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318A -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318A
KR20150054318A KR1020130136626A KR20130136626A KR20150054318A KR 20150054318 A KR20150054318 A KR 20150054318A KR 1020130136626 A KR1020130136626 A KR 1020130136626A KR 20130136626 A KR20130136626 A KR 20130136626A KR 20150054318 A KR20150054318 A KR 20150054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unit
dispos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9938B1 (ko
Inventor
안영환
김준우
임사진
노용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3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9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43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02Milling elongated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프레임에 핸들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멍을 자동으로 가공하여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는, 승강운동을 하며, 서보모터에 의해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와; 상기 이송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위치를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이송롤러부와 직교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전단위치가 잡힌 프레임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승강운동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단을 파지한 후,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로봇팔부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천공부에서 천공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부와; 상기 밀링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밀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임시로 적대하는 임시적재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임시적재대로 밀어주는 푸싱부와; 상기 임시적재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핸들로드를 조립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전단에 배치되어 핸들로드가 조립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출하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 auto drill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handle assembly }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프레임에 핸들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멍을 자동으로 가공하여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짝에는 개, 폐문이 용이하도록 각종 장치가 설치된다. 이중 손잡이는 사용자가 창짝을 밀거나 당겨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잠금 장치 등과 연계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손잡이는 창짝이 4면으로 용접되기 이전에, 이 창짝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구멍을 가공 조립하는데, 이 구멍은 다축 드릴링 머신에 의해 조립에 필요한 3개의 구멍이 한꺼번에 천공된다.
또한, 구멍은 창짝의 규격 혹은 손잡이에 따라 그 천공 위치와 축간 거리가 달라지며,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를 일일이 판단하여 천공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1436호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천공장치는 창호프레임의 측면만을 가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핸들 로드와 같은 밑면이 평평한 경우는 조립이 가능하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이 돌출된 핸들 로드일 경우 조립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핸들 로드에서 하부가 돌출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 구멍 가공이 이루어진 프레임을 수레 등에 실어서 밀링장치로 이동하여 밀링에 의해 프레임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해 주는 밀링가공을 별도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프레임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한 후,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가공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율을 향상시키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의 측면 및 하면에 구멍의 가공이 이루어진 프레임이 바로 작업대로 이동되어 핸들 로드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는, 승강운동을 하며, 서보모터에 의해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와; 상기 이송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위치를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이송롤러부와 직교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전단위치가 잡힌 프레임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승강운동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단을 파지한 후,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로봇팔부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천공부에서 천공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부와; 상기 밀링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밀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임시로 적대하는 임시적재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임시적재대로 밀어주는 푸싱부와; 상기 임시적재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핸들로드를 조립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전단에 배치되어 핸들로드가 조립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출하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천공부에서 프레임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한 후, 필요에 따라서 밀링부에서 프레임의 하면에 구멍을 자동으로 가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프레임을 수레에 실어서 밀링장치로 이동하여 밀링가공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 생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프레임의 측면 및 하면에 구멍 가공이 이루어진 프레임이 바로 작업대로 이동함으로써, 바로 프레임에 핸들 로드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창호프레임에 결합되는 핸들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동작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머신의 가공 상태를 보인 프레임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롤러부, 푸싱부, 임시적재대 및 작업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동작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링머신의 가공 상태를 보인 프레임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롤러부, 푸싱부, 임시적재대 및 작업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작업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프레임(P)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는, 승강운동을 하며, 서보모터에 의해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100)와; 상기 이송롤러부(1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위치를 잡아주는 기준편(200)과; 상기 이송롤러부(100)와 직교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전단위치가 잡힌 프레임(P)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300)와; 승강운동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3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400)와;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의 후단을 파지한 후, 상기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로봇팔부(500)와;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부(600);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천공부(600)에서 천공된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부(700)와; 상기 밀링부(7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밀링부(700)에서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되는 배출롤러부(800)와; 상기 배출롤러부(8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을 임시로 적대하는 임시적재대(810)와; 상기 배출롤러부(8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임시적재대(810)로 밀어주는 푸싱부(820)와; 상기 임시적재대(8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에 핸들로드를 조립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전단에 배치되어 핸들로드가 조립된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되는 출하롤러부(950)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에 의해 프레임(P)에 핸들 로드를 천공과 함께 조립이 빠르게 이루어져 생산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일측은 상기 프레임(P)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의 측면을 의미하면, 전단은 상기 프레임(P)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앞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상승하였을 때에만, 상기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하강하였을 때에는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후술하는 상기 기준편(2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천천히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천천히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상기 프레임(P) 중 핸들이 결합되는 프레임(P)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그대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기준편(200)을 하강시킨다.
상기 기준편(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부(1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P)의 전단위치를 잡아준다.
이러한 상기 기준편(200)은 상기 프레임(P)의 전단 위치를 잡아 주고 나면,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의 다음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한다.
상기 컨베이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롤러부(100)와 직교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100)에서 전단 위치가 잡힌 상기 프레임(P)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의해 프레임(P)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기준편(200)에 접촉하여 전단 위치가 잡히고 나면, 상기 이송롤러부(100)가 하강하면서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프레임(P)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부(300)도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부(100)에서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이 안착 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롤러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천공부(600) 및 상기 밀링부(700)로 이동할 때, 이동이 수월하도록 상기 프레임(P)의 하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400)는 상승하여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에 안착되어 이동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300)에서 이격시켜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에는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동력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일측면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부(410)가 장착된다.
상기 센터링부(410)는 상기 가이드롤러부(400)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컨베이어부(300)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프레임(P)이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상부에서 더 이상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상기 프레임(P)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프레임(P)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위치를 잡아준다.
즉, 상기 센터링부(410)는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P)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를 잡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봇팔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후단을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로봇팔부(500)는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천공부(600)와 상기 밀링부(7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로봇팔부(500)가 상기 프레임(P)을 후단을 파지한 후,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프레임(P)에 구멍을 가공할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로봇팔부(500)는 상기 프레임(P) 규격에 환한 정보가 인쇄된 바코드를 읽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어되어 상기 천공부(600) 및 상기 밀링부(700)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로봇팔부(500)는 후술하는 상기 천공부(600)의 제1몸체(620)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밀링부(700)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핸들 로드의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형성한다.
즉, 상기 천공부(600)는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정확한 길이만큼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상기 핸들 로드의 구멍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공한다.
이러한 상기 천공부(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610), 제1몸체(620), 제1클램프(630), 압착부(640), 드릴링머신(650) 및 제1이동부(6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롤러(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된다.
즉, 상기 제1롤러(610)에는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에 안착 되었던 상기 프레임(P)이 상기 로봇팔부(500)에 파지되어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기 프레임(P)이 안착 된다.
상기 제1몸체(6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610)의 상부에서 승강운동을 한다.
즉, 상기 제1몸체(620)는 상기 제1롤러(610)부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한다.
상기 제1몸체(620)가 승강운동을 하는 것은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램프(6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6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면서 좌우 위치를 잡아준다.
즉, 상기 제1클램프(630)는 상기 제1몸체(620)의 하강에 의해 같이 하강하여 상기 제1롤러(6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를 가압하여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면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좌우 위치를 잡아준다.
이러한 상기 제1클램프(63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압착부(64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620)에 장착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6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상부를 눌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착부(640)는 상기 제1몸체(620)가 하강하여 상기 클램프로 상기 제1롤러(6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위치를 잡아 가압된 상기 프레임(P)의 상부를 실린더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프레임(P)의 상부를 눌러준다.
상기 드릴링머신(650)은 상기 프레임(P)에 구멍을 가공한다.
즉, 상기 드릴링머신(65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6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제1클램프(630)와 상기 압착부(64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한다.
이러한 상기 드릴링머신(6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에 3개의 구멍을 가공하는 3축 드릴링 머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릴링머신(650)이 3축 드릴링머신(6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핸들 로드에는 3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이동부(6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링머신(650)을 상하 좌우방향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1이동부(660)는 구멍의 위치가 프레임(P)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에 따라 상기 드릴링머신(65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660)는 상기 프레임(P)에 구멍을 가공하기 위해 상기 드릴링머신(65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게 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천공부(600)는 상기 제1롤러(610), 상기 제1몸체(620), 상기 제1클램프(630), 상기 압착부(640), 상기 드릴링머신(650) 및 상기 제1이동부(660)로 이루어진 제1가공부(601), 제2가공부(602) 및 제3가공부(60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가공부(601), 상기 제2가공부(602), 상기 제3가공부(60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상기 제1가공부(601), 상기 제2가공부(602) 및 상기 제3가공부(603)의 상기 드릴링머신(650)은 각각 가공규격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가공부(601), 상기 제2가공부(602), 상기 제3가공부(603)의 규격이 다르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P)의 용도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결합되는 핸들 로드에 따라 그에 맞게 구멍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P) 내부에 내장된 보강재에 의해 한 번에 지름이 큰 구멍을 형성할 경우, 먼저 상기 제1가공부(601)에서 작은 구멍을 가공한 후, 상기 제3가공부(603)에서 작은 구멍을 크게 가공하면 되기 때문에 손쉽게 큰 구멍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밀링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천공부(600)에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 가공된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가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로드에서 하부로 튀어나온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천공부(600)에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이 가공된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멍을 가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밀링부(700)에서 측면에 구멍을 가공한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함으로써, 하부가 튀어나온 핸들 로드를 결합하기 위해 종래처럼 프레임(P)을 수레에 실어서 밀링장치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가공을 할 필요 없이 바로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하여 생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율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상기 밀링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710), 제2몸체(720), 제2클램프(730), 밀링머신(740), 제2이동부(7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롤러(710)는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되고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롤러(710)에는 후단이 상기 로봇팔부(500)에 파지되어 상기 천공부(600)에서 측면에 구멍을 가공한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되며,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면에 구멍을 가공하고 나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710)는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즉, 도 1(a)에 도시된 핸들 로드가 상기 프레임(P)에 결합될 경우에는 하면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로봇팔부(500)에서 후단 파지가 해제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몸체(720)는 상기 제2롤러(710)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몸체(720)는 상기 제2클램프(7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7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620)와 달리 승강운동을 하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제2클램프(730)를 지지한다.
상기 제2클램프(730)는 상기 제2몸체(720)에 장착되어 상기 제2롤러(7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측면을 가압하여 좌우 위치를 잡아주면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제2클램프(73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밀링머신(7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7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한다.
상기 밀링머신(740)이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가공하는 구멍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드릴 날이 아닌 엔드밀에 의해 가공된다.
상기 제2이동부(7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링머신(740)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2이동부(750)는 상기 밀링머신(740)이 상승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듯 직사각형 형태로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밀링머신(740)이 제자리로 하강하게 한다.
상기 제2이동부(75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듯 직사각형 형태로 가공시 모서리가 아닌 상기 프레임(P)의 정 중앙에서 가공을 시작하고 끝내는 것은, 상기 프레임(P)의 크기 및 가공되는 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에 가공의 시작과 끝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P)이 크기가 크든 작든, 가공되는 구멍의 크기가 크든 작든 상기 프레임(P)에 따라 상기 밀링머신(740)의 전후좌우 이동 없이 상승하여 재 자리로 돌아와 하강하면서 상기 프레임(P)에 원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롤러부(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링부(7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밀링부(700)에서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롤러부(800)는 상기 밀링부(700)에서 상기 제1롤러(61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하는 상기 프레임(P)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측면 및 하면에 구멍이 가공이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P)이 배출되어 안착된다.
상기 임시적재대(81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롤러부(8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8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이 임시적으로 적재되어 다음 프레임(P)이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할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임시적재대(810)는 적어도 5개 이상의 프레임(P)이 임시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부(82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롤러부(8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임시적재대(810)로 밀어준다.
즉, 상기 푸싱부(820)는 실린더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P)을 밀어서 일측에 배치된 상기 임시적재대(810)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업대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적재대(8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에 핸들 로드를 조립하는 곳이다.
이러한 상기 작업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작업면이 작업자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작업대(9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경사 작업대는 제3롤러(910)와 지지판(9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롤러(910)는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P)의 일면을 지지하다.
상기 제3롤러(910)가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프레임(P)에 핸들 로드를 결합한 후, 상기 출하롤러부(950)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판(920)은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3롤러(910)와 직교되는 경사면(921)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P)의 측면을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판(920)은 상기 제3롤러(910)부에 일면이 접한 상태에서 기울어진 상기 프레임(P)의 측면이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게 접하는 경사면(921)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P)이 넘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경사면(921)의 경사진 각도는 15°~ 60°사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작업대가 경사작업대(90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프레임(P)의 작업면이 작업자의 시야에 많이 노출되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출하롤러부(950)는 상기 작업대에서 상기 프레임(P)에 핸들 로드가 결합된 상기 프레임(P)이 이동하여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출하롤러부(95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은 적재대에 안착하거나 다른 가공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P)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P)의 특징이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서 상기 프레임(P)의 특징에 맞게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가공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제1클램프(630)와 상기 제2클램프(730)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631), 제1지지편(632), 제2지지편(633) 및 가이드부(6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니언기어(631)는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631)는 상기 제1몸체(620) 또는 제2몸체(720)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1지지편(632)은 상기 피니언기어(631)의 일측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레크기어(632a)가 형성된 상판(632b)과 상기 상판(632b)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측판(632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편(633)은 상기 피니언기어(631)의 타측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레크기어(632a)가 형성된 상판(632b)과 상기 상판(632b)에서 하방향을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P)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측판(632c)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631)를 사이에 두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632b)이 상기 프레임(P)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측판(632c)이 상기 상판(632b)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P)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배치됨으로써, 모터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631)가 회전하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서로 대응되게 좁혀지면서 상기 프레임(P)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프레임(P)의 위치가 정확하게 가운데에 위치하게 위치를 잡아준다.
그리고 모터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631)가 반대반향으로 회전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서로 대응되게 벌어지면서 상기 프레임(P)을 가압하던 것을 해지한다.
상기 가이드부(634)는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2), 제2지지편(633)과 상기 제1몸체(620), 제2몸체(7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634)는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서로 거리가 좁아지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옆을 가압하여 좌우 위치를 잡아주거나 해제할 때,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이 수월하게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 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1클램프(630)와 상기 제2클램프(730)와 달리 공지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위치를 잡아주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클램프(630)의 상기 측판(632c)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32d)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32d)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램프(630)에 의해 가압된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에 상기 드릴링머신(650)으로 구멍을 가공할 때, 상기 드릴링머신(650)이 구멍을 가공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고 좌우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632d)은 상기 드릴링머신(650)이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P)의 일측면에 구멍을 가공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부(100)가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P)을 상기 기준편(200)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기준편(200)에 상기 프레임(P)의 전단이 접촉하고 나면, 상기 이송롤러부(100)는 정지하고, 상기 기준편(200)은 하강한다.
이후,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정지된 상기 프레임(P)이 핸들 조립이 이루어지는 프레임(P)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이송롤러부(100)에 의해 상기 기준편(200)을 지나 길이방향으로 다른 가공장치로 공급되며, 상기 프레임(P)이 핸들 조립이 이루어지는 프레임(P)일 경우에는 상기 이송롤러부(100)가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P)이 핸들 조립이 이루어지는 프레임(P)인지, 아닌지는 상기 이송롤러부(100)에서 또는 그 전에 상기 프레임(P)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은 상기 컨베이어부(300)가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부(40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센터링부(410)가 상기 컨베이어부(300)보다 돌출되어 있어 상기 컨베이어부(30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프레임(P) 측면이 상기 센터링부(410)에 접하여 상기 프레임(P)이 일직선상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롤러부(400)가 상승하여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컨베이어부(300)에서 이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로봇팔부(500)가 상기 프레임(P)의 후단을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P)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P)이 상기 천공부(600)로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로봇팔부(500)는 상기 프레임(P)을 상기 천공부(600)로 이동시 상기 프레임(P)에 구멍을 가공하는 위치와 가공되는 구성의 규격에 맞추어 상기 제1가공부(601), 상기 제2가공부(602), 상기 제3가공부(603)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620)가 하강하여 도 4(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램프(630)의 제1지지편(632)과 제2지지편(633)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P)이 배치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지지편(632)과 상기 제2지지편(633)의 거리가 서로 대응되게 좁아지면서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프레임(P)이 중앙에 위치하게 위치를 잡아 준다.
그런 다음 상기 압착부(640)가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P)을 하방향으로 눌러준다.
그런 다음 상기 드릴링머신(650)이 상기 제1이동부(6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프레임(P)의 특징에 따라 핸들 로드가 결합되는 구멍의 높낮이 위치를 잡아준 다음, 상기 드릴링머신(65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릴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판(920)과 상기 제2지지판(9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632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릴링머신(650)은 상기 관통공(632d)을 통해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고 나면, 상기 제1클램프(630)와 상기 압착부(640)는 가압을 해지하고, 상기 제1몸체(620)는 상승하여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상기 제2가공부(602) 또는 상기 제3가공부(603)로 이동시켜 먼저 가공된 구성을 확장할 수도 있다.
상기 천공부(600)에서 상기 프레임(P)의 측면에 가공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로봇팔부(500)에 의해 상기 프레임(P)이 상기 밀링부(700)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클램프(730)의 제1지지편(632)과 제2지지편(633)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면 상기 제2클램프(7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여 좌우 위치를 중앙으로 위치시키면서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2이동부(750)에 의해 상기 밀링머신(740)이 상승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구멍을 가공한 후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을 가공하고 나면, 상기 제2클램프(730)와 상기 로봇팔부(500)는 파지를 해지하고, 상기 제2롤러(710)는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시킨다.
상기 밀링부(700)에서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로봇팔부(500)가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밀링부(700)로 이동시킨 후 파지를 해지하면, 상기 제2롤러(710)부가 회전하여 밀링가공 없이 상기 프레임(P)을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시킨다.
상기 프레임(P)이 상기 배출롤러부(800)로 이동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싱부(820)가 상기 프레임(P)을 밀어서 상기 임시적재대(810)에 안착되게 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임시적재대(810)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P)의 작업면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게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P)을 경사작업대(900)에 배치시킨 후, 상기 프레임(P)에 가공된 구멍에 맞는 핸들 로드를 결합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하롤러부(950)로 이동시킴으로써, 핸들 로드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공부(600)의 전단에 바로 상기 밀링부(700)를 배치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천공부(600)와 상기 밀링부(700) 사이에 또 다른 임시적재대(810)를 설치할 도 있다.
이는, 먼저 상기 밀링부(700)에 투입된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이 가공되는 시간 동안 상기 천공부(600)에서 측면에 구멍이 가공된 다른 프레임(P)이 적재되어 먼저 상기 밀링부(700)에 투입된 프레임(P)의 하면에 구멍 가공이 완료될 때까지 또 다른 임시적재대(810)에서 기다리다가 투입되어 하면에 구멍을 가공할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링부(700)에서 구멍 가공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상기 천공부(600)에서 구멍이 가공된 프레임(P)이 적재되어, 상기 천공부(600)에서는 또 다른 프레임(P)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이송롤러부 200: 기준편 300: 컨베이어부
400: 가이드롤러부 410: 센터링부 500: 로봇팔부
600: 천공부 601: 제1가공부 602: 제2가공부
603: 제3가공부 610: 제1롤러 620: 제1몸체
630: 제1클램프 631: 피니언기어 632: 제1지지편
632a: 레크기어 632b: 상판 632c: 측판
632d: 관통공 633: 제2지지편 634: 가이드부
640: 압착부 650: 드릴링머신 660: 제1이동부
700: 밀링부 710: 제2롤러 720: 제2몸체
730: 제2클램프 740: 밀링머신 750: 제2이동부
800: 배출롤러부 810: 임시적재대 820: 푸싱부
900: 경사작업대 910: 제3롤러 920: 지지판
921: 경사면 950: 출하롤러부 P: 프레임

Claims (11)

  1. 승강운동을 하며, 서보모터에 의해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와;
    상기 이송롤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단위치를 잡아주는 기준편과;
    상기 이송롤러부와 직교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에 전단위치가 잡힌 프레임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승강운동을 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단을 파지한 후, 상기 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로봇팔부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부;
    상기 로봇팔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천공부에서 천공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링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밀링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배출롤러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임시로 적대하는 임시적재대와;
    상기 배출롤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롤러부로 배출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임시적재대로 밀어주는 푸싱부와;
    상기 임시적재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핸들로드를 조립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전단에 배치되어 핸들로드가 조립된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출하롤러부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이동하는 상기 프레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부에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 상부에서 승장운동을 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면서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제1클램프와;
    상기 제1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롤러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눌러주는 압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링머신과;
    상기 드릴링머신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머신은 3축 드릴링 머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제1롤러, 상기 제1몸체, 상기 제1클램프, 상기 압착부, 상기 드릴링머신 및 상기 제1이동부로 이루어진 제1가공부, 제2가공부 및 제3가공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 및 상기 제3가공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가공부, 상기 제2가공부 및 상기 제3가공부의 상기 드릴링머신은 각각 가공규격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링부는,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고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2롤러에 안착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을 가압하여 좌우위치 및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2클램프와;
    상기 제2롤러에 안착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을 구멍을 가공하는 밀링머신과;
    상기 밀링머신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레크기어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 제1지지편과;
    상기 피니언 기어의 타측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레크기어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편과;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1몸체, 제2몸체와 상기 제1지지편, 제2지지편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이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은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옆을 가압하여 좌우 위치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의 측판에는 상기 제1클램프에 의해 가압된 상기 프레임 일측면에 상기 드릴링 머신으로 구멍을 가공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고 좌우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프레임의 작업면이 작업자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작업대인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사작업대는,
    다수개의 롤러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3롤러와;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3롤러와 직교되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으로 이루어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측면에는,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롤러부의 상부에서 더 이상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지지하는 센터링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KR1020130136626A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KR10182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26A KR1018299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26A KR1018299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318A true KR20150054318A (ko) 2015-05-20
KR101829938B1 KR101829938B1 (ko) 2018-02-19

Family

ID=5339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26A KR101829938B1 (ko) 2013-11-12 2013-11-12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9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4685A (zh) * 2020-06-09 2020-09-01 中山市尚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拉手组装机
CN111604686A (zh) * 2020-06-09 2020-09-01 中山市尚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拉手组装工作系统
CN111673386A (zh) * 2020-06-18 2020-09-18 山西中晋工业机械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主动臂的制造工艺
CN115177076A (zh) * 2022-08-08 2022-10-14 浙江青田卡洛斯鞋业有限公司 一种鞋底打孔设备
CN116652258A (zh) * 2023-07-12 2023-08-29 安徽永利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铣边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48B1 (ko) * 2019-04-16 2020-07-24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이송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4685A (zh) * 2020-06-09 2020-09-01 中山市尚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拉手组装机
CN111604686A (zh) * 2020-06-09 2020-09-01 中山市尚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拉手组装工作系统
CN111673386A (zh) * 2020-06-18 2020-09-18 山西中晋工业机械有限公司 一种车辆转向主动臂的制造工艺
CN115177076A (zh) * 2022-08-08 2022-10-14 浙江青田卡洛斯鞋业有限公司 一种鞋底打孔设备
CN115177076B (zh) * 2022-08-08 2023-08-04 浙江青田卡洛斯鞋业有限公司 一种鞋底打孔设备
CN116652258A (zh) * 2023-07-12 2023-08-29 安徽永利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铣边装置
CN116652258B (zh) * 2023-07-12 2024-03-08 安徽永利成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铣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938B1 (ko) 201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938B1 (ko) 창호프레임 통합 핸들 조립을 위한 자동 천공장치
CN107309360A (zh) 一种汽车天窗导轨加工工艺
KR101034625B1 (ko) 자동용접장치용 지그
KR100825925B1 (ko) 펀칭머신의 작업물 이송 적재 장치
KR101018584B1 (ko)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 커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20082481A (ko) 앵글 펀칭 장치
JP2824891B2 (ja) 折曲機のワーク前面位置決め装置
KR101478341B1 (ko) 에이치빔 3축 천공장치
WO2016104115A1 (ja) 工作機械
JP5841215B1 (ja) 火打ち加工装置
JPH07314242A (ja) 鋼材の自動搬送加工装置
JP4841453B2 (ja) 木材等の加工機および加工方法
KR200423461Y1 (ko) 산업용 가공장치
JPH09254101A (ja) 木工用孔明け加工装置
JP3029365U (ja) 孔明け加工機用木材位置検出装置
JP2003225721A (ja) ヘミング加工システム及びヘミング加工方法
JP5841217B1 (ja) 火打ち加工装置
CN217433108U (zh) 一种扭力梁纵臂主定位孔的钻孔机构
JP3499066B2 (ja) 彫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彫刻方法
JP2881150B2 (ja) 自動位置決め加工装置
JP4460115B2 (ja) 曲げロボットの曲げ動作プログラムチェック方法
JP3698622B2 (ja) 自動位置決め加工装置
JP3479264B2 (ja) 木口ボーリング加工機及び木口ボーリング加工設備
JP2009148851A (ja) 加工方法と加工装置
JPH0343166A (ja) スミ付け装置を備えた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