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277B1 - 트럭용 리어 포스트 - Google Patents
트럭용 리어 포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5277B1 KR102395277B1 KR1020160156630A KR20160156630A KR102395277B1 KR 102395277 B1 KR102395277 B1 KR 102395277B1 KR 1020160156630 A KR1020160156630 A KR 1020160156630A KR 20160156630 A KR20160156630 A KR 20160156630A KR 102395277 B1 KR102395277 B1 KR 102395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ker
- opening
- closing member
- hol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swing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락킹 위치와 언락킹 위치 사이 구간에서 왕복 이송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제1 필러; 상기 스트라이커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스트라이커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라이커홀을 구비하는 제2 필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패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홀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스트라이크홀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럭용 리어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트럭은 운전석 후방에 화물을 적재 가능한 화물 공간이 마련되며, 이러한 화물 공간은 사이드 게이트와 테일 게이트에 의해 구획된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는 트럭에 힌지 결합되며, 이러한 테일 게이트를 회동시켜 화물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이러한 테일 게이트를 락킹 또는 언락킹 할 수 있도록 테일 게이트와 사이드 게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어 포스트를 구비한다.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0)에 장착되는 제1 필러(30)와, 사이드 게이트(20)에 장착되는 제2 필러(40)를 구비한다.
제1 필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를 미리 정해진 간격(L1)만큼 서로 이격된 락킹 위치(P1)와 언락킹 위치(P2) 사이 구간에서 왕복 이송 가능한 레버(32)를 구비한다. 스트라이커(34)는 테일 게이트(10)를 락킹 또는 언락킹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2 필러(40)의 일측면과 대면하는 제1 필러(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릿(36, 도면에 부호 추가 필요)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제2 필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를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수용 공간(42)과, 스트라이커(34)의 왕복 이송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2 필러(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홀(44)과,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스트라이커(34)를 수용 공간(42)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용 공간(42)으로부터 인출된 스트라이커(34)를 다시 수용 공간(42)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2 필러(40)의 전면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홀을(46) 구비한다.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에 있어서, 스트라이커(34)가 락킹 위치(P1)에 배치되도록 레버(32)를 회전 조작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를 제2 필러(40)의 수용 공간(42)으로부터 인출할 수 없도록 스트라이커(34)와 스트라이커홀(46)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테일 게이트(10)가 락킹된다. 또한,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에 있어서, 스트라이커(34)를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되도록 레버(32)를 회전 조작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를 제2 필러(40)의 수용 공간(42)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34)와 스트라이커홀(46)이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됨으로써 테일 게이트(10)가 언락킹된다.
이러한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10)의 락킹 여부와 상관 없이 스트라이커홀(46)이 항상 개방된다. 따라서,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는, 스트라이커홀(46)을 통해 수용 공간(42)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과, 스트라이커홀(46)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먼지, 빗물, 눈 등)이 수용 공간(42)으로 유입되어 오염, 결빙 등으로 인한 작동 불량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의 락킹될 때 스트라이커홀이 폐쇄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트럭용 리어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는, 미리 정해진 락킹 위치와 언락킹 위치 사이 구간에서 왕복 이송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제1 필러; 상기 스트라이커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스트라이커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라이커홀을 구비하는 제2 필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패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홀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스트라이크홀 커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라이크홀 커버는, 상기 락킹 위치와 상기 언락킹 위치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필러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걸림홈이 상기 언락킹 위치와 상기 락킹 위치 사이의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의 이송 구간을 제한 가능한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걸림홈과 상기 스트라이크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홀과 상기 개구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의 이송 가능 구간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제2 필러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가이드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걸림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플레이트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비해 큰 단면적을 갖는 플렌지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필러와 상기 걸림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언락킹 위치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는, 테일 게이트가 락킹되었을 경우에는 스트라이커홀이 개폐 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테일 게이트가 언락킹되었을 경우에만 스트라이커홀이 한시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는, 스트라이커홀을 통해 스트라이커의 수용 공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라이커홀을 통해 스트라이커의 수용 공간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 결빙 등으로 인한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가 트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러 커버, 개폐 부재 및 스토퍼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 부재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러 커버, 개폐 부재 및 스토퍼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 부재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어 포스트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락킹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리어 포스트(이하, '리어 포스트(2)'라고 함)는, 제1 필러(30)와, 제2 필러(50)와, 개폐 부재(60)와, 스토퍼(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필러(30)는, 종래의 트럭용 리어 포스트(1)에 포함된 제1 필러(30)(도 1 내지 도 3 참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 필러(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 필러(50)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러(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필러 본체(51)와, 필러 본체(51)의 상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필러 커버(52)를 구비할 수 있다.
필러 본체(51)는, 수용 공간(53)과, 제1 가이드홀(54)과, 스트라이커홀(55)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53)은 스트라이커(34)의 적어도 일부분(이하, '스트라이커(34)'라고 함)을 수용 가능하도록 필러 본체(51)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54)은 스트라이커(34)가 제1 가이드홀(54)을 통해 수용 공간(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필러(30)와 대면하는 필러 본체(5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54)은 락킹 위치(P1)로부터 언락킹 위치(P2)까지 연장 형성되어 레버(32)에 의한 스트라이커(34)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홀(55)은 언락킹 위치(P2)와 대응하도록 필러 본체(51)의 전면에 형성된다. 스트라이커홀(55)은 언락킹 위치(P2)와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54)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홀(55)은 스트라이커(34)를 스트라이커홀(55)을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스트라이커홀(55)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필러 커버(52)는 필러 본체(51)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필러 본체(51)의 상단 개구부에 장착된다. 필러 커버(52)는, 하단부가 언락킹 위치(P2)에 비해 높게 위치하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필러 커버(52)는 제1 가이드홀(54)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2 가이드홀(5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홀(56)은 제1 가이드홀(54)과 함께 레버(32)에 의한 스트라이커(34)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러 커버, 개폐 부재 및 스토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 부재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개폐 부재(60)는, 스트라이커(34)와 후술할 스토퍼(70)의 플렌지(76)가 각각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걸림 플레이트(61)와, 스트라이커(34)가 락킹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홀(55)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스트라이크홀 커버(63)와, 스트라이커(34)를 스트라이커홀(55) 쪽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걸림 플레이트(61)와 스트라이크홀 커버(63)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6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부재(60)는 수용 공간(53)의 내부에 스트라이커(34)의 왕복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 플레이트(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플레이트(61)는, 걸림홈(67)과, 삽입홀(69)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6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가 걸림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34)와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갖고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에 의해 스트라이커(34)의 왕복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삽입홀(6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67)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걸림 플레이트(61)의 일측 단부에 천공된다. 이러한 삽입홀(69)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70)의 가이드바(7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60)는, 가이드바(72)의 안내 하에 스트라이커(34)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스트라이크홀 커버(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위치(P1)와 언락킹 위치(P2) 사이의 간격(L1)만큼 걸림 플레이트(61)로부터 이격되도록 개폐 부재(60)의 하부에 마련되며, 스트라이커홀(55)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스트라이크홀 커버(63)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 및 스트라이커(34)가 걸림된 걸림홈(67)이 락킹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홀(55)과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홀(55)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개폐 부재(60)는, 제1 가이드홀(54)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스트라이크홀 커버(63)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이드홀 커버(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홀 커버(6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 및 스트라이커(34)가 걸림된 걸림홈(67)이 락킹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홀(55)과 연결된 제1 가이드홀(54)의 하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개구부(6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홀(55)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걸림 플레이트(61)와 스트라이크홀 커버(63)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경우에, 스트라이커(34)를 개구부(65)와 스트라이크홀(55)를 통해 수용 공간(53)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퍼(70)는 개폐 부재(60)의 이송 구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경우에도 스트라이커(34)가 걸림홈(67)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면 스트라이커(34)를 스트라이커홀(55)을 통해 인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경우에는 스트라이커(34)가 걸림홈(67)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개폐 부재(60)의 이송 구간을 제한 가능한 스토퍼(7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72)와, 개폐 부재(60)를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74)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바(7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플레이트(61)의 삽입홀(69)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는 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바(7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필러 커버(52)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스트라이커(34)의 이송 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바(72)는,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락킹 위치(P2)에 비해 락킹 위치(P1)에 가깝게 위치한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P3)에 하단부가 배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L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72)의 길이(L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플레이트(61)가 후술할 플렌지(76)에 걸림되었을 때 개구부(65)가 스트라이커홀(55)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정해진다.
가이드바(7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플레이트(61)의 삽입홀(69)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러면, 개폐 부재(60)는 이러한 가이드바(72)의 안내 하에 스트라이커(34)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바(72)의 하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69)에 비해 큰 단면적을 갖는 플렌지(7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렌지(76)는, 걸림 플레이트(61)가 락킹 위치(P1)와 플렌지(76)의 상기 특정 위치(P3) 사이 구간에만 제한적으로 위치하도록 개폐 부재(60)의 이송 구간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위치(P1)에 배치된 스트라이커(34)를 레버(32)를 이용해 언락킹 위치(P2)로 이송할 경우에, 개폐 부재(60)는 스트라이커(34)와 함께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이송되다가 걸림 플레이트(61)의 바닥면이 플렌지(76)에 걸림됨으로써 정지되고, 스트라이커(34)는 개폐 부재(60)가 정지될 때 개폐 부재(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언락킹 위치(P2)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74)는, 필러 커버(52)의 하단부와 걸림 플레이트(6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며 개폐 부재(60)를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탄성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74)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72)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단부는 필러 커버(52)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는 걸림 플레이트(6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7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가 개폐 부재(6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개폐 부재(60)를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탄성 가압하여, 개구부(65)가 스트라이커홀(55)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개폐 부재(60)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테일 게이트(10)의 락킹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4)가 스트라이커홀(55)을 통해 수용 공간(53)에 삽입되도록 테일 게이트(10)를 회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락킹 위치(P2)에 배치된 스트라이커(34)가 락킹 위치(P1) 쪽으로 이송되도록 레버(32)를 조작하여, 테일 게이트(10)를 락킹한다. 한편, 스트라이커(34)가 락킹 위치(P1)로 이송 중인 과정에서, 스트라이커(34)는 걸림 플레이트(61)의 걸림홈(67)에 걸림된다. 이로 인해, 개폐 부재(60)는 스트라이커(34)에 의해 락킹 위치(P1) 쪽으로 이송되고, 스트라이커홀(55)은 개폐 부재(60)의 스트라이크홀 커버(63)에 의해 폐쇄되고, 탄성 부재(74)는 걸림 플레이트(61)에 의해 탄성 압축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테일 게이트(10)를 언락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위치(P1)에 배치된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이송되도록 레버(32)를 조작한다. 한편, 스트라이커(34)가 언락킹 위치(P2)로 이송 중인 과정에서, 개폐 부재(60)는 탄성 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라이커(34)와 함께 언락킹 위치(P2) 쪽으로 이송되다가 가이드바(72)의 플렌지(76)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먼저 정지되고, 스트라이커(34)는 이처럼 정지된 개폐 부재(60)와 분리된다. 이로 인해, 개폐 부재(60)는 개구부(65)와 스트라이커홀(55)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스트라이커(34)는 개폐 부재(60)와 분리된 상태로 언락킹 위치(P2)에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테일 게이트(10)는 언락킹된다.
다음으로, 스트라이커(34)가 스트라이커홀(55)을 통해 수용 공간(53)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테일 게이트(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포스트(2)는, 테일 게이트(10)를 락킹할 때에는 스트라이크홀 커버(63)를 이용해 스트라이커홀(55)을 폐쇄하고 테일 게이트(10)를 언락킹할 때에는 스트라이커홀(55)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리어 포스트(2)는, 외부의 이물질(먼지, 빗물, 눈 등)이 스트라이커홀(55)을 통해 수용 공간(53)으로 유입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오염 또는 결빙으로 인해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종래의 리어 포스트
10 : 테일 게이트
20 : 사이드 게이트
30 : 제1 필러
32 : 레버
34 : 스트라이커
36 : 슬릿
40 : 제2 필러
42 : 수용 공간
44 : 가이드홀
46 : 스트라이커홀
50 : 제2 필러
51 : 필러 본체
52 : 필러 커버
53 : 수용 공간
54 : 제1 가이드홀
55 : 스트라이커홀
56 : 제2 가이드홀
60 : 개폐 부재
61 : 걸림 플레이트
63 : 스타라이크홀 커버
64 : 가이드홀 커버
65 : 개구부
67 : 걸림홈
69 : 삽입홀
70 : 스토퍼
72 : 가이드바
74 : 탄성 부재
76 : 플렌지
10 : 테일 게이트
20 : 사이드 게이트
30 : 제1 필러
32 : 레버
34 : 스트라이커
36 : 슬릿
40 : 제2 필러
42 : 수용 공간
44 : 가이드홀
46 : 스트라이커홀
50 : 제2 필러
51 : 필러 본체
52 : 필러 커버
53 : 수용 공간
54 : 제1 가이드홀
55 : 스트라이커홀
56 : 제2 가이드홀
60 : 개폐 부재
61 : 걸림 플레이트
63 : 스타라이크홀 커버
64 : 가이드홀 커버
65 : 개구부
67 : 걸림홈
69 : 삽입홀
70 : 스토퍼
72 : 가이드바
74 : 탄성 부재
76 : 플렌지
Claims (9)
- 미리 정해진 락킹 위치와 언락킹 위치 사이 구간을 따라 왕복 이송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제1 필러;
상기 스트라이커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스트라이커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라이커홀을 구비하는 제2 필러;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라이커가 걸림되는 걸림홈과,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홀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스트라이크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홀 커버는, 상기 락킹 위치와 상기 언락킹 위치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러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걸림홈이 상기 언락킹 위치와 상기 락킹 위치 사이의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의 이송 구간을 제한 가능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걸림홈과 상기 스트라이크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언락킹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홀과 상기 개구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개폐 부재의 이송 구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제2 필러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가이드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걸림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 플레이트에 걸림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비해 큰 단면적을 갖는 플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필러와 상기 걸림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언락킹 위치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리어 포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6630A KR102395277B1 (ko) | 2016-11-23 | 2016-11-23 | 트럭용 리어 포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6630A KR102395277B1 (ko) | 2016-11-23 | 2016-11-23 | 트럭용 리어 포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026A KR20180058026A (ko) | 2018-05-31 |
KR102395277B1 true KR102395277B1 (ko) | 2022-05-09 |
Family
ID=6245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6630A KR102395277B1 (ko) | 2016-11-23 | 2016-11-23 | 트럭용 리어 포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527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757Y1 (ko) | 1994-05-17 | 1999-06-01 | 정몽규 |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
KR200162228Y1 (ko) | 1996-12-31 | 1999-12-15 | 정몽규 | 화물차량의 화물칸 게이트 록킹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3794B1 (ko) * | 1994-12-30 | 1998-10-15 | 전성원 | 트럭의 리어포스트 구조 |
-
2016
- 2016-11-23 KR KR1020160156630A patent/KR102395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757Y1 (ko) | 1994-05-17 | 1999-06-01 | 정몽규 |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
KR200162228Y1 (ko) | 1996-12-31 | 1999-12-15 | 정몽규 | 화물차량의 화물칸 게이트 록킹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026A (ko) | 2018-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98575B2 (en) | Transverse concealed latch system | |
KR101823899B1 (ko) |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 |
US9771744B2 (en) | Glove box for vehicle | |
PH12014000082A1 (en) | Hatch cover apparatus for vessel | |
US7464832B2 (en) | Media cassette with internal lock | |
US11479113B2 (en) | Fuel door opener assembly | |
US7290736B2 (en) | Aircraft door | |
KR101126400B1 (ko) |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 |
CN102317561B (zh) | 移动体的移动装置 | |
KR102602955B1 (ko) |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 |
KR102395277B1 (ko) | 트럭용 리어 포스트 | |
US7909351B2 (en) | Trailer coupling dock theft-proof lock | |
US10000947B2 (en) | Auto-lock system for door window frame lateral retention | |
KR101075034B1 (ko) |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 |
EP3710310A2 (en) | A bulkhead apparatus | |
US20100219673A1 (en) | Loading flap for a vehicle seat | |
KR102634391B1 (ko) |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US20110101648A1 (en) | Trailer coupling dock theft-proof lock | |
KR20130004169U (ko) |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 |
US20110000267A1 (en) | Lock key mechanism | |
KR200450161Y1 (ko) | 무인 보관함 | |
US20150048630A1 (en) | Door locking device for truck | |
KR102447244B1 (ko) |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 |
KR101252415B1 (ko) | 벌크 컨테이너용 열림판 도어 록킹장치 | |
US9517810B2 (en) | Glove compar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