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643A -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 Google Patents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643A
KR20150053643A KR1020130135860A KR20130135860A KR20150053643A KR 20150053643 A KR20150053643 A KR 20150053643A KR 1020130135860 A KR1020130135860 A KR 1020130135860A KR 20130135860 A KR20130135860 A KR 20130135860A KR 20150053643 A KR20150053643 A KR 2015005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pedestal
lifting
upper turre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010B1 (ko
Inventor
김지운
위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0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는,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상부터렛을 하부터렛에 탑재할 때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상기 페데스탈 및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JIG FOR LIFTING UPPER TURR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LIFTING UPPER TURRET}
본 발명은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에서 가스 또는 원유를 채취하는 FPSO(부유식 원유 생산하역저장설비) 등에는 터렛(turret)이 구비되어 있다.
터렛은 보통 선박의 한쪽 선단부, 통상 선수부에 마련된 케이슨(caisson)의 수직개구부에 탑재되고, 체인 등에 의해 해저의 광구 플랫폼(subsea well platform)에 고정되어 이에 의해 선박이 계류(mooring)하게 된다.
또한, 터렛은 선박이 터렛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터렛은 해저의 광구 플랫폼에 고정되고, 터렛과 선박의 케이슨 사이에는 미끄럼 운동을 하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바람, 조류 또는 파랑의 작용에 의해 선박은 터렛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추작업을 하는 동안 바람, 조류 또는 파랑이 작용하여도 가스 또는 원유는 고정된 터렛 내부의 파이프 등을 통하여 선박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렛은 상부터렛(upper turret)과 하부터렛(lower turret)으로 나뉘어 제작된다. 제작이 완성된 하부터렛은 선박의 케이슨의 수직개구부에 탑재되며, 하부터렛과 케이슨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된다.
상부터렛은 하부터렛의 탑재가 완료된 뒤에 하부터렛에 탑재된다. 상부터렛은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데크(deck)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데크에는 수많은 의장품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윈치, 각종 배관, 조명장치, 열장치, 통신장치, 전력장치 등이 상부터렛의 데크에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부터렛의 최상위 데크(보통 주데크) 상에 복수 개의 러그를 설치하고, 이러한 러그에 크레인 등의 리프팅 장치를 연결하여 상부터렛을 리프팅한 후 하부터렛에 탑재하고 있다.
만약 상부터렛의 데크에 수많은 의장품을 설치한 후 상부터렛을 리프팅할 경우, 데크에 충분한 수의 러그를 설치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와이어 슬링(wire sling)을 이용하여 상부터렛을 리프팅할 때 와이어 슬링과 의장품 간의 접촉에 의한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의장품에 손상이 입혀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상부터렛에 의장품을 설치하지 않은 채 상부터렛을 리프팅하여 하부터렛에 탑재하고, 탑재가 완료된 뒤에 상부터렛에 의장품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의장품 및 의장품의 운반에 사용되는 각종 장비 역시 터렛 측으로 옮겨져야 하고, 작업 공간이 터렛에 한정되므로 전체 터렛 설치 공정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터렛의 데크의 곳곳에 와이어 슬링을 연결하여 리프팅하고 있는 바, 데크와 와이어슬링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되고, 이는 데크뿐만 아니라 상부터렛 전체의 강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619950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부터렛에 의장품을 모두 설치한 후 상부터렛을 리프팅하여 하부터렛에 탑재하기 위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부터렛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는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상부터렛을 하부터렛에 탑재할 때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기 위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로서,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상기 페데스탈 및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페데스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X자 형상의 내측부 및 상기 X자의 각 단부를 연결하며, 사각형의 외곽을 이루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는, 서로 교차하여 상기 X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4개의 외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는 H빔이고, 상단 및 하단의 플랜지의 양측에는 삽입슬롯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는, 양단이 상기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부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는 H빔이고, 상기 내측부재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에 각각 접하며, 일측면은 상기 내측부재의 웨브에 접하는 제 1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내측부재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한 쌍의 내측부재 모두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러그는 상기 외측부의 각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페데스탈의 상단부와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수평방향 단면은 상기 페데스탈의 수평방향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페데스탈에 삽입되거나 상기 페데스탈이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부와 페데스탈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페데스탈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의 안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페데스탈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방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제조 방법은 상단 및 하단의 플랜지의 양측에 삽입슬롯이 함몰 형성된 한 쌍의 H빔을 교차 배치하여 X자 형상의 내측부를 형성하는 단계, 하부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어느 하나의 H빔의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고, 타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다른 하나의 H빔의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수직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부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어느 하나의 H빔의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고, 타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다른 하나의 H빔의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부의 상면에는 리프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러그를 배치하고, 상기 내측부의 하면에는 상부터렛의 데크에 설치되어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은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상부터렛을 하부터렛에 탑재할 때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기 전 상기 데크 상에 의장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페데스탈에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에 리프팅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터렛를 리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터렛에 의장품을 모두 설치한 후 상부터렛을 리프팅하여 하부터렛에 탑재하기 위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터렛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터렛이 탑재되는 선박의 케이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부터렛이 하부터렛에 탑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를 이용하여 상부터렛을 리프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를 각각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의 A 부분과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의 연결부와 상부터렛의 데크에 설치된 페데스탈이 서로 연결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렛 탑재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선박에 설치되는 터렛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렛 탑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선박뿐 아니라 해양플랜트 등 각종 부유식 구조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선박에 형성된 케이슨(1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슨(10) 내부에는 수직개구부(11)가 형성되어 이 수직개구부(11)에 하부터렛이 탑재될 수 있다. 케이슨(10)은 선박의 선체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수직개구부(11)의 내측면으로 볼 수도 있다.
케이슨(10)의 상부에는 베어링하우징(2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베어링하우징(21)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부베어링시트에는 상부수평베어링(20)이 설치되어 하부터렛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슨(10)의 하부에는 수직개구부(11) 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베어링시트(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부베어링시트(31)에 하부수평베어링(30)이 설치되어 하부터렛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슨(10)의 최상부에는 하부터렛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터렛 지지부(12)가 배치될 수 있고, 터렛 지지부(12)의 일측편에는 상부수직베어링(40)이 설치되어, 하부터렛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케이슨(10)의 수직개구부(11)에 하부터렛(50)이 탑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터렛(50)의 측부는 상부수평베어링(20) 및 하부수평베어링(30)과 접하여 수평 지지력을 제공 받고, 하부터렛(50)의 상측 구조물은 터렛 지지부(12) 및 상부수직베어링(40)에 얹혀지는 형상을 가져, 수직 지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하부터렛(50)의 탑재가 완료된 후에는 상부터렛(60)이 하부터렛(50)에 탑재될 수 있다. 상부터렛(60)은 일반적으로 주데크(61) 및 보조데크(62) 등 복수의 데크를 포함할 수 있고, 데크와 데크 사이에는 복수의 기둥(63)이 제공되어 수직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크(61, 62)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보조데크(62)의 개구부에는 유틸리티 배관부(64)가 설치되어 해저 광구로부터 채취된 가스 또는 원유가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채취된 가스 또는 원유는 상부터렛(60)의 위쪽에 설치되는 스위블 스택(swivel stack)을 경유하여 선박의 각 파트로 이송되는데, 이를 위해 주데크(61)의 개구부에는 페데스탈(pedestal)(65)이 설치될 수 있다. 페데스탈(65)은 보통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서, 하단부는 유틸리티 파이프(64)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다. 페데스탈(65)의 상단부에는 스위블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페데스탈의 형상, 설치 위치, 그리고 상부터렛이 포함하는 데크의 수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뿔형이 아닌 원통형 페데스탈도 있을 수 있고, 개구부는 반드시 데크의 중앙부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상부터렛은 하나의 데크, 또는 3개 이상의 데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의 경우,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할 때 주데크(61)에 직접 러그를 설치하고, 와이어 슬링을 상기 러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이에 의한다면 상부터렛(60)의 탑재 전에 의장품을 각 데크(61, 62)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역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주데크(61) 곳곳에 와이어슬링을 연결하여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하기 때문에 주데크(61)와 와이어슬링 간에 형성되는 각도로 인하여 상부터렛(60)에 작용되는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를 이용하여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데크(61)에 직접 리프팅 장치(70)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65)에 리프팅 장치(70)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페데스탈(65)에 리프팅 장치(70)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를 마련하여 이러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페데스탈(65) 및 리프팅 장치(70)에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는, 본체(100), 연결부(200) 및 러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본체(1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200)가 페데스탈(65)과 연결될 수 있다.
러그(300)는 본체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러그(300)에 리프팅 장치(70)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70)는 와이어슬링 등이 채용된 통상의 크레인일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 장치(70)의 전체적인 모습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처럼, 상부터렛(60)의 주데크(61)에 리프팅 장치(7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리프팅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데크(61)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페데스탈(65)에 리프팅 장치(70)를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부터렛(60)을 리프팅 하기 전에 상부터렛의 각 데크(61, 62)에 수많은 의장품을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그(jig) 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상부터렛(60)과 리프팅 장치(70)의 와이어슬링 간의 각도가 거의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터렛(60)에는 모멘트가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부터렛(60)을 하부터렛(50)에 탑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를 각각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는 본체(100), 연결부(200) 및 러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크게 내측부와 외측부로 나눌 수 있다. 외측부는 본체(100)의 사각형의 외곽을 이룰 수 있고, 내측부는 외측부 내에서 X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부에 의한 X자 형상은 사각형의 외측부의 양 대각선을 이룰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내측부는 서로 교차하여 X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부재(110, 120)는 H빔일 수 있다.
외측부는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4개의 외측부재(130, 140, 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부재(130, 140, 150, 160)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H빔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00)는 링 형상의 부재로 제공되어 본체(100)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200)가 상부터렛(60)의 페데스탈(65)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와 페데스탈(65)의 연결 모습은 뒤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또한, 러그(300)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마련되어 X자 형상의 내측부의 각 단부마다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 각각의 양단부에는 제 1 보강대(180)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 2 보강대(170)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대에 관한 사항들 역시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4의 A 부분과 도 5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앞서 참조한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는 서로 교차하는 H빔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H빔에서 넓은 면이 수직 방향을 향하는 상단 및 하단의 부재를 각각 상단 플랜지 및 하단 플랜지라고 부르기로 하고, 상단 플랜지 및 하단 플랜지를 연결하며 넓은 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는 부재를 웨브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 중 하나의 내측부재(1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내측부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H빔일 수 있고, 따라서 상단 플랜지(111), 하단 플랜지(113) 및 웨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및 하단 플랜지(111, 113)의 양측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삽입슬롯(112, 1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삽입슬롯(112, 114)에 외측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다.
4개의 외측부재(130, 140, 150, 160) 중 하나의 외측부재(13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외측부재(130)는 상부플레이트(131), 상부플레이트(131)와 이격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13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31)와 하부플레이트(133)를 연결하는 수직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31)와 하부플레이트(133)는 H빔의 플랜지처럼 넓은 면이 수직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수직플레이트(135)는 H빔의 웨브처럼 넓은 면이 수평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30)의 결합 모습을 설명하면, 외측부재(130)의 상부플레이트(131)의 일단부는 내측부재(110)의 상단 플랜지(1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슬롯(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31)의 타단부는 다른 내측부재(120)의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또, 하부플레이트(133)의 일단부 역시 내측부재(110)의 하단 플랜지(113)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슬롯(114)에 삽입될 수 있고, 타단부는 다른 내측부재(120)의 하단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외측부재(130)는 기완성된 H빔은 아닐 수 있으나, 내측부재(110)에 최종 조립된 모습은 전체적으로 H빔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각 내측부재(110, 120)의 양단부에는 제 1 보강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보강대(180)는 판형 부재로서, 그 상단 및 하단이 내측부재(110)의 상단 플랜지(111) 및 하단 플랜지(113)와 접할 수 있고, 일측면은 내측부재(110)의 웨브(115)에 접할 수 있다. 결국, 내측부재(110)의 상단 플랜지(111)를 지지하면서도 내측부재(110)의 웨브(115)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 본체(100)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제 2 보강대(17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보강대는 상판(171) 및 하판(172)을 포함할 수 있고, 상판(171) 및 하판(172)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71)은 내측부재(110, 120)의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하판은 내측부재(110, 120)의 하단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판(171) 및 하판(172)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의 교차 지점에서의 상기 삽입슬롯은 내측부재(110, 120)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부재(173)는 총 8개가 제공될 수 있고, 각 보강부재(173)는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의 교차 지점에서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 모두에 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보강부재(173)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육면체의 이웃하는 두 면은 각각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의 각 웨브에 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00)는 링 형상으로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200)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은 페데스탈(65)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거나, 혹은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응되는 경우에는 연결부(200)와 페데스탈(65)은 용접 또는 삽입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접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의 연결부(200)와 상부터렛(60)의 데크(61)에 설치된 페데스탈(65)이 서로 연결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의 경우, 연결부(200)와 페데스탈(65)이 용접 방식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00)와 페데스탈(65) 상단부의 플랜지부(66) 사이에 용접부재를 제공하여 이들 간에 용접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한편, (b) 및 (c)의 경우, 연결부(200)와 페데스탈(65)이 삽입 방식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b)를 설명하면, 연결부(200)와 페데스탈(65)의 수평방향 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여기에서는 원형으로 예시함)되고, 연결부(200)의 단면 직경이 페데스탈(65)의 플랜지부(66)의 단면 직경보다 작다면 연결부(200)가 플랜지부(66)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연결부(200)는 플랜지부(66)의 내측면으로부터 페데스탈(65)의 안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67, 68)에 안착되어 상방 지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80)에 의하여 연결부(200)와 플랜지부(66)은 서로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c)를 설명하면, 연결부(200)의 단면 직경이 페데스탈(65)의 플랜지부(66)의 단면 직경보다 크다면 플랜지부(66)가 연결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200)는 플랜지부(66)의 외측면으로부터 페데스탈(65)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67, 68)에 안착되어 상방 지지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80)에 의하여 연결부(200)와 플랜지부(66)은 서로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H빔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를 교차 배치하여 X자 형상의 내측부를 형성(S10)할 수 있다. 이 때, 내측부재(110, 120)의 상단 및 하단의 플랜지의 양측면에는 각각 삽입슬롯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플레이트(133)의 일단을 하나의 내측부재(110)의 하단 플랜지(113)에 형성된 삽입슬롯(114)에 삽입하고, 타단을 다른 하나의 내측부재(120)의 하단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슬롯에 삽입(S20)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33)의 삽입이 완료되면, 하부플레이트(133)의 상면에 수직플레이트(135)를 하부플레이트(13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S30)할 수 있다. 수직플레이트(135)의 배치가 완료되면, 상부플레이트(131)의 일단을 하나의 내측부재(110)의 상단 플랜지(111)의 삽입슬롯(112)에 삽입하고, 타단을 다른 하나의 내측부재(120)의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S40)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31)와 수직플레이트(135), 그리고 수직플레이트(135)와 하부플레이트(133)는 서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에는 4개의 외측부재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상기 하부플레이트 삽입 단계(S20), 수직플레이트 배치 단계(S30) 및 상부플레이트 삽입 단계(S40)는 4번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작업 여건에 따라 하부플레이트 삽입 단계(S20), 수직플레이트 배치 단계(S30) 및 상부플레이트 삽입 단계(S40)의 실행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X자 형상의 내측부 및 사각형 외곽을 이루는 외측부의 제공이 완료되면, 본체(100)의 상측에 복수의 러그(300)를 배치하고, 본체(100)의 하측에 페데스탈(65)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200)를 배치(S50)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계(S50)는 외측부재와 관련된 S20 내지 S40의 단계들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한 쌍의 내측부재(110, 120)가 교차 배치(S10)되고 난 직후에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본격적으로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하기 전에, 상부터렛의 각 데크(61, 62)에 각종 의장품을 모두 설치(S100)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를 상부터렛(60)의 데크(61)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65)에 연결(S20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의 연결부(200)가 페데스탈(65)의 플랜지부(66)와 직접 연결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리프팅 장치(70)를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1)의 러그(300)에 연결(S300)하고, 리프팅 장치(70)를 구동하여 상부터렛(60)을 리프팅(S400)한 뒤 하부터렛(50)에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에 의하면,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하기 전에 의장품을 상부터렛(60)에 미리 설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이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지그(1)를 통해 상부터렛(60)을 리프팅하기 때문에 리프팅 장치(70)의 와이어슬링과 상부터렛(60)의 데크(61)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거의 수직으로 유지되어, 리프팅 과정에서 상부터렛(60)에 불필요한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케이슨 11: 수직개구부
50: 하부터렛 60: 상부터렛
61, 62: 데크 65: 페데스탈
66: 플랜지부 100: 본체
110, 120: 내측부재 112, 114: 삽입슬롯
130, 140, 150, 160: 외측부재 180: 제 1 보강대
170: 제 2 보강대 200: 연결부
300: 러그

Claims (13)

  1.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상부터렛을 하부터렛에 탑재할 때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기 위한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상기 페데스탈 및 리프팅 장치에 연결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페데스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러그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X자 형상의 내측부; 및
    상기 X자의 각 단부를 연결하며, 사각형의 외곽을 이루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서로 교차하여 상기 X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루는 4개의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H빔이고, 상단 및 하단의 플랜지의 양측에는 삽입슬롯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재는,
    양단이 상기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부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H빔이고,
    상기 내측부재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에 각각 접하며, 일측면은 상기 내측부재의 웨브에 접하는 제 1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측부재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한 쌍의 내측부재 모두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러그는 상기 외측부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페데스탈의 상단부와 용접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수평방향 단면은 상기 페데스탈의 수평방향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페데스탈에 삽입되거나 상기 페데스탈이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부와 페데스탈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페데스탈은, 상기 페데스탈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의 안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페데스탈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페데스탈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방 지지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12. 상단 및 하단의 플랜지의 양측에 삽입슬롯이 함몰 형성된 한 쌍의 H빔을 교차 배치하여 X자 형상의 내측부를 형성하는 단계;
    하부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어느 하나의 H빔의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고, 타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다른 하나의 H빔의 하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수직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수직플레이트를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부플레이트를 제공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어느 하나의 H빔의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고, 타단을 상기 한 쌍의 H빔 중 다른 하나의 H빔의 상단 플랜지의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부의 상면에는 리프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러그를 배치하고, 상기 내측부의 하면에는 상부터렛의 데크에 설치되어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제조 방법.
  13.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데크와,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며 스위블과 연결될 수 있는 페데스탈을 포함하는 상부터렛을 하부터렛에 탑재할 때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터렛을 리프팅하기 전 상기 데크 상에 의장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페데스탈에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에 리프팅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터렛를 리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1020130135860A 2013-11-08 2013-11-08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10160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60A KR101608010B1 (ko) 2013-11-08 2013-11-08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60A KR101608010B1 (ko) 2013-11-08 2013-11-08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43A true KR20150053643A (ko) 2015-05-18
KR101608010B1 KR101608010B1 (ko) 2016-03-31

Family

ID=5339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860A KR101608010B1 (ko) 2013-11-08 2013-11-08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78A (ko) * 2018-07-26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인스텔레이션용 리프팅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078A (ko) * 2018-07-26 2020-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인스텔레이션용 리프팅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010B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0159A (ko) 풍력 에너지 발전소 및 구성 방법
KR101439520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101722595B1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JP2022514415A (ja) 浮動の風力タービン支持体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JP5328537B2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CN103964300B (zh) 顶升式加高设备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KR102413710B1 (ko) 개량형 버킷 앵커의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KR101348621B1 (ko)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KR101324579B1 (ko)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KR20160022696A (ko) 해상파일 설치용 선박
KR102553425B1 (ko) Lng 생산기지 해상지역의 부두 설비 일체형 모듈화 시공방법
KR101607942B1 (ko) 라이저 가이드관 탑재 방법
CN214729534U (zh) 一种自漂浮稳桩平台
CN111115452B (zh) 一种火炬臂的预制、试装以及装船工艺
KR101690966B1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 설치 공법
CN212193742U (zh) 一种混凝土切割平台
JP2023076234A (ja) 動揺抑制部材および動揺抑制部材の設置方法
JP5908430B2 (ja) 水中杭固定構造
KR101268330B1 (ko) 수중 물막이 구조물용 바지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