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579A - 리드 로크 구조 - Google Patents

리드 로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579A
KR20150055579A KR1020140156057A KR20140156057A KR20150055579A KR 20150055579 A KR20150055579 A KR 20150055579A KR 1020140156057 A KR1020140156057 A KR 1020140156057A KR 20140156057 A KR20140156057 A KR 20140156057A KR 20150055579 A KR20150055579 A KR 2015005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ead
shutter
lock pin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704B1 (ko
Inventor
다카야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로크 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로크 핀(16)이 로크 해제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로부터 빠져서 후퇴 위치로 된다. 이로 인해, 셔터(42)가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폐색하고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퓨얼 리드 오프너의 개방 조작이 정지되고,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진 위치 방향으로 이동해도,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에 닿아서 로크 핀(16)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42)에 의해서,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의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이 저지되어 퓨얼 리드(14)의 재로크가 방지된다.

Description

리드 로크 구조{LID LOCK STRUCTURE}
본 발명은 차체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리드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리드 로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퓨얼 필러 도어(리드)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훅에 차체측에 설치된 스토퍼가 걸어 맞춤과 아울러, 케이블의 견인 조작에 의해서, 스토퍼를 걸어 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리드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2-12133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예를 들면, 한랭지 등에 있어서, 동결에 의해 리드가 급유구의 주위에 고착된 상태로 되어 케이블을 견인 조작해도, 리드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의 견인 조작을 정지하면, 스토퍼가 걸어 맞춤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리드가 재차 로크된다. 그로 인해, 운전자는 리드의 동결을 손으로 두드리는 등으로 하여 제거하고, 재차, 운전석으로 되돌아가서 케이블의 견인 조작에 의해 로크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2번에 걸쳐서 케이블의 견인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로크 구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본체에 장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리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축 방향을 따라서 걸어 맞춤 위치와 걸어 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로크 핀과, 상기 리드에 설치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 된 상기 로크 핀이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리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로크 핀이 걸어 맞춘 상기 개구면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면을 폐색하고 상기 로크 핀의 상기 걸어맞춤부로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셔터와,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 부재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본체에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리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리드에 설치된 로크 부재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본체에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핀이 걸어 맞추어 걸어 맞춤 위치로 된다. 이로 인해, 로크 핀이 리드를 폐쇄 위치로 유지한다. 이때,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 셔터는, 로크 핀이 걸어 맞춘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되어 있다.
한편, 리드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에 의해서, 로크 핀이 축 방향으로 후퇴하여 걸어맞춤부로 벗어난 걸어 맞춤 해제 위치가 되면, 셔터가 로크 핀으로부터 벗어나고, 탄지 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폐색하며, 로크 핀의 걸어맞춤부로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리드가 폐쇄 위치에 머문 상태에서, 리드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정지되고, 로크 핀이 걸어맞춤부에 재차 걸어 맞추려고 한 경우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에 의해서, 로크 핀의 걸어맞춤부로의 걸어 맞춤이 저지된다. 이 결과, 리드의 재로크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리드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로크 핀을 상기 걸어 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어 맞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되돌림과 아울러, 상기 로크 핀을 상기 셔터의 폐쇄측단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는 가이드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로 이동함으로써, 로크 핀이 가이드부에 의해서, 걸어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또, 리드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로크 핀이 셔터의 폐쇄측단으로 가이드되어 로크 핀에 의해 셔터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리드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이 걸어맞춤부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리드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리드 폐쇄 방향 선단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의 폐쇄측단에 도달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드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로크 핀이 로크 부재의 리드 폐쇄 방향 선단에서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경사면의 단부가 도달하고 있는 셔터의 폐쇄측단에 닿는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리드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이 걸어맞춤부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드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된 홈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셔터가 로크 부재에 형성된 홈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셔터와 로크 부재가 일체로 된다. 이 결과, 로크 부재에 로크 핀을 걸어 맞추기 위한 구성과, 셔터에 의해서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하는 구성을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드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크 부재에 설치된 장착부를,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를 리드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로크 부재에 설치된 장착부와,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를 리드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부재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리드 로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크 부재에 설치된 장착부를,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를 리드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로크 부재에 설치된 장착부와,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를 리드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부재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이 걸어맞춤부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리드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이 걸어맞춤부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부재에 로크 핀을 걸어 맞추기 위한 구성과, 셔터에 의해서 리드의 재로크를 방지하는 구성을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로크 부재의 셔터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차체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로크 부재의 셔터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차체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차체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로크 부재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차체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리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리드 폐쇄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리드 로크 구조의 리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리드 로크 구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적절하게 나타내는 화살표(FR)는 본 실시형태의 리드 로크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차체의 전방을 나타내며, 화살표(IN)는 차폭 내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리드 로크 구조는, 일례로서 차량(자동차)의 측벽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본체로서의 보디 패널(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 패널(10)에는 급유구(12)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요함(凹陷)되어 있다. 또한, 급유구(12)의 바닥부(차폭 방향 내측부, 12A)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캡으로 폐색된 연료 주입용 파이프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연료 주입용 파이프는 연료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급유구(12)의 개구면에는 리드로서의 퓨얼 리드(1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퓨얼 리드(14)는 전방부가 힌지에 의해서, 보디 패널(10)에 장착되어 있으며,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급유구(12)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폐쇄 위치(도 5의 위치)와, 개구면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힌지에는 퓨얼 리드(14)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방향[도 5의 화살표(A)와 반대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급유구(12)의 차체 후방측의 측벽부(12B)에는, 로크 핀(16)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크 핀(16)은, 보디 패널(10)의 급유구(12)의 측벽부(12B)에 고정된 케이스(18)의 내부에 축 방향이 되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8)의 내부에 선단(16A)의 근방까지 삽입되는 후퇴 위치(도 5의 실선의 위치)와, 케이스(18)로부터 선단(16A)이 크게 돌출하는 전진 위치(도 5의 이점쇄선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8)의 내부에는, 로크 핀(16)을 후퇴 위치에서 전진 위치 방향 [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20)이 설치되어 있다. 또, 로크 핀(16)에는, 와이어(2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22)는, 운전석 부근에 배치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퓨얼 리드 오프너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퓨얼 리드 오프너가 개방 조작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22)를 통하여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로크 해제 위치 방향[도 5의 화살표(D)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하고,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부터 빠져 나가, 로크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퓨얼 리드(14)의 이면측에는, 장착부(14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 (14A)에는 피장착부로서의 걸어맞춤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14A)에 있어서의 걸어맞춤구멍(26)의 차체 전방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장착구멍 (28)이 형성되어 있다.
퓨얼 리드(14)의 이면측에는, 블록 형상의 로크 부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크 부재(30)는, 장착벽부(30A)가 퓨얼 리드(14)의 장착부(14A)에 고정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30)의 장착벽부(30A)의 후벽부로부터는, 급유구(12)의 바닥 방향으로 향하여 본체부(30B)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30)의 장착벽부(30A)에는, 장착부로서의 훅(32)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훅(32)의 선단부(32A)는 차체 후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훅(32)의 선단부(32A)가 장착부(14A)의 걸어맞춤구멍(26)에 걸어 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30)의 장착벽부(30A)에 있어서의 훅(32)의 전방에는 긴 구멍(34)이, 그 길이 방향을 훅(32)의 선단부(32A)의 굴곡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34)과 장착구멍(28)을 삽입하는 스터드 볼트(36)에는 너트(38)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30)에 설치된 훅(32)의 선단부(32A)를, 퓨얼 리드(14)의 장착부(14A)의 걸어맞춤구멍(26)에 걸어 맞추고, 로크 부재(30)의 긴 구멍(34)과 퓨얼 리드(14)의 장착부(14A)를 삽입하는 스터드 볼트(36)에 너트(38)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30)를 퓨얼 리드(1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스터드 볼트(36)와 너트(38)를 떼어 내고, 훅(32)과 걸어맞춤구멍(26)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30)를 퓨얼 리드(14)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0B)의 후벽부(30C)의 중앙부에는 걸어맞춤부로서의 걸어 맞춤 오목부(40)가 요함되어 있으며,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은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본체부(30B)의 후벽부(30C)에 있어서의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하방측에는, 가이드부로서의 경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44)은 경사면(44)의 폭 방향 양 외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30B)의 경사부(30E)에 비하여 경사 각도가 크게 되어 있으며, 경사면(44)은 본체부(3OB)의 경사부(30E)에 비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0B)의 내부에는 셔터 (4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셔터(42)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폭 방향 양단부(42A)가, 각각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0B)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홈부(4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방향 중앙부(42B)에 있어서의 이면측에는 볼록부(5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50)와 장착벽부(30A)의 사이에는,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52)은 셔터(42)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도 3의 화살표(C)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44)은 로크 부재(30)의 리드 폐쇄 방향 선단(도 6의 하방측 선단, 30D)에서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향하여 경사진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 경사면(44)에 있어서의 걸어 맞춤 오목부(40)측의 단부(44A)가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방향 중앙부(42B)에 도달하고 있다. 한편, 셔터(42)는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따라서 폐쇄 방향[도 3의 화살표(C) 방향]과 개방 방향[도 3의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셔터(42)는 로크 핀(16)이 걸어 맞춘 걸어 맞춤 오목부(4O)의 개구면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8의 위치)와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폐쇄하는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도 5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방향[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에 이동하면, 전진 위치에 있는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0B)의 경사면(44)에 닿고, 경사면(44)과 슬라이딩 이동하여 후퇴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즉, 경사면(44)으로부터의 분력에 의해서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방향[도 7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크 핀(16)이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 방향 중앙부 (42B)에 도달하고, 셔터(42)를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도 3의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에 도달하면,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로크 위치 방향[도 8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하고,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 내로 비집고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2)의 폭 방향 양단부(42A)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폐쇄측단에는 스토퍼(5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의 스토퍼(51)가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 가장자리부(40A)에 닿는 것에 의해, 셔터(42)가 폐쇄 위치에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30B)의 후벽부(30C)에 있어서의 경사면 (44)측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다른 외주부에는 프로텍터(5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56)는 보디 패널(10)과 퓨얼 리드(14)의 틈새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57)가 삽입되었을 때에, 공구(57)의 선단(57A)이 셔터(42)나 로크 핀(16)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ㆍ효과)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에 걸어 맞추고 있다. 또, 셔터(42)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해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도 3의 화살표(C)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로크 핀(16)의 외주부에 닿아 있다. 이로 인해, 로크 핀(16)은 전진 위치에 있으며, 셔터(42)는 개방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로크 상태).
상기 로크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퓨얼 리드 오프너를 개방 조작하면, 와이어(22)를 통하여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로크 해제 위치 방향[도 8의 화살표(D)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한다. 그리고 로크 핀 (16)의 로크 해제 위치 방향으로의 축 방향 이동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로크 핀 (16)의 선단(16A)이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부터 빠져 나가,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16)이 로크 해제 위치 방향으로 더 축 방향 이동하면,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로부터 빠져서 후퇴 위치가 된다. 이로 인해, 셔터(42)는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폐쇄하고, 로크 핀(16)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도 5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2)의 스토퍼(51)가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 가장자리부(40A)에 닿는 것에 의해, 셔터(42)가 폐쇄 위치에 정지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퓨얼 리드 오프너의 개방 조작을 정지하고, 로크 핀 (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후퇴 위치에서 전진 위치 방향[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해도,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셔터(42)에 부딪쳐서 로크 핀(16)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42)에 의해서, 로크 핀(16)의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로의 걸어 맞춤이 저지되어 퓨얼 리드(14)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랭지 등에 있어서, 동결에 의해 퓨얼 리드(14)가 급유구(12)의 주위에 고착된 상태로 되어, 퓨얼 리드 오프너를 개방 조작해도, 퓨얼 리드(14)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라도, 퓨얼 리드(14)의 재로크가 방지된다. 이로 인해, 하차한 운전자가 퓨얼 리드(14)가 동결에 의해 개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고, 손으로 두드리는 등으로 하여 퓨얼 리드(14)의 동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퓨얼 리드 (14)는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개방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운전자는 운전석으로 재차 되돌아가서 퓨얼 리드 오프너의 개방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 작업이 종료된 후, 운전자에 의해서 퓨얼 리드(14)가 수동으로 폐쇄 방향[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되면, 퓨얼 리드 (14)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해 간다. 이때, 전진 위치에 있는 로크 핀(16)의 선단 (16A)이,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0B)의 경사면(44)에 닿고, 경사면(44)과 슬라이드 이동하여 후퇴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경사면 (44)으로부터의 분력에 의해서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 방향[도 6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로크 핀(16)이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 방향 중앙부(42B)에 도달하고, 로크 핀(16)의 외주부가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 방향 중앙부(42B)에 닿는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 방향[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로크 핀(16)에 의해서 셔터(42)가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도 3의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 방향[도 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로크 핀(16)이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에 대응한 시점에서, 로크 핀(16)이 코일 스프링(20)의 탄지력에 의해서 로크 위치 방향[도 8의 화살표(B)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한다. 이로 인해, 로크 핀(16)의 선단(16A)이 로크 부재(30)의 걸어 맞춤 오목부(40) 내로 비집고 들어간다. 이 결과,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16)이 걸어 맞춤 오목부(40)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가 로크 부재(30)의 리드 폐쇄 방향 선단(도 6의 하방측 선단)에서 걸어 맞춤 오목부(40)의 개구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면(44)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퓨얼 리드(14)가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에, 로크 핀(16)이 걸어 맞춤 오목부(40)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셔터(42)가 로크 부재(30)에 형성된 홈부(46)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셔터(42)와 로크 부재(30)가 일체로 된다. 이 결과, 로크 부재(30)에 로크 핀(16)을 걸어 맞추기 위한 구성과 셔터(42)에 의해서 퓨얼 리드(14)의 재로크를 방지하는 구성을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30)에 설치된 훅(32)의 선단부(32A)를, 퓨얼 리드(14)의 장착부(14A)의 걸어맞춤구멍(26)에 걸어 맞추고, 로크 부재(30)의 긴 구멍(34)과 퓨얼 리드(14)의 장착부(14A)를 삽입하는 스터드 볼트(36)에 너트 (38)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30)를 퓨얼 리드(1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스터드 볼트(36)와 너트(38)를 떼어내고, 훅(32)과 걸어맞춤구멍(26)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30)를 퓨얼 리드(14)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부재(30)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또, 보디 패널(10)측의 가공을 최소한으로 하여 퓨얼 리드(14)의 재로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로크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0B)의 후벽부(30C)에 형성한 프로텍터(56)에 의해서, 보디 패널(10)과 퓨얼 리드(14)의 틈새로, 도둑질 등의 목적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57)가 삽입되었을 때에, 공구(57)의 선단(57A)이 셔터(42)나 로크 핀(16)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설명)
또한,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리드 로크 구조에서는, 본체로서의 보디 패널(10)에 리드로서의 퓨얼 리드 (14)를 장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리드 로크 구조는, 보디 패널(10) 이외의 본체에, 퓨얼 리드(14) 이외의 리드를 장착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리드 로크 구조에서는, 경사면(44)을 평면으로 했지만, 경사면(44)을 볼록 형상 등의 만곡면으로 해도 좋다. 또, 가이드부는 경사면(44)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로크 부재(30)에 형성되고, 퓨얼 리드(14)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로크 핀(16)을 걸어 맞춤 위치에서 걸어 맞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되돌림과 아울러, 로크 핀(16)을 셔터(42)의 폐쇄측단의 폭 방향 중앙부(42B)로 가이드 하여 셔터(42)를 개방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리드 로크 구조에서는,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춤 오목부 (40)로 했지만, 걸어 맞춤 오목부(40)에 대신하여 걸어 맞춤 볼록부 등의 다른 걸어맞춤부를 로크 부재(30)에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리드 로크 구조에서는, 탄지부재로서 코일 스프링(52)을 사용했지만, 코일 스프링(52)에 대신하여 판 스프링 등의 다른 탄지부재를 사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보디 패널(본체) 14: 퓨얼 리드(리드)
16: 로크 핀 26: 걸어맞춤구멍(피장착부)
28: 장착구멍 30: 로크 부재
32: 훅(장착부) 34: 긴 구멍
40: 걸어 맞춤 오목부(걸어맞춤부) 42: 셔터
44: 경사면(가이드부) 46: 홈부
52: 코일 스프링(탄지부재) 56: 프로텍터

Claims (6)

  1. 본체에 장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리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축 방향을 따라서 걸어 맞춤 위치와 걸어 맞춤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로크 핀과,
    상기 리드에 설치된 로크 부재와,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 된 상기 로크 핀이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리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로크 핀이 걸어 맞춘 상기 개구면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면을 폐색하고 상기 로크 핀의 상기 걸어맞춤부로의 걸어 맞춤을 저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 셔터와,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리드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로크 핀을 상기 걸어 맞춤 위치에서 상기 걸어 맞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되돌림과 아울러, 상기 로크 핀을 상기 셔터의 폐쇄측단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시키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크 부재의 상기 리드 폐쇄 방향 선단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의 개구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이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의 폐쇄측단에 도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로크 부재에 형성된 홈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에 형성된 피장착부에 걸어 맞추어지는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로크 구조.
KR1020140156057A 2013-11-13 2014-11-11 리드 로크 구조 KR101594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4995 2013-11-13
JP2013234995A JP6097672B2 (ja) 2013-11-13 2013-11-13 リッドロック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79A true KR20150055579A (ko) 2015-05-21
KR101594704B1 KR101594704B1 (ko) 2016-02-16

Family

ID=5319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57A KR101594704B1 (ko) 2013-11-13 2014-11-11 리드 로크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97672B2 (ko)
KR (1) KR10159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5199B (zh) * 2019-01-08 2023-07-28 永康市知路科技有限公司 周转箱自动锁扣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330A (ja) 1988-10-31 1990-05-09 Hitachi Ltd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9456U (ko) * 1988-02-26 1989-09-04
JP2006224727A (ja) * 2005-02-15 2006-08-31 Toyota Motor Corp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1330A (ja) 1988-10-31 1990-05-09 Hitachi Ltd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94160A (ja) 2015-05-18
KR101594704B1 (ko) 2016-02-16
JP6097672B2 (ja)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240B2 (en) Closing device for furniture
US7967399B1 (en) Linearly actuated chassis lock for a drawer slide
EP2763866B1 (en) A device for closing the access compartment of a filler pipe of a car fuel tank
JP6232336B2 (ja) ラッチ装置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1594704B1 (ko) 리드 로크 구조
KR20170076371A (ko)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US9033391B2 (en) Flap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060096614A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CN110293837B (zh) 车辆用供油部构造
CN109866608B (zh) 车辆用供油部构造
JP6477035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371272B1 (ko) 틸팅 슬라이딩 타입 연료도어 구조
RU127698U1 (ru) Зажимной фиксатор для блокировки частей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3073866B1 (en) Locking device comprising a locking element movable in a groove between an unlocked position and a locked position
JP4856491B2 (ja) ドア開閉装置
JP6219748B2 (ja) 小物入れ
JP2007182734A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7175561B2 (ja) コンセントユニット
NL2013488B1 (en) Vehicle gear shift lever interlock lock.
KR102395277B1 (ko) 트럭용 리어 포스트
KR20015829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기구
KR20160014257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1629132B1 (ko) 자동차용 개폐구조물의 잠금장치
JP5107536B2 (ja) 車両用係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