착한다. 2조의 동일한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 매 한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변환기 드라이버 유니트(01)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도 1 실시예 명세서의 설명과 동일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프레임(101)은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1)의 하부에는 1개의 축공이 설치되어 스피커의 상기 자기 코어와 보이스 코일 프레임 워크(107)와 결합된다. 1개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브라캣(181),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원형 플랫폼(11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163)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163)의 홈 밑부분에는 2개 이상 균일하게 배치된 관통 기공(18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형 홈(163)의 외측에 상기 브라캣(181)의 개방식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내주면의 대응 축방향 높이에 수평 위치 결정면(1810)과 수직 위치 결정면(1820)이 평탄하고 가지런하게 설치되고, 브라캣(181)의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상기 프레임(101)과 결합되는 플랜지가 1개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에는 균일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볼트 홀이 형성되고, 볼트(1013)에 의해 프레임(101)과 브라캣(181)이 일체로 연결된다.
부착 성형된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자기 코어의 하부 극판(103B)의 외측 평면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된 알루미늄 합금 원편형 칸막이(1020)와 접착 고정되고, 그 다음 원편형 칸막이(1020)의 타측 평면에 다시 본딩제를 도포한 후 고정구를 이용하여 제2조 부착 성형된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자기 코어의 하부 극판(103B)과 접착 고정되며, 두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자기 코어의 극성은 도 3과 같다. 이로부터 한 쌍의 반발형 자석을 가진 동축 및 동일 지름인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 자기 코어를 형성한다. 내부 돌출 원형 플랫폼(1118)의 외측 수평면(1180)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상기 자기 코어를 상기 내부 돌출 원형 플랫폼(1118)과 프레임(101) 및 브라캣(181)의 동일한 Y-Y 축선 즉 상기 변환기의 수직 대칭축에 접착 고정한다.
1개의 상기 자기 코어와 동축으로 장착되는 튜브형 자기 요크(113)는 위에서 아래로 상기 브라캣(181)의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고, 동시에 수직 위치 결정면(1820)과 수평 위치 결정면(1810)에 의해 접착 고정되거나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101) 하부의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고 프레임(101)과 결합되거나 혹은 본딩되어 고정된다. 튜브형 자기 요크(113)의 2개의 외측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2개의 상부 극판(103A)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며, 튜브형 자기 요크(113)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면(103A), 영구 자석(102) 및 하부 극판면(103B)의 중심축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2개 상부 극판(103A)과 2개 하부 극판(103B)의 수직 주면과 튜브형 자기 요크(113)의 내주면 사이에서 4개 동축 및 동일 지름인 링형 자기 갭(110)을 구성하고, 링형 자기 갭(110) 내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인 4개 코일(109)을 삽입시키되, 매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2개 코일(109)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코일(109A)과 코일(109B)이 동일 동작 순간에 동일 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로부터 원편형 칸막이(1020)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인 등분선 W-W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부 극판(103A), 영구 자석(102)과 하부 극판(103B)의 중심 축선 Y-Y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한 쌍의 반발형 자석과,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 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 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도 1 실시예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매 조의 대칭 코일 회로의 2개 상기 코일(109A, 109B)을 직렬 연결한 후의 와인딩 방향이 마침 반대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및 와인딩시의 장력은 상호 동일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2조가 대칭되는 코일 직렬 연결 회로를 병렬 연결시키고(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여 미도시), 상기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는 한 쌍의 반발형 자석과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매 조의 직렬 연결 코일 회로 내의 역기전력이 상호 상쇄되는 내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를 구성……,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상부 극판(103A)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인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1020)를 더 접착하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1020)의 타측 평면과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상부 극판(103A)의 외측평면과 다시 접착 고정하여,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 3조 및 3조 이상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를 구성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는 동일한 중심 축선 Y-Y를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되, 동일한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동일한 상기 브라캣, 동일한 튜브형 자기 요크, 4개/혹은 6개 이상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110)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혹은 6개 이상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코일(109)을 갖고 있으며,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지는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특히 지적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1020)의 두께는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의 두께, 영구 자석(102)의 두께 및 그의 자기에너지적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른바 일정한 두께란 이 두께일 경우에만 본 실시예의 매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의 2조 대칭 자기 회로 및 2조 대칭 코일 자기 회로의 상하 대칭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며, 허용한 공차 범위에 있게 하는 두께이다.
이 밖에 브라캣(181)의 링형 홈의 둘레에 자기 회로 및 코일 회로에서 방출한 열을 배출시키고 변환기 진동 시스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관통 기공(18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캣(181)의 기하 사이즈 및 구조 강도가 허용될 때, 각각의 관통 기공(182)은 될수록 큰 투영 면적을 갖고 있되 상호 동일하게 설치한다. 변환기가 상하 피스톤 운동 과정에서 대칭 코일에 대하여 여전히 동적인 평형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링형 모양으로 진열 배치된 모든 관통 기공(182)의 원심 혹은 중심선을 각기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107) 혹은 상기 동축 및 동일 지름인 코일의 투영원의 원주선에 설치하여 상기 변환기 진동 시스템이 상하 진동시 상기 코일 회로가 반드시 좌우 대칭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2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도 3 실시예의 한가지 개선 방안이고, 중등 크기의 지름과 큰 지름의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스피커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극판(103A)과 하부 극판(103B)은 4개의 링형의 극판이고, 영구 자석(102)도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에 결합되는 축공이 설치되어 있다. 브라캣 내부 돌출 플랫폼(1118)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관통홀 혹은/관통 볼트 홀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기술된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를 조립시, 비자성체 소재 패스너(1710) 예를 들면 1Cr18Ni9Ti 스테인리스강 볼트를 위에서 아래로 비자성체 와셔(172), 상부 극판(103A), 영구 자석(102), 하부 극판(103B)과 비자성체 링형 칸막이(1020)의 컴포넌트(1710)과 결합되는 모든 축공에 삽입시키며, 브라캣(181) 하부의 내부 오목형 축공(170)에 삽입되는 비자성체 너트(175)를 통해 본 실시예의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의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자기 코어는 본딩제와 패스너의 작용력에 의해 브라캣과 하나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 방안인 것으로 브라캣(181)의 내부 돌출 플랫폼(1118)의 축심 부위에 1개의 볼트 홀(1751)을 설치하고 비자성체 패스너 볼트(1710)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 코어와 브라캣을 일체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몇 가지 변형 방안에 대하여 본 발명자가 이미 특허받은 중국 발명 특허 CN200510091936.0 도 3 내지 도 5의 명세서를 참고하고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중등 크기의 지름과 대지름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스피커는 통상적으로 4개 혹은 6개의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기에 코일 프레임 워크는 흔히 매우 길다는 점을 고려하여, 축방향 피스톤 운동과정에서 코일 프레임 워크 끝단부가 직경 방향의 편향에 의해 흔들리면서 코일 마찰 고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축방향 높이에 설치된 듀얼 댐퍼 기술 방안을 적용했다. 도 4에서와 같이 댐퍼(141-1,141-2)는 동시에 코일 프레임 워크(107)의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양자의 설치 간격이 클수록 코일 프레임 워크(107) 끝단부(링형 홈(163)에 근접)가 직경 방향의 편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안정화시키는 제어력이 크며, 스피커로부터 보이스 코일 마찰 사고가 발생하는 확률도 낮아진다.
이외에 본 실시예와 도 3 실시예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3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도 4 실시예 2의 일종의 변형 방안이다: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113)를 2개의 독립적이고 동축 및 동일 높이를 가진 튜브형 자기 요크(113)로 변경하는 동시에 이들에 결합되는 1개의 비자성체 링형 칸막이(1021)를 추가하여 2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113)를 접착하여 일체로 구성되게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며, 본 발명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1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외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의 실시예이다. 동축으로 설치된 2개의 상부 극판(203A)과 하부 극판(203B)은 링형 극판이고,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갖고 있으며, 네오디움 자석(202)과 결합되고, 1개/혹은 1개 이상의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된 축방향으로 자화된 네오디움 자석(202)이 상부 극판(203A)과 하부 극판(203B)를 부착하여 일체로 된 자기 코어를 구성한다. 2조의 완전하게 동일한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 매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변환기 드라이버 유니트(02)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도 2 실시예 명세서의 설명과 완전히 동일하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프레임(201)은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1개 축공이 설치되어 스피커의 상기 자기 코어와 보이스 코어 프레임 워크(207)와 결합되게 한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브라캣(281)은, 그의 축심 부위에 1개의 내부 돌출 원형 플랫폼(2118)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 플랫폼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212)가 설치되어 있되, 그 하부 외측에는 내부 돌출 플랫폼면(211)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263)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263)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된 관통 기공(282)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263)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281)의 개방식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그의 내주면의 대응한 축방향 높이에는 수평 위치 결정면(2810)과 수직 위치 결정면(2820)이 평탄하고 가지런하게 설치되며, 브라캣(281)의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프레임(201)과 결합되는 플랜지가 1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균일하게 배치된다수개의 볼트 홀이 형성되며, 볼트(2013)에 의해 프레임(201)과 브라캣(281)이 일체로 연결된다.
부착 성형된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자기 코어의 하부 극판(203B)의 외측 평면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된 알루미늄 합금 원편형 칸막이(2020)와 접착 고정된 다음 원편형 칸막이(2020)의 타측 평면에 다시 본딩제를 도포하나 다음 고정구를 이용하여 제2조 부착 성형된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자기 코어의 하부 극판(203B)와 접착 고정하고, 두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자기 코어 극성은 도 6과 같다. 이로부터, 한 쌍의 반발형 자석을 가진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외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 자기 코어를 형성한다.
상기 브라캣(281)의 개방식 튜브형 박벽의 수평 위치 결정면(2810)과 수직 위치 결정면(2820)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상기 자기 코어를 위에서 아래로 상기 브라캣(281)의 개방식 튜브형 박벽 내에 접착하여 고정하되, 내부 돌출 원형 플랫폼(2118), 내부 돌출 기둥체(212), 프레임(201), 브라캣(281)과 동일한 Y-Y 수직 축선에 위치하게 한다.
1개의 상기 자기 코어와 동축으로 장착되는 튜브형 자기 요크(213)는 위에서 아래로 상기 브라캣(281)의 내부 돌출 기둥체(212) 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고, 동시에 내부 돌출 플랫폼면(211)에 의해 접착하여 고정되거나 결합 고정된다. 튜브형 자기 요크(213)의 두개의 외측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2개의 상부 극판(203A)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며, 튜브형 자기 요크(213)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203A), 영구 자석(202)과 하부 극판(203B)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2개 상부 극판(203A)과 2개 하부 극판(203B)의 수직 주면과 튜브형 자기 요크(213)의 외주면 사이에서 4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210)을 구성하고, 링형 자기 갭(210)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4개 코일(209)을 삽입시키되, 매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의 2개 코일(209)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코일(209)이 동일한 동작 순간에 동일 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하도록 하여, 이로부터 원편형 칸막이(2020)의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W-W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극판(203A), 영구 자석(202)과 하부 극판(203B)의 중심 축선 Y-Y를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한 쌍의 반발형 자석과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도 2 실시예의 명세서에 설명된 것처럼 매 조의 대칭 코일 회로의 2개 상기 코일(209)이 직렬 연결한 후의 와인딩 방향이 마침 반대되며,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 및 와인딩시의 장력은 상호 동일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2조의 대칭되는 코일 직렬 연결 회로를 병렬 연결시키고(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여 미도시), 상기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는 한 쌍의 반발형 자석과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매 조의 직렬 연결 코일 회로 내부의 역기전력이 상호 상쇄되는 외장형 자기식 4-드라이버 스피커를 구성…,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상부 극판(203A)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되는 1개의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2020)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2020)의 타측 평면은 다시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상부 극판(203A)의 외 측면과 접착 고정되며,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 3조 및 3조 이상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를 형성하고,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2)는 동일한 중심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되, 동일한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튜브형 자기 요크, 4개/혹은 6개 이상의 동축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210)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혹은 6개 이상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코일(209)를 갖고 있으며,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지는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한다.
특히 지적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구성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2020)의 두께는 상부 극판(203A)과 하부 극판(203B)의 두께, 영구 자석(202)의 두께와 자기 에너지 곱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른바 일정한 두께란 이 두께인 경우에만 본 실시예의 매 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2)의 2조 대칭 자기 회로 및 2조 대칭 코일 자기 회로의 상하 대칭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며, 허용한 공차 범위에 있게 하는 두께이다.
이를 제외하고 본 실시예와 도 3 실시예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고 본 발명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2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도 6의 실시예 2의 한가지 변형 방안이다: 튜브형 자기 요크(213)를 두 개의 독립적이고 동축 및 동일 높이를 가진 튜브형 자기 요크(213)로 변경하는 동시에 이들에 결합되는 1개의 비자성체 링형 칸막이(2021)를 추가하여 두 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213)를 접착하여 일체로 구성하게 한다… 이밖에 본 실시예와 도 6 실시예 1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기에 다시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3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극판(203A, 203B)은 2개 상이한 지름을 가진 축공이 형성된 극판이다. 이로 인하여 Z축으로부터 Z축에 이르는 축 방향 거리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 2에 비해서 많이 증가되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는 더욱이 슈퍼 리니어 스트로크의 개별적 예에 적용된다. 기타 부분은 도 6의 실시예의 명세서와 완전히 일치한다.
도 9는 본 발명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실시예 4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는 변형된 브라캣(281)과 변형된 제2 프레임(2011)을 가진 실시예이다. 도면과 같이, 2개의 동일 지름인 댐퍼(241)는 W-W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미러 위치로 설치된다. 상기 브라캣(281)의 하단부는 1개의 중앙 축공을 포함하여 코일 프레임 워크(207)와 결합되는 프레임(2011)을 그 외측 평면과 결합시키고, 도치 프레임(2011)의 외측 평면에는 1개의 비자성체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플랜지가 있는 원형 플레이트(2012)가 설치되어 있고, 그중 중앙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2118)가 설치되어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Y-Y 축선과 동축으로 장착된 튜브형 자기 요크(211)의 외주면은 극판(203A, 203B)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4개 혹은 4개 이상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210)을 구성한다…, 코일 프레임 워크(207)의 직경 방향으로 편향 흔들림이 보다 훌륭하게 제어되는 상하 듀얼 댐퍼 멀티 드라이버 실시 방안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주요 컴포넌트와 부호의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
103A-603A: 상부 극판 103B-603B: 하부 극판
101-601: 프레임 1013-6013: 프레임과 브라캣 결합 볼트
1871-2871: 개방식 원통체 181-681: 브라캣
133-633: 오목부위 결합면 102-602: 영구 자석
106-606: 진동 다이어프램/평면 발음판 199-699: 돌출 에지
141-641: 댐퍼 105-605: 방진캡
107-607: 코일 프레임 워크 109-609(A/B): 코일
110-610(A/B): 링형 자기 갭 163-663: 링형 홈
111-611: 내부 돌출 플랫폼면 112-612: 내부 돌출 기둥체
11200-61200: 내부 돌출 기둥체 링형 결합면
113-613: 튜브형 자기 요크 1118-6118: 브라캣 내부 돌출 플랫폼
1810-6810: 브라캣의 튜브형 박벽 수평 위치 결정면
1820-6820: 브라캣의 튜브형 박벽 수직 위치 결정면
182-682: 관통 기공
1020, 2020:비자성체 원편형/ 혹은 링형 칸막이
1021, 2021:비자성체 원편형/ 혹은 링형 칸막이
1710-6710: 비자성체 소재 패스너
172-672:비자성체 누름판 175-675:비자성체 너트
170-670: 내부 오목형 축공

Claims (7)

  1. 자기 회로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1개의 코일 프레임 워크가 포함되고, 그 위에 상호 절연된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고,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 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을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며,
    b. 상기 자기 회로는 2개의 동축으로 장착되는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두개의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되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1개/혹은 1개 이상의 동일한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되는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키며,
    c.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 내부로 돌출되는 원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며,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며, 상기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의 대응한 축방향 높이 혹은 그의 선단부에는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평 위치 결정면과 수직 위치 결정면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더 설치되며,
    d.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은 상기 브라캣의 상기 원형 플랫폼면의 축심 부위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수직 위치 결정면과 수평 위치 결정면에 의해 접착 고정/혹은 결합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되 상기 프레임에 결합 혹은 접착 고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의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되,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순간에 동일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하며,
    e.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 형태와 전기적 성능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을 서로 반대되게 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이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 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를 구성하며,
    f.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를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의 상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다시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는 동일한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선으로 하는,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혹은 6개 이상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2. 자기 회로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코일 프레임 워크가 포함되고, 그 위에 상호 절연된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며,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을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대칭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며,
    b. 상기 자기 회로는 동축으로 장착되는 2개의 적어도 1개의 중앙 축공을 가지는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되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중앙 축공이 형성되는 링형/혹은 1개 이상의 같은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되는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키며,
    c.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원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원형 플랫폼에는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에 결합되는 중앙 축공을 가지며 상기 원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상기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의 대응한 축방향 높이 혹은 그의 선단부에는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평 위치 결정면과 수직 위치 결정면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더 설치되며,
    d.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패스너는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적어도 1개의 중앙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캣의 상기 원형 플랫폼면의 축심 부위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 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수직 위치 결정면과 수평 위치 결정면에 의해 접착 고정되거나 혹은 결합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기 원형 축공에 삽입되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거나 혹은 접착 고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되,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순간에 동일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하며,
    e.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 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을 서로 반대되게 하고, 2개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의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내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1)를 구성하며,
    f.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 외측 평면에는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을 가진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를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다시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1)는 동일한 중심의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는,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내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3. 자기 회로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브라캣,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자기 갭과 자기 갭에 삽입되는 코일 프레임 워크가 포함되고, 그 위에 상호 절연되는 전기선을 평행하게 와인딩하여 코일을 구성하고, 코일 프레임 워크와 적어도 1개의 댐퍼가 연결되는 진동 다이어프램/혹은 평면 발음판이 포함되고, 코일 프레임 워크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 혹은 평면 발음판의 진동 발성시키거나, 혹은 상기 진동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음성의 음압 변화를 감측하고, 코일에서 대응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대칭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은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혹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은 일체로 된 구조로 융합되는 프레임이며,
    b. 상기 자기 회로는 동축으로 장착되는 2개의 링형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포함하고, 두개의 상기 극판은 동일한 두께와 투영 면적을 가지되, 상기 영구 자석과 결합되며, 1개 링형/혹은 1개 이상의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축방향으로 자화되는 영구 자석이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을 전체적인 자기 코어로 연결시키며,
    c.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브라캣은 그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로 돌출되는 링형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링형 플랫폼의 축심 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가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플랫폼은 평탄하고 가지런한 수직 원주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 원주면의 외측에는 링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홈의 홈 하부에는 2개 이상의 균일하게 배치되는 관통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 홈의 외측은 상기 브라캣의 수평 위치 결정면과 개방식의 튜브형 박벽을 구성하고, 상기 튜브형 박벽 내주면의 대응된 축방향 높이에 수직 위치결정면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캣 튜브형 박벽의 선단부에는 1개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 연결되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d.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은 상기 브라캣의 상기 튜브형 박벽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 및 하부 극판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1개의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브라캣의 내부 돌출 기둥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되, 상기 링형 플랫폼면에 의하여 수평위치 결정되며,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2개의 수평 단면은 축방향 높이에서 각각 상기 상부 극판과 하부 극판의 외측 극판면보다 0.5-20 밀리미터의 H 값을 초과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의 외주면과 상기 극판 및 하부 극판의 수직 주면 사이에서 2개의 동축 및 동일 지름의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상기 링형 자기 갭의 내부에 동축 및 동일 지름의 2개의 코일을 삽입시키되, 2개의 코일의 와인딩 방향 및 코일을 유동하는 전류 방향을 설정하여, 상기 코일이 동일한 동작순간에 동일 방향의 전동력 F를 생성시키게 하며,
    e. 상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는 상기 영구 자석 2분의 1인 축방향 높이의 등분선 X-X 축선을 수평 대칭축으로 하고, 상기 상부 극판, 영구 자석과 하부 극판의 중심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축으로 하는, 기하 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일 회로를 포함하되, 2개의 상기 코일이 직렬 연결된 후의 와인딩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하고, 2개의 상기 코일의 전자기선 횡단면적, 코일 권선 개수, 코일 와인딩 폭, 코일 저항, 코일 유도 용량의 절대치와 와인딩시의 장력을 상호 동일하게 설정하여, 2개의 상기 코일의 유도 용량 및 왕복운동과정에서 감지된 역기전력(Back Electromotive Force)은 180도의 위상각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상쇄되어, 저항성 부하 특성 혹은 저항성 부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외장형 자기식 드라이버 유니트(02)를 구성하며,
    f. 상기 제1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1개의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반발형 자석 성능을 가진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를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제2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의 상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일정한 두께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를 접착시키고,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의 타측 평면은 상기 변환기의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의 상부 극판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조, 제2조, 제3조…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일 드라이버 유니트(02)는 동일한 중심의 축선 Y-Y 축선을 수직 대칭 축선으로 하고, 동일한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 동일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브라캣, 동일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 동일한 기하 사이즈의 상기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링형 자기 갭 및 그들과 결합되는 4개 혹은 6개 이상의 상기 코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한 쌍 혹은 한 쌍 이상의 반발형 자석과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초민감도 하이파이 외장형 자기식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혹은 유니트(02)의 하부 극판의 외측 평면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는 그 두께를 반발형 자기 성능을 가진 상기 2조의 듀얼 자기 갭 듀얼 코어 드라이버 유니트(01)/혹은 유니트(02)가 기하형태와 자기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자기 회로 및 기하형태와 전기적 성능면에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되는 2조의 코어 회로를 포함하도록 보장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5. 제1항,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는 상기 수직 대칭축 Y-Y 축선으로 동축 및 동일 지름인 2단/혹은 2단이상의 축방향 높이가 동일한 튜브형 자기 요크 및 1개 혹은 1개 이상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동축으로 된 원편형/혹은 링형 칸막이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6. 제1항,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캣 링형 홈에는 자기 회로 및 코일 회로가 방출한 열에너지를 배출시키고 상기 변환기 진동 시스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관통 기공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캣의 기하 사이즈 및 구조 강도가 허용시, 각각의 상기 관통 기공은 될수록 큰 투영 면적을 가지게 하되 서로 동일하게 하며, 상기 관통 기공의 원심 혹은 중심선은 각각 상기 코일 프레임 워크/혹은 상기 동축 및 동일 지름의 투영원의 원주선에 위치되고, 상기 변환기 진동 시스템이 상하 진동시 상기 코일 회로가 한결같이 상기 좌우 대칭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의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7. 제1항,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캣의 하부에는 1개의 플랜지가 설치되고, 1개의 비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플랜지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댐퍼 지름보다 큰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보다 큰 플랜지의 축심선부위에는 1개의 내부 돌출 플랫폼이 설치되고, 그 축심선 부위에 1개의 내부 돌출 기둥체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형 자기 요크가 상기 플랜지의 상기 내부 돌출 기둥체에 삽입 설치/혹은 접착 고정되어, 이로부터 동축 및 동일 지름의 상기 링형 자기 갭을 구성하고, 1개의 댐퍼는 상기 프레임의 링형 플랫폼면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플랜지에는 각각 균일하게 분포되는 산열(散熱) 공기 통풍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KR1020157004537A 2011-07-21 2012-07-20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KR20150058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16363 2011-07-21
PCT/CN2012/000977 WO2013010384A1 (zh) 2011-07-21 2012-07-20 具有对称磁路及对称线圈电路的多驱动器换能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165A true KR20150058165A (ko) 2015-05-28

Family

ID=4753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537A KR20150058165A (ko) 2011-07-21 2012-07-20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74957B2 (ko)
EP (1) EP2876897A4 (ko)
KR (1) KR20150058165A (ko)
CN (1) CN102892063B (ko)
AU (1) AU2012286430B2 (ko)
CA (1) CA2885103A1 (ko)
EA (1) EA201590217A1 (ko)
SG (1) SG11201501061TA (ko)
TW (1) TWI599242B (ko)
WO (1) WO2013010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4921B2 (en) * 2014-07-15 2017-02-28 Nokia Technologies Oy Sound transducer
US9888322B2 (en) 2014-12-05 2018-02-06 Knowles Electronics, Llc Receiver with coil wound on a stationary ferromagnetic core
US9872109B2 (en) 2014-12-17 2018-01-16 Knowles Electronics, Llc Shared coil receiver
NL2017514B1 (en) * 2016-09-22 2018-03-29 Univ Delft Tech Loudspeaker unit with multiple drive units
CN106375915B (zh) * 2016-10-31 2024-04-1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耳机
US10306370B2 (en) * 2017-01-13 2019-05-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ual coil electrodynamic transducer with channels for voice coil cooling
CN106954161A (zh) * 2017-05-13 2017-07-14 门立山 一种多磁隙多音圈扬声器
CN109842841B (zh) * 2017-11-27 2024-04-02 深圳市三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CN108600920A (zh) * 2018-01-08 2018-09-2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US10631094B2 (en) * 2018-06-08 2020-04-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crated Inverted motor transducer with central vent
CN109218933B (zh) * 2018-08-04 2021-06-15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微型发声器件
DK180111B1 (en) * 2018-10-04 2020-05-06 Upper Level Aps A magnetic system for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CN109348378A (zh) * 2018-10-18 2019-02-15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汽车
CN110719552B (zh) * 2019-10-25 2021-09-03 海鹰企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低频宽带大功率电动式换能器
CN110830890B (zh) * 2019-11-11 2021-12-28 歌尔股份有限公司 音圈组件及扬声器
CA3165686A1 (en) * 2020-01-21 2021-07-29 Clean Energy Labs, Llc Electroacoustic drivers and loudspeakers containing same
US20230164492A1 (en) 2020-04-08 2023-05-25 Michel OLTRAMARE Dual axial magnetic flux induction speaker
WO2022062332A1 (zh) * 2020-09-23 2022-03-31 苏州登堡电子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复合华司磁路组件
CN112383854B (zh) * 2020-11-30 2022-05-03 瑞声新能源发展(常州)有限公司科教城分公司 发声装置
FR3123533B1 (fr) * 2021-05-31 2023-12-08 Devialet Moteur de Haut-parleur à deux aimants opposés
US20220386035A1 (en) * 2021-06-01 2022-12-01 Resonado, Inc. Speaker comprising split gap plat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294A (ja) 1996-05-27 1997-12-12 Sony Corp トリプルコイルスピーカ
AU4419000A (en) * 1999-04-29 2000-11-17 New Transducers Limited Moving coil driver
CN1119918C (zh) * 1999-08-20 2003-08-27 张凡 双线圈双磁隙换能器
US20050099255A1 (en) 2000-08-18 2005-05-12 Fan Zhang Transducer with dual coil and dual magnetic gap
CN101409853A (zh) * 2007-10-13 2009-04-15 张凡 具有音频数字接口的多媒体音响系统
WO2009046682A1 (fr) * 2007-10-13 2009-04-16 Fan Zhang Système acoustique multimédia ayant une interface numérique à fréquence audio
CN101711008B (zh) * 2007-10-13 2013-03-27 张凡 具有音频数字接口的多媒体音响系统
CN101415143A (zh) * 2007-10-15 2009-04-22 张凡 具有音频数字接口的多媒体音响系统
EA023690B1 (ru) * 2008-02-21 2016-07-29 Шенцхен Нью Электрик Сайэнс Энд Текнолоджи Ко., Лтд. Внутренний магнит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 несколькими магнитными зазорами и несколькими катушк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8781150B2 (en) * 2011-02-14 2014-07-15 Robert Bosch Gmbh Multiple magnetic air gap motor
CN102118672A (zh) * 2011-03-28 2011-07-06 苏州上声电子有限公司 扬声器振动膜片及扬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6897A1 (en) 2015-05-27
SG11201501061TA (en) 2015-04-29
EA201590217A1 (ru) 2015-07-30
CN102892063A (zh) 2013-01-23
AU2012286430A1 (en) 2015-03-12
WO2013010384A1 (zh) 2013-01-24
AU2012286430B2 (en) 2016-07-14
CA2885103A1 (en) 2013-01-24
US20150271605A1 (en) 2015-09-24
TW201315258A (zh) 2013-04-01
EP2876897A4 (en) 2016-01-13
CN102892063B (zh) 2018-05-01
TWI599242B (zh) 2017-09-11
US9774957B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165A (ko) 대칭 자기 회로 및 대칭 코일 회로를 가진 멀티 드라이버 변환기
KR101265824B1 (ko) 멀티 자기 갭 다중 코일 내부 자성 타입 변환기 및 그 제조방법
US7706563B2 (en) Concentric radial ring motor
US8135162B2 (en) Multiple magnet loudspeaker
US8249291B2 (en) Extended multiple gap motors for electromagnetic transducers
CN1638529A (zh) 磁路和扬声器
EP2663092A2 (en) Acoustic device
TW201309049A (zh) 雙磁鐵雙磁隙雙線圈換能器的驅動器
US20050099255A1 (en) Transducer with dual coil and dual magnetic gap
JP2014045483A (ja) デュアル電磁アセンブリを有するラウドスピーカドライバ
CN113163307A (zh) 扬声器
JP2003032786A (ja) 角形スピーカ
CN209170652U (zh) 一种扬声器
JPH06233384A (ja) スピーカ
JP2008167247A (ja) ボイスコイル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US20040013282A1 (en) Electromagnetic linear motor for loudspeakers and the like
JP2015522230A (ja) 対称的に配置する磁気回路並びにコイル回路を備えるマルチ駆動器変換器
KR20040078705A (ko) 경량 스피커
CN102833655A (zh) 一种喇叭及其生产方法
JP2002078083A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
JPH099391A (ja) 反発磁気回路型スピーカ
JPH11122695A (ja) 電気音響変換器用磁気回路
JP2009171186A (ja) スピーカ
JPH09322291A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